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498A -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 - Google Patents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498A
KR20170068498A KR1020177011750A KR20177011750A KR20170068498A KR 20170068498 A KR20170068498 A KR 20170068498A KR 1020177011750 A KR1020177011750 A KR 1020177011750A KR 20177011750 A KR20177011750 A KR 20177011750A KR 20170068498 A KR20170068498 A KR 2017006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amate
phr
isoprene polymer
composition
sul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램버투스 레오나르두스 마리 크루처
Original Assignee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크레이튼 폴리머즈 유.에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6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10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136/08Is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2Direct processing of dispersions, e.g. latex, to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J23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08J2309/08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 공여체,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배합물, 경우에 따라 황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침지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AN ACCELERATOR SYSTEM FOR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LATEX, A COMPOSITION COMPRISI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LATEX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와 촉진제 시스템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에 관한 것이다.
촉진제 시스템은 예컨대 1839년에 찰스 굿이어(Charles Goodyear)에 의해 천연 고무에 대한 것이 개발되었다. 촉진제 시스템은 가황하려고 하는 중합체들에 다소 특이적이다. NR에 대해 개발된 시스템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라텍스에 대해서는 반드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소프렌 중합체(단독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합성 라텍스는 침지 물품의 합성에 천연고무의 대체재로써 사용된다. 침지 물품으로는 외과용 장갑 및 콘돔이 있다. 이 물품은 예컨대 폴리이소프렌의 수성 분산액 내로 주형을 침지시킨 뒤, 경화시켜 제조한다. 경화는 촉진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복합 촉진제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논리적 이유 및 조절 성질의 이유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종종, 촉진제 시스템은 황 및/또는 황 공여체(donor)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 일반적인 것처럼, 황 공여체의 정의는 황의 원소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US 8633268로부터 촉진제 시스템이 공지되었고,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를 함유하는 촉진제가 청구되어 있다. 실시예(실시예 3)는 소듐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로 수행한다. 이것은 수용성 디티오카바메이트이다. 이 발명의 목적을 위해, 수용성 디티오카바메이트는 25℃ 물에서 용해도가 45중량% 초과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비교적 다량의 황 또는 황/황 공여체 조합을 함유한다. 또한, 산화아연도 포함한다. 물품의 인장강도가 3000 psi 초과인 것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여전히 인장강도가 향상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US 6527990에는 다양한 고무와 함께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황을 구비한다. 이는 천연 고무에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는 천연 고무와 동일하게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 문헌의 표 4에 개시된 시스템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US 6828387에는 여러 촉진제를 함유하는 촉진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복합 시스템은 논리적 요인 및 조절 요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이 시스템은 사용수명이 짧다. 따라서, 사용수명이 향상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용수명의 향상은 조제된 시스템의 사용을 연장시켜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지금, 이것이 발견되었다. 이 문헌은 또한 단일 촉진제가 황 및 산화아연과 함께 사용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황 공여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샘플 7은 인장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단일 촉진제가 비효과적이라는 점을 강력하게 암시한다.
GB 2436566에는 디티오카바메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촉진제 시스템이 개시되며, 이는 예비가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온에서 사용된다. 실시예들에서는 극소량의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가 황 및 산화아연과 함께 사용된다. 황 공여체는 없다. 인장강도에 대한 데이터도 없다. US 6828387에 근거할 때 인장강도는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
US 3678135로부터 SBR, NBR 등과 같은 고도로 불포화된 고무와 저 불포화도의 고무, 특히 EPDM의 블렌드들의 황 경화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이 공지되었다. 이 시스템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라텍스를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EPDM 및 디엔 고무 블렌드의 가황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은 US 3830881에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들은 상당한 양의 산화아연을 함유한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조성이지만 우수한 경화를 달성하는, 합성 중합체 라텍스용 촉진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100중량부 대비,
황 공여체로써, 티우람 0.5 내지 10 phr;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배합물 0.05 내지 2.0 phr;
및 경우에 따라 최대 5.0 phr의 황, 및
경우에 따라 최대 2.5 phr의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용 촉진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 공여체,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및 경우에 따라 황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 공여체,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의 배합물, 및 경우에 따라 황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에 주형을 침지시켜 수득할 수 있는,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를 함유하는 침지 물품을 제공한다.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는 공지되어 있다. 이 중합체는 폴리이소프렌(이소프렌 고무라고도 알려져 있음),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 및 이소프렌과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들은 지글러나타 촉매 또는 네오디뮴 촉매를 이용하여 음이온 중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의 적당한 라텍스로는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폴리(스티렌/이소프렌) 라텍스, 폴리(스티렌-b-이소프렌-b-스티렌) 라텍스를 포함한다. 이는 쉽게 이용할 수 있고, KRATON Polymers Inc.(미국) 및 KRATON Polymers B.V.(네덜란드)에서 입수할 수 있다.
