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284A -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 Google Patents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284A
KR20220041284A KR1020200123958A KR20200123958A KR20220041284A KR 20220041284 A KR20220041284 A KR 20220041284A KR 1020200123958 A KR1020200123958 A KR 1020200123958A KR 20200123958 A KR20200123958 A KR 20200123958A KR 20220041284 A KR20220041284 A KR 2022004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duction coil
raw water
base plate
main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재봉
김상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Priority to KR102020012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284A/en
Publication of KR2022004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ing 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ing ability comprises: a main skeleton part (200) installed inside an exterior case (100); a water supply unit (300) installed on the main skeleton part (200) to supply hot water to a cooking vessel; an induction coil part (400);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를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연결되도록 신속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ing property, and more particularl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mproved assembling property so that the main skeleton part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can be quickly assembl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relates to a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일반적으로 간편조리기기 중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기는 라면이 수용된 조리용기에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조리용기 내붕 수용된 라면을 조리하도록 되어 있다. In general, a cooking device for cooking ramen among simple cooking devices is configured to supply raw water to a cooking container in which the ramen is accommodated to cook the ramen in the inner shelf of the cooking container.

이러한 간편조리기기는 통상적으로 라면이 미리 적재된 라면용기를 적층하고 있으며 상기 라면용기를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히터로 이송하고 물을 투입한 후 히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면 이를 배출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318063호 또는 제0325418호는 자판기 형태로 활용되는 자동라면조리기를 보인다.Such a simple cooking device typically stacks a ramen container in which ramen noodles are loaded in advance, and the ramen container is individually pulled out and transferred to a heater, water is added, and then when the ramen is cooked by the heater, it is discharg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318063 or No. 0325418 shows an automatic ramen cooker used in the form of a vending machine.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동적인 면이 있는데, 즉 단순히 라면자동조리기 운영자가 장착한 라면에 대해서만 조리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폭넓게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에 대한 선택권이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의 경우 다양한 첨가물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데는 한계를 지닌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는 기호에 따라 라면에 계란, 파 등의 첨가물을 넣어 조리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다.Although this automatic ramen cooker has a very convenient fe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relatively expensive. In addition, this automatic ramen cooker has a passive aspec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at is, it is possible to cook only the ramen installed by the operator of the automatic ramen cooker.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ramen cooker developed so far, there is a limit to cooking using various additives. In other words, with the automatic ramen cooker developed so far, it is difficult to cook ramen with additives such as eggs and green onions according to taste.

