KR20170068732A -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732A
KR20170068732A KR1020150175557A KR20150175557A KR20170068732A KR 20170068732 A KR20170068732 A KR 20170068732A KR 1020150175557 A KR1020150175557 A KR 1020150175557A KR 20150175557 A KR20150175557 A KR 20150175557A KR 20170068732 A KR20170068732 A KR 2017006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bag
garbage
bending extension
support
sid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102015017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732A/ko
Publication of KR2017006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구가 벌어진 채 하향으로 늘어진 상태가 되도록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서로 수평하게 대설되는 양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받침다리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의 마주하는 일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양측 절곡연장부와,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각각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양측 절곡연장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용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사이에는 힌지용 볼트를 기준하여 양측 절곡연장부가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은 일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도록 토션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for fastening and seperrating garbage bag of outdoor}
본 발명은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원이나 야외 주차장 또는 각종 야외 행사장 등에 설치하여 사람들이 버리고자 하는 각종 쓰레기를 쓰레기봉투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의 주위가 잘못 버려진 쓰레기들로 하여금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가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버려지는 쓰레기를 정확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산책로 또는 야외 주차장 등에는 주로 금속재 등으로 제작된 고정형 쓰레기통이 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형 쓰레기통에는 개폐가능한 뚜껑이 구비되어 있게 되는데, 쓰레기통에 구비된 뚜껑은 쓰레기통 속에 버려진 쓰레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동시에 통속에 버려진 쓰레기가 통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쓰레기통 주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람들은 쓰레기통의 뚜껑이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쓰레기를 버리려는 사람들이 쓰레기통의 뚜껑을 정확하게 열고 쓰레기를 버리기보다는 버리고자 하는 쓰레기를 이용해서 뚜껑을 열고 버리려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며, 또한 바쁘게 걷는 사람이나 뛰는 사람들은 쓰레기통의 뚜껑을 열고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통과 어느 정도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쓰레기를 쓰레기통 쪽으로 던지는 동작으로 쓰레기를 버리는 일이 다반사하게 발생하고 있는바, 이로 인해 쓰레기통 주위가 잘못 버려진 쓰레기에 의하여 지저분하게 오염되는 사례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1237834호의 선행특허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비닐재질로 된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쓰레기봉투만을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공원이나 야외 산책로 및 야외 주차장 등에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버리고자 하는 쓰레기를 쓰레기봉투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쓰레기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하고자 할 때에는 지지장치에서 쓰레기봉투를 분리 수거하는 방법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원호테두리 각각에 복수의 받침다리를 형성하고, 상기한 복수의 받침다리들을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집게손잡이가 상기한 제1 및 제2 원호테두리의 상방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봉투가 설치된 지지장치를 기준하여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람이 쓰레기봉투를 향해 던지는 수단으로 쓰레기를 버리게 될 때에는 그 던져진 쓰레기가 제1 및 제2 원호테두리의 상방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집게손잡이에 부딪히거나 또는 상기한 집게손잡이를 연결하는 양측 집게연결부에 부딪히게 될 경우에는 던져진 쓰레기가 쓰레기봉투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쓰레기봉투 밖으로 떨어지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되므로 쓰레기봉투 주위가 잘못 버려진 쓰레기들로 오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쓰레기봉투를 벌려주기 위한 복수의 받침다리들이 쓰레기봉투 속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쓰레기봉투를 지지장치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상기한 지지장치를 쓰레기봉투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야만 쓰레기가 가득 들어있는 쓰레기봉투를 지지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공보 제 10-1237834호(2013. 02. 2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쓰레기의 투입이 잘되도록 항시 입구가 크게 벌려진 상태로 쓰레기봉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이 쓰레기봉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쓰레기를 던지는 방법으로 쓰레기를 버리게 되더라도 쓰레기가 쓰레기봉투 속으로 투입이 잘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의 주위가 쓰레기로 오염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쓰레기가 가득 담기 쓰레기봉투를 수거하고자 할 때에는 지지장치는 그대로 놔둔 채 쓰레기봉투를 지지장치에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의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쓰레기봉투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쓰레기봉투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 및 수거하도록 유도하는 캠페인 문구가 표기되어 있는 홍보패널을 비롯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각 기업체에서 자사제품을 광고선전하기 위한 광고내용이 표기된 각종 광고패널 등을 쓰레기봉투가 설치되는 지지장치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지방자치단체의 홍보패널 및 각 기업체의 광고패널 등을 공원이나 