이소프렌 중합체의 블렌드도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이소프렌) 블렌드는 예컨대 폴리(공액 디엔) 및 스티렌과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는 KRATON IR-401 라텍스이다.
디티오카바메이트의 염은 황 가황 시의 촉진 활성에 대해 잘 알려져 있다. 촉진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를 함유하며, 여기서 하이드로카르빌 기는 독립적으로 알킬 기 또는 (치환된) 아릴 기일 수 있다. 아릴 기(들)는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가 6 내지 1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기(들)는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가 1 내지 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2개의 기, 예컨대 아릴 기와 알킬 기를 가진 디티오카바메이트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카르빌 이란 표현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기도 포함한다. 이의 한 예는 피페리딘 기일 것이다. 일반적인 디티오카바메이트는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벤질디티오카바메이트, 피페리딘 펜타메틸렌디티오카바메이트 및 에틸페닐디티오카바메이트이다. 바람직한 디티오카바메이트는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및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이다. 암모니아 또는 알칼리 금속이 양이온인 경우, 디티오카바메이트 염은 물에 용해성이다. 다가 금속 이온(예, Zn2 +)이 양이온이라면, 그 염은 물에 거의 불용성이다. 종종 소듐 디티오카바메이트가 촉진제로써 사용된다. 본 발명자는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이 시스템의 유일한 촉진제라면, 인장강도가 양이온으로써 Zn2 +를 가진 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을 사용할 때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아연 디티오카바메이트는 25℃ 물에 거의 불용성이다. 다른 불용성 디티오카바메이트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단독 또는 배합물)는 이의 상업적 입수용이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황 공여체와 함께 단독 아연 디티오카바메이트의 사용은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DBC) 또는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C) 또는 ZDBC와 ZDEC의 배합물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황 공여체, 유일한 촉진제로써 디티오카바메이트(또는 배합물), 경우에 따라 황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디티오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단독 또는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불용성 디티오카바메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불용성 디티오카바메이트는 용해성이 25℃ 물에서 45 중량% 미만(훨씬 미만)인 것이다. 촉진제는 0.05 내지 2.0 phr(고무 100부당 부)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고무로써 폴리이소프렌 라텍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가황 활성화제로써 산화아연이 사용된다. US3830881에 따르면, 예컨대 5phr의 산화아연이 사용된다. 흥미롭게도, 당해의 조성물에는 산화아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소량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향상된 투명성을 가진 침지 물품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산화아연을 전혀 함유하지 않거나, 1.5phr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혀 함유하지 않거나 0.5phr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황 공여체는 티우람이다. 그 예로는 모노설파이드, 예컨대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디설파이드, 예컨대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디펜타메틸렌티우람 디설파이드, 및 폴리설파이드, 예컨대 디펜타메틸렌 헥사설파이드 또는 디펜타메틸렌 테트라설파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배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황 공여체는 디펜타메틸렌 테트라설파이드와 함께 디펜타메틸렌 헥사설파이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황 공여체로써 티우람의 양은 0.5 내지 10phr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phr의 범위이다.
특히, 황 공여체는 황 함유 화합물이며, 이의 정의는 원소 황을 배제하는 것이다. 원소 황은 존재할 수 있지만, 선택적 성분으로 간주한다. 존재한다면, 최대 2.5phr의 원소 황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존재한다면, 최대 2.0phr의 원소 황이 이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로 구성된 탄성중합체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천연 고무 라텍스로 제조된 탄성중합체성 물품의 물성과 매우 유사한 합성 폴리(이소프렌) 물품을 생산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술장갑, 콘돔, 탐침(probe) 커버, 덴탈 댐(dental dam), 핑거코트(finger cot), 카테터(catheter) 등의 제조에 유리하게 혼입될 수 있다.
