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100A -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100A
KR20170067100A KR1020150173564A KR20150173564A KR20170067100A KR 20170067100 A KR20170067100 A KR 20170067100A KR 1020150173564 A KR1020150173564 A KR 1020150173564A KR 20150173564 A KR20150173564 A KR 20150173564A KR 20170067100 A KR20170067100 A KR 20170067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drying
partition wall
ai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563B1 (ko
Inventor
백성기
백도웅
Original Assignee
백성기
백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기, 백도웅 filed Critical 백성기
Priority to KR102015017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5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다습한 기간에 내부열과 외부열에 의한 고온 현상으로 건조물이 익어서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가 빈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유동로(201)를 형성하는 수평 분할벽(200)과,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히터(300)와,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끝단에 설치되고 흡기 유동로(401)를 형성하는 내부 격벽(400)과, 상기 내부 격벽(400)에 설치되는 다수의 흡입팬(500)과, 상기 건조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기계실(600)과, 상기 흡기 유동로(4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700)와,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외기(800)와,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ING APPARATUS APPLYING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농수산물을 건조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다습한 기간에 내부열과 외부열에 의한 고온 현상으로 건조물이 익어서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 고추 등과 같은 농산물과 어패류와 같은 수산물은 필요에 따라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건조에 농산물 건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농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에 건조시키고자 하는 농산물이 위치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건조실과, 건조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장치와, 히터장치에서 가열된 건조공기를 건조실내로 이송시키는 이송통로와, 건조실 내부에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이송통로로 순환시키는 송풍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농산물 건조기는 히터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강제로 이송통로를 통해 건조실의 내부로 공급되어 순환되면서 건조실 내부에 배치된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건조 장치의 일예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등록특허 제10-126690호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가 있으며, 이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농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가 빈 건조실(10)과, 상기 건조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 분할벽(20)과, 상기 수직 분할벽(20)에 설치되고 공기 유동로(31)를 형성하는 수평 분할벽(30)과, 상기 수평 분할벽(30)의 상면에 설치되는 히터(40)와, 상기 수평 분할벽(30)의 끝단에 설치되고 흡기 유동로(51)를 형성하는 내부 격벽(50)과, 상기 내부 격벽(50)에 설치되는 강제 흡입 순환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10)은 내부에 농산물이 적재된 다수의 적재 팔레트를 수용하는 건조공간(11)을 갖고 전면에 한 쌍의 전면도어(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중공된 사각 입방체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공기와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단열재가 벽의 내부에 구비되어 밀폐된 상기 건조공간(1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 분할벽(20)은 상기 건조실(10)의 내부에 수직으로 밀폐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도어(12)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실(10)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분할벽(30)은 상기 수직 분할벽(20)의 상부 양측과 상기 건조실(10)의 내벽 사이에 수평으로 밀폐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선단과 끝단이 상기 건조실(10)의 내벽과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의 내측 상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기 건조실(10)의 내측 상부 공간에 상기 공기 유동로(3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터(40)는 상기 수평 분할벽(30)의 상면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31)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격벽(50)은 상기 수평 분할벽(30)의 끝단과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의 내측 끝단에 상기 흡기 유동로(5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강제 흡입 순환부(6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제 흡입 순환부(60)는 상기 내부 격벽(50)에 상하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61)과 상기 설치공(61)에 설치되는 흡입팬(62)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흡입팬(62)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11)의 내부의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여 상기 흡기 유동로(51)를 통해 상기 공기 유동로(31)를 지나 다시 상기 건조공간(11)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농산물 건조 장치는 통상 섭씨 40도 내외의 열풍으로 농수산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연중 5월부터 9월까지의 고온다습하여 외부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간에 40도 내외의 열풍으로 가열하는 중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외부열, 흡입팬 등에서 발생하는 기계열, 순환되는 공기가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공기마찰열 및 건조물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해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으로 상승되고,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에 건조를 위해 수용된 농수산물이 50도 이상의 열기에 의해 그 외면이 익으면서 변색 및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6690호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2013.05.