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779A -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779A
KR20170067779A KR1020177010085A KR20177010085A KR20170067779A KR 20170067779 A KR20170067779 A KR 20170067779A KR 1020177010085 A KR1020177010085 A KR 1020177010085A KR 20177010085 A KR20177010085 A KR 20177010085A KR 20170067779 A KR20170067779 A KR 2017006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unit
output
currenc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천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루루여우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루루여우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루루여우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a payment switch or gatew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출원의 목적은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그 결제와 유통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고(S11); 인코딩 처리를 통해 화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며(S12);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한다(S13).

Description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CURRENCY}
본 발명은 인터넷 금융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화폐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90 년대에 이르러, 국제 인터넷이 신속히 보편화되어 대학, 과학 연구 기관으로부터 기업 및 가정에 점차적으로 보급되었고, 그 기능 또한 정보 공유로부터 대중화된 정보 전파 수단으로 거듭나면서, 상업 무역 활동도 점차적으로 이 왕국에 도입되었다. 인터넷 사용을 통해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상업 기회의 창출도 이루어짐으로써, 전자 상거래 기술이 발전되어 점차적으로 인터넷 응용에서 가장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전자 상거래라는 이 시장 트랜드에 순응하기 위해, 전자 결제, 온라인 결제 등 결제 방식이 함께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은 개방된 시스템 플랫폼이므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결제와 이체 등과 같은 거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계좌, 특히 전자 계좌 내의 화폐에 대한 도용 등 범죄 행위가 종종 발생하여,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 전자 계좌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키고 그 결제와 유통에 대한 제어를 실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출원은 전자 화폐 결제와 유통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의한 전자 화폐 처리 방법에는,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전자 화폐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바, 해당 장치에는 제1 장치, 제2 장치 및 제3 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제1 장치는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장치는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실시에는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의 액면을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고, 각 화폐 유닛에 대해 “인코딩”을 수행하여 고유한 유닛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유닛 식별 정보와 화폐 액면을 연동시킨다. 화폐 수금 또는 이체를 진행하는 경우에, 계좌 변동 액면 정보가 수신되는 동시에 그와 연동된 유닛 식별 정보도 수신된다. 유닛 식별 정보에 대한 추적을 통해, 전자 화폐 결제와 유통에 대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이점은 하기 첨부 도면을 참조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1: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한다.
단계 S12: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S13: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에서, 전자 화폐는 결제에 사용 가능한 화폐를 의미하며, 1) 선불카드, 신용 카드, 전자 수표, 전자 지갑 등 결제 방식이 포함되는 전자화 방식을 통해 결제되는 화폐, 2) Q 코인, Baidu 코인 등과 같은 가상 화폐, 및 3) 적립 포인트, 상품권, 할인권 등과 같은 형태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화폐 유닛은 전자 화폐 결제 및 유통과 갈라놓을 수 없는 화폐량을 의미하며, 천원, 백원, 원, 십전, 전 등을 비롯한 화폐의 기본 단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이한 전자 화폐의 화폐 단위는 예정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화폐 발행 기관에서 전자 화폐 발행 시에 해당 화폐 단위에 어떤 단위들이 포함되는지를 미리 제정한다. 상이한 화폐 단위는 상이한 액면을 가짐으로써, 상이한 결제와 유통 상황을 만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전, 십전, 원을 단위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1전, 2전, 5전, 10전, 20전, 50전, 1원, 2원, 5원, 10원, 50원, 100원 등 화폐 단위가 있을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전자 화폐와 화폐 단위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전자 화폐 또는 화폐 단위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타입의 전자 화폐의 화폐 단위는 내림 차순으로 총 3개의 레벨이 존재하고, 각각 α, β, γ로 표시되며, 여기서 α는 최대 레벨이고 βα의 십분의 일에 해당하는 단위이며 γα의 백분의 일에 해당하는 단위라고 가정한다. 만약 단계 S11에서 사용자 A가 어느 한 타입의 전자 화폐 e-money-A를 소지하고 있고 이때 계좌 내의 전자 화폐 총액은 sum-A=
Figure pct00001
이며 여기서 a 1 , a 2 , a 3 은 모두 정정수이면, 사용자 A 계좌 내의 전자 화폐 e-money-A를 각각 α, β, γ 등 세 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A 계좌 내의 전자 화폐 e-money-A를 각각 α, β 등 두 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 내의 해당 전자 화폐의 총액 sum-A는 화폐 단위로 표시되면 다음과 같다.