구체예들의 설명
본 발명은 다양한 구체적이며 바람직한 양태들과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의 많은 변형과 수정이 이하에 제시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성분들을 적당한 온도(약 실온) 및 pH(일반적으로 10과 11 사이)에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수득한 라텍스 조성물은 대략 상온에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은 침지 및 경화 공정에 사용하기 전에 최대 약 8일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침지 물품의 한 예로써, 응고제 침지에 의한 이소프렌 고무 장갑의 제조가 이하에 설명된다. 즉, 장갑을 제조하기 위해, 장갑 성형기를 오븐에서 예비가열한 뒤, 사전제조한 응고제 조성물에 일정 기간 동안 침지시킨 후, 꺼낸다. 그 다음, 응고제-코팅된 성형기를 건조 오븐에 응고제의 건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넣어 둔다. 응고제-코팅된 성형기를 오븐에서 꺼내어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침지시킨다. 코팅된 성형기를 분리하고 오븐에 넣어둔다. 오븐에서 장갑과 성형기를 꺼내어 수 침출 탱크에 담근다. 이 침출 탱크로부터 장갑과 성형기를 꺼내어 승온에서 장갑의 건조에 충분한 기간 동안 건조하면서 방치한다. 이것이 1차 경화 단계의 마지막이다. 2차 경화 단계에서는 장갑과 성형기를 증가된 온도로 가열한 오븐에 넣어둔다. 장갑과 성형기를 꺼내어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장갑을 성형기로부터 벗겨낸다. 장갑은 특별한 요구에 따라, 예컨대 윤활, 코팅, 할로겐화 및 멸균 기술(이들 모두는 통상적인 것이다)을 사용하여 추가 처리할 수 있다. 다른 통상적인 단계들도 역시 일반 공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갑과 같은 탄성중합체성 물품은 다음과 같은 물성을 나타낸다: 약 17MPa 초과의 인장강도, 약 750% 초과의 파단연신율, 및 500% 연신율에서 약 7MPa 미만의 인장탄성률(ASTM D-412에 따라 측정 시).
콘돔은 일반적으로 응고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침지시켜 유사하게 제조한다. 다른 탄성중합체성 폴리(이소프렌) 물품은 본원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정으로, 당업계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장치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돔 형태의 탄성중합체성 물품은 콘돔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장점을 추가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을 여기에 묘사된 구체예들로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아야 한다.
조성물의 제조
라텍스는 상온에서 교반했다. 0.75 phr의 Manawet™172를 첨가했다(Manawet는 Manufacturers Chemicals의 상표명이다). 라텍스는 탈염수를 사용하여 30wt%까지 희석하고, 연속 교반하에 다양한 성분들(황 공여체, 디티오카바메이트, 산화방지제)을 첨가했다. pH는 0.1M KOH를 첨가하여 11과 11.5 사이의 값으로 조정했다. 조성물은 2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표 1에는 포뮬레이션 성분들과 이들의 각각의 양을 명시했다. 모든 양은 별다른 표시가 없는 한 건조 고무 100부당 부로 표시된다.
침지 프로토콜의 예(응고제 침지 )
침지된 물품의 한 예로써, 응고제 침지에 의한 이소프렌 고무 장갑의 제조를 설명한다.
15wt% 질산칼슘, 5wt% 탄산칼슘 및 0.1wt% Triton X100을 탈염수에 용해시킨 응고제 용액을 제조하고 60℃로 가열했다.
장갑 성형기를 오븐에서 약 100℃의 온도로 예열한 뒤, 응고제 용액에 약 15초 동안 침지시킨다. 그 다음, 응고제-코팅된 성형기를 100℃ 건조 오븐에 응고제의 건조에 충분한 시간, 일반적으로 약 2분 동안 넣어둔다.
응고제-코팅된 성형기는 오븐에서 꺼내어, 상온, 예컨대 약 15℃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조성물에 침지시킨다. 라텍스 농도 및 라텍스에 성형기의 체류 시간에 따라, 장갑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코팅된 성형기를 꺼내어 약 100℃ 온도의 오븐에 약 1분 동안 넣어둔다. 오븐에서 장갑과 성형기를 꺼내어 약 50℃ 온도의 수 침출 탱크에 약 5분 동안 넣어둔다. 장갑과 성형기를 침출 탱크로부터 꺼내어 130℃ 오븐에서 20분 동안 가교시킨다. 가교는 저온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경화 시간이 조정되어야 한다. 장갑과 성형기는 오븐에서 꺼내어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장갑을 성형기로부터 떼어낸다.
물성
인장강도(TS), 파단연신율(EB), 및 500% 연신율 및 100% 연신율에서의 인장탄성률(TM500, TM100)은 ASTM D-412에 따라 측정했다. 이 물성들은 그립 2713-001 및 Long Travel(XL) 신장계가 장착된 Instron 556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침지 필름의 투명도는 Byk-Gardner HazeGard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다음과 같은 제품들을 사용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비교 실험 1
US 8633268의 실시예 3과 동일한 촉진제 시스템을 제조했다. 이것을 합성 폴리이소프렌 라텍스(IR 401, Kraton)와 배합했다.
