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01A -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 Google Patents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01A
KR20170068101A KR1020150174918A KR20150174918A KR20170068101A KR 20170068101 A KR20170068101 A KR 20170068101A KR 1020150174918 A KR1020150174918 A KR 1020150174918A KR 20150174918 A KR20150174918 A KR 20150174918A KR 20170068101 A KR20170068101 A KR 2017006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ailgate
tail gate
hold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101A/ko
Publication of KR2017006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되는 부위에서 마찰이 없이 탄성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는, 차량의 후미를 개폐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11)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12)에는 사이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12)가 폐쇄되면, 탄성력으로 나머지 한 쪽에 밀착되는 유동방지유닛(20)이 설치되고,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일단은 상기 차체(11)는 상기 테일게이트(12)에 체결되고, 타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서 개방된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22)와, 상기 홀더(2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12)가 닫히면 상기 차체(11)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12) 측에 접촉되는 접촉수단과, 상기 홀더(22)를 상기 하우징(21)의 개방된 부위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TALE GATE FOR MOVING PREVENT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미를 개폐하는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되는 부위에서 마찰이 없이 탄성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특히 해치백 승용차, 승합차, RV(Recreational Vehicle), 밴(VAN) 등과 같은 차량은 차량의 후미에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용도 등을 사용된다.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는 주행중 그 둘레가 차체와 부딪히면서 소음을 유발하는데, 이를 방지하게 위해서 상기 테일게이트의 측면과 상기 차체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2)의 측면에 메일플레이트(122)를 부착하고, 차체(11)에는 상기 테일게이트(12)의 폐쇄시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범퍼(121)를 부착한다.
상기 메일플레이트(122)는 상기 가이드 범퍼(121)는 상기 테일게이트(12)의 폐쇄시 일부 구간이 오버랩(OL)되도록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 범퍼(12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서로 치(齒)가 형성된다. 상기 테일게이트(12)가 폐쇄되면,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 범퍼(121)는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이 치합되면서 주행중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상기 차체(11)에 대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동방지구조는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 범퍼(121)가 서로 오버랩되는 부위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와 상기 가이드 범퍼(121)가 오버랩되는 부위의 마찰은 상기 테일게이트(12)의 개폐회수가 늘어날수록, 차량의 주행거리가 늘어날수록 늘어나게 되는 바, 내구가 진행되면, 유동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해치백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방진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2-0031798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체에 대하여 테일게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에서 서로 오버랩에 되지 않고, 탄성부재에 의해 밀착되도록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는, 차량의 후미를 개폐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는 사이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폐쇄되면, 탄성력으로 나머지 한 쪽에 밀착되는 유동방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일단은 상기 차체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체결되고, 타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개방된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닫히면 상기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 측에 접촉되는 접촉수단과, 상기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둘레 일측이 상기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 측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복수로 구비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서로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일게이트에서 상기 유동방지유닛과 접하는 부위에는 메일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따르면, 상기 테일게이트에 부착된 메일플레이트가 탄성지지된 롤러와 접하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시 상기 테일게이트의 유동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테일게이트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내구가 진행되더라도 유동방지기능을 일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테일게이트와 차체에 메일플레이트와 가이드범퍼가 설치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도 1의 메일플레이트와 가이드범퍼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메일플레이트와 가이드범퍼가 접촉되어 오버랩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서 유동방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서 유동방지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서 테일게이트 개방시 유동방지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서 테일게이트 폐쇄시 유동방지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따르면, 차량의 차체(11)와 상기 차량의 후미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량의 후미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일게이트(12)의 사이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상기 차체에 대하여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유동방지유닛(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상기 차량의 차체(11)와 상기 테일게이트(12)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차체(11) 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테일게이트(12)에서 상기 유동방지유닛(20)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메일플레이트(1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탄성력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차체와 상기 테일게이트(12) 사이의 간극을 메워,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상기 테일게이트(12)가 닫히면,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이 일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12)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유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22)와, 상기 홀더(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접촉수단 및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22)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5)을 포함한다.
하우징(21)은 일단은 폐쇄되게 타단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에서 폐쇄된 단부는 상기 차체(11) 또는 테일게이트(12) 측에 체결된다.
홀더(22)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22)는 상기 하우징(21)에서 개방된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2)의 폐쇄시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딩된다.
접촉수단은 상기 홀더(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2)가 폐쇄되면, 상기 테일게이트(12) 또는 상기 차체(11)에 접촉된다. 상기 접촉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2)의 내부에 설치되고, 둘레일측이 상기 테일게이트(12)의 폐쇄시 상기 테일게이트(12) 또는 상기 차체(11)에 접촉되는 롤러(23)와, 상기 홀더(22)를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홀더(22)에 고정되는 샤프트(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23)는 상기 홀더(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5)은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서 상기 홀더(22)를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25)이 상기 접촉수단이 설치된 홀더(22)를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테일게이트(1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은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을 2개로 구비하여, 서로 병렬로 배치하면서, 서로 측면이 접촉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이 상기 차체(11)에 설치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2)의 개폐시 상기 유동방지유닛(20)에 의해 상기 테일게이트(12)의 유동을 장지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방지유닛(20)에서 상기 스프링(25)이 상기 홀더(22)를 상기 하우징(21)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테일게이트(12)를 닫으면, 상기 테일게이트(12)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12)에 부착된 메일플레이트(122)가 상기 유동방지유닛(20)과 접촉하기 시작한다.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유동방지유닛(20)과 접촉하면, 상기 유동방지유닛(20)의 선단에 위치한 접촉수단, 즉 롤러(23)가 상기 테일게이트(12) 또는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와 접촉된다(도 7 참조).
계속해서, 상기 테일게이트(12)가 닫히면, 상기 테일게이트(12)가 상기 롤러(23)와 상기 홀더(22)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테일게이트(12)의 폐쇄가 완료되면, 상기 홀더(22)는 상기 하우징(21)의 타단에서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상기 테일게이트(12) 쪽으로 탄성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롤러(23)는 상기 테일게이트(12) 또는 상기 메일플레이트(122)에 접촉된 상태된다.
따라서, 상기 테일게이트(12)는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탄성지지된 롤러(23)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상기 차량이 주행하더라도, 유동되지 않아, 유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된다.
아울러, 상기 롤러(23)와 상기 메일플레이트(122)는 서로 접촉하는 구조로서 종래기술과 같이 치합되지 않아도 되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마모로 인하여 유동방지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없다. 설사, 상기 롤러(23)의 표면일부가 마모되더라도,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차량 제작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테일게이트(1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11 : 차체
12 : 테일게이트
20 : 유동방지유닛
21 : 하우징
22 : 홀더
23 : 롤러
24 : 샤프트
25 : 스프링
121 : 가이드 범퍼
122 : 메일플레이트