sum-A= =
Figure pct00002
.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폐 유닛은 화폐 단위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전자 화폐의 액면과도 관련되는바, 즉 각 화폐 유닛은 액면이 화폐 단위인 화폐이다. 사용자 A의 전자 화폐 총액이 sum-A=
Figure pct00003
인 예를 들어, 만약 선택된 화폐 단위가 α, β, γ이면, 화폐 유닛의 개수는 a1+a2+a3이고, 만약 선택된 화폐 단위가 α, β이면, 화폐 유닛의 개수가 a 1 +a 2 + 0.1a 3 이다. 예를 들면, 화폐 단위가 100원인 경우, 200은 두 개의 화폐 유닛에 대응되므로, 후속적으로 각각 두 개의 유닛 식별 정보에 대응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2에서, 상기 코딩 처리는 화폐 유닛에 대한 인코딩을 의미하며, 인코딩을 거친 데이터에는 발송자의 신분 정보가 포함되고, 인코딩은 디지털 서명 등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의 완정성을 보장하고, 발송자의 신분을 인증하며, 거래 중의 부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닛 식별 정보는 인코딩 처리를 거친 상기 화폐 유닛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숫자, 부호 및 이들의 조합 등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코딩 방법과 유닛 식별 정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코딩 방법과 유닛 식별 정보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화폐에 대한 “인코딩”을 통해, 그 결제와 유통에 대한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전자 계좌 기반의 도용 등 범죄 행위를 효율적으로 제지하고 전자 계좌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1에서 사용자 A 계좌 내의 전자 화폐 e-money-A를 분할하여 획득한 화폐 유닛이 α, β, γ라고 가정하면, 단계 S12에서 시스템이 디지털 서명을 통해 해당 화폐 유닛에 대해 디지털 서명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획득된 화폐 유닛 α, β, γ 각각의 유닛 식별 정보는 각각 identify-α- a 1 , identify-β- a 2 , identify-γ- a 3 이다.
여기서,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은 또한 액면이 비교적 큰 화폐 유닛에 대해서만 “인코딩”을 수행하고 액면이 너무 낮은 화폐 유닛에 대해서는 “인코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인코딩 처리로 인해 필요한 오버헤드(예를 들면 장치의 오버헤드 등)과 계좌 보안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상기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3에서,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자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상기 예에 이어, 단계 S13에서,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의 하나의 실예는 표1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4
해당 계좌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좌의 잔액 및/또는 그 구성을 표시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비록 동일한 액면의 화폐 단위의 상이한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는 모두 identify-α- a 1 로 표시되나, 실제 인코딩 내용은 상이하다. 예를 들면, 두 개의 α의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는 상이하다.
해당 방법의 각 단계 사이는 지속적으로 부단히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시키고, 단계 S12는 지속적으로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며, 단계 S13은 지속적으로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한다. 여기서,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지속적”은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것을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내에 정지할 때까지 각 단계들 사이에서 각각 부단히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고 인코딩 처리를 통해 화폐 유닛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며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단계 S11에서,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따라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한다.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은 상기 전자 화폐의 화폐 단위(예를 들면 백원, 천원 또는 만원 등) 및 최소 화폐 단위 등에 기반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포함되는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포함되는 내용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은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장치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해당 방법에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계좌의 결제 또는 이체 기록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좌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폐 단위를 확정하여 해당 화폐 단위를 상기 전자 화폐에 대해 분할을 수행하는 화폐 유닛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 계좌의 결제, 이체 등 기록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 이어,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 결제 또는 이체 기록이 사용자 A가 α 레벨의 화폐 단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상기 유닛 분할 규칙에는 단지 α 레벨의 화폐 단위만 포함된다고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은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함으로써, 후속적인 결제 또는 이체 시의 조합 조작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해당 방법에는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계좌 입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한 조작의 데이터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변경하려는 화폐 액면, 해당 유닛 식별 정보 및 변경 방향(증가 또는 감소)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결제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결제측에서 발송한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계좌가 기타 제3자 계좌에 대해 발송하는 이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이체를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우선 시스템은 결제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사용자 B의 결제 플랫폼에서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발송한 이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상기 계좌 입력 정보 내의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를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사용자 B의 결제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이체 정보를 발송하는바,
Figure pct00005