결국, 현재,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 라면이 아닌 일반 라면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에 따라 라면을 선택하고 여기에 계란, 파 등의 첨가물을 넣어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은 종래의 방식대로 냄비에 물을 부어 가스레인지 등에서 조리하는 방식을 따를 수밖에 없다.After all, at present, for general ramen rather than instant ramen such as cup ramen, the method of selecting ramen according to one's preference and cooking it by adding eggs and green onions to it is a conventional method by pouring water into a pot. You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the cooking method on a gas sto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를 경우 냄비에 물을 붓고 부어진 물을 끊이고 이후 라면을 조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으며, 특별히 PC 방, 매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을 따른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한 일이 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it is necessary to pour water into the pot, cut the poured water, and then cook the ramen, which can be very cumbersome, especially in public places such as PC rooms and canteens. Following the pattern can be practically daunting.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특허 제0580150호 또는 제0752977호에서는 간단한 구조의 개량된 소형 라면조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In Korean Patent No. 0580150 or No. 0752977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mproved small ramen cooker having a simple structur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을 구매자가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이점과, 소형화를 통한 장비 구매비용의 절감과 유지비용의 최소화를 이루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 구성을 살펴보면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물통으로부터 보충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시키는 예열물통과, 예열물통에서 데워진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는 노즐과, 라면 용기를 조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조리용 물의 공급 또는 정지, 히터의 가열 및 정지, 물 추가, 조리시간 추가 등을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패널)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기본적 구성은 이미 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일반적이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ramen cook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buyer can select and cook various types of rame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chieves the reduction of equipment purchase cost and maintenance cost through miniaturization, and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cooked conveniently.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for cooking ramen, a preheating water tank for heating and maintaining the water replenished from the water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nozzle for supplying water heated from the preheating water tank to the ramen container, and cooking the ramen container It comprises a heater for heating to a temperature for cooking, and a control device for a control unit (panel) that controls and displays supply or stop of cooking water, heating and stopping of the heater, addition of water, addition of cooking time, etc.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is a general technique that is already widely known in the fiel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면조리기는 소비자가 사용자가 물의 공급 및 정지를 조작하고, 히터에 의한 가열 및 정지를 수동으로 조작함에 따란 라면의 종류 일 예로서 굵은 면발의 라면이나 얇은 굵기의 면발을 갖는 라면에 따른 물의 양이나 가열온도를 적절히 수행할 수 없어 최적의 조리식품을 제공하는데 문제가 있고, 상기 물통, 예열물통, 히터, 제어부등과 같은 구성을 한정된 공간을 갖는 골격부에 장착하는데 상당한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amen cooker a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of a type of ramen in which the consumer manually operates the heating and stopping by the heater, the user manipulates the supply and stop of water, and thick noodles or thin noodles are prepared. There is a problem in providing optimal cooked food because the amount of water or hea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amen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를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연결되도록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호 신속히 조립하여 조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메인골격부에 인덕션코일부나 급수부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tructure so that the main skeleton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is conn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o quickly assemble a plurality of plates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assembling proper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properties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duction coil part or the water supply part can be easily achieved in the main skeleton pa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200)와,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물을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0)와,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는 인덕션코일부(400)와, 상기 급수부(300)에 의한 온수의 토출을 제어하면서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 의한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골격부(200)는,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인덕션코일부(400)가 장착되는 스틸재질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열유리(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설치되는 전용브라켓부재(2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급수부(30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마련되어 RFID태그부(27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RFID설치브라켓(27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브라켓(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skeleton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100, and a water supply part ( 300), the induction coil part 400 installed in the main skeleton part 200 at a position where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and the induction coil part 400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hot water by the water supply part 300. In the induction simple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by The base plate 210 to fix the base plate 210 made of a steel material on which the induction coil part 400 is mounted on one side and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duction coil part 400 . A dedicated bracket member 2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60, the main body 260 installed to extend upwardly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21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base plate 210 ) is provid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rcode bracket 270 for installing an RFID installation bracket 270 for installing the RFID tag unit 271 .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인덕션코일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구동팬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a driving fan member 240 installed between the base plate 210 and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case 100. It includes more.

또한, 상기 급수부(300)는, 상기 메인바디(260)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는 원수가열탱크(31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로의 온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유닛(32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설치된 상태로 외부 수도관에서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로 직접유입되는 원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압솔밸브(33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nstalled on the main body 260 to heat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and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to be a cooking vessel. A control valve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330 and a water level sensor 340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가 다수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연결되는 구조로 신속히 조립되어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메인골격부에 인덕션코일부와 급수부의 기술적 구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keleton part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is quickly assembled in a structure conn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a plurality of plates, so that the assembling is improved, as well a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induction coil part and the water supply part in the main skeleton part Since it can be installed easily,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골격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골격부에 내열유리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팬부재와 냉각팬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부의 전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부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main skele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resistant glass is mounted and fixed to the main skele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riving fan member and a cooling fa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ront state of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rear state of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to produce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골격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골격부에 내열유리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팬부재와 냉각팬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부의 전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부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main skele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m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resistant glass is mounted and fixed to the frame part,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riving fan member and a cooling fa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nd FIG. 5 is a front state of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diagram,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rear state of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는 외장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200)와,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물을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0)와,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는 인덕션코일부(400)와, 상기 급수부(300)에 의한 온수의 토출을 제어하면서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 의한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골격부(200)는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설치되어 내열유리(150)를 고정하는 전용브라켓부재(2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메인바디(2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마련되어 RFID태그부(27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RFID설치브라켓(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6,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keleton 200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100, and the main skeleton portion A water supply unit 300 installed in 200 to supply hot water to the cooking vessel, an induction coil unit 400 installed in the main skeleton unit 200 at a position where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and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induction simple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by the induction coil unit 400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hot water by 300, the main skeleton 200 is the outer case A base plate 210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100, a dedicated bracket member 25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10 to fix the heat-resistant glass 150, and an upper side from the base plate 2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260 install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and an RFID installation bracket 270 provided on the base plate 210 to install the RFID tag unit 271 .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는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200)를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연결되도록 조립하고, 그 메인골격부에 상기 급수부(300)와 인덕션코일부(400), 제어부와 RFID태그부(271)등의 기술적 구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의 조립성을 높여 대량생산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s the main skeleton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exterior case 100 to be conn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main skeleton part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he control unit and the RFID tag unit 271 to the will b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사용되는 조리용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의 유동가열을 통한 조리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Here, the cooking vessel used in the induction simpl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which is to facilitate cooking through the flow heating of the induction coil unit 400 .

