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88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883A
KR20170066883A KR1020150173087A KR20150173087A KR20170066883A KR 20170066883 A KR20170066883 A KR 20170066883A KR 1020150173087 A KR1020150173087 A KR 1020150173087A KR 20150173087 A KR20150173087 A KR 20150173087A KR 20170066883 A KR20170066883 A KR 2017006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118B1 (ko
Inventor
정진현
이부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18B1/ko
Priority to US15/346,096 priority patent/US10021794B2/en
Priority to CN201611078462.0A priority patent/CN107016931B/zh
Priority to EP16202504.3A priority patent/EP3179304B1/en
Publication of KR2017006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1L51/5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3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1Function characteristic transmissive
    • H01L2227/32
    • H01L22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08Transpa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1Stacked PCBs, i.e. having neither an empty space nor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화상이 구현 가능한 투명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부 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신호 배선이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 일측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타측면이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회로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적용 분야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표시장치는 대부분의 전자 장치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성상 사용자가 표시장치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표시장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고,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투명표시장치는 정보인식, 정보처리 및 정보표시의 기능을 투명한 전자기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전자기기의 공간적 및 시각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표시장치는 건물이나 자동차의 창문(window)에 적용되어 배경을 보이거나 화상을 표시하는 스마트 창(smart window)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투명표시장치의 경우 투명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투명표시장치 배면에는 구동 회로부가 위치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 이외에 영역에 구동 회로부를 배치할 수 있으나, 투명표시장치의 베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 회로필름(12), 소스 인쇄회로기판(13), 연결부(14) 및 제어 인쇄회로기판(1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투명 표시 패널이 될 수 있으며, 투명 표시 패널의 경우 투과 영역과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은 복수의 회로필름(12)과 연결되어 표시 패널(11)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6)은 소스 인쇄회로기판(13)과 연결부(14)를 통해 연결되고, 제어 인쇄회로기판(16)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의 구동 신호를 소스 인쇄회로기판(13)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투명한 화상을 구현하는 투명 표시 장치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11)에 배면에는 구동 회로부가 위치할 수 없다.
하지만 종래의 표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인쇄회로기판(16)과 소스 인쇄회로기판(13)을 포함한 구동 회로들이 표시 패널(11) 배면에 나란히 위치하여, 투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동 회로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투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표시 패널에 연결된 구동 회로부의 부품수를 줄이고 두께를 절감하여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신호 배선이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 일측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타측면이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회로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 회로부가 액티브 영역 바깥에 위치하여 투명한 화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베젤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종래의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부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은 도 4에 나타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110)과 구동회로부(1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부(100)는 회로필름(120),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제어 인쇄회로기판(136)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발광 표시 패널, 투명 표시 패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들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들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10)이 투명 유기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층, 유기발광층 및 봉지층을 포함하며,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필름(120)은 상기 표시 패널(110)의 하단 끝 모서리 부분에 연결되는 일측면과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연결되는 타측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필름(120)은 복수개로 구성 되며 각 회로필름(120)에는 상기 표시 패널(110)로 각종 구동신호,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집적회로(121, Drive IC)들이 실장된다. 한편 이러한 회로필름(120)은 TCP(Tape Carrier Pakage)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집적회로(121)는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또는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 2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드라이브 집적회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의 경우, 타이밍 제어부(137)로부터 공급되는 화소별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 패널(110) 상의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은 상기 회로필름(120)과 연결되는 제 1 면(133a),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133b) 및 제 1 커넥터(1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120)에 연결되어 표시 패널(110)의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2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소스 인쇄회로기판(123)에는 각종 신호 배선,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된다.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제 2 커넥터(139)를 통해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이밍 컨트롤러(137)와 제 2 커넥터(139)가 실장된 제 2 면(136b) 및 제 2 면의 반대면인 제 1 면(136a)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에는 유저 커넥터(미도시)가 실장되어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영상 신호와 타이밍 동기 신호 및 구동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37)는 유저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응답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110)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21)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37)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21) 또는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미도시)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연결부(140)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140)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가요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서로 맞닿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회로필름(120)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회로필름(120)의 일단이 표시 패널(1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상기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연결부(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보다 표시 장치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표시 장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일부와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을 수납하는 커버(미도시)의 두께가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일부와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을 수납하기 위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서로 중첩되면서 표시 패널(110)과는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표시 