액면 금액을 이체하고 그 유닛 식별 정보가 identify-α- b1이면, 이때 해당 계좌 입력 정보 내의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를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추가하여 하기 표2에 표시된 바와 같은 계좌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 따르면, 여기에 b1개의 상이한 identify-α- b1이 존재하고 identify-α- b1에 사용자 B의 정보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2)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단지 변동 금액만 포함되고, 해당 유닛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우선 단계 S11 내지 S13의 방식에 따라 해당 금액에 대해 인코딩 처리를 수행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 추가된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하고, 다음으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 추가된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를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추가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이 사용자 C의 결제 플랫폼 측에서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발송한 이체 정보를 수신하였으나 해당 부분의 계좌 입력 정보 내의 전자 화폐에 대해 분할 및 인코딩 처리가 되어있지 않으면, 우선 단계 S11 내지 S13의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 추가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하는바, 예를 들어 이체 액면이
Figure pct00007
이고, 그 유닛 식별 정보가 identify-β- c 1 이면 최종적으로 얻은 업데이트된 후의 계좌 상태 정보는 하기 표3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8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 따르면, 여기에 c1개의 상이한 identify-α- b1이 존재하고 identify-α- b1 내에 사용자 B의 정보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포함된다.
단계 S21: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한다.
단계 S22: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S23: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단계 S24: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한다.
단계 S25: 상기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의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하되,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각 화폐 유닛의 액면의 합계는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출력 액면 요청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단계 S26: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단계 S21, 단계 S22 및 단계 S23은 각각 도 1의 실시예의 해당 단계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중복하여 설명하지 아니하며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24에서,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는 이체, 결제 요청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경우, 그가 기차표 한장을 온라인으로 구입하기 위해 결제해야 할 금액이
Figure pct00009
이며 그의 사용자 계좌를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단계 S24에서 시스템은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해당 지불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예에 이어, 사용자 A의 계좌 상태 정보가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제해야 할 금액이
Figure pct00010
이라고 가정하면, 단계 S25에서 해당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표1에 표시된 바와 같은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의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에서 각 화폐 유닛의 액면 합계가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출력 액면 요청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만약 a 2 ≥m, a 3 n이면, 단계 S25에서 확정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은
Figure pct00011
또는
Figure pct00012
일 수 있다. 확정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Figure pct00013
이라고 가정하면, 단계 S26에서, 해당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여 지불을 완성하고 상기 표1에 표시된 계좌 상태 정보로부터
Figure pct00014
를 삭제하여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된 계좌 상태 정보는 하기 표4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15
또한, 만약 a 2 <m 또는 a 3 n이면, α, β, γ에 대응되는 액면은 자리 빌림을 통해 분할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상기 표1에 표시된 바와 같은 계좌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액면을 (a 1 - 1)α +(a 2 + 9)β +(a 3 + 10)γ로 표시하며, (a 2 +9)≥m, (a 3 +10)≥n이므로, 이때 여전히
Figure pct00016
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S26 수행 완료 후, 업데이트된 계좌 상태 정보는 하기 표5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17
또한, a 2 m 사이, 및 a 3 n 사이의 대소 관계에 상관없이, 단계 S25에서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액면과 출력 액면을 통일적으로 한가지 화폐 유닛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표1에 표시된 계좌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액면을
Figure pct00018
으로 표시하고 출력 액면을
Figure pct00019
으로 표시함으로써, 확정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은
Figure pct00020
또는
Figure pct00021
일 수 있다.
물론,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수금 측의 계좌에 하기 표6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추가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Figure pct00022
해당 단계에서 m×β, n×γ가 사용자 A의 a 2 ×β, a 3 ×γ에서 유래되나, 사용자 A가 해당 m×βn×γ을 수금 측에 이체하는 경우, 시스템이 m×βn×γ에 대해 자신의 유닛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바, 즉 identify-β-midentify-β-a 2 와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계 S26에서 또한 우선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제한조건에는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화폐 유닛이 다음과 같은 조건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1)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의 유통 빈도 정보가 유통 빈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이로써,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의 유통 횟수를 제한하여 계좌 보안을 한 단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단계 S25에서 확정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은
Figure pct00023
이고, 해당 출력 유닛 조합 내의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가 identify-β-m, identify-γ- n이며, 각자에 대응되는 유통 빈도 정보가 각각 1회/일, 3회/일이고 유통 빈도 임계값이 5회/일이며 모두 해당 유통 빈도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가정하면, 단계 S26에서 시스템이 해당 출력 유닛 조합
Figure pct00024
이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해당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할 수 있다.
