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18U -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 Google Patents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18U
KR20100005918U KR2020080016030U KR20080016030U KR20100005918U KR 20100005918 U KR20100005918 U KR 20100005918U KR 2020080016030 U KR2020080016030 U KR 2020080016030U KR 20080016030 U KR20080016030 U KR 20080016030U KR 20100005918 U KR20100005918 U KR 20100005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fixed
brace
pillar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균
Original Assignee
허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균 filed Critical 허균
Priority to KR2020080016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918U/ko
Publication of KR20100005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73Flexible receptacles fixed on a frame or in an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명칭]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구성] 종래의 분리 수거대에서 필요 시(時) 상단 전방횡간(2)과 앞 판(8) 그리고 앞쪽의 기둥(1) 그리고 전방 하단횡간(7)이 모두 앞쪽으로 빠져 나오도록 하고 위치를 고정시켜 중형 및 대형의 마대를 안정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코자 하는 과제]
종래의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는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어 소형 마대(40)를 제외한 중·대형의 마대는 마대 걸고리에 걸어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미관상 불량하며 마대가 정상적으로 고정되지 못하여 쓰레기를 제대로 담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던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임.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Description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Size adjustable type waste pocket shelf}
도1은 종래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를 나타낸 사시도(정면 기준).
도2는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정면 기준).
도3은 도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일부만 표현).
도4는 본 고안에 소형 마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일부만 표현).
도5는 본 고안을 연장시켜 중형 마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일부만 표현).
도6은 본 고안의 우측면도.
도7은 본 고안을 연장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8은 본 고안에 일예로 사용되는 고정장치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은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자원의 재활용과 자연보호의 차원에서 재활용쓰레기의 분리수거는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소형과 중형 그리고 대형의 재활용쓰레기 수거 전용 마대를 도 1과 같은 분리 수거대를 이용하여 마대 걸고리(9)에 걸고 각 마대별로 종이류, 캔류, 플라스틱류, 유리종류 등을 구분하여 담고 이를 각 지방자치단체의 전문요원들이 수거하여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분리 수거대는 도1과 같이 전방이 개방되어 수거작업을 하기 편리하도록 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구성품들 즉, 앞 판(8)과 상단 전방횡간(2), 상단 후방횡간(3) 상단 보강대(4)(4')(4"), 기둥(1)(1'), 후방 보강기둥(1a), 중간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후방 중앙횡간(5), 후방 하단횡간(6), 전방 하단횡간(7)들이 모두 용접으로 고정되어 한 몸을 이루고 있다. 물론 상부 보강대(4)(4')(4") 사이공간의 네 귀퉁이에 마대 걸고리(9)들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분리 수거대는 도3과 같이 크기가 작은 소형 마대(40)의 상단 가장자리를 마대 걸고리(9)에 걸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제작이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크기가 큰 중형 마대(50)와 중형 마대보다 더 크기가 큰 대형 마대는 제대로 걸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중형 마대(50)와 대형 마대(도면으로는 나타내지 않았음)는 소형 마대(40)에 비하여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도1과 같이 위치가 이미 한 사이즈로 고정이 되어 있는 마대 걸고리(9)에 걸 때 도3 내지 도4와 같이 정상적으로 걸리지 못하고 상단의 가장자리가 쭈글쭈글하게 늘어져서 개방부가 협소해지고 상단 전방횡간(2)과 상단 후방횡간(3) 그리고 상단 보강대(4)(4')(4") 들 사이와 벌어진 틈새가 생기도록 걸리게 되거나 또는 어느 한쪽의 변이 하방으로 심하게 늘어져서 틈새가 매우 크게 발생되도록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는 미관상으로 매우 불량하고 불안정되게 보여서 좋지 못함은 물론 재활용쓰레기를 마대 안으로 투입시킬 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쓰레기를 마대 안으로 투입시킬 때는 물론 마대 안에 쌓인 재활용쓰레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긴 틈새를 통해 마대의 바깥쪽으로 빠져나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분리 수거대 주변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오염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마대 