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545A -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545A
KR20170066545A KR1020177012006A KR20177012006A KR20170066545A KR 20170066545 A KR20170066545 A KR 20170066545A KR 1020177012006 A KR1020177012006 A KR 1020177012006A KR 20177012006 A KR20177012006 A KR 20177012006A KR 20170066545 A KR20170066545 A KR 20170066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drop floor
feed path
bail forming
form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301B1 (ko
Inventor
시머스 발레이
Original Assignee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크버네랜드 그룹 라베나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06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05Arrangements for continuous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0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 A01F2015/107Means for withdrawing knives, rotor or walls of the feeding chamber in case of plugging or conges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baler)에 관한 것이고, 베일러는 제 1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제 2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및 공급(feeding)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공급 메커니즘은 픽업 디바이스,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drop floor), 및 픽업 디바이스와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 간에 제공되는 공급 경로를 포함하고, 드롭 플로어 유닛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 디플렉터(deflector)를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에서 공급 경로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해 작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공급 경로 섹션 각각이 개방되는 복수의 상이한 포지션들 간에서 피봇가능하다. 게다가, 원형 베일러의 공급 경로를 막힘해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A ROUND BALER FOR FORMING A BALE FROM A CROP PRODUCT AND A METHOD}
본 개시내용은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baler)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형 베일러는 압축된 건초(hay) 또는 풀 재료들의 원형 베일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업 수확 머신이다. 작물 생산물, 이를테면 건초, 풀들, 곡물(cereal crops) 또는 솜으로부터 베일들을 형성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솜, 곡물 또는 풀들이 커팅될 때 농지(agricultural land) 상에서 발견되는 베일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절한 재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들 작물 생산물, 건초 또는 풀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제로, 베일링할 때, 건초 또는 풀 생산물은 커팅되고 그 다음 픽업(pick up) 디바이스에 의해 베일링 챔버로 수집된다. 수집된 건초 또는 풀은 포지티브하게 구동되는 벨트들 또는 롤러들에 의해 베일링 챔버 내에서 권치 동작(winding action)에 영향을 받는다. 커팅된 건초 또는 풀은 챔버에 있는 동안 베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자체가 감겨진다.
정지/시작 타입들의 많은 현재 원형 베일링 디바이스들, 베일러들에는 픽업 디바이스로부터 베일 형성 챔버로 통과하는 인입 작물을 끌어당기고, 공급하고 그리고 압축시키는 공급(feeding) 회전자들이 설치된다. 가끔, 공급 회전자는 막히게 되고 따라서 보호 슬립 클러치(slip clutch) 디바이스는 공급 회전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트리거한다. 공급 회전자의 막힘해제를 위해서, 많은 제조자들은, 통상 "드롭 플로어(drop floor)들"로서 알려진 것을 가지는 원형 베일링 머신들을 설치한다. 회전자가 막히게 될 때, 오퍼레이터는 유압으로 플로어/쵸핑(chopping) 유닛을 공급 회전자 아래로 더 낮출 수 있고 그러므로 회전자 아래의 공급 경로를 상당히 개방시킨다. 그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머신의 PTO를 다시 턴 온할 수 있고 그리고 회전자는 드롭 플로어/쵸핑 유닛이 아래로 내려가 공급 공간의 볼륨이 증가됨으로써 증가된 공급 경로로 인해 막힌 작물을 제거할 것이다.
문헌 WO 2013 / 014291 A1호는 프리챔버(prechamber) 및 메인 챔버 머신을 제공하는 2개의 베일 형성 챔버들을 포함하는 원형 베일러를 개시한다. 표준 드롭 플로어 막힘해제 디바이스는, 공급 회전자가 공급하고 있는 하나의 챔버에 대한 막힘만을 제거할 것이다.
문헌 EP 2 689 654 A2호는 단일 베일 형성 챔버가 제공되는 원형 베일러를 개시한다. 작물을 베일 형성 챔버로 공급하는 공급 메커니즘에는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에 관해 상이한 포지션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특히,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낮춰지고 그리고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베일 형성 챔버들로의 작물 생산물의 공급이 개선된,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항에 따른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가 제공된다. 게다가, 제 14 항에 따른 원형 베일러의 공급 경로의 막힘해제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라,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가 제공된다. 원형 베일러는 제 1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제 2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및 공급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공급 메커니즘은 픽업 디바이스,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유닛을 포함한다. 공급 경로는 픽업 디바이스와 제 1 및 제 2 챔버 간에 제공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 디플렉터(deflector)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적어도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에서 공급 경로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하여 작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공급 경로 섹션이 각각 개방되는 복수의 상이한 포지션들 간에서 피봇가능하다.
다른 양상에 따라, 원형 베일러의 공급 경로를 막힘해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 원형 베일러에, 제 1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제 2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및 공급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 공급 메커니즘은 픽업 디바이스,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유닛을 가짐 ―,
- 원형 베일러의 픽업 디바이스에 의해 작물 생산물을 픽업하는 단계,
- 픽업 디바이스와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 간에 제공되는 공급 경로를 따라 작물 생산물을 운반하는 단계, 및
- 적어도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드롭 플로어 유닛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에서 공급 경로의 사이즈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급 경로의 막힘을 막힘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막힘해제를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동작 포지션으로부터 막힘해제 포지션으로 낮추어지고, 동작 포지션 및 막힘해제는,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하여 작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공급 경로 섹션이 개방되는 포지션들이다.