또한, 상기 조리용기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정보(조리에 필요한 물의 양,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의 정보)를 기록한 태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ag is inserted into the cooking container, which records information of the product contained therein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cook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하부에 러버재질의 지지다리가 설치된 상태로 하측면에 열의 외부방출을 위한 방출홈(미부호)이 형성된 로워바디(110)와 상기 로워바디(1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외장바디(120)로 이루어진다. The exterior case 10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the exterior case 100 has a release groove (unsigned) on its lower side for externally dissipating heat with a support leg made of a rubber material installed at the bottom. ) is formed with a lower body 110 and an outer body 12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10 .

이때, 상기 로워바디(110)와 외장바디(120)로 이루어진 상기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메인골격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외장바디(120)의 상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조작반(121)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main skeleton 200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100 comprising the lower body 110 and the outer body 120 , and an operation panel 121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ody 120 . ) is installed at an angle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여기서, 상기 로워바디(110)와 외장바디(120)로 이루어진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메인골격부(200)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인덕션코일부(40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Here, looking at the main skeleton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00 made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outer body 120, the base plate of the main skeleton part 200 ( 21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induction coil unit 400 is mounted on one side.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로워바디(110)의 내부 하측면에 다수개의 이격구(211)를 매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방출홈과 대응되는 위치를 갖는 유동공(212)이 형성된다. That is, the base plate 210 is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via a plurality of spacers 211 , and the base plate 210 ha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groove. A flow hole 212 is formed.

또한, 상기 인덕션코일부(4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지지구(410)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덕션 코일부(400)는 알루미늄 조리용기를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하여 알루미늄 조리용기에 담긴 물을 끓이는 것으로 유도가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코일에 상기 인덕션 코일부(400)에 교류전류를 통하면 코일 주면에 의해 교번자계가 발생하고 자계속에 놓인 도전체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duction coil unit 400 is installed via an extension support 41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induction coil unit 400 boils water contained in the aluminum cooking vessel by induction heating the aluminum cooking vessel. Looking at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passed through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o the coil, the coil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the main surface and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onductor placed in the magnetic field.

이 전류를 와전류라 하고 피가열체의 고유저항과 와전류에 의한 줄(joule)열이 발생(와전류 손실)된다. 이와 같이 유도가열이 될 수 있는 것에는 도체에 한정되고, 특히 자성체는 와전류 손실외 히스테리스 손실이라고 하는 자화에 따른 전기적 손실이 발생하여 가열이 용이하며 효율이 좋다.This current is called an eddy current, and Joule heat is generated (eddy current loss) due to the specific resistance of the object to be heated and the eddy current. As such, induction heating is limited to conductors, and in particular, magnetic materials generate electrical losses due to magnetization called hysteresis losses in addition to eddy current losses, so that heating is easy and efficient.

이러한 유도 가열 방식은 히터 자체를 고온을 가열하는 일반적인 전기 가열 방식에 비해 화재 위험성이 거의 없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효율이 좋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빠른 속도로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induction heating method has almost no fire risk compared to the general electric heating method that heats the heater itself at a high temperature, so safety is improve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due to high efficiency, and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by heating at a high speed. There are advantages.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인덕션코일부(400) 사이에는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팬부재(240)가 설치된다. Here, between the base plate 210 and the induction coil portion 400, a driving fan member 240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portion 40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is installed

즉, 상기 구동팬부재(24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기 유동공(212)과 방출홈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driving fan member 240 is driven, the hea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unit 4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w hole 212 and the discharge groove of the base plate 210 to the exterior case.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 of (100).

또한, 상기 전용브라켓부재(250)는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열유리(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열유리(150)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된다. In addition, the dedicated bracket member 250 is to b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10 so as to fix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coil part 400 , the heat-resistant glass 150 .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on the upper part.

즉, 상기 전용브라켓부재(2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하측이 장착된 상태로 상측이 상부로 연장되는 마운팅편(251)과, 상기 마운팅편(25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면에 장착턱(253)이 형성된 안착편(252)과, 상기 안착편(252)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상기 내열유리(150)의 가장자리 상측면에 밀착되어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유리고정편(2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exclusive bracket member 2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iece 251 and the mounting piece 251 with the upper side extending to the upper side with the lower side mounted on the base plate 210. A seating piece 252 having a mounting jaw 253 formed on the side thereof, and a glass fixing piece 254 install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heat-resistant glass 15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iece 252 ) is included.