산책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홍보 및 광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목적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봉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입구가 벌어진 채 하향으로 늘어진 상태가 되도록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서로 수평하게 대설되는 양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받침다리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의 마주하는 일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양측 절곡연장부와,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각각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양측 절곡연장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용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사이에는 힌지용 볼트를 기준하여 양측 절곡연장부가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은 일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도록 토션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하향 돌출된 복수의 받침다리 각각의 상부에 상단이 고정 부착된 채 하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되는 탄력고정간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는 각종 캠페인문구가 표기된 홍보패널이나 각종 광고선전내용이 표기된 광고패널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를 꽂아주기 위한 복수의 걸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장치는 공원이나 산책로 또는 야외 주차장 등에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쓰레기봉투의 입구가 항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지지장치에 설치된 쓰레기봉투 입구의 직상방에서 쓰레기를 투입시킬 때 그 투입되는 쓰레기가 어떠한 장애물에도 부딪히지 않고 쓰레기봉투의 입구 속으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쓰레기를 버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쓰레기봉투에 대하여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쓰레기를 던지는 방법으로 버리게 될 때 그 던져지는 쓰레기가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향해 날아가 떨어지게 될 때에는 정확하게 쓰레기봉투의 입구 속으로 투입되게 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를 버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쓰레기봉투를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고 위생적으로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종 캠페인문구가 표기되어 있는 홍보패널이나 또는 각 기업체에서는 자사제품을 광고선전하기 위한 광고내용이 표기된 각종 광고패널 등을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하는 지지장치에 부착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원이나 산책로 또는 야외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쓰레기봉투에 쓰레기를 버릴 때 지지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홍보패널 및 광고패널에 표기된 문구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각종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는 각 기업체의 제품 홍보용 광고내용을 광고선전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각종 행사장에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지지장치에 설치되는 쓰레기봉투에는 벌어진 입구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으므로 사람들이 쓰레기를 정확하게 쓰레기봉투 속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봉투의 주위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지지장치에 고정 설치되는 홍보패널이나 광고패널을 이용하여 각종 행사의 캠페인 및 각종 제품을 광고선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 정면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 정면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 정면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 정면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제 실시예의 측면 설치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야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지지장치(1)는 수평하게 서로 마주하는 양측 상부지지대(2a)(2b)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의 일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양측 절곡연장부(4a)(4b)와,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 각각의 일단(도면상 우측부분 참조)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양측 손잡이(5a)(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의 일단에서 상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 절곡연장부(4a)(4b) 각각의 일단(도면상 상단부분 참조)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 손잡이(5a)(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장치(1)는 양측 절곡연장부(4a)(4b)는 "X"자형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 각각은 "X"자형으로 교차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용 볼트(6)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힌지용 볼트(6)는 일측 절곡연장부(4a)의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관(41)의 내측에서 상기한 일측 절곡연장부(4a)및 타측 절곡연장부(4b)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 사이에는 힌지용 볼트(6)를 감싸도록 토션스프링(7)이 탄력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토션스프링(7)은 양측 절곡연장부(4a)(4b)가 힌지용 볼트(6)를 회전기점으로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7)의 일단(71)은 양측 절곡연장부(4a)(4b) 중 일측 절곡연장부(4a)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토션스프링(7)의 타단(72)은 타측 절곡연장부(4b)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7)의 회전기점이 되는 힌지용 볼트(6)의 나사부는 상기 지지관(41)의 내측에서 상기 양측(일측 및 타측) 절곡연장부(4a)(4b)를 관통하여 나사조립되는 나비너트(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용 볼트(6)에 의하여 일측 절곡연장부(4a)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41)은 우천시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우산형 차양부재(42) 