패널(110)을 수납하는 커버의 두께를 그만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두께를 절감함으로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는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서, 투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 회로필름(120),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제어 인쇄회로기판(136), 연결부(140) 및 절연성 테이프(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필름(120)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회로필름(120)의 일단이 표시 패널(1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상기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연결부(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이 서로 맞닿은 면은 작은 회로부품의 쇼트로 전기적 접촉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이 서로 맞닿은 면에 절연성 테이프(13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성 테이프(135)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에 실장된 회로 부품들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에 실장된 회로 부품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어, 쇼트로 인한 전기적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보다 표시 장치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어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는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서, 투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 회로필름(120),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제어 인쇄회로기판(136 및 보드 투 보드 커넥터(132, Board To Board, 이하 BTB커넥터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필름(120)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회로필름(120)의 일단이 표시 패널(1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133)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상기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2 면(133b)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1 면(136a)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연결부(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러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은 서로 BTB커넥터 (132)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BTB커넥터(132)는 두 개의 회로기판을 양쪽에서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하고, BTB커넥터(132) 표면에는 각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도전성 패턴이 구비된다.
이러한 BTB커넥터(13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1면(133a)에 실장된 제 1 커넥터(138)와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의 제 2 면(136b)에 실장된 제 2 커넥터(139) 및 연결부(140)를 삭제 할 수 있어, 재료 공임비 절감 및 공정 단순화의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데, 여기서 커넥터 삭제로 인한 추가 두께 절감이 가능하다. 즉,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는 표시 장치의 베젤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삭제로 인해, 표시 장치 하단부 베젤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추가적으로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투명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서, 투명 화상을 구현이 보다 용이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 회로필름(120), 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은 상기 회로필름(120)과 연결되는 제 1 면(130a), 제 1 면(130a)의 반대면인 제 2 면(130b), 회로 배선(134) 및 타이밍 컨트롤러(137)를 포함한다. 즉 제 4 실시예에 인쇄회로기판(130)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통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에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상에 배치된 회로 배선(134) 및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된다. 이때, 배치된 회로 배선(134)들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는 인쇄회로기판(133)의 제 1 면(130a)상에 배치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30)의 제 2 면(130b)에는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상에 배치된 타이밍 컨트롤러(137)가 실장된다.
이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30)으로 통합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두개의 회로기판(133, 130) 각각을 별개로 제조하는 종래의 공정 대비 하나의 통합된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 단순화 및 공임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표시 패널(110)을 수납하는 커버의 두께를 그만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표시 패널(110)과 중첩되는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서, 투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은 상기 회로필름(120)과 연결되는 제 1 면(130a), 제 1 면(130a)의 반대면인 제 2 면(130b), 회로 배선(134) 및 타이밍 컨트롤러(1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30)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통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제 2 면(130b)상에는 홈(160)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160)구조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제 2 면(130b)상에 타이밍 컨트롤러(137)가 배치될 수 있는 움푹 들어간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홈(160)구조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37)가 배치되어, 표시 장치의 두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다른 회로 부품들보다 사이즈가 큰 타이밍 컨트롤러(137)로 인해 타이밍 컨트롤러(137)가 실장된 제어 회로기판(136)을 수납하는 커버(미도시)의 두께는 일정 수준이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홈 구조(160)를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37)를 매립하면, 인쇄회로기판(130)을 수납하는 커버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제 1 및 내지 4 실시예와 같은 투명한 화상의 표현이 가능한 이점 이외에도, 이처럼 두께를 절감하여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 회로필름(120), 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은 회로필름(120)과 연결되는 면과 같은 면에 회로 배선(134) 및 타이밍 컨트롤러(137)를 동시에 포함한다. 즉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30)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통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에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33)상에 배치된 회로 배선(134)들과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되고, 이와 동일한 면에 타이밍 컨트롤러(137)가 실장된다. 이로 인해 회로 배선(134)은 직접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137)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보다 표시 장치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어 미감이 증진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이 투명 표시 패널일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36)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이 투명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서, 투명 화상을 구현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소스 인쇄회기판(133)과 제어 인쇄회로기판(136)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30)으로 통합함으로서, 공정 단순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표시 패널 120: 회로필름
130: 인쇄회로기판 133: 소스 인쇄회로기판
134: 회로 배선 135: 절연성 테이프
136: 제어 인쇄회로기판 138,139: 커넥터
132: 보드 투 보드 커넥터 140: 연결부
160: 홈구조

Claims (11)

  1. 표시 패널;
    신호 배선이 실장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제어 인쇄회로기판; 및
    일측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타측면이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회로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신호 배선이 실장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면인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면인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은 보드 투 보드 커넥터로 연결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제 1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은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과 상기 제어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 사이에는 절연성 테이프가 배치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가요성 평판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인, 표시 장치.