이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내열유리(150)를 상기 안착편(252)의 상측면에 안착시키면서 그 내열유리의 측단부가 상기 장착턱(253)에 걸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고정편(254)을 상기 안착편(252)의 상부에 설치하여 고정하게 되면 상기 유리고정편(254)에 의해 상기 내열유리(150)의 가장자리 상측면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Looking at this, while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iece 252, the glass fixing piece 254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side end of the heat-resistant glass is caught by the mounting jaw 253. When it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iece 252 , the upper edge of the edge of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s firmly fixed by the glass fixing piece 254 .

또한, 상기 메인바디(26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급수부(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조립설치되는 한 쌍의 직립플레이트(261)와, 상기 직립플레이트(261)의 상측을 상호 연결하는 루프플레이트(262)와, 상기 직립플레이트(261)를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인버터커버플레이트(263)와, 상기 인버터커버플레이트(26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부(300)가 설치되는 급수부장착플레이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260 is installed to extend upwardly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210 and the water supply part 300 is installed therein. A pair of upright plates 261 that are assembled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a roof plate 262 inter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 plate 261, and an inverter cover plate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upright plates 261 263 and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verter cover plate 263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supply unit mounting plate 265 o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인버터커버플레이트(263) 사이에는 유도가열인버터(264)가 설치되고, 상기 인버터커버플레이트(263)와 급수부장착플레이트(265)의 사이에는 상기 내열유리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감지를 위한 용기감지센서(미부호)가 설치된다. At this time, an induction heating inverter 264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plate 210 and the inverter cover plate 263 , and is seated on the heat-resistant glass between the inverter cover plate 263 and the water supply part mounting plate 265 . A container detection sensor (unsigned) for detecting the cooking container being used is installed.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냉각팬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후방경사편(2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냉각팬부재(230)가 상기 후방경사편(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하게 되면 상기 냉각팬부재(230)에서 발생되는 송풍에 의해 상기 유도가열인버터(264)의 열이 상기 구동팬부재(240)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ear inclined piece 220 for allowing the cooling fan member 230 to be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210 . That is, when the cooling fan member 230 is driven while being mounted on the rear inclined piece 220 , the heat of the induction heating inverter 264 is driven by blowing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fan member 230 . I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fan member 240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

또한, 상기 RFID설치브라켓(270)은 상기 내열유리(150)이 설치된 방향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에 마련되어 RFID태그부(27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FID installation bracket 2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2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s installed so that the RFID tag unit 271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급수부(300)는, 상기 메인바디(260)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는 원수가열탱크(31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로의 온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유닛(320)과,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설치된 상태로 외부 수도관에서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로 직접유입되는 원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압솔밸브(33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nstalled on the main body 260 to heat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and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to be a cooking vessel. A control valve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330 and a water level sensor 340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

즉, 상기 원수가열탱크(310)는 상기 급수부장착플레이트(265)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와 상기 제어밸브유닛(320)은 온수유동관로(311)를 매개 로 연결된다. That is,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part mounting plate 265 , and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and the control valve unit 320 are connected to the hot water flow pipe 311 through the is connected to

또한, 상기 제어밸브유닛(320)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가이드관(321)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가이드관(321)의 단부에는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온수배출노즐(322)이 설치되고, 상기 고압솔밸브(330)에는 상기 원수가열탱크(310)로의 원수공급을 위한 원수배관(331)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a discharge guide pipe 321 extending from the control valve unit 320 is installed, and a hot water discharge nozzle 32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case 10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guide pipe 321 . A raw water pipe 331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s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sol valve 330 .

이와 같은 상기 급수부(300)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위감지센서(340)의 센싱에 의해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에 수용된 원수가 일정량 이하가 되면 상기 고압솔밸브(330)에 의해 상기 원수배관(331)을 통해 유동한 물이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로 수용되고,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고압솔밸브(330)에 의해 상기 원수배관(331)으로 유동한 물이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as described above, the raw water accommodat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by the sensing of the water level sensor 340 installed inside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s a certain amount. When it becomes less than,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pipe 331 by the high-pressure sol valve 330 is accommodat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and when it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high-pressure sol valve 330 The water flowing into the raw water pipe 331 does not flow in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

이후, 상기 조리용기가 상기 내열유리(150)의 상부에 안착되어 조리식품의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밸브유닛(320)의 제어구동에 의해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수용된 온수가 상기 온수배출노즐(322)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로 적정량 배출된다. Thereafter,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seated on the heat-resistant glass 150 to cook cooked food, the hot water accommodat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unit 320 is An appropriate amount is discharged to the cooking vessel through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322 .

