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066A - 선택형 IoT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선택형 IoT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066A
KR20170067066A KR1020150173478A KR20150173478A KR20170067066A KR 20170067066 A KR20170067066 A KR 20170067066A KR 1020150173478 A KR1020150173478 A KR 1020150173478A KR 20150173478 A KR20150173478 A KR 20150173478A KR 20170067066 A KR20170067066 A KR 2017006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ot device
radio signal
directional antenna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794B1 (ko
Inventor
우상진
함상화
박상용
안승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나인
Priority to KR102015017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7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과 연결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상기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형 IoT 컨트롤러{Selection type IoT controller}
본 발명은 선택형 IoT(Internet of Things)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IoT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과 연결하거나 복수의 IoT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에 따라 주변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기기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연동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ICT의 급속한 발전을 통해 만물이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사회, 즉 사물과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언제든지(anytime)와 어디든지(anyplace)라는 연결 세계에 무엇이든지(anything)라는 연결 차원을 추가하는 새로운 연결 생태계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구축해가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IoT)으로의 진화에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이 IoT 기기로 변화되고 있는데, IoT 기기들과 사용자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별도의 IoT 기기 제어장치, 허브 등)이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터넷 망을 구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특정 공간에 다수의 IoT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단말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러한 IoT 기기들을 제어하는 경우, IoT 기기들과 스마트폰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IoT 기기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면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을 통하여 특정 IoT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하는데 한계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구나 복수의 멀티탭과 같은 단일 공간에 많은 수의 IoT 기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IoT 기기들 각각에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고유의 이름을 설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많은 IoT 기기들 중에 자기가 원하는 기기의 디바이스 이름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IoT 기기를 정확하게 선택하여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음성인식 등의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IoT 기기를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이름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한다면 특정 IoT 기기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336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IoT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과 연결하거나 복수의 IoT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과 연결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상기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안테나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기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사용자단말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 경우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인 경우 상기 저장되어 있는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되며 지향된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동일한 IoT 기기에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동일한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상기 동일한 IoT 기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는 인접하는 안테나들 사이의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일반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제 1 무선신호와 상기 제 1 무선신호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제 2 무선신호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일반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더 강한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하나의 무선신호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선택이 완료되었음에 관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의 기준이 되는 시점은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서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단말을 선택하라는 신호를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등록된 IoT 기기인지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IoT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기기의 이름, 기기의 아이디(ID), 맥 어드레스(MAC_ADDRESS), 기기의 타입, 무선통신 방식, 기기에 부착된 센서값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별도의 IoT 기기 제어장치 또는 허브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상기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이상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와 연결되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제어하고자 하는 IoT 기기 방향으로 지향하는 것만으로 IoT 기기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특정 공간에 다수의 IoT 기기들이 동작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원하는 IoT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IoT 기기 또는 사용자단말을 간단한 방법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선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과 IoT 기기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선택된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하도록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형 IoT 컨트롤러와 선택된 IoT 기기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선택된 IoT 기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공간 내에 다수의 IoT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IoT 기기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거나 IoT 기기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IoT 기기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IoT 기기와 사용자단말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IoT 기기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IoT 기기와 사용자단말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IoT 기기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IoT 기기와 사용자단말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9는 IoT 기기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IoT 기기(110)를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IoT 기기(110)의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IoT 기기(110)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IoT 기기(110)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무선통신을 통하여 다양한 동작의 제어를 받을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이와 같이 선택된 IoT 기기(11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120)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120)과 IoT 기기(1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기기에 대한 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P2P(Peer-to-Peer)방식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기기의 이름, 기기의 아이디(ID), 맥 어드레스(MAC_ADDRESS), 기기의 타입, 무선통신 방식(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에 대한 정보는 기기의 상태정보(예를 들어, 상기 기기에 부착된 센서값과 같은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기정보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12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별도의 IoT 기기 제어장치, 허브 등과 같이 IoT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있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20)과 IoT 기기(110)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단말(120)은 IoT 기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서 상기 선택된 IoT 기기(110)의 정보를 사용자단말(120)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20)은 제어할 IoT 기기(110)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선택된 IoT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20)이 상기 선택된 IoT 기기(110)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20)의 화면에 상기 선택된 IoT 기기(110)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단말(120)에서 상기 IoT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선택된 IoT 기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사용자단말(120)과 IoT 기기(110)를 연결함이 없이 IoT 기기(110)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연결하여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직접 IoT 기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의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IoT 기기(110)와 사용자단말(120)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IoT 기기(110)와 사용자단말(12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210), 선택부(220) 및 제어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210)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110_1, ... 110_n)(n은 자연수)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210)는 특정 방향의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수신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로써, 지향성 안테나(210)의 수신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신호세기가 강하고 지향성 안테나(210)의 수신 영역 이외의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상대적으로 신호세기가 약하다.