안으로 투입된 재활용쓰레기에 의해 마대에는 비교적 무거운 중량이 걸리기 때문에 가장자리 네 귀퉁이가 안정되게 걸려서 지지되지 못하는 마대의 내구성이 크게 낮아져서 잦은 교체 내지는 보수작업을 가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걸려있는 마대를 수거요원이 분리 수거대로부터 분리시킨 후 마대 안에 담긴 재활용쓰레기를 처리하고 다시 마대를 분리 수거대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도 간과될 수 없는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의 구조로부터 발생된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소형 마대는 물론 중형 마대와 대형 마대도 간단히 안정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분리 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방에 직립되는 4개의 기둥(1)(1'), 상기 기둥(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전방횡간(2) 및 상단 후방횡간(3) 그리고 상단 전방횡간(2)과 상단 후방횡간(3) 사이를 연결하는 상단 보강대(4)(4')(4"), 상기 기둥(1') 사이의 길이 방향을 연결하는 후방 중앙횡간(5)과 후방 하단횡간(6) 그리고 상기 기둥(1) 사이의 길이 방향을 연결하는 전방 하단횡간(7), 상기 기둥(1)(1') 사이의 폭 방향을 연결하는 중앙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상기 상단 후방횡간(3)과 후방 하단횡간(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후방 보강기둥(1a)과, 쓰레기 분리배출 안내 및 홍보내용이 기재된 채 상단 전방으로 고정되는 앞 판(8)과, 상기 상단 보강대(4)(4')(4")들 사이의 네 귀퉁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소형 마대(40)의 상단 언저리를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대 걸고리(9)들로 이루어진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대(4)(4')(4")의 안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은 상단 전방횡간(2)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 버팀대(10)와; 좌우의 중간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안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은 전방에 위치하는 기둥(1)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중간 버팀대(10a) 및 하부 버팀대(10b)와; 상단 전방횡간(2)에 용접되어 상단 전방횡간(2)과 함께 이동하도록 된 마대 걸고리(9a)들과; 상기 좌우의 상단 보강대(4)와 중앙의 상단 보강대(4") 그리고 하단 보강대(4b) 상측의 전방으로 형성된 구멍(4-1)과 동심을 이루도록 용접으로 고정된 너트(21)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버팀대(10)와 하부 버팀대(10b)를 고정시키는 볼트(22) 및 상기 볼트(22)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 핸들(23)로 된 고정장치(20)가 추가로 구성되어, 필요 시(時) 상단 전방횡간(2)과 앞 판(8) 그리고 앞쪽 의 기둥(1) 그리고 전방 하단횡간(7)이 모두 앞쪽으로 빠져 나오도록 하고 위치를 고정시켜 중형 및 대형의 마대를 안정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한 것인데, 도1은 종래 분리 수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분리 수거대를 나타낸 도면인 바, 각 구성품들을 도면과 같이 되도록 이어서 용접하면 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각별히 주의를 하여야 하거나 특수한 장비가 사용되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도면을 통해 본 고안과 관련된 분야의 업자들이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설계도에 준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종래의 분리 수거대(도1)에서 상기 상부 보강대(4)(4')(4")의 안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도7, 8을 기준하여 좌측 단부)은 상단 전방횡간(2)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 버팀대(10)가 추가로 구비되고, 이어서 좌우의 중간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안으로 역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도7을 기준하여 좌측 단부)은 전방에 위치하는 기둥(1)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중간 버팀대(10a) 및 하부 버팀대(10b)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어서 상단 전방횡간(2)에 용접되어 상단 전방횡간(2)과 함께 도5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된 마대 걸고리(9a)들이 추가되는 바, 여기서 나머지 2개의 마대 걸고리(9)는 도5와 같이 종래처럼 상단 보강대(4)(4')(4")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좌우의 상단 보강대(4)와 중앙의 상단 보강대(4") 그리고 하단 보강대(4b) 상측의 전방으로 도8과 같이 각각 구멍(4-1)을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4-1)과 동심을 이루도록 너트(21)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너트(21)에는 핸들(23)을 가지는 볼트(22)를 조립시킨 고정장치(20)를 도2와 같이 5개소에 구비시킨다. 한편, 도8은 도2에서 좌측 끝 혹은 우측 끝에 위치하는 고정장치(2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중앙의 상부 보강대(4")와 좌우의 하단 보강대(4b)의 경우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도8만을 도시한 것임을 밝힌다. 한편, 중간 보강대(4a)와 상부 보강대(4')의 안에는 하부 버팀대(10b)와 상부 버팀대(10)가 삽입되어 있고 이들은 각기 기둥(1)과 상단 전방횡간(2)에 좌측 끝 부분(도7 기준)이 용접되어 있기는 하지만 고정장치(20)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도2와 같이 5개소 정도에만 고정장치(20)가 구비되어도 구조역학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며 경제적인 이유도 추가된다.