2)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목표 출력 계좌가 상기 화폐 유닛의 최신 소스 계좌의 신뢰 계좌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 출력 계좌는 바로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수신 계좌이고, 상기 최신 소스 계좌는 하나의 화폐 유닛이 어느 한 계좌에 체류하고 있는 시간이 일정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즉 실질적으로 해당 계좌가 합법적인 경로를 통해 해당 화폐 유닛을 획득한 것으로 가정한다), 해당 계좌가 해당 화폐 유닛의 새로운 소스 계좌라고 인정할 수 있다. 신뢰 계좌 사이의 화폐 이전은 “유통 빈도”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여 보안과 간편성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3)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가 없다. 예를 들면, 액면이 너무 작은 화폐 유닛의 경우, 그 유통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아울러 그에 대해 표시할 필요가 없는바, 해당 유닛 식별 정보가 없는 화폐 유닛은 바로 액면이 예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화폐 유닛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단계 S25에서 시스템에 의해 확정된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은
Figure pct00025
이고 해당 출력 유닛 조합 내의 화폐 유닛 γ은 그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가 없다고 가정하면, 단계 S26에서, 시스템은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한다.
4) 상기 출력 유닛 조합에서, 유닛 식별 정보가 없는 모든 화폐 유닛의 액면 합계가 신뢰 액면 임계값보다 낮다. 이러한 방식은 작은 액면의 화폐 유닛의 누적 합산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계좌 리스크를 제어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출력 제한 조건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해당 방법에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그의 사용자 계좌를 통해 어느 한 계좌에 수차례 이체한 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시스템은 해당 “어느 한 계좌”를 해당 계좌의 “신뢰 계좌”로 설정할 수 있어, 신뢰 계좌 사이의 화폐 이전이 “유통 빈도”의 제한을 받지 않아 보안과 간편성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서, 유닛 식별 정보가 인코딩을 통해 획득되고 인코딩에는 발송자의 정보가 포함되므로, 상이한 사용자로부터 유래되는 동일한 화폐 유닛, 심지어는 동일한 액면의 화폐의 경우 그 유닛 식별 정보가 상이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A 계좌 내의 8개의 100원에 각각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와 사용자 B 계좌 내의 8개의 100원에 각각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가 상이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하나의 실제 케이스에 의해 상기 실시예에 대해 해석하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A 계좌에 876원이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A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각각 100원, 10원, 1원 등 세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사용자 A의 사용자 상태 정보는 표7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는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 내에 8개의 100원이 있고 그 유닛 식별 정보는 각각 Identify1A이며(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비록 동일한 하나의 식별자로 표시되나 정보 스트림은 실제로 동일함), 7개의 10원이 있고 그 유닛 식별 정보는 각각 Identify2A이며, 6개의 1원이 있고 그 유닛 식별 정보는 각각 Identfiy3A이다.
사용자 A가 그 중의 212원을 사용자 B에게 이체하는 경우, 사용자 A의 사용자 상태 정보는 표8과 같이 변경된다.
Figure pct00027
이때 사용자 B의 사용자 상태 정보에는 하기 표9와 같은 정보가 추가되며, 현재 사용자 B의 계좌 내에 2개의 100원이 새로 추가되되 그 유닛 식별 정보는 바로 사용자 A 계좌 내의 식별 정보이며 Identify1A로 표기될 수도 있으나 해당 두개의 Identify1A는 사용자 A 계좌 내에 남은 6개의 Identify1A와 상이하며(이하 이와 유사한 경우에 대해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음), 하나의 10원이 있고 그 유닛 식별 정보는 여전히 Identify2A이며, 2개의 1원이 있고 그 유닛 식별 정보는 모두 Identfiy3A이다.