실험 2
비교 실험 1과 유사하게, NaDBC 대신에 ZDBC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에 포함되어 있다. 인장 강도와 관련된 향상이 발견되었다.
실험 3
실험 2와 유사하나, ZDBC를 더 많이 사용했다. 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수득되었다.
실험 4
실험 3과 유사하나, ZnO 없이 수행했다. 침지 물품의 기계적 성질은 실험 3에서 수득된 결과와 유사했고, 이는 ZnO가 필요 없음을 보여준다.
실험 5
실시예 4와 유사하되, 황 없이, 그리고 ZDBC 대신에 ZDEC를 사용했다. 수득되는 물성은 실험 4의 결과와 유사하고, 이는 황이 필요 없음을 보여준다.
실험 6
본 실험은 이 포뮬레이션을 가지고 지글러-나타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에 의해 양호한 기계적 성질이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 7 및 8
실험 2와 유사하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이 경우, 촉진제 시스템 및 다른 성분들의 양을 조정했다. 이 실험은 블록 공중합체와 ZDEC 및 황 공여체의 적용가능성을 예시한 것이다.
표 3에서는 포뮬레이션의 사용수명이 적어도 28일임이 관찰된다.
투명도 차이를 예시하기 위해, 두 라텍스 샘플을 먼저 탈염수를 이용하여 라텍스를 60%로 희석하여 배합했다. 연속 교반하에, 1 phr AO, 1.35 phr DPTH, 및 1 phr ZDBC를 첨가했다. 두 샘플 중 하나에 1.5 phr ZnO를 첨가했다.
응고제 용액은 500g Ca(NO3)2.4H2O 및 0.1g 트리톤 X100을 500g 물에 용해시켜 제조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두꺼운 필름이 제조되었지만, 여기서 배합된 라텍스에 체류 시간은 10분이었다.
두께가 1.5mm인 ZnO 무첨가 필름은 82%의 투명도를 나타냈고, ZnO 함유 필름은 두께가 1.47mm이고 투명도가 59%였다.

Claims (8)

  1.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100중량부 대비,
    황 공여체로써, 티우람 0.5 내지 10 phr;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배합물 0.05 내지 2.0 phr;
    및 경우에 따라 최대 5.0 phr의 황, 및
    경우에 따라 최대 2.5 phr의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용 촉진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르빌 기가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치환된) 아릴 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릴 기(들)는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가 6 내지 12개이며, 바람직하게는 알킬 기(들)는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가 1 내지 6개인, 촉진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알킬디티오카바메이트, 바람직하게는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DBC) 또는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C) 또는 ZDBC와 ZDEC의 배합물인 촉진제 시스템.
  4. 황 공여체로써 티우람 0.5 내지 10 phr,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0.05 내지 2.0 phr 및 경우에 따라 황 최대 5.0 phr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 최대 2.5 phr을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촉진제 시스템, 및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카바메이트의 양이 0.05 내지 2.0 phr 범위인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가 폴리이소프렌 라텍스인 조성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아연을 함유하지 않거나 0.5phr 미만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8. 황 공여체, 유일한 촉진제로써 카바메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배합물, 및 경우에 따라 황 및 경우에 따라 활성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카바메이트가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 또는 아연 디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카바메이트의 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촉진제 시스템, 및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에 주형을 침지시켜 수득할 수 있는,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를 함유하는 침지 물품.