이상과 같이 신규로 추가되는 본 고안의 구조 역시 도면을 통해 일목요연하게 알 수가 있고 이를 실시하는데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소형 마대(40)를 사용할 경우 도2, 도4와 같이 종래의 분리 수거대(도1)와 같은 사이즈를 유지하도록 하고, 중형 마대(50) 혹은 더 큰 대형 마대를 사용할 경우 각 고정장치(20)를 풀어서 볼트(22)가 상부 버팀대(10)와 하부 버팀대(10b)에 가하고 있는 압력을 제거시킨다. 이어서 기둥(1)과 상단 전방횡간(2)을 앞으로 당기면 도5, 도7과 같이 이들은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상부 버팀대(10)와 하부 버팀대(10b)는 물론 중간 버팀대(10a)까지 상부 보강대 (4)(4')(4")와 하부 보강대(4b) 및 중간 보강대(4a)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들을 적당한 길이로 빼낸 후 다시 각 고정장치(20)를 조이면 도5, 도7과 같은 상태로 고정이 된다. 도5의 경우 중형 마대(50)를 사용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을 나타낸 것이며 대형 마대를 사용코자 할 경우에는 도5, 도7에서 기둥(1)과 상단 전방횡간(2)을 더욱 앞으로 당겨내고 고정장치(20)를 통해 고정을 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서 앞쪽의 기둥(1) 하단에 바퀴를 달아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각 기둥(1)(1')의 길이도 상하로 조절되도록 한다거나 또는 고정장치(20)를 다른 구조로 바꾼다거나 또는 도2에서 좌측 혹은 우측의 절반만을 위와 같이 빼낼 수 있도록 한다거나 하는 상업적인 변화는 본 고안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단순 설계변경 정도는 본 고안으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단순변화에 지나지 않는 것임은 물론 나아가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동기에 따른 기술적 사상과 목적에 전부 포함되는 것이어서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예속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용 마대의 크기별로 가장 유효적절한 사이즈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종래 분리수거대가 안고 있는 문제와 폐단을 해소함에 따라 국가적 이익과 도시환경개선, 재활용쓰레기의 보다 효율적인 수거, 불필요한 예산지출의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방에 직립되는 4개의 기둥(1)(1'), 상기 기둥(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전방횡간(2) 및 상단 후방횡간(3) 그리고 상단 전방횡간(2)과 상단 후방횡간(3) 사이를 연결하는 상단 보강대(4)(4')(4"), 상기 기둥(1') 사이의 길이 방향을 연결하는 후방 중앙횡간(5)과 후방 하단횡간(6) 그리고 상기 기둥(1) 사이의 길이 방향을 연결하는 전방 하단횡간(7), 상기 기둥(1)(1') 사이의 폭 방향을 연결하는 중앙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상기 상단 후방횡간(3)과 후방 하단횡간(6)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후방 보강기둥(1a)과, 쓰레기 분리배출 안내 및 홍보내용이 기재된 채 상단 전방으로 고정되는 앞 판(8)과, 상기 상단 보강대(4)(4')(4")들 사이의 네 귀퉁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소형 마대(40)의 상단 언저리를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대 걸고리(9)들로 이루어진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대(4)(4')(4")의 안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은 상단 전방횡간(2)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 버팀대(10)와; 좌우의 중간 보강대(4a)와 하단 보강대(4b) 안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되며 삽입된 단부의 바깥쪽은 전방에 위치하는 기둥(1)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중간 버팀대(10a) 