Figure pct00028
만약 사용자 A가 그 중의 90을 사용자 B로 이체하는 경우, 사용자 A의 사용자 상태 정보는 하기 표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Figure pct00029
이때 사용자 B의 사용자 상태 정보에는 하기 표1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추가된다.
Figure pct00030
만약 사용자 A가 사용자 C의 121원을 수금하는 경우, 사용자 A의 사용자 상태 정보는 표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Figure pct00031
이때, 사용자 A가 어느 하나의 100원이 분실된 것을 발견한 경우, 해당 유닛 식별 정보를 추적함으로써 해당 100원의 경로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여전히 사용자 A가 876원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때 선택된 화폐 단위가 1원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A의 계좌 정보가 876개의 1원인 화폐 유닛으로 분할되어 각각 876개의 상이한 유닛 식별 정보에 대응된다. 사용자 A가 그 중의 55원을 사용자 B로 이체하는 경우, 사용자 A의 계좌 내에 821개의 상이한, 해당 액면이 1원인 유닛 식별 정보만 남게 되고, 사용자 B의 계좌 내에는 55개의 상이한, 해당 액면이 1원인 유닛 식별 정보가 추가된다. 사용자 A가 사용자 C로부터 이체된 67원을 수금하는 경우, 사용자 A의 계좌 내에는 67개의 상이한, 해당 액면이 1원인 유닛 식별 정보만 추가되어, 도합 943개의 상이한, 해당 액면이 1원인 유닛 식별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루 사용자 A가 자신의 계좌 내에서 AAAAA로 표시된 1원의 금액이 분실된 것을 발견하면, 사용자 A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어, 시스템 관리자가 AAAAA로 표시된 해당 1원 금액의 유통 경로를 직접 찾아내어 AAAAA로 표시된 해당 1원 금액을 직접 동결시킬 수 있으며, 만약 AAAAA로 표시된 해당 1원 금액이 결과적으로 사용자 C의 계좌 내에 있으면, 사용자 C는 해당 1원 금액에 대한 동결이 해제되기 전까지 해당 1원 금액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 A가 876원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때 선택된 화폐 유닛이 100원, 10원, 1원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A의 계좌 정보를 액면이 100원인 8개의 화폐 유닛, 액면이 10원인 7개의 화폐 유닛, 액면이 1원인 6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할 수 있는바, 즉 도합 21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 가능하며 각각 21개의 상이한 유닛 식별 정보에 대응된다. 여기서, 사용자 A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의 대응 관계는 하기 표13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32
만약 이때 사용자 C에 의해 이체된 356원을 수금하면, 사용자 A는 35개의 화폐 유닛을 소지하게 되고 각각 35개의 상이한 유닛 식별 정보에 대응되며, 여기서 11개의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액면은 100원이고, 13개의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액면은 10원이며, 12개의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액면은 1원이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사용자 A의 최종 사용자 잔액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야 할 경우 여전히 통상적인 표시 방식에 따라, 즉 1231원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만약 이때 사용자 A가 사용자 B로 55원을 이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A가 소지하고 있는 해당 액면이 10원인 화폐 유닛이 7개이고 해당 액면이 1원인 화폐 유닛이 6개인바 모두 5보다 크므로, 이와 상응하게 해당 액면이 10원 및 1원인 화폐 유닛 개수를 줄이고 사용자 A의 계좌 내에서 해당 유닛 식별 정보를 삭제하기만 하면 된다.