  7. 표시 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일측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회로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회로배선이 실장된 제 1 면 및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된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 반대되게 배치되는,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2 면에는,
    타이밍 컨트롤러가 실장되는 홈을 갖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들과 빛을 발광하는 발광 영역들을 포함하는 투명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표시 장치.
KR1020150173087A 2015-12-07 2015-12-07 표시 장치 KR10257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87A KR102573118B1 (ko) 2015-12-07 2015-12-07 표시 장치
US15/346,096 US10021794B2 (en) 2015-12-07 2016-11-08 Display device
CN201611078462.0A CN107016931B (zh) 2015-12-07 2016-11-29 显示装置
EP16202504.3A EP3179304B1 (en) 2015-12-07 2016-12-0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87A KR102573118B1 (ko) 2015-12-07 2015-12-0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83A true KR20170066883A (ko) 2017-06-15
KR102573118B1 KR102573118B1 (ko) 2023-08-30

Family

ID=575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87A KR102573118B1 (ko) 2015-12-07 2015-12-0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1794B2 (ko)
EP (1) EP3179304B1 (ko)
KR (1) KR102573118B1 (ko)
CN (1) CN1070169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047B1 (ko) * 2016-11-24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510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20031368A (ko) * 2010-09-24 2012-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8416A (en) * 1997-02-13 1998-11-17 Motorola, Inc.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viewing angle of a display
JP2001323246A (ja) * 2000-03-07 2001-11-22 Sony Chem Corp 電極接続用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方法
KR20130094095A (ko) 2012-02-15 2013-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048597B2 (en) * 2012-10-19 2015-06-02 Apple Inc. Structures for securing printed circuit conne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510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20031368A (ko) * 2010-09-24 2012-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6931B (zh) 2020-06-16
CN107016931A (zh) 2017-08-04
US10021794B2 (en) 2018-07-10
US20170164485A1 (en) 2017-06-08
EP3179304B1 (en) 2019-03-27
EP3179304A1 (en) 2017-06-14
KR102573118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5646B2 (en) Splic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0691910B2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10361384B2 (en) Displays with shared flexible substrates
US10687423B2 (en) Circuit board module for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95200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lm cable
KR2020007308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0021231A (zh) 显示装置
US10490504B2 (en) Chip on printed circuit unit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9733673B2 (en) Display module
US1024959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0170031B2 (en) Display apparatus
KR20160096739A (ko) 표시 장치
CN103295478A (zh) 视频显示装置及发光装置
US20140185251A1 (en) Display device
US20160162083A1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2034058B1 (ko) 표시장치
KR20170066883A (ko) 표시 장치
KR20180053996A (ko) 표시 장치
US20190198438A1 (en) Chip on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KR1024177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80317A (ko) 표시 장치
KR102659071B1 (ko)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텔레비전 장치
KR20140042657A (ko) 연성 필름 케이블을 가지는 표시장치
KR102503746B1 (ko) 표시장치
CN112639663A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