KR1020177011750A 2014-10-15 2015-10-13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 KR20170068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3636 2014-10-15
NL2013636A NL2013636B1 (en) 2014-10-15 2014-10-15 An accelerator system, a composition compris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PCT/US2015/055237 WO2016061043A1 (en) 2014-10-15 2015-10-13 An accelerator system for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latex, a composition comprising a synthetic isoprene polymer latex and the accelerator system, and dipped goods made from th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498A true KR20170068498A (ko) 2017-06-19

Family

ID=5214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750A KR20170068498A (ko) 2014-10-15 2015-10-13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108154A1 (ko)
EP (1) EP3207089A4 (ko)
JP (1) JP2017531083A (ko)
KR (1) KR20170068498A (ko)
CN (1) CN106852150A (ko)
BR (1) BR112017007517A2 (ko)
NL (1) NL2013636B1 (ko)
TW (1) TWI593730B (ko)
WO (1) WO2016061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6726A1 (de) 2016-09-12 2018-03-15 Covestro Deutschland Ag Schmelzschichtungs-basiertes additives fertigungsverfahren bei niedriger temperatur
US11267958B2 (en) * 2017-08-21 2022-03-08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Latex composition, shaped object obtained therefrom,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haped object
US10759913B2 (en) 2017-12-13 2020-09-01 Allegiance Corporation Vulcaniz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allergenic potential and elastomeric articles formed therewith
CN109721775A (zh) * 2019-01-15 2019-05-07 烟台鑫汇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的输液制剂用橡胶垫片及其制备方法
CA3161886A1 (en) * 2019-12-20 2021-06-24 Church & Dwight Co., Inc.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with
WO2021124217A2 (en) * 2019-12-20 2021-06-24 Church & Dwight Co., Inc.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with
CN111154159A (zh) * 2019-12-31 2020-05-15 世目特种防护用品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不致敏乳胶配方及胶乳手套生产工艺
EP4232292A1 (en) * 2020-10-21 2023-08-30 Sicpa Holding SA Solvent resistant elastomeric glue for ink jet printhe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233A (ja) * 2008-03-14 2011-06-23 アレジアンス、コーポレイション 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3705A (en) * 1956-10-29 1961-05-0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Stabilizing chlorinated rubbery polymers
US3004007A (en) * 1957-11-14 1961-10-1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Vulcanizing brominated copolymers
FR1479195A (fr) * 1965-05-28 1967-04-28 Du Pont Nouvelles compositions stabilisées contenant des copolymères d'isobutylène-isoprène
GB1271224A (en) * 1968-07-19 1972-04-19 Ici Ltd Vulcanisation process
US3678135A (en) * 1970-09-09 1972-07-18 Uniroyal Inc Co-cure of blend of rubber of low unsaturation and highly unsaturated rubber using long chain hydrocarbon dithiocarbamate accelerators
US3830881A (en) * 1973-02-26 1974-08-20 Goodrich Co B F Vulcanizates of epdm and diene rubber blends
JPS518351A (ja) * 1974-07-11 1976-01-23 Oizumi Masao Meishokushokuhinyogomuno seizoho
CN1038457A (zh) * 1986-05-14 1990-01-03 尤尼罗亚尔化学公司 胎面组合物由三元共聚物/不饱和橡胶共混物构成的轮胎
CS272924B1 (en) * 1989-01-13 1991-02-12 Dort Ivan Curing system for rubber latex
KR100855259B1 (ko) * 2001-03-12 2008-08-29 엘레지언스 코포레이션 폴리이소프렌 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30161975A1 (en) * 2002-02-27 2003-08-28 Lucas David M. Polyisoprene condom
ZA200808544B (en) * 2006-03-31 2009-08-26 Lrc Products Polyisoprene condoms
US8087412B2 (en) * 2008-05-01 2012-01-03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Dip-formed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articles with improved intraparticle and interparticle crosslinks
US20110262686A1 (en) * 2010-04-22 2011-10-27 Kathryn Wright High Tensile Strength Article with Elastomeric Layer
US8980994B2 (en) * 2010-12-30 2015-03-17 Kraton Polymers U.S. Llc Elastic film/fiber formulations
NL2007262C2 (en) * 2011-08-12 2013-02-13 Kraton Polymers Us Llc A process for preparing articles from a latex comprising water and a styrenic block copolymer and such a late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233A (ja) * 2008-03-14 2011-06-23 アレジアンス、コーポレイション 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1-526814호(2011.10.2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7089A4 (en) 2018-08-01
TW201623393A (zh) 2016-07-01
BR112017007517A2 (pt) 2017-12-19
CN106852150A (zh) 2017-06-13
NL2013636B1 (en) 2016-10-04
JP2017531083A (ja) 2017-10-19
WO2016061043A1 (en) 2016-04-21
EP3207089A1 (en) 2017-08-23
TWI593730B (zh) 2017-08-01
US20160108154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8498A (ko)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위한 촉진제 시스템, 이 촉진제 시스템과 합성 이소프렌 중합체 라텍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침지 물품
KR101715213B1 (ko)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감소된 가황 조성물
US6828387B2 (en) Polyisoprene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723174C (en) Dip-formed synthetic polyisoprene latex articles with improved intraparticle and interparticle crosslinks
JP5137831B2 (ja) ラテックス促進組成物
US8673172B2 (en) Latex accelerator composition
US20150128329A1 (en)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isoprene
TW201313821A (zh) 包含水與苯乙烯嵌段共聚物之乳膠及自其製備物件的方法
CN112512770B (zh) 用于降低变应原潜力的硫化组合物和由此形成的弹性体制品
MXPA06003355A (es) Sistema acelerador para latex sintetico de poli-isopre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