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다습한 기간에 내부열과 외부열에 의한 고온 현상으로 건조물이 익어서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필터를 설치하여 실내기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도록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제거부를 설치하여 여과필터의 먼지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에 농수산물을 수용하는 건조공간을 갖고, 전면에 전면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1 댐퍼가 설치되고, 상면 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2 댐퍼가 설치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내측 상부에 공기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내부 측벽 사이에 수평으로 밀폐되게 설치되고, 선단과 끝단이 상기 건조실의 내벽과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평 분할벽과; 상기 수평 분할벽의 상면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동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실의 내측 끝단에 흡기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분할벽의 끝단과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내부 격벽과; 상기 내부 격벽에 상하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공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다수의 흡입팬과; 상기 건조실의 상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면도어의 상부로 전면에 제3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댐퍼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댐퍼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흡기 유동로의 내부로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흡입팬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에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실외기와; 상기 건조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와 흡입팬을 가동시키며, 상기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의 가동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흡입팬의 상부와 상기 실내기의 하부 사이로 상기 내부 격벽과 상기 건조실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에서 흡입되어 상기 실내기로 유동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건조실은, 상기 여과필터와 흡입팬의 하부로 상기 내부 격벽에서 상기 건조실의 배면 내벽의 하단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포집판과, 상기 포집판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실의 배면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배출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여과필터는, 그 양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격벽과 건조실의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여과필터가 상기 건조실의 배면 내벽을 관통하여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실의 배면 내벽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여과필터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삽탈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에 점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여과필터의 하면 일측에 장착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실내기의 상부로 상기 내부 격벽과 건조실 내벽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5 댐퍼와, 상기 밀폐판과 건조실을 관통하여 상기 건조실의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건조실의 외부로 상기 공기분사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온다습한 기간에 내부열과 외부열에 의한 고온 현상으로 건조물이 익어서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그에 따라 고온다습한 기간에도 농수산물의 건조가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필터를 설치하여 실내기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고, 그에 따라 실내기의 잦은 교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제거부를 설치하여 여과필터의 먼지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여과필터의 잦은 교체가 불필요해지고 여과필터의 유지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종래의 농산물 건조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내부가 빈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 유동로(201)를 형성하는 수평 분할벽(200)과,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히터(300)와,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끝단에 설치되고 흡기 유동로(401)를 형성하는 내부 격벽(400)과, 상기 내부 격벽(400)에 설치되는 다수의 흡입팬(500)과, 상기 건조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기계실(600)과, 상기 흡기 유동로(4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700)와,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외기(800)와,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100)은 내부에 농수산물을 수용하는 건조공간(101)을 갖고 전면에 전면도어(10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1 댐퍼(103)가 설치되고 상면 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2 댐퍼(104)가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중공된 사각 입방체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 공기와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단열재가 벽의 내부에 구비되어 밀폐된 상기 건조공간(10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도어(102)는 상기 건조실(100)의 전면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로 적재 팔레트를 입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재 팔레트는 대량의 농수산물을 한꺼번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으로, 지게차와 같은 이송 차량을 이용하여 적재된 대량의 농산물을 이송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제1 댐퍼(103)는 상기 건조실(100)의 전방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댐퍼(104)는 상기 건조실(100)의 후방 상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분할벽(200)은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에 공기 유동로(201)를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 측벽 사이에 수평으로 밀폐되게 설치되고 선단과 끝단이 상기 건조실(100)의 내벽과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 공간에 상기 공기 유동로(20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수평 