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54A -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54A
KR20170068154A KR1020150175025A KR20150175025A KR20170068154A KR 20170068154 A KR20170068154 A KR 20170068154A KR 1020150175025 A KR1020150175025 A KR 1020150175025A KR 20150175025 A KR20150175025 A KR 20150175025A KR 20170068154 A KR20170068154 A KR 2017006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orking coil
unit
main body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7033B1 (en
Inventor
황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7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33B1/en
Publication of KR2017006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assembly for an electric heating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inner pot including a working coil, a lead wire which i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and is wound at least once more, And the electric energy of the electric wire is guided by the working coil so that it is operated only when an induction heating output is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isplay is improved and the electric w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device assembly of an electric heating cooker in which the structure is not required separately.

Description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0001] HEATING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0002]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assembly for an electric heating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inner pot including a working coil, a lead wire which i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and is wound at least once more, And the electric energy of the electric wire is induced by the working coil.

일반적인 가열 조리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안착되어 조리물이 담기는 조리용기와,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조리용기의 하부 또는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히터(또는 유도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0002] Generally, a heating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a cooking container plac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receive food, a cooking heater (or induction coil) mounted inside the bottom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or the main body to cook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vessel, .

이러한 조리기기는 내부에 담긴 조리물을 담아 조리물을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제품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본체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해, 자성체로 구성된 조리용기에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대해 설명한다.Such a cooking appliance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the cooked food to a certain level or higher with the food contained therein, and in this specification, a current flows through a coil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ody portion where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An induction heating cooker in which an eddy current is generated in a cooking container composed of a magnetic body to heat the cooking container due to a magnetic field generated thereby will be described.

유도 가열 조리기기 중에서 일 실시예로, 전기압력밥솥(또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취사 알고리즘 상의 지정된 제어온도로 취사공정이 진행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으며, 밥솥에 위치한 센서온도 값을 마이컴에서 판독하여 취사 알고리즘의 각 공정을 제어하여 취사가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In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n electric pressure cooker (or an electric pressure cooker) is programmed so that a cooking process is performed at a designated control temperature on a cooking algorithm, and a sensor temperature value located in the cooker is read by a microcomputer, So that the cooking is progressed.

아울러, 전기압력밥솥은 취사 중 일정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유지 밸브(예를 들면, 압력추 밸브)와 취사 후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 밸브(예를 들면, Solenoid 밸브)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pressure cooker has a pressure maintenance valve (for example, a pressure switch valve) for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during cooking and a steam discharge valv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for discharging steam after cooking.

이에, 압력밥솥의 특성상 짧은 시간 내 밥을 짓기 위해서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므로 고출력(IH열원의 열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반되는 고전압, 고전류, 고열, 고기압의 압력 등의 위험요소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요소로부터 고객의 안전확보 차원에서 전기압력밥솥은 10여 가지 이상의 안전장치(기구 및 전기적 안전장치 포함)를 내장하고 출시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밥솥시장의 추세이다.Therefo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 cooker, a large amount of heat is required to cook rice in a short time, and therefore, a high output (heat amount of the IH heat source) is required, which leads to dangerous factors such as high voltage, high curren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customers from these risk factors, the electric rice cooker has a built-in safety device (including appliance and electrical safety device) of 10 or more, and it is a trend of the general rice cooker market.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a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1)는 외부전원(상용교류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외부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부(12)와, 외부 전원의 전원부(11)로의 인가를 차단하는 퓨즈(13)와, 워킹코일(21)을 포함하여 스위칭소자(30)에 의한 직류전압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생성된 공진전압을 공급받아 가열을 수행하는 공진부(20)와, 스위칭소자(30)의 스위칭 동작(온/오프)을 제어하는 구동펄스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와,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로부터의 구동펄스에 따라 온/오프하여 직류전압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소자(30)와,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로 유도가열명령을 전송하여, 유도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MICOM부(40)로 이루어진다.1, the safety device 1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 that receives and supplies an external power supply (commercial AC power supply), a rectifying unit 12 that rectifies and smoothes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a DC voltage A fuse 13 that cuts 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11 and a resonance voltage genera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DC voltage by the switching element 30 including the working coil 21 An IGBT driving unit and an oscillation unit 14 for generating and applying drive pulses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n / off) of the switching device 30; an IGBT driving unit and an oscillation unit 14; And a MICOM unit 40 for transmitting an induction heating command to the IGBT driving unit and the oscillation unit 14 so as to perform induction heating, ).