또는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쓰레기수거함(43)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의 상부에는 상단(81)은 고정 부착되고 하단(82)은 탄력으로 벌어졌다가 자체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으로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탄력적으로 붙잡아주기 위한 탄성고정간(8)이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고정간(8)은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표기하여 설명함)와,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표기하여 설명함)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의 도시는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는 각 받침다리(3a)(3b)들의 내측에 탄성고정간(8)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것과, 도 5 내지 도 8의 도시는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는 각 받침다리(3a)(3b)들의 외측에 탄성고정간(8)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1a,1b)의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는 각종 캠페인문구가 표기된 홍보패널(9a)이나 각 기업체의 광고선전내용이 표기된 광고패널(9b)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21)를 나사조립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꽂아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걸이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에는 접이식 연결부재(44)로 연결되어 잇으며, 상기 접이식 연결부재(44)는 일측 절곡연장부(4a)의 전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 연결간(45)과 타측 절곡연장부(4b) 의 후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 연결간(46) 각각의 자유단이 힌지축(4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이식 연결부재(44)는 양측 절곡연장부(4a)(4b)가 힌지용 볼트(6)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X"자형으로 벌어지고 오므라드는 작동을 제어 및 안내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으로 쓰레기봉투(9)를 고정 설치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장치(1 : 1a,1b)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원이나 산책로 또는 야외 주차장 등 주로 실외 및 야외에 설치되는 대형의 휴지통을 대신하여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이벤트 행사장 등에 임시적으로 설치하여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에 대하여 설명할 것 같으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양측 상부지지대(2a)(2b)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려진 상태에서 복수의 받침다리(3a)(3b)들이 지면이나 바닥 등에서 수직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인데, 이렇게 설치되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에 쓰레기봉투(9)를 걸어주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 손잡이(5a)(5b)를 손으로 잡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참조)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양측 절곡연장부(4a)(4b)가 힌지용 볼트(6)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를 연결하고 있는 접이식 연결부재(44)의 일측 및 타측 연결결간(45)(46)이 힌지축(47)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양측 절곡연장부(4a)(4b)를 회전시키게 되며(도 2 참조), 또한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 각각은 토션스프링(7)의 양단(71)(72)에 의하여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양측 절곡연장부(4a)(4b)들은 토션스프링(7)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에 연결되어 있는 양측 상부지지대(2a)(2b)도 같이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들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 2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받침다리(3a)(3b)의 상단부분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하나씩 부착되어 있는 각 탄력고정간(8)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좁혀지는 상태가 되어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각 탄력고정간(8)에 걸어주는 작업이 쉬워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각 탄력장치(8)에 끼워주는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양측 손잡이(5a)(5b)를 잡고 있는 손을 놓게 되면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7)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접이식 연결부재(44)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4a)(4b)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복수의 받침다리(3a)(3b)들은 수직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며(도 2 참조), 이에 따라 수직상태로 복원되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탄력고정간(8)들이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넓게 벌려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손잡이(5a)(5b)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복수의 받침다리(3a)(3b)들이 수직상태로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각 탄력고정간(8)에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걸어주고자 할 때에는 도 3 도시의 가상선 부분과 같이 각 탄력고정간(8) 각각의 하단(82)을 각 받침다리(3a)(3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면 각 탄력고정간(8)들은 받침다리(3a)(3b)에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각 탄력고정간(8)과 각 받침다리(3a)(3b) 사이로 끼워주는 방법으로 쓰레기봉투(9)를 지지장치(1a)에 걸어줄 수도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상기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에 설치되는 쓰레기봉투(9)는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받침다리(3a)(3b) 안쪽에 위치하여 입구(91) 속으로 삽입된 각 탄성고정간(8)들의 탄력에 의하여 각 받침다리(3a)(3b)와 각 탄력고정간(8)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붙잡힌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인데, 이때 지지장치(1a)에 설치된 쓰레기봉투(9)는 입구(91)가 양측 상부지지대(2a)(2b)와 같이 넓게 벌어진 상태로 설치되게 되므로 쓰레기를 버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쓰레기를 