여기서,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는 내부에 수용된 원수를 일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히팅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it is to be noted that a heating member (not shown) for heating the raw water accommodated therein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install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외장케이스 110: 로워바디
120: 외장바디 150: 내열유리
200: 메인골격부 210: 베이스플레이트
220: 후방경사편 230: 냉각팬부재
240: 구동팬부재 250: 전용브라켓부재
260: 메인바디 270: RFID설치브라켓
300: 급수부 310: 원수가열탱크
320: 제어밸브유닛 330: 고압솔밸브
340: 수위감지센서 400: 인덕션코일부
100: outer case 110: lower body
120: exterior body 150: heat-resistant glass
200: main skeleton 210: base plate
220: rear inclined piece 230: cooling fan member
240: drive fan member 250: dedicated bracket member
260: main body 270: RFID installation bracket
300: water supply 310: raw water heating tank
320: control valve unit 330: high pressure sol valve
340: water level sensor 400: induction coil part

Claims (3)

외장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골격부(200)와,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물을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부(300)와,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위치의 상기 메인골격부(200)에 설치되는 인덕션코일부(400)와, 상기 급수부(300)에 의한 온수의 토출을 제어하면서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 의한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간편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골격부(200)는,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인덕션코일부(400)가 장착되는 스틸재질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열유리(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설치되는 전용브라켓부재(2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급수부(300)가 설치되는 메인바디(2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마련되어 RFID태그부(27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RFID설치브라켓(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The main skeleton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00, the water supply part 300 installed in the main skeleton part 200 to supply water to the cooking container with hot water, and a position where the cooking container is seated Controlling the heating time and heating temperature by the induction coil part 400 while controlling the induction coil part 400 installed in the main skeleton part 200 of the and the hot water discharge by the water supply part 300 In th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e main skeleton part 200 is a steel base plate 210 on which the induction coil part 400 is mounted on one side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in the upward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 a dedicated bracket member 25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10 to fix the heat-resistant glass 150 installed on the induction coil part 400, and the upper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210 The main body 260 install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and the water supply part 300 is installed therein, and an RFID installation bracket 270 provided on the base plate 210 so that the RFID tag part 271 can be installed.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인덕션코일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덕션코일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구동팬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driving fan member 240 installed between the base plate 210 and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unit 400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case 100 is further included. A wireless communication recognition type induction simpl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300)는, 상기 메인바디(260)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는 원수가열탱크(31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로의 온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유닛(32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에 설치된 상태로 외부 수도관에서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로 직접유입되는 원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압솔밸브(330)와, 상기 원수가열탱크(3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무선통신 인식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60 to heat the raw water supplied therein, and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to provide hot water to the cooking container. A control valve unit 320 for controlling supply and a high-pressure sol valve 33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raw water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from an external water pipe while installed in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 and a water level sensor (340)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side the raw water heating tank (310).
KR1020200123958A 2020-09-24 2020-09-24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KR202200412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58A KR20220041284A (en) 2020-09-24 2020-09-24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958A KR20220041284A (en) 2020-09-24 2020-09-24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84A true KR20220041284A (en) 2022-04-01

Family

ID=8118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958A KR20220041284A (en) 2020-09-24 2020-09-24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12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351B2 (en) Steam cooking appliance
EP2549830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CN102105747A (en) Cooking device
KR102057487B1 (en) A directly draining type induction easy cooker
JP2004095309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WO2018086935A1 (en) A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220041284A (en) Rfid type induction easy cooker improved assembly structure
KR20220056926A (en) Smart induction cooker
JP2017107766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16162703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355705B1 (en) Heater assembly for electric cooker
JP5159505B2 (en) Cooker
KR101897176B1 (en) Induction range with mixed structure
JP434651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5595792B2 (en) Electromagnetic cooker
JP2011249187A (en) Electromagnetic cooker
JP2011249188A (en) Electromagnetic cooker
JP4972617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06031947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JP5675535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4026594B2 (en) rice cooker
JP3228901B2 (en) Electric rice cooker
JP421576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05166568A (en) Heating cooker
JP2003068434A (en) Heating coo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