전원부(11)는 상용교류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 정류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정류부(12)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소자로서, 다이오드 브리지 형태의 정류회로와, 캐패시터 등으로 구성된 평활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 receives the commercial AC power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it to the rectifying unit 12. The rectifying unit 12 is an element for rectifying and smoothing the commercial AC power to a DC voltage, and may be a rectifier circuit in the form of a diode bridge and a smoothing circuit composed of a capacitor or the like.

퓨즈(13)는 예를 들면, 내솥 부근에 부착되어, 평상시에는 외부 전원이 전원부(11)에 인가되도록 하나, 이상과열이 야기된 경우, 내부의 회로가 단락되어, 외부 전원 전체가 전기압력밥솥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The fuse 13 is attached,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pot so that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normally applied to the power source unit 11. However, if overheating occurs, the internal circuit is short- Is blocked.

또한,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는 MICOM부(40)로부터의 유도가열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형태(즉, 기저장된 듀티비를 지닌 파형)의 구동펄스를 스위칭소자(30)에 인가한다. 또한, IGBT 구동부 및 발진부(14)는 취사 공정에 따라 구동펄스의 듀티비를 유지하거나 가변하고, 이에 따른 구동펄스를 스위칭소자(30)에 인가한다.The IGBT driving unit and the oscillating unit 14 apply driving pulses of a pre-stored type (i.e., a waveform having a pre-stored duty ratio) to the switching element 30 in accordance with an induction heating command from the MICOM unit 40. [ In addition, the IGBT driving unit and the oscillating unit 14 maintain or change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pulse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process, and apply the driving pulse to the switching device 30 accordingly.

스위칭 소자(30)는 게이트단자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예를 들면, 구동펄스 등)에 의해 온/오프되는 IGBT 소자가 사용되며, 게이트 단자에 유입되는 구동펄스의 안정화를 위하여 게이트 단자와 이미터 단자 사이에 bias안정화를 위한 저항(R)이 장착된다.An IGBT element which is turned on / off by a signal (for example, a drive pulse) applied through a gate terminal is used as the switching element 30. In order to stabilize the driving puls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A resistor (R) for stabilizing the bias is mounted between the terminals.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압력 조리기는 취반 진행시 LCD 및 FND 등의 표시장치로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지만 실질적인 IH출력 발생 여부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한다. 이로 인해, 표시의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pressure cooker displays the present state by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n FN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ut indirectly senses and displays the actual IH output without directl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IH output.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display may be degraded or an error may occur.

한국등록실용 제20-0451186호Korean Registration Practical No. 20-045118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heating apparatus which is operated only when induction heating output is generated in a working coil, And to provide a heating device assembly for an electric heating cooker to be us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apparatus assembly for an electric heating cooker, comprising: a heating unit including a working coil for induction heating an inner pot; a wire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ead, wherein the electric energy of the lead is induced by the working coil.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ad wire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working coil, and the lead wir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orking coil.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와,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rectifying unit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ductive line into a power source capable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n LED.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differently according to electric energy induced by the working coil.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ater assembl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과,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어, 워킹 코일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진다. 즉, 표시장치가 워킹 코일의 작동에 의해서 작동되어 워킹 코일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A heating part for heating the inner pot including a working coil; a lead wire which i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and is at least once turned on; and a display part connected to the lead wire,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isplay is improved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since the electric wire for connecting to the power source or the heating unit is not required separately. That is, the display device can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to directly detect and display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가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The lead wire is disposed to surround the working coil, and the lead wire is disposed outside the working coil, so that the electric energy of the lead wire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by the working coil.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와,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유관으로 쉽고 빠르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rectifying unit that converts an electric signal of the electric wire to a power source capable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heating cooker.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키가 작은 영유아도 쉽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so that a child with a small height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cooking cooker,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가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상기 발광부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with an LED, so that power consum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stably operated.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여,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lectric energy induced by the working coil to further inform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어느 방향에서도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so that the state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can be easily recognized in any dire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수평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수직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 조리기의 부분 분리 사시도.(내솥 수용부 및 가열부 생략)
도 5는 도 4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다리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스커트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발광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of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horizontal sectional schematic view of an electric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g members are removed in FIG. 6; FIG.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kirt member is removed in FIG. 7; FIG.
FIG.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removed in FIG. 8;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가 전기 압력 밥솥과 같은 전기 가열 압력조리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ating device assembl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ic heating pressure cooker such as an electric pressure cooker.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는, 워킹 코일(210)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워킹 코일(210)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400)과, 상기 도선(400)에 연결되는 표시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400)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210)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9, the heating apparatus assembl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ing unit including a working coil 210 to induction-heat the inner pot, And a display unit 410 connected to the wire 400. The electric energy of the wire 400 is induced by the working coil 210. The wire 400 is wound on the wire 400 at least once, .