쓰레기봉투(9)의 직상방에서 놓아주거나 떨어뜨리는 동작으로 쓰레기봉투(9)의 입구(91) 속으로 정확하게 투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간혹 사람들이 쓰레기봉투(9)가 설치된 지지장치(1a)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쓰레기를 던지는 방법으로 버리고자 할 때에도 쓰레기를 쓰레기봉투(9)의 벌려진 입구(91)로 정확하게 던지게 되면 쓰레기는 쓰레기봉투(9) 속으로 투입될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이에 따라 쓰레기봉투(9)가 설치된 지지장치(1a)의 주변이 잘못 버려진 쓰레기로 인해 더러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봉투(9)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지게 되어 쓰레기봉투(9)를 수거하고자 할 때에는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각 탄력고정간(8)에서 빼내는 작업으로 쓰레기봉투(9)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의 수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는 쓰레기봉투(9)를 입구(91)가 벌어진 상태로 설치하여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장치(1)를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각종 캠페인 행사를 홍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하는 각 기업체를 광고선전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장치(1a)의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이공(22)에 걸이구(21)를 돌출되도록 꽂아주고, 이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주최 내지 주관하는 캠페인 행사를 홍보하기 위한 내용이 표기되어 있는 홍보패널(9a)이나 또는 각 기업체의 광고선전내용이 표기되어 있는 광고패널(9b)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한 홍보패널(9a) 및 광고패널(9b)을 걸이용 끈(92) 등을 이용하여 지지장치(1a)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홍보패널(9a) 및 광고패널(9b)에 묶어놓은 걸이용 끈(92)을 양측 상부지지대(2a)(2b)에 꽂아놓은 걸이구(21)에 걸어주게 되면 쓰레기봉투(9)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장치(1a)에 홍보패널(9a)이나 광고패널(9b)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는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홍보패널(9a) 및 광고패널(9b)을 직접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걸이공(22)에 조립되는 걸이구(21)를 볼트 등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걸이구(21)를 걸이공(22)에 나사조립하는 방법으로 홍보패널(9a) 및 광고패널(9b)을 양측 상부지지대(2a)(2b)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에 대하여 설명할 것 같으면, 상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쓰레기봉투(9)의 입구(91)가 벌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는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각 탄성고정간(8)들이 상기 복수의 받침다리(3a)(3b)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가 쓰레기봉투(9) 속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에 쓰레기봉투(9)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와 마찬가지로 양측 손잡이(5a)(5b)를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양측 절곡연장부(4a)(4b)가 토션스프링(7)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양측 상부지지대(2a)(2b)들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받침다리(3a)(3b)가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측 상부지지대(2a)(2b)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받침다리(3a)(3b)들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작동하여 폭이 좁아진 상태가 되면 쓰레기봉투(9) 속으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쉬워지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쓰레기봉투(9) 속으로 복수의 받침다리(3a)(3b)를 삽입시킬 때 각 받침다리에 부착되어 있는 탄력고정간(8)의 하단(82)을 외측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벌려주게 되면(도 6 참조)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복수의 받침다리(3a)(3b)와 탄력고정간(8) 사이로 삽입시키는 작업이 쉬워지게 되며,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삽입시키는 작업이 끝나는 즉시로 각 탄력고정간(8)의 하단(82)을 벌려주던 작동을 멈추게 되면 탄력적으로 벌어졌던 각 탄력고정간(8)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쓰레기봉투(9)의 입구(91)를 탄력적으로 붙잡아주게 되므로 쓰레기봉투(9)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받침다리(3a)(3b) 각각을 감싸는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에의 지지장치(1b)에 설치되는 쓰레기봉투(9)는 그 입구(91)가 양측 상부지지대(2a)(2b)와 같은 폭으로 넓게 벌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사람들이 쓰레기를 버리고자 할 때 쓰레기봉투(9)의 입구(91) 직상방에서 쓰레기는 놓거나 떨어뜨리게 되면 쓰레기는 정확하게 쓰레기봉투(9) 속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간혹 사람들이 상기 지지장치(1b)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쓰레기를 던지는 방법으로 버릴 경우 그 던져진 쓰레기가 쓰레기봉투(9)의 벌어진 입구(91) 쪽으로 정확하게 떨어지게 될 때에는 쓰레기는 정확하게 쓰레기봉투(9) 속으로 투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에의 지지장치(1a)와 마찬가지로 각종 홍부패널(9a)이나 광고패널(9b)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b)는 쓰레기봉투(9)에 쓰레기가 가득차서 스거하고자 할 때에는 지지장치(1b)를 위로 들어올려 복수의 받침다리(3a)(3b)가 스레기봉투(9)의 입구(91)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쓰레기가 가득찬 쓰레기봉투(9)를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외의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장치(1a)와 같이 다목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 : 1a,1b)는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가 올 때에는 빗물이 쓰레기봉투(9)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우산형 차양부재(42)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쓰레기수거함(43)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우산형 차양부재(42)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양측 절곡연장부(4a)(4b)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용 볼트(6)에 의하여 일측 절곡연장부(4a)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된 