선택부(220)는 지향성 안테나(21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향성 안테나(210)는 수신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이외의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보다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선택부(220)는 수신되는 무선신호들의 신호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강한 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지향성 안테나(210)가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IoT 기기로부터 신호세기가 강한 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선택부(220)는 임계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시간이 2초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지향성 안테나(210)를 원하는 IoT 기기(110_1, ... , 또는 110_n) 방향으로 2초 동안 유지하면 선택부(220)는 지향성 안테나(210)가 지향하는 방향의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가 임계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므로, 원하는 IoT 기기로 이동하는 동안 원하지 않는 다른 IoT 기기로부터 강한 무선신호가 수신된다고 하여도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것이므로 선택부(220)는 이와 같은 IoT 기기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이 기준이 되는 시점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서 IoT 기기를 선택하라는 신호를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입력한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선택버튼(미도시)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버튼을 누른 시점부터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부(220)에서 선택하거나 선택버튼을 임계시간 동안 누르고 있는 경우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부(22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버튼은 기계식으로 동작하는 버튼일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동작하는 버튼일 수도 있으며, 특정 시점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사용자단말(120_1, ... , 또는 120_m)(m은 자연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는 상기 IoT 기기의 고유식별번호, 기기타입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기정보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IoT 기기에 대한 다른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선택부(220)에서 하나의 무선신호가 선택된 경우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선택이 완료되었음에 관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을 통하여 사용자는 지향하는 방향의 IoT 기기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선택된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IoT 기기가 선택되었는지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1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젝터(Micro/Pico Projector) 등에 선택된 IoT 기기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수신할 사용자단말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별도의 다른 절차없이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되어 있는 사용자단말로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기기의 정보를 수신받은 사용자단말은 상기 수신된 IoT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IoT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IoT 기기의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수신할 사용자단말이 결정되어 있지 않거나 다수의 사용자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지향성 안테나(210)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120_1, ... , 120_m)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부(220)는 지향성 안테나(21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210) 및 선택부(220)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상기 선택버튼이 있는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선택버튼을 누른 시점부터 임계시간 동안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부(220)에서 선택하거나 선택버튼을 임계시간 동안 누르고 있는 경우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를 선택부(220)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IoT 기기를 선택하는 동안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선택하는 동안 계속 상기 선택버튼을 누르고 있다가 상기 사용자단말의 선택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선택버튼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단말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기 획득된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30)는 판단부(231) 및 전송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판단부(231)는 제어부(23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사용자단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정보에 포함되는 기기타입정보에 IoT 기기인지 사용자단말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판단부(231)는 이와 같은 기기타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사용자단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송부(235)는 판단부(231)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 경우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하고, 판단부(231)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인 경우 상기 저장되어 있는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IoT 기기(110_1, ... , 110_n)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단말 내에 존재하거나, 별도의 허브나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존재하거나 외부 서버에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3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단말에 등록되지 않은 IoT 기기인 경우 상기 선택된 IoT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IoT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IoT 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의 방법을 통하여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선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IoT 기기와 상기 사용자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IoT 기기를 선택한 이후 사용자단말을 선택하여 바로 직전에 선택된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고, 복수의 IoT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저장되어 있는 모든 IoT 기기의 기기정보들 또는 저장되는 있는 기기정보들 중 일부의 기기정보를 상기 선택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IoT 기기(110)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실시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선택된 IoT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상기 선택된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310), 선택부(320) 및 제어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310) 및 선택부(320)는 도 2의 지향성 안테나(210) 및 선택부(220)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지향성 안테나(310)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110_1, ... , 110_n)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부(320)는 지향성 안테나(31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이상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310) 및 선택부(320)의 동작에 관하여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어부(330)는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선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여 IoT 기기와 사용자단말을 연결하였으나,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선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IoT 기기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연결되는 경우,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된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선택부(320)에서 하나의 무선신호가 선택된 경우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선택이 완료되었음에 관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IoT 기기(110_1, ... , 110_n)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등록된 IoT 기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등록되지 않은 IoT 기기인 경우 상기 선택된 IoT 기기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에 상기 IoT 기기를 등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IoT 기기(110_1, 110_2, 110_3)가 존재하고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IoT 기기(110_2)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지향성 안테나(210, 310)를 IoT 기기(110_2)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IoT 기기(110_2)에서 가장 강한 신호가 수신되고 나머지 IoT 기기들(110_1, 110_3)로부터는 IoT 기기(110_2)보다 작은 신호가 수신된다. 