전기 가열 조리기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 내부에 배치되어 내솥(미도시)을 수용하는 내솥 수용부(100)와, 내솥을 개폐하는 뚜껑(미도시)을 포함한다.The electric heating cooker includes a main body 300, an inner pot receiving unit 10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300 to receive an inner pot (not shown), and a lid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pot.

본체(300)는 상부본체(310)와,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를 포함한다.The body 300 includes an upper body 310, a side body 320, and a floor body 330.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는 일체로 형성된다.The side body 320 and the floor body 330 are integrally formed.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은 외측형상이 우리나라의 전통 솥단지와 같이 굴곡지게(반구의 일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주로 보이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The outer shape of the front and the sides of the main body 300 is formed to be bent (a part of a hemisphere) like a traditional pot pot of Korea. As a result, the portion mainly visible to the user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appearance becomes more beautiful.

이하에서, 전방은 전기 가열 조리기(밥솥)의 뚜껑 힌지의 반대쪽을 의미하고, 후방은 뚜껑 힌지쪽을 의미하며 의미하고, 상부는 뚜껑쪽을 의미하며, 하부는 바닥본체(330)쪽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front means the opposite side of the lid hinge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rice cooker), the rear means the lid hinge side, the upper side means the lid side, and the lower side means the floor body 330 side .

상기 가열부는 워킹 코일(210)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한다.The heating unit includes a working coil 210 to induction-heat the inner pot.

워킹 코일(210)은 내솥 수용부(100)의 외측에 설치된다.The working coil 210 is installed outside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내솥 수용부(100)는 측벽과, 바닥을 포함한다.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includes a side wall and a bottom.

워킹 코일(210)은 내솥 수용부(100)의 측벽에 감겨지는 제1워킹 코일과 내솥 수용부(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2워킹 코일을 포함한다.The working coil 210 includes a first working coil wound around a side wall of the inner pot receiving part 100 and a second working coi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receiving part 100.

내솥 수용부(100)는 본체(30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및 측부가 둘러싸인다.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is surrounded by the upper, lower and side portions by the main body 300.

내솥 수용부(100)의 상부는 상부본체(31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솥 수용부(100)의 측부는 측부본체(32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솥 수용부(100)의 하부는 바닥본체(330)에 의해 둘러싸인다.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is surrounded by the upper main body 310 and the side portion of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is surrounded by the side main body 320.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main body 330).

내솥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본체(300)의 내주면은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ot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워킹 코일(210)과 본체(300)의 내주면도 이격된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ing coil 210 and the main body 300 are also spaced apart.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선(400)은 2회 권선된다.The wire 400 is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210 and is wound at least once. In this embodiment, the lead wire 400 is wound twice.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의 제1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선(400)은 제1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도선(400)은 워킹 코일(21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wire 40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working coil of the working coil 210. Further, the lead wire 40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working coil. That is, the wire 400 is disposed apart from the working coil 210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도선(400)은 배치되어 도선(400)의 전기에너지가 워킹 코일(21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Thus, the conductive line 400 is disposed so that the electric energy of the conductive line 400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by the working coil 210. [

도선(400)은 본체(300)의 측부본체(32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The lead wire 4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body 320 of the main body 300.

표시부(410)는 도선(400)의 양단에 연결된다.The display portion 41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ead wire 400.

표시부(410)는 발광부(430)와, 도선(400)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광부(430)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411)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41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430 and a rectifying unit 411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ductive line 400 into a power source capable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430.

이와 다르게, 표시부(410)는 전기 가열 조리기에 연결된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410)는 IH출력에 동기화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portion 410 may be driven through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electric heating cooker.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41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H output.

이와 같은 표시부(410)로 인해 사용자가 유관으로 쉽고 빠르게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With the display unit 410,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heating cooker.

또한, 표시부(410)는 상기 워킹 코일(210)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여, 전기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10 display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lectric energy induced by the working coil 210, thereby further informing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발광부(430)는 본체(300) 외측에 설치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430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300.