Claims (7)

  1. 차량의 후미를 개폐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는 사이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폐쇄되면, 탄성력으로 나머지 한 쪽에 밀착되는 유동방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일단은 상기 차체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체결되고, 타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개방된 부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가 닫히면 상기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 측에 접촉되는 접촉수단과,
    상기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부위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둘레 일측이 상기 차체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 측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복수로 구비되어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유닛은 서로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에서 상기 유동방지유닛과 접하는 부위에는 메일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1020150174918A 2015-12-09 2015-12-09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20170068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18A KR20170068101A (ko) 2015-12-09 2015-12-09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918A KR20170068101A (ko) 2015-12-09 2015-12-09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01A true KR20170068101A (ko) 2017-06-19

Family

ID=5927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918A KR20170068101A (ko) 2015-12-09 2015-12-09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5220B2 (en) 2017-11-28 2021-08-10 Hyundai Motor Company Stopper apparatus for vehicle tailg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5220B2 (en) 2017-11-28 2021-08-10 Hyundai Motor Company Stopper apparatus for vehicle tail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0392A1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EP1920959A3 (en) vehicle sliding door
US9428117B2 (en) Under cover apparatus of rear bumper multi-carrier
KR20010064467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US10851577B2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s
US20170268271A1 (en) Roller apparatus
FR2888786B1 (fr) Dispositif de guidage d'une porte laterale coulissant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orte coulissante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 guidage
KR101430950B1 (ko)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KR20170068101A (ko) 유동이 방지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US20190048637A1 (en) Check link assembly and a vehicle that utilizes the check link assembly
US20200189490A1 (en) Structure of a sliding trim cover for opposite sliding doors
KR102634352B1 (ko) 테일게이트용 가이드범퍼
US8439425B2 (en) Sensor housing
FR2898632B1 (fr) Dispositif anti-pincement pour une porte battante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au moins une porte equipee d'un tel dispositif anti-pincement.
KR101572841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8708394B1 (en) Torsion rod isolator
KR20220093413A (ko) 로워 게이트 스토퍼 구조
JP6232770B2 (ja) アウトスライド扉開閉装置
KR100980663B1 (ko) 차량의 사이드슬라이딩도어 개방제한장치
JP2015160577A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2014181547A (ja) 車両用開閉装置
KR101776760B1 (ko) 운반장치의 슬라이딩 도어구조
KR101393338B1 (ko)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10195461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닫힘 방지구조
KR20080047750A (ko) 자동차용 데크 게이트 힌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