따라서, 선택부(220, 320)에서는 IoT 기기(110_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 330)에서는 선택된 신호에 대응하는 IoT 기기(110_2)의 기기정보를 대응하는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거나 선택된 신호에 대응하는 IoT 기기(110_2)와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IoT 기기(110)와 사용자단말(120)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블록도이고, 도 6은 IoT 기기(110)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510),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 선택부(520) 및 제어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고, 선택부(520)에서 지향성 안테나(5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점에서 상이할 뿐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2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실시예는 지향된 방향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즉 지향된 방향이 원하는 IoT 기기의 방향에서 약간 틀어진 경우에도 원하는 IoT 기기를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를 추가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510) 및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에서 각각 IoT 기기(110_1, ... , 110_n)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도 지향성 안테나(510)와 동일하게 지향된 방향의 수신영역으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강한 신호세기로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지향성 안테나(5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는 인접하는 안테나들 사이의 안테나 수신영역이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 안테나(510)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보다 좌측 방향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보다 우측 방향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지향성 안테나(510) 및 보조 지향성 안테나(515)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이 서로 중첩되도록 안테나 수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한 개의 지향성 안테나(510)와 제 1 및 제 2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를 구비하는 경우, 지향성 안테나(510)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 1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보다 좌측 방향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제 2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지향된 방향보다 우측 방향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지향성 안테나(510)의 안테나 수신 영역 중 좌측 영역이 제 1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와 수신영역이 중첩되고 지향성 안테나(510)의 안테나 수신 영역 중 우측 영역이 제 2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와 수신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지향성 안테나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선택부(520)는 지향성 안테나(510)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에서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부(520)는 동일한 IoT 기기에서 지향성 안테나(5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 상기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에서, IoT 기기(110_1)에서 지향성 안테나(510)와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10 [dB]이고, IoT 기기(110_2)에서 지향성 안테나(510)와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3 [dB]이며, IoT 기기(110_3)에서 지향성 안테나(510)와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8 [dB]인 경우, 선택부(520)는 IoT 기기(110_2)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선택부(520)는 지향성 안테나(5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동일한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상기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에서, IoT 기기(110_1), IoT 기기(110_2), IoT 기기(110_3) 각각으로부터 지향성 안테나(510)에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각각 50[dB], 70[dB], 65[dB]이고, IoT 기기(110_1), IoT 기기(110_2), IoT 기기(110_3) 각각으로부터 보조지향성 안테나(515)에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각각 62[dB], 68[dB], 48[dB]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지향성 안테나(510)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가장 신호세기가 큰 신호는 IoT 기기(110_2)이고, 보조지향성 안테나(515)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가장 신호세기가 큰 신호는 IoT 기기(110_2)이므로, 선택부(520)는 IoT 기기(110_2)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IoT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뿐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단말들 중 하나의 사용자단말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530)의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도 2의 제어부(23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선택된 IoT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상기 선택된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지향성 안테나(610),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615), 선택부(620) 및 제어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610),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615) 및 선택부(620)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지향성 안테나(510),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 및 선택부(520)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5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또한, 제어부(630)는 도 3의 제어부(33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역시 중복되는 설명은 도 3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8은 IoT 기기(110)와 사용자단말(120)을 연결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블록도이고, 도 9는 IoT 기기(110)를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직접 제어하는 도 1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의 블록도이며, 도 10은 도 8 또는 도 9의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IoT 기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810), 일반 안테나(815), 선택부(820) 및 제어부(8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8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하여 일반 안테나(815)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과 지향성 안테나(810)가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는 점이 상이하고 선택부(8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810) 및 일반 안테나(815)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점이 상이할 뿐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2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810)가 설치된 경우는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지향성 안테나(51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향성 안테나(515)가 설치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5와 관련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8의 실시예는 지향된 방향에 복수의 IoT 기기가 있는 경우에도 원하는 IoT 기기를 정확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일반 안테나(815)를 추가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810) 및 일반 안테나(815)에서 각각 IoT 기기(110_1, ... , 110_n)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일반 안테나(815)는 지향성 안테나(810)와 달리 일정 반경 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무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반 안테나(815)의 위치에서 가까울수록 신호강도가 강하게 수신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선택부(820)는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81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제 1 무선신호와 상기 제 1 무선신호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제 2 무선신호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일반안테나(815)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더 강한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예에서, IoT 기기(110_1), IoT 기기(110_2), IoT 기기(110_3), IoT 기기(110_4) 각각으로부터 지향성 안테나(810)에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각각 50[dB], 70[dB], 71[dB], 60[dB]이고, IoT 기기(110_1), IoT 기기(110_2), IoT 기기(110_3), IoT 기기(110_4) 각각으로부터 일반 안테나(815)에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각각 60[dB], 50[dB], 68[dB], 59[dB]이며, 상기 임계값이 3[dB]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지향성 안테나(810)를 통해 IoT 기기(110_2)에서 수신된 제 1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와 IoT 기기(110_3)에서 수신된 제 2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1 [dB]로 임계값 이하므로, 일반 안테나(815)를 통해 수신된 제 1 무선신호 및 제 2 무선신호의 신호세기를 비교한다. 