분할벽(200)은 상기 건조공간(101)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건조실(100)의 상부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300)는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상면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201)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히터(300)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가열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400)은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끝단에 흡기 유동로(401)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끝단과 상기 건조실(100)의 바닥면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끝단에 상기 흡기 유동로(40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흡입팬(500)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 유동로(401)는 상기 흡입팬(500)에 의해 강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로(201)로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흡입팬(500)은 상기 내부 격벽(400)에 상하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게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의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여 상기 흡기 유동로(401)를 통해 상기 공기 유동로(201)를 지나 다시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계실(600)은 상기 건조실(100)의 상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면도어(102)의 상부로 전면에 제3 댐퍼(601)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댐퍼(601)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댐퍼(602)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8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댐퍼(601)는 상기 기계실(60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댐퍼(602)는 상기 기계실(600)의 배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기(700)는 상기 흡기 유동로(401)의 내부로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흡입팬(50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동사이클에 의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통상 상기 실내기(700)는 압축기, 팬을 가지는 증발기 및 팽창밸브가 관로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를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외기(800)는 상기 실내기(700)에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기를 발생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통상 상기 실외기(800)는 팬을 가지는 응축기로써, 상기 실내기(700)와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응축기를 통해 열기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히터(300)와 흡입팬(500)을 가동시키며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300)의 가동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실내기(700)와 실외기(800)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0)의 상기 전면도어(102)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농수산물이 적재된 다수의 적재 팔레트(P)를 지게차와 같은 수송용 차량으로 이동시켜 배치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상기 적재 팔레트(P)가 적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도어(102)를 닫고, 상기 히터(300)와 흡입팬(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다수의 상기 흡입팬(500)이 동시에 작동되면서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의 공기를 상하 좌우로 균일하게 흡입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공기의 흡입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적재 팔레트(P)를 균일하게 수평으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흡입팬(5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내부 격벽(400)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격벽(400)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흡기 유동로(401)로 유입되고, 상기 흡기 유동로(401)에서 상승되어 상기 수평 분할벽(20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기 유동로(201)로 유입된 후에 상기 건조공간(101)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 유동로(20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상면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201)에 설치된 상기 히터(300)에 의해 유동 중에 순간적으로 가열되며,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동로(201)의 끝에서 하부 방향으로 유도되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다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팬(500)에 의해 상하 좌우로 균일하게 흡입되면서 상기 적재 팔레트(P)를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적재 팔레트(P)에 적재된 농수산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중에 고온다습한 외부 환경과 공기의 마찰열이나 농수산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예를 들어 섭씨 38도보다 높게 급격하게 상승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실내기(700)와 실외기(800)를 구동시켜 상기 실내기(700)를 통해 상기 건조실(100) 내부로 냉기를 주입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가 냉각되어 설정온도로 적절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실외기(800)에는 발열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산된 열은 상기 제3 댐퍼(601)와 제4 댐퍼(602)의 개방을 통해 상기 기계실(6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700)의 과도한 작동으로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온도가 갑자기 너무 과도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7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3 댐퍼(601)와 제4 댐퍼(602)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 댐퍼(103)와 제2 댐퍼(104)를 개방하여 상기 실외기(80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로 공기의 유동과 함께 자연스럽게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실외기(800)에 의해 발생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에 가깝게 상승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흡입팬(500)의 상부와 상기 실내기(700)의 하부 사이로 상기 내부 