표시부(410)의 발광부(430)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300) 하부에 배치되어, 키가 작은 영유아도 쉽게 발광부(430)를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도 가열 조리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선구조도 단순해지고, 발광부(430)로 인해 본체(300)의 측벽쪽에 이음새가 발생하지 않아서 이음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300) 측벽의 세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30 of the display unit 410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300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430 can be easily seen even by a small child. Therefore, infants and toddlers can also recognize the state of the heating cooker,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urther, since the wiring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does not generate a seam o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body from being caught in the seam and to easily clea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300 have.

발광부(430)는 상기 측부본체(320)와 상기 바닥본체(330)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발광부(430)가 사용자의 눈에 쉽게 띄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body 320 and the bottom body 330 to simplify the shape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easily make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stand out to the user's eyes have.

나아가, 발광부(430)는 본체(3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발광부(430)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이로 인해, 어느 방향에서도 발광부(430)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Further, the light emitting unit 430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300.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430 is installed along the front and both lower circumferential edges of the main body 300. Thus,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can be easily seen in any direction.

측부본체(320)와 바닥본체(330) 사이에는 발광부(430)가 안착되는 발광안착부(332)가 형성된다. 발광안착부(332)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 둘레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안착부(332)에는 전방 및 하부가 개방된 발광안착홈이 형성된다. 발광부(430)는 상기 발광안착홈에 안착되어, 발광안착부(332)의 외측에 설치된다. 발광안착부(332)의 양측 또는 일측 끝단에는 인출공(334)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334)은 상기 발광안착홈과 본체(300) 내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공(334)으로 인해 발광부(430)에 연결된 전선 등을 용이하게 정리하고 연결할 수 있다. A light emitting part (332) o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430) is mounted is formed between the side body (320) and the floor body (330). The luminescent seating part 332 is formed by recessing the front and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30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part 332 is formed with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grooves having front and lower openings.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groove 332 and is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groove. Outward holes 334 are formed on both sides or one end of the luminescent seat 332. The draw-out hole 334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ight-emitting mount recess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0. The electric wir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part 430 can be easily arranged and connected by the drawing hole 334.

발광안착부(332)에는 본체(300) 내측과 외측에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된다.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0 is formed in the luminescent seating part 332.

또한, 바닥본체(330)의 하부에는 발광안착부(33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돌출부(333)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돌출부(333)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돌출부(333)의 외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기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upport protrusion 333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ight-emitting mount 332 at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main body 330. The support projection 333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outer side wall of the support projection 333,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발광부(4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된 발광기판(431)과, 발광기판(431)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32)를 포함한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includes a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formed in a strip shape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432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발광기판(431)은 수평하게 배치된다.The light-emitting substrate 431 is arranged horizontally.

발광기판(431)은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light-emitting substrate 431 is formed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300.

발광소자(432)는 LED로 구비되어, 발광부(430)가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발광부(430)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432 is provided with an LED so that the power consum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430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430 can be stably operated.

발광소자(432)는 복수개 구비되어 발광기판(431)의 하부에 설치된다.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432 are provided and are disposed under the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발광기판(431)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은 두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light-emitting substrate 431 is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astening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발광부(430)는 표시부 브라켓(440)에 의해 본체(300)에 설치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43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0 by the display unit bracket 440.

표시부 브라켓(440)도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display unit bracket 440 is also formed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300.

표시부 브라켓(440)은 발광부(430) 상부에 배치된다. 표시부 브라켓(440)은본체(300)와 발광부(430) 사이에 배치된다.The display portion bracket 440 is disposed above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The display unit bracket 440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30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30.

표시부 브라켓(440)은 마운팅부(422)와 제1외벽부(423)를 포함한다.The display portion bracket 44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422 and a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마운팅부(422)는 수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단에 제2체결부(421)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체결부(421)로 인해 표시부 브라켓(440)은 본체(3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422 is formed in a horizontal plate shape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21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the inner end. Due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21, the display portion bracket 44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0.

마운팅부(422)의 하부에는 발광기판(431)의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체결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 first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of the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22.

또한, 마운팅부(422)의 하부에는 표시부 걸림 후크(424)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표시부 걸림 후크(424)는 외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복수개 형성된다. 표시부 걸림 후크(424)에 발광기판(431)의 내측이 걸려서 고정되게 된다.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22 is formed with a display hooking hook 424 protruding downward. A plurality of display hooking hooks 424 are arranged close to the outer end. The inside of the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is caught and fixed to the display portion latching hook 424.