만약 사용자 A가 사용자 B로 99원을 이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A가 소지하고 있는 해당 액면이 10원 및 1원인 화폐 유닛 개수가 9보다 작으므로, 상위 화폐 유닛에 대한 자리 빌림을 통해 분할할 수 있는바, 즉 해당 액면이 100원인 하나의 화폐 유닛을 해당 액면이 10원인 9개의 화폐 유닛 및 해당 액면이 1원인 10개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한 후 화폐 유닛의 양도를 수행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이때 사용자 A의 계좌 내에서 해당 액면이 100원인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덜어내는 동시에 해당 액면이 10원인 9개의 유닛 식별 정보 및 해당 액면이 1원인 유닛 식별 정보를 추가해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해당 액면이 10원인 9개의 유닛 식별 정보 및 해당 액면이 1원인 10개의 유닛 식별 정보에 대해 그 유래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유닛 식별 정보의 유래가 해당 액면이 100원인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라고 지시한다. 계속하여 예를 들어, 이때 identify1A에 대응되는 화폐 유닛을 해당 액면이 10원인 9개의 화폐 유닛 및 해당 액면이 1원인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되 해당 유닛 식별 정보가 각각 identify22A-identify30A 및 identify31A-identify40A이라고 가정하면, identify22A-identify40A에 identify1A의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시스템에서 사용자 A의 사용자 상태 정보로부터 identify1A를 삭제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이 응당 분할 일지를 보류하여 추적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의 화폐 유닛을 분할함에 있어서 전반 전자 화폐 처리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모든 사용자 계좌에 대해 동일한 화폐 유닛 분할 원칙을 적용해야 하지만 특수한 경우에 특정 특징을 갖는 어느 한 그룹의 사용자 또는 어느 한 사용자에 대해 특별한 화폐 유닛 분할 원칙을 적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 처리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제1 장치(111), 제2 장치(112) 및 제3 장치(113)가 포함되되,
상기 제1 장치(111)는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장치(112)는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장치(113)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네트워크 장치, 사용자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되어 구성된 장치가 포함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네트워크 호스트, 단일 네트워크 서버, 다중 네트워크 서버 집합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컴퓨터 집합 등이 포함되어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다량의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구성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분산식 컴퓨팅의 한 가지로서 분산 커플링된 하나의 컴퓨터 집합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슈퍼 가상 컴퓨터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핸드라이팅 장치 등 방식을 통해 사용자와 맨-머신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한 가지 전자 제품일 수 있는바, 컴퓨터, 핸드폰, PDA, 포켓 PC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는 인터넷, 광역 네트워크, 도시 지역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VPN 네트워크, 무선 자가 구성 네트워크(Ad Hoc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전자 화폐 처리 장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전자 화폐 처리 장치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은 모두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저장된 지령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컴퓨팅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며, 그 하드워에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디지털 프로세서(DSP), 내장 디바이스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제1 장치(111)는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따라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상기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은 전자 화폐 처리 장치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화폐 처리 장치와 상호 연결된 장치 내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그 내용에는 상기 전자 화폐가 어느 화폐 단위들(예를 들면 백원, 천원 또는 만원 등)을 포함하는지 및 최소 화폐 단위가 무엇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포함되는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포함되는 내용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제8 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계좌의 결제 또는 이체 기록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좌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폐 단위를 확정하여 해당 화폐 단위를 상기 전자 화폐에 대해 분할을 수행하는 화폐 유닛으로 정함으로써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 계좌의 결제, 이체 등 기록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 이어, 사용자 A의 사용자 계좌 결제 또는 이체 기록에는 사용자 A가 α 레벨의 화폐 단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가정하면, 제8 장치는 상기 유닛 분할 규칙에 단지 α 레벨의 화폐 단위만 포함된다고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은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함으로써, 후속적인 결제 또는 이체 시의 조합 조작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9 장치(미도시) 및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제10 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제9 장치는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결제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결제측에서 발송한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화폐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화폐 처리 장치의 예시도이며, 해당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포함된다.
제1 장치(211):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장치(212):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장치(213):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된다.
제4 장치(214):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5 장치(215): 상기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의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각 화폐 유닛의 액면 합계가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출력 액면 요청보다 크거나 같다.