격벽(4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필터(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필터(1000)는 상기 흡입팬(500)에서 흡입되어 상기 실내기(700)로 유동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1000)에 의해 상기 실내기(700)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실내기(700)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여과필터(1000)는 그 양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격벽(400)과 건조실(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01)와, 상기 여과필터(1000)가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을 관통하여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에 형성되는 관통공(1002)과, 상기 여과필터(1000)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100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삽탈손잡이(10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필터(1000)는 사용자가 상기 삽탈손잡이(1003)를 잡고서 상기 지지대(1001)에서 상기 관통공(1002)을 통해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필터(1000)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건조실(100)은 상기 여과필터(1000)와 흡입팬(500)의 하부로 상기 내부 격벽(400)에서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의 하단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포집판(105)과, 상기 포집판(105)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배출도어(1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포집판(105)은 상기 여과필터(1000)에서 걸린 후에 낙하하거나 상기 여과필터(1000)의 교체시에 상기 여과필터(1000)에서 떨어지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받아서 상기 먼지배출도어(106)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먼지배출도어(106)는 사용자가 개방하여 상기 포집판(105)에 의해 포집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건조실(100)에 설치되는 먼지제거부(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상기 여과필터(1000)에 점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상기 여과필터(1000)의 하면 일측에 장착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모터(1101)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터(1101)는 상기 여과필터(1000)를 진동시켜 상기 여과필터(1000)에 점착된 먼지를 하부측으로 떨어내어 포집판(105)을 통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의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상기 실내기(700)의 상부로 상기 내부 격벽(400)과 건조실(100) 내벽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밀폐판(1102)과, 상기 밀폐판(1102)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5 댐퍼(1103)와, 상기 밀폐판(1102)과 건조실(100)을 관통하여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분사관(1104)과,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로 상기 공기분사관(1104)의 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1105)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판(1102)은 상기 실내기(700)의 상부로 상기 내부 격벽(400)과 건조실(100)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5 댐퍼(1103)와 공기분사관(1104)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댐퍼(1103)는 상기 밀폐판(1102)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건조 장치가 작동될 때는 상기 제5 댐퍼(1103)가 개방되어 상기 흡기 유동로(401)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과필터(1000)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본 건조 장치가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5 댐퍼(1103)가 폐쇄되어 상기 송풍팬(1105)을 통해 상기 공기분사관(1104)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기(700)를 거쳐 상기 여과필터(1000)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분사관(1104)은 상기 송풍팬(1105)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밀폐판(1102)의 하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송풍팬(1105)은 상기 여과필터(1000)에 점착된 먼지를 떨어내기 위해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본 건조 장치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5 댐퍼(1103)가 폐쇄되어 상기 밀폐판(1102)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분사관(1104)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면 분사된 공기가 상기 실내기(700)를 거쳐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필터(1000)를 통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여과필터(1000)에 점착된 먼지가 역풍으로 제거되어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먼지는 상기 포집판(105)을 통해 포집하여 상기 먼지배출도어(10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건조실
101 : 건조공간 102 : 전면도어
103 : 제1 댐퍼 104 : 제2 댐퍼
105 : 포집판 106 : 먼지배출도어
200 : 수평 분할벽
201 : 공기 유동로
300 : 히터
400 : 내부 격벽
401 : 흡기 유동로
500 : 흡입팬
600 : 기계실
601 : 제3 댐퍼 602 : 제4 댐퍼
700 : 실내기
800 : 실외기
900 : 제어부
1000 : 여과필터
1001 : 지지대 1002 : 관통공
1003 : 삽탈손잡이
1100 : 먼지제거부
1101 : 진동모터 1102 : 밀폐판
1103 : 제5 댐퍼 1104 : 공기분사관
1105 : 송풍팬

Claims (7)

  1. 내부에 농수산물을 수용하는 건조공간(101)을 갖고, 전면에 전면도어(10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1 댐퍼(103)가 설치되고, 상면 후방으로 내부와 관통되게 제2 댐퍼(104)가 설치되는 건조실(1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상부에 공기 유동로(201)를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실(100)의 내부 측벽 사이에 수평으로 밀폐되게 설치되고, 선단과 끝단이 상기 건조실(100)의 내벽과 이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수평 분할벽(200)과;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상면으로 상기 공기 유동로(2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동로(201)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00)와;
    상기 건조실(100)의 내측 끝단에 흡기 유동로(401)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분할벽(200)의 끝단과 상기 건조실(100)의 바닥면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내부 격벽(400)과;
    상기 내부 격벽(400)에 상하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다수의 흡입팬(500)과;