지지관(41)에 우산형 차양부재(42)를 꽂아주는 구성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우산형 차양부재(42)가 쓰레기봉투(9) 속으로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므로 쓰레기봉투(9)에 투입되어 있는 쓰레기의 수거작업이 쉬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 : 1a,1b)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양측 절곡연장부(4a)(4b)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용 볼트(6)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지지관(42)에 재활용 쓰레기수거함(43)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재활용 쓰레기수거함(43)의 전면이나 좌,우 양측면 각각에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는 홍보내용을 표기하게 되면 사람들에게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리도록 하는 캠페인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지지장치(1)는 공원이나 산책로 및 야외 주차장 및 이벤트 행사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왕래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람들이 쓰레기를 쉽게 쓰레기봉투(9) 속으로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장치(1)의 주변에 잘못 버린 쓰레기로 인해 더러워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실외 및 야외에 설치되는 지지장치(1)에 쓰레기봉투(9)를 입구(91)가 벌어진 상태로 설치하는 동시에 각종 캠페인 홍보패널이나 광고패널을 부착하여 각종 캠페인행사를 홍보하거나 각 기업체의 광고선전내용을 광고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1a,1b : 지지장치 2a,2b : 상부지지대
21 : 걸이구 22 : 걸이공
3a,3b : 받침다리 4a,4b : 절곡연장부
41 : 지지관 42 : 우산형 차양부재
43 : 재활용 쓰레기수거함 44 : 접이식 연결부재
45 : 일측 연결간 46 : 타측 연결간
5a,5b : 손잡이 6 : 힌지용 볼트
61 : 너트 7 : 토션스프링
71 : 일단 72 : 타단
8 : 탄력고정간 81 : 상단
82 : 하단 9 : 쓰레기봉투
91 : 입구 9a,9b : 홍보패널 및 광고패널

Claims (3)

  1. 입구가 벌어진 채 하향으로 늘어진 상태가 되도록 쓰레기봉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서로 수평하게 대설되는 양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받침다리와,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의 마주하는 일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양측 절곡연장부와,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각각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양측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는 서로 교차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양측 절곡연장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용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곡연장부 사이에는 힌지용 볼트를 기준하여 양측 절곡연장부가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은 일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절곡연장부에 지지되도록 토션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하향 돌출된 복수의 받침다리 각각의 상부에 상단이 고정 부착된 채 하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되는 탄력고정간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상부지지대 각각에는 각종 캠페인문구가 표기된 홍보패널이나 각종 광고선전내용이 표기된 광고패널을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를 꽂아주기 위한 복수의 걸이공과, 우산형 차양부재 및 재활용 쓰레기수거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KR1020150175557A 2015-12-10 2015-12-10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KR20170068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57A KR20170068732A (ko) 2015-12-10 2015-12-10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557A KR20170068732A (ko) 2015-12-10 2015-12-10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732A true KR20170068732A (ko) 2017-06-20

Family

ID=5928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557A KR20170068732A (ko) 2015-12-10 2015-12-10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7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7156A (zh) * 2015-02-05 2017-09-26 瑞迪斯系统有限责任公司 废物容器垃圾袋分配器
CN107720038A (zh) * 2017-11-22 2018-02-23 王燕 一种吊杆式垃圾袋全自动换装垃圾桶
US11021323B2 (en) 2015-02-05 2021-06-01 Deja S Castro Trash receptacle garbage bag dispen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7156A (zh) * 2015-02-05 2017-09-26 瑞迪斯系统有限责任公司 废物容器垃圾袋分配器
US11021323B2 (en) 2015-02-05 2021-06-01 Deja S Castro Trash receptacle garbage bag dispenser
CN107720038A (zh) * 2017-11-22 2018-02-23 王燕 一种吊杆式垃圾袋全自动换装垃圾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8732A (ko) 실외설치용 쓰레기봉투 고정 및 수거를 위한 지지장치
US7066220B1 (en) Yard waste collection system
US4928849A (en) Shoe cover package
US20110147545A1 (en) Portable bag holding device
JP3141898U (ja) ゴミ分別棚
GB2367283A (en) Collapsible containers
WO1995032134A1 (en) Ecological covering over containers for collection of city refuse
CN205499962U (zh) 展会垃圾环保回收箱
CN206552629U (zh) 一种脚踏式垃圾回收装置
KR200386647Y1 (ko) 쓰레기통 보관함
JP2009208850A (ja) ごみ容器の固定設置装置
US6899241B2 (en) Waste collecting box
KR20080005474A (ko) 재활용 쓰레기의 가정용 접이식 분리 수거대
KR102021187B1 (ko) 쓰레기 수거함
KR101185610B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20090078704A (ko) 재활용품 분리수거대
US20210114805A1 (en) Insert for trash collection bucket
DE202005012553U1 (de) Haushaltmüllsammler
JP3103403U (ja) 定置型折畳み式ごみ箱
CN207090214U (zh) 一种新型垃圾桶
KR200432737Y1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CN213444393U (zh) 一种防水多功能垃圾桶
KR20100005918U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KR200452420Y1 (ko) 분리수거대겸용 바리케이트
KR20130023459A (ko) 양방향 쓰레기 분리수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