제1외벽부(423)는 마운팅부(422)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ortion 422.

제1외벽부(42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부본체(320)의 하단에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제1외벽부(423)는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the lower end of the side body 320.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is formed to be bent.

제1외벽부(423)는 마운팅부(422)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422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제1외벽부(423)의 하부는 발광기판(431)의 외측을 지지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supports the out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substrate 431.

표시부(410)의 발광부(4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300) 하부에 설치되는 스커트부재(440)를 더 포함한다.And a skirt member 440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300 so as to be disposed below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of the display portion 410.

스커트부재(440)는 발광부(4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부(430)를 덮는 덮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커트부재(440)로 인해 발광부(430)가 손상되지 않고 발광부(43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되며 발광부(4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skirt member 440 is disposed under the light emitting unit 430 and serves as a lid for covering the light emitting unit 430. The skirt member 440 prevents the light emitting unit 430 from being damaged and prevents the light emitting unit 430 from being submerged and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ight emitting unit 430.

스커트부재(44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표시부(410)의 불빛을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볼 수 있다.The skirt member 44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display unit 410 can be effectively seen from the outside.

스커트부재(440)는 본체(300)의 전방 및 양측 하부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skirt member 440 is formed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300.

스커트부재(440)는 덮개부(441)와, 덮개부(441)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스커트(442)를 포함한다.The skirt member 440 includes a lid portion 441 and a skirt 442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ortion 441.

덮개부(441)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내측 둘레를 따라 발광부(430)의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The lid part 441 is horizontally arranged, and a latching jaw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so that the inside of the light emitting part 430 is caught.

따라서, 스커트부재(440) 상부에는 발광부(430)의 하부가 안착되는 발광부안착홈(443)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light-receiving portion receiving groove 443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emitting portion 430 is mounted is formed on the skirt member 440.

또한, 덮개부(441)의 내측에는 표시부 브라켓(440)의 제2체결부(421)와 체결되는 제3체결부(445)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덮개부(441)의 내측에는 본체(300)에 체결되는 제4체결부(446)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 third fastening portion 445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421 of the display portion bracket 44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portion 441 so as to protrude inward. A fourth fastening portion 446 fastened to the main body 3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portion 441 so as to protrude inward.

스커트(442)는 표시부(410)의 발광부(43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다.The skirt 442 is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of the display portion 410.

스커트(442)의 상단은 덮개부(441)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덮개부(441)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skirt 44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art 441 and is formed to project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art 441. [

스커트(442)의 상부 외측에는 제1외벽부(423)가 안착되는 외벽안착홈이 형성된다. An outer wall receiv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skirt 442.

스커트(442)의 외주면은 제1외벽부(423) 및 측부본체(320)의 하부에 연속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442 is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wall portion 423 and the side body 320.

스커트(442)의 하단은 바닥본체(33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처마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측부본체(320)의 외주면의 이물질이 바닥본체(330)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서 세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kirt 442 is disposed apart from the floor main body 330 to serve as an eave. Therefore, foreign mat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body 320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loor body 330, thereby facilitating the cleaning.

스커트(442)의 후방 끝단에는 본체(300)에 체결되는 제5체결부(444)가 형성될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skirt 442, a fifth fastening portion 444 fastened to the main body 300 may be formed.

스커트(442)의 하단은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skirt 442 is dispos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main body 300 is placed.

전술한 바와 다르게, 스커트(442)의 하단 일부는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부는 본체(300)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lower end portion of the skirt 4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body 300 is placed and a portion thereof may be formed to abut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body 300 is placed.

사용자가 뚜껑을 열때 본체(300)가 이러한 스커트(442)에 의해 지지되어 전기 가열 조리기가 심하게 덜컹거리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opens the lid, the main body 300 may be supported by such a skirt 442 to prevent the electric heating cooker from being excessively rattled.

나아가, 스커트부재(440) 하부에는 다리부재(340)가 배치된다.Further, a leg member 340 is disposed under the skirt member 440.

다리부재(340)도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리부재(340)는 스커트(442) 내측에 배치된다.The leg member 340 is also formed in an arc shape. The leg member 340 is disposed inside the skirt 442.

다리부재(340)는 지지부(341)와, 지지부(341)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부(342)를 포함한다.The leg member 340 includes a support portion 341 and a side wall portion 342 formed around the support portion 341.