이 경우, 일반 안테나(815)를 통해 IoT 기기(110_2)에서 수신된 제 1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50[dB]이고 IoT 기기(110_3)에서 수신된 제 2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68[dB]이므로 선택부(820)는 신호세기가 더 강한 IoT 기기(110_3)에서 수신된 제 2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IoT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 뿐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단말들 중 하나의 사용자단말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830)의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도 2의 제어부(23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선택된 IoT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가 상기 선택된 IoT 기기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IoT 컨트롤러(100")는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910), 일반 안테나(915), 선택부(920) 및 제어부(930)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910), 일반 안테나(915) 및 선택부(920)는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810), 일반 안테나(815) 및 선택부(820)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도 8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또한, 제어부(930)는 도 3의 제어부(33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역시 중복되는 설명은 도 3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과 연결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있어서,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상기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는,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기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지 상기 사용자단말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IoT 기기인 경우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인 경우 상기 저장되어 있는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되며 지향된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동일한 IoT 기기에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동일한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상기 동일한 IoT 기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는 인접하는 안테나들 사이의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일반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제 1 무선신호와 상기 제 1 무선신호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제 2 무선신호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일반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더 강한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하나의 무선신호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선택이 완료되었음에 관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의 기준이 되는 시점은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서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단말을 선택하라는 신호를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등록된 IoT 기기인지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IoT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기기의 이름, 기기의 아이디(ID), 맥 어드레스(MAC_ADDRESS), 기기의 타입, 무선통신 방식, 기기에 부착된 센서값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별도의 IoT 기기 제어장치 또는 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1.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 중 하나의 IoT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있어서,
    지향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향성 안테나;
    상기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임계시간 동안 가장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기정보에 대응하는 IoT 기기와 연결되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된 IoT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되며 지향된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동일한 IoT 기기에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의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동일한 IoT 기기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상기 동일한 IoT 기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향성 안테나는 인접하는 안테나들 사이의 안테나 수신 영역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향성 안테나; 및
    방향과 무관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일반안테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향성 안테나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강한 제 1 무선신호와 상기 제 1 무선신호 다음으로 신호세기가 강한 제 2 무선신호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일반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1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들 중 신호세기가 더 강한 하나의 무선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하나의 무선신호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선택이 완료되었음에 관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시간의 기준이 되는 시점은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서 상기 IoT 기기 또는 상기 사용단말을 선택하라는 신호를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IoT 기기가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등록된 IoT 기기인지 판단하고, 등록되지 않은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선택형 IoT 컨트롤러에 상기 IoT 기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IoT 컨트롤러.
KR1020150173478A 2015-12-07 2015-12-07 선택형 IoT 컨트롤러 KR10183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78A KR101835794B1 (ko) 2015-12-07 2015-12-07 선택형 IoT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78A KR101835794B1 (ko) 2015-12-07 2015-12-07 선택형 IoT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066A true KR20170067066A (ko) 2017-06-15
KR101835794B1 KR101835794B1 (ko) 2018-03-07

Family

ID=5921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478A KR101835794B1 (ko) 2015-12-07 2015-12-07 선택형 IoT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7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297B1 (ko) * 2006-02-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135692A1 (en) * 2009-04-08 2012-05-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remote controlled device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5019244A (ja) * 2013-07-11 2015-01-29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端末およびその遠隔制御対象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794B1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cility control of terminal
EP3192218B1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235874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and gateway
US20060217104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WO2017068560A1 (ja) 通信装置
US10447841B2 (en) Wireless pairing and control using spatial location and indication to aid pairing
KR102213110B1 (ko)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한 비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969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주변기기 제어방법
KR20120079370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TWI645727B (zh) 可調整天線指向的無線接入點系統、具有控制無線訊號基站指向的移動電子裝置以及最佳化無線訊號基站之天線指向的方法
KR2015001718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7069903A5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90362618A1 (en) Location-aware provisioning system for fir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60059679A (ko) 거리 및 친밀도를 이용한 주변 장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200073811A (ko)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7636983A (zh) 用于无线网络中有效链路发现的系统与方法
KR101835794B1 (ko) 선택형 IoT 컨트롤러
CN109672465B (zh) 一种调整天线增益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766248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766599A (zh) 智能音乐节拍互动设备
JP6612080B2 (ja) 可搬式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79049B1 (ko)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 및 셋탑박스
KR10156697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사물통신 노드 제어 방법
KR20180087288A (ko) 페어링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연결 장치
JP7047255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