및 하부 버팀대(10b)와; 상단 전방횡간(2)에 용접되어 상단 전방횡간(2)과 함께 이동하도록 된 마대 걸고리(9a)들과; 상기 좌우의 상단 보강대(4)와 중앙의 상단 보강대(4") 그리고 하단 보강대(4b) 상측의 전방으로 형성된 구멍(4-1)과 동심을 이루도록 용접으 로 고정된 너트(21)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버팀대(10)와 하부 버팀대(10b)를 고정시키는 볼트(22) 및 상기 볼트(22)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 핸들(23)로 된 고정장치(20)가 추가로 구성되어, 필요 시(時) 상단 전방횡간(2)과 앞 판(8) 그리고 앞쪽의 기둥(1) 그리고 전방 하단횡간(7)이 모두 앞쪽으로 빠져 나오도록 하고 위치를 고정시켜 중형 및 대형의 마대를 안정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KR2020080016030U 2008-12-01 2008-12-01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KR201000059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30U KR20100005918U (ko) 2008-12-01 2008-12-01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30U KR20100005918U (ko) 2008-12-01 2008-12-01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18U true KR20100005918U (ko) 2010-06-10

Family

ID=4445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030U KR20100005918U (ko) 2008-12-01 2008-12-01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91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99B1 (ko) * 2019-10-17 2020-03-06 이효심 높이와 폭, 상하부 공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최소구성의 초저가 쓰레기 수거장치
KR102197658B1 (ko) * 2020-07-28 2020-12-31 한농쏘텍 주식회사 농작물 수납자루 고정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99B1 (ko) * 2019-10-17 2020-03-06 이효심 높이와 폭, 상하부 공간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최소구성의 초저가 쓰레기 수거장치
KR102197658B1 (ko) * 2020-07-28 2020-12-31 한농쏘텍 주식회사 농작물 수납자루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0423A1 (en) Support device for receiving a refuse sack
KR20100005918U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대
JP3141898U (ja) ゴミ分別棚
CN105146950A (zh) 一种环保型园林椅
CN210557048U (zh) 一种便于回收的垃圾桶
CN210823785U (zh) 一种垃圾分类式垃圾桶
JP4015971B2 (ja) 枠式ゴミ袋体保持具
CN206901101U (zh) 一种便于回收再利用的环保型垃圾桶
CN211989552U (zh) 一种建筑无公害金属分离装置
KR101379895B1 (ko) 재활용품 분리수거대
KR200442269Y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88225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의 쓰레받기 승강장치
KR200439557Y1 (ko) 접이식 분리수거대
KR20200085128A (ko) 다목적 신축가능한 수거함
JP6241031B2 (ja) ゴミ回収容器
CN211618876U (zh) 翻转式垃圾箱
KR102252101B1 (ko) 수거용 봉지 착탈식 재활용품 수거대
CN214568002U (zh) 一种固液废弃物收集装置
CN213863760U (zh) 一种环保垃圾回收箱外箱结构
CN205072488U (zh) 一种环保型园林椅
CN217200001U (zh) 一种园林垃圾回收箱
KR20140002343U (ko) 분리수거대
DK9300234U3 (da) Låg til rørelement stativ
CN220333710U (zh) 一种分体式分类垃圾桶
CN108532513A (zh) 环卫工人用省力垃圾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