    상기 건조실(100)의 상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면도어(102)의 상부로 전면에 제3 댐퍼(601)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댐퍼(601)에 대응하여 배면에 제4 댐퍼(602)가 설치되는 기계실(600)과;
    상기 흡기 유동로(401)의 내부로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흡입팬(50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실내기(700)와;
    상기 실내기(700)에 관로상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상기 기계실(6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실외기(800)와;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300)와 흡입팬(500)을 가동시키며, 상기 건조실(10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300)의 가동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실내기(700)와 실외기(800)를 가동시키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흡입팬(500)의 상부와 상기 실내기(700)의 하부 사이로 상기 내부 격벽(400)과 상기 건조실(10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500)에서 흡입되어 상기 실내기(700)로 유동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필터(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00)은,
    상기 여과필터(1000)와 흡입팬(500)의 하부로 상기 내부 격벽(400)에서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의 하단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포집판(105)과,
    상기 포집판(105)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먼지배출도어(1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1000)는,
    그 양단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격벽(400)과 건조실(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01)와,
    상기 여과필터(1000)가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을 관통하여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건조실(100)의 배면 내벽에 형성되는 관통공(1002)과,
    상기 여과필터(1000)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100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삽탈손잡이(10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 건조실(100)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1000)에 점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부(1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상기 여과필터(1000)의 하면 일측에 장착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모터(1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부(1100)는,
    상기 실내기(700)의 상부로 상기 내부 격벽(400)과 건조실(100) 내벽 사이에 밀폐되게 설치되는 밀폐판(1102)과,
    상기 밀폐판(1102)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5 댐퍼(1103)와,
    상기 밀폐판(1102)과 건조실(100)을 관통하여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분사관(1104)과,
    상기 건조실(100)의 외부로 상기 공기분사관(1104)의 단부에 연결되는 송풍팬(1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1020150173564A 2015-12-07 2015-12-07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10176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64A KR101763563B1 (ko) 2015-12-07 2015-12-07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64A KR101763563B1 (ko) 2015-12-07 2015-12-07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100A true KR20170067100A (ko) 2017-06-15
KR101763563B1 KR101763563B1 (ko) 2017-08-01

Family

ID=5921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64A KR101763563B1 (ko) 2015-12-07 2015-12-07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50B1 (ko) 2018-06-07 2018-08-02 (주)수성쿨테크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00141847A (ko) * 2019-06-11 2020-12-21 조남일 고품질 과채류 수득을 위한 폐쇄형 초벌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937B1 (ko) * 2018-03-06 2018-09-14 (주)시그마파워 농산물의 예냉 및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07B1 (ko) 2010-05-11 2011-04-14 전종일 곶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66690B1 (ko) 2012-01-10 2013-05-28 백도웅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101224157B1 (ko) 2012-08-21 2013-01-22 유경윤 히트 펌프형 건조기
KR101314156B1 (ko) 2013-04-02 2013-10-04 (주)지엠아이 농산물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50B1 (ko) 2018-06-07 2018-08-02 (주)수성쿨테크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00141847A (ko) * 2019-06-11 2020-12-21 조남일 고품질 과채류 수득을 위한 폐쇄형 초벌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563B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5485B2 (ja) 冷却庫
TWI494056B (zh) Pet with a drying box
KR102206227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1763563B1 (ko)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JP6946014B2 (ja) 消毒保管庫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05578905B (zh) 农产品熟化室
KR101266690B1 (ko) 강제 흡입 순환식 농산물 건조 장치
KR100985199B1 (ko) 팬필터유닛을 이용한 클린건조기
KR20150040092A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JPH0288100A (ja) 物品を乾燥、通気、殺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乾燥戸棚
KR101498863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JP5635952B2 (ja) 乾燥装置
KR101150837B1 (ko)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US7565066B2 (en) Food transport containers
JP2012032124A (ja) 蓄冷剤用の凍結庫
CN209549887U (zh) 一种船用防污防腐涂料的涂装设备
JP2006320550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101771791B1 (ko) 다목적 혼합 건조기
JP6630340B2 (ja) 製品冷却装置
KR102368424B1 (ko) 농수산물 건조설비
JP2003254669A (ja) 乾燥装置
CN112650333B (zh) 一种具有温湿度监测功能的大米存储设备
JP2009068762A (ja) 貯蔵庫
CN219624363U (zh) 一种节能型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