제6 장치(216):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제1 장치(211), 제2 장치(212) 및 제3 장치(213)는 각각 도 3의 실시예의 해당 장치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중복하여 설명하지 아니하며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타 기존의 또는 향후에 출현 가능한 출력 제한 조건도 본 출원에 적용 가능한 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됨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자 화폐 처리 장치에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7 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CPU), 입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저장 매체로 구성된 하드웨어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영구적 및 비 영구적인 매체, 이동 가능 및 이동 불가능한 매체가 포함되며, 컴퓨터의 저장 매체의 예로는 상변화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기타 타입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읽기 전용 광학 디스크(CD-ROM), 디지털 멀티 기능 광학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메모리, 카세트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메모리 또는 기타 마그네틱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기타 비전송 매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접속 가능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지령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지령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나,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지령을 실행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입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실현한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의 사상 또는 기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기타 구체적인 형태로 본 출원을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어느 측면으로부터 보는지에 상관없이 실시예를 모두 예시적인 것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명세서가 아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므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구성 요소의 의미와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내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관련 청구항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또한, 용어 “포함”은 기타 유닛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고 단수의 표현은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는다. 장치 청구항에 기재된 복수의 유닛 또는 장치도 하나의 유닛 또는 장치에 의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 용어는 명칭을 지칭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임의의 특정된 순서를 표시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화폐 유닛은 화폐 단위 및 화폐의 액면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자 화폐 총액이 sum-A=
    Figure pct00033
    이며 여기서 a 1 , a 2 , a 3 가 모두 정정수이며 α, β, γ가 화폐 단위인 경우, 화폐 유닛의 수량은 a 1 +a 2 +a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화폐 단위는 천원, 백원, 원, 십전, 전, 1전, 2전, 5전, 10전, 20전, 50전, 1원, 2원, 5원, 10원, 50원, 100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의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각 화폐 유닛의 액면의 합계는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출력 액면 요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의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하는 단계에는,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한 조건에는,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화폐 유닛이,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의 유통 빈도 정보가 유통 빈도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목표 출력 계좌가 상기 화폐 유닛의 최신 소스 계좌의 신뢰 계좌에 속하는 조건; 상기 화폐 유닛에 대응되는 유닛 식별 정보가 없는 조건; 및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유닛 식별 정보가 없는 모든 화폐 유닛의 액면의 합계가 신뢰 액면 임계값보다 작은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에는
    예정된 유닛 분할 규칙에 따라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11. 청구항 1 내 청구항 10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는,
    상기 계좌 입력 정보 내의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를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는,
    상기 계좌 입력 정보 내의 분할 대기 전자 화폐에 대해 분할 및 인코딩 처리를 수행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 추가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신규 추가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를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방법.
  14. 제1 장치, 제2 장치 및 제3 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제1 장치는 사용자 계좌 내의 전자 화폐를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장치는 인코딩 처리를 통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화폐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 식별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상태 정보를 구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는 인코딩 처리된 상기 화폐 유닛의 유닛 식별 정보와 액면 사이의 대응 관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계좌 출력 요청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4 장치;
    상기 계좌 출력 요청 및 상기 계좌 상태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화폐 유닛을 포함하는 출력 유닛 조합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5 장치; 및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을 출력하고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제6 장치가 더 포함되되,
    상기 출력 유닛 조합 내의 각 화폐 유닛의 액면 합계가 상기 계좌 출력 요청에 대응되는 출력 액면 요청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확정하고 상기 출력 제한 조건을 제6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 유닛 조합이 출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7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에 대응되는 계좌 출력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상기 화폐 유닛 분할 규칙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8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장치.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좌의 계좌 입력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9 장치; 및
    상기 계좌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제10 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화폐 처리 장치.