지지부(341)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스커트부재(440) 및 본체(3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가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341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kirt member 440 and the main body 300.

지지부(341)는 바닥본체(330)의 지지돌출부(333)의 하부에 배치된다. The support portion 341 is disposed below the support protrusion 333 of the bottom main body 330.

지지부(341)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다리(343)가 형성된다.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41 protrudes downward to form a leg 343.

지지부(341)에는 통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지지부(341)에 형성된 통기공은 지지돌출부(333)에 형성된 통기공에 연통된다.The support portion 341 is formed with a vent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The air vent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341 communicates with the air vent formed in the support projection 333.

측벽부(342)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으로 인해 발광부(430)의 빛의 확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342 is formed with a groove along the periphery. The light can be more effectively diffus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430 due to the grooves.

바닥본체(330)에는 다리부재(340) 내측에 배치되도록 통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main body 330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leg member 340 so as to pass through the vent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H가열 출력이 발생하면 워킹 코일(210)은 유도가열을 통해 밥솥을 가열한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210)이 작동되게 되면, 워킹 코일(210)에 의해 도선(400)의 전기에너지가 유도되어 표시부(410)의 발광부(430)가 작동되게 된다. When the IH heating output is generated, the working coil 210 heats the rice cooker through induction heating. When the working coil 21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energy of the wire 400 is induced by the working coil 21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30 of the display unit 410 is operated.

이와 같이, 워킹 코일(210)에 유도가열 출력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표시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표시부(410)를 전원이나 가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해진다.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induction heating output is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210, the accuracy of display is improved and a wire for connecting the display unit 410 to the power source or the heating unit is not required separately, simplifying the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내솥 수용부 200 : 워킹 코일
300 : 본체 400 : 도선
410 : 표시부 411 : 정류부
420 : 발광부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inner pot receiving part 200: working coil
300: main body 400: lead
410: Display portion 411:
420:

Claims (7)

워킹 코일을 포함하여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되 적어도 1회 이상 권선되는 도선;
상기 도선에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전기에너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A heating unit including a working coil for induction heating the inner pot;
A wire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il and being wound at least once more;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lead,
Wherein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lead is induced by the working co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d wire is arranged to surround the working coil,
Wherein the wire is disposed outside the working coil. ≪ RTI ID = 0.0 > 11. < / RTI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와, 상기 도선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해주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rectifying unit that converts an electric signal of the electric wire to a power source capable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comprises an L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differently according to electric energy induced by the working coi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 조리기의 가열장치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heating cooker.
KR1020150175025A 2015-12-09 2015-12-09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KR102357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en) 2015-12-09 2015-12-09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en) 2015-12-09 2015-12-09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54A true KR20170068154A (en) 2017-06-19
KR102357033B1 KR102357033B1 (en) 2022-01-28

Family

ID=5927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25A KR102357033B1 (en) 2015-12-09 2015-12-09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96A1 (en) * 2021-08-12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ple reception coils in device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86Y1 (en) 2008-04-04 2010-12-02 쿠쿠전자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for heating cooker
JP2014186843A (en)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86Y1 (en) 2008-04-04 2010-12-02 쿠쿠전자주식회사 Safety apparatus for heating cooker
JP2014186843A (en)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Induction heating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96A1 (en) * 2021-08-12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ple reception coils in device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33B1 (en)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2577B2 (en) Cooker and cooking utensil used for the cooker
KR101240108B1 (en) Cooking device
EP1978785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EP2618633B1 (en) Induction heat cooker
KR20170068154A (en)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KR102355705B1 (en)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KR102161358B1 (en) induction cooker with double safety structure
KR20130073477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67008A (en) electric cooker
JP4834681B2 (en) Cooking system and cookware
JP2003133042A (en) Cooker
JP4280167B2 (en) Cooking system
JP2002257356A (en) Heating cooking device
JP3187320B2 (en) Electric rice cooker
JP6416648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H10290749A (en) Electric pressure cooker
KR20050003955A (en) Built-in type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JP4041053B2 (en) rice cooker
JP2011249187A (en) Electromagnetic cooker
JP2011249188A (en) Electromagnetic cooker
JP2000079054A (en) Induction heat cooker
KR20140134059A (en) Container for cooking
JP3102363B2 (en) Electric rice cooker
KR102384770B1 (en)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JP3398948B2 (en) ric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