KR1020177010085A 2015-03-02 2016-03-02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67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93393.XA CN105989474A (zh) 2015-03-02 2015-03-02 一种用于处理电子货币的方法与设备
CN201510093393.X 2015-03-02
PCT/CN2016/075365 WO2016138862A1 (zh) 2015-03-02 2016-03-02 一种用于处理电子货币的方法与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79A true KR20170067779A (ko) 2017-06-16

Family

ID=5684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085A KR20170067779A (ko) 2015-03-02 2016-03-02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60260089A1 (ko)
EP (1) EP3267382A4 (ko)
JP (1) JP2017535011A (ko)
KR (1) KR20170067779A (ko)
CN (1) CN105989474A (ko)
BR (1) BR112017007304A2 (ko)
RU (1) RU2017112732A (ko)
TW (1) TW201633236A (ko)
WO (2) WO2016138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6957A1 (en) * 2015-10-16 2017-04-19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enabling asset leasing on a token enabled payment card
US10769599B2 (en) * 2016-05-09 2020-09-08 Vadim Sobolevski Method for conducting monetary and financial transactions by treating amounts as collections of distinct units of account
CN108122100A (zh) * 2016-11-28 2018-06-05 张家界航空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金融交易中货币的交易/流通方法
CN107103471B (zh) * 2017-03-28 2020-06-30 上海瑞麒维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确定交易合法性的方法及装置
EP3685335A4 (en) * 2017-09-21 2021-06-16 The Authoriti Network, Inc. TRANSACTION AUTHORIZATION AND VALIDATION TOKEN GENERATION SYSTEM AND PROCESS
US10819519B2 (en) 2017-11-21 2020-10-27 Protegrity Corporation Multi-tenant data protection in a centralized network environment
US20190197518A1 (en) * 2017-12-22 2019-06-27 Mastercard Asia/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using stored value tokens
US11443317B2 (en) * 2018-12-19 2022-09-13 Salt Blockchain Inc. Tracing flow of tagged funds on a blockchain
CN111966277B (zh) * 2020-08-17 2022-03-01 陶丽萍 一种数字货币的展示方法、装置和设备
US11887108B2 (en) * 2021-10-01 2024-01-30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 and user interface of a user device for managing tokens associated with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0585A0 (en) * 1997-04-01 1997-08-14 Teicher Mordechai Countable electronic monetary system and method
JP2002073972A (ja) * 2000-08-31 2002-03-12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商取引システム
EP1354302A2 (en) * 2000-12-09 2003-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ging of electronic payment units
JP3762691B2 (ja) * 2001-11-27 2006-04-05 株式会社スカイパーフェク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通貨の処理方法、及び、受信端末
JP3989762B2 (ja) * 2002-04-12 2007-10-10 Kddi株式会社 電子マネー決済システム
JP2004240858A (ja) * 2003-02-07 2004-08-26 Nec Corp 電子マネーシステム、電子マネー交換サーバ及び携帯端末
CN101069204A (zh) * 2004-08-19 2007-11-07 托马斯·梅雷迪思 提供进行电子交易的现金和现金等价物的方法
US20090125387A1 (en) * 2004-12-07 2009-05-14 Bcode Pty Limited Electronic Commer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1188004A (zh) * 2006-11-16 2008-05-28 汪涛 基于用户名系统的全球电子货币系统及方法
JP2009151692A (ja) * 2007-12-21 2009-07-09 Hitachi Ltd 電子マネーバンクシステムおよび端末
CN102147945A (zh) * 2010-02-09 2011-08-10 张永钢 一种电子货币交易系统
WO2013186425A1 (en) * 2012-06-15 2013-12-19 Aitico Oy A money transa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3236A (zh) 2016-09-16
BR112017007304A2 (pt) 2018-04-10
JP2017535011A (ja) 2017-11-24
CN105989474A (zh) 2016-10-05
WO2016138606A1 (en) 2016-09-09
RU2017112732A (ru) 2018-10-15
RU2017112732A3 (ko) 2018-10-15
EP3267382A1 (en) 2018-01-10
EP3267382A4 (en) 2018-01-10
US20170169405A1 (en) 2017-06-15
US20160260089A1 (en) 2016-09-08
WO2016138862A1 (zh)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7779A (ko) 전자 화폐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20366491A1 (en) Incrementally perfected digital asset collateral wallet
US11899809B2 (en) Proof-of-approval distributed ledger
CN109089428B (zh) 数字资产零保管转换
RU274449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смарт-контракта в цепочке блоков
US20120317034A1 (en) Transparent virtual currency using verifiable tokens
EP327828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US10997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inventory management and recordkeeping using multi-tiered distributed network transactional database
US11645633B2 (en) Electronic funds transfers based on automatic cryptocurrency transactions
US20200394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US11972432B2 (en) Risk determination enabled crypto currency transaction system
EP4060583A1 (en)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Bhattacharya et al. A blockchain based peer-to-peer framework for exchanging leftover foreign currency
WO2020014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torage of digital assets to facilitate electronic transactions
US11823177B2 (en) Smart contract of a blockchain for management of cryptocurrencies
US11403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US11868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Citta et al. SWOT analysis of financial technology in the banking industry of south sulawesi: Banking survey in South Sulawesi
KR102283627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대출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CN105659267B (zh) 一种用于处理电子货币的方法与设备
Bhatt What’s new in computers: Cryptocurrencies: An introduction
Victory et al. Review of Peer-to-Peer (P2P) Lending Based on Blockchain
Monkiewicz et al. Digital finance: systemic framework
CN116681533A (zh) 一种交易数据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JP2021047569A (ja) マルチウォレ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