작물 디플렉터 플레이트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제공된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챔버는 또한 각각 프리챔버 및 메인 챔버로서 지칭될 수 있다. 원형 베일러는 논-스톱(non-stop) 베일러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작물 공급 경로에는 서로 분리된 상이한 공급 경로 서브-섹션들을 가짐으로써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서브-공급 경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가 재배치될 수 있는 상이한 포지션들은 작물을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하여 챔버들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하도록 적응된 공급 포지션일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부착(attach)된 작물 디플렉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경로 섹션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은 섹션 내에서 공급 경로를 좁히고/넓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 경로 섹션 사이즈의 조정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를 상부 포지션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더 낮아진 포지션들로 낮추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작물 공급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응된 블라인딩 방지(anti-blinding) 포지션으로 재배치가능할 수 있다. 재배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회전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블라인딩 방지 포지션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더 낮아진 막힘해제 포지션(막힘 방지 포지션)일 수 있다. 블라인딩 방지 포지션은, 공급 경로의 막힘이 예컨대 머신 오퍼레이터에 의해 관찰된 후, 작물 공급 경로를 막힘해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블라인딩 방지 포지션은 상이한 서브-공급 경로들의 섹션들을 막힘해제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블라인딩 방지 포지션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복수의 상이한(개방된) 포지션들 중 하나의 포지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또는 원형 베일러의 부가적인 컴포넌트들과 조합하는 드롭 플로어 유닛은 단순화되고 신뢰성 있는 작물 공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둘 모두의 챔버들에 대한 공급 경로를 막힘해제할 드롭 플로어 막힘해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재배치에 무관하게 피봇가능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피봇팅은 또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재배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피봇팅에 의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재배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조정을 강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집합적인/공통 재배치, 예컨대 회전이 제공된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베일러 섀시(chassis) 상에 제공된 힌지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힌지는 픽업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연장부를 제공할 수 있다. 후면 측 연장부는 제공될 수 있고, 후면 측은, 챔버들에 대해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가 위치되는 측이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작물을 각각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에 공급하도록 적응된 제 1 및 제 2 포지션으로 피봇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포지션들에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포지션들이 챔버들 중 하나로 픽업되는 작물을 안내하도록 적응되는 포지션들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급 경로 섹션은 공급 회전자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공급 회전자는 공급 경로 섹션의 일 측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공급 경로 섹션의 반대 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급 경로 섹션의 사이즈를 넓히는 것은 공급 회전자의 회전 축과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작동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힘을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에 인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피봇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유압 액터(actor)가 제공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유닛은 커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 디바이스는 공급 경로 섹션을 향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일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커팅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으로 돌출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자신의 피봇 포인트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피봇팅 작동기들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자신의 피봇팅 작동기들은 섀시에 의해 제공되는 원형 베일러 구조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부착이 없다.
방법에 관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가 막힘해제를 위하여 낮추어지는 동안,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대해 자신의 상대적 포지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를 낮추는 프로세스에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예컨대 공급 경로에 대하여 더 넓은 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대해 자신의 상대적 포지션을 변경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관하여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상대적 포지션 변경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가 낮추어지는 동안 및/또는 낮춤이 끝난 후, 수행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이동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재배치(더 낮춤, 위로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강제 이동일 수 있다.
공급 경로의 막힘해제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또는 서브-공급 경로에 대한 서브-공급 경로의 막힘해제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공급 경로들은 공급 경로의 일부이고 각각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 픽업되는 작물을 운반하도록 적응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은 공급 경로를 만드는 모든 서브-공급 경로들의 부분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피봇팅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하는 포지션들의 범위에서 교번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와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베일 형성 챔버들에 대한 복수의 작물 공급 경로들(서브-공급 경로)로 만들어질 수 있는 공급 경로의 단면적을 증가/감소시키도록 적응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에는 효과적으로, 상기 단면적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급 경로들에 적응시키기 위한 다중차원(적어도 2차원) 이동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드롭 플로어 유닛의 복수의 이동가능 부분들이 있을 수 있고, 그 부분들은 서로에 관련하여 그리고 공급 경로의 단면을 적응시키기 위한 단위로서 이동가능하다.
다음에, 원형 베일러의 추가 양상들이 설명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은 픽업 릴(reel) 뒤에 직접 힌지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유닛은 요구될 때 유압적으로 더 낮추어지고 상승될 수 있다. 결합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와 함께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유닛을 이룰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작물을 상이한 베일 형성 챔버들로 전향(divert)시키고 방향 변경을 위하여 적어도 2개의 포지션들 간에서 교번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작물 공급 경로의 코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 1 포지션과 제 2 포지션 간에서 일시 멈추어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작물은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의 적어도 2개의 별개의 경로들을 따른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픽업된 작물을 2개의 챔버들 중 어느 하나로 전향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후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자체의 힌지된 포인트에 무관한 피봇팅 모션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후면에 부착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이동 또는 회전 포인트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자체의 회전 포인트에 무관하다.
예컨대 작물 디플렉터 플레이트가 제공된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자신의 피봇 포인트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장착된 피봇팅 포인트 작동기들을 가질 수 있고, 디플렉터 플레이트 및 작동기들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1차 회전 이동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상단 표면에 관련한 이동의 가변 각도 및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자체의 회전 이동에 따른 각도 범위에서 교번하는 2차 이동 각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런 2차 각도 범위는,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관련하여 하나의 포지션에 있다면 디플렉터 디바이스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간의 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있을 것이므로, 원형 베일러의 수평 축에 관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총 각도 이동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2차 회전 이동의 총 각도에 부가되거나 또는 상기 총 각도로부터 벗어나는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1차 회전 이동의 총 합으로서 정의된 원형 베일러의 수평 축에 관련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동 각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1차 회전 이동은 머신들 수평 축에 관련하여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이동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작동기들은 원형 베일러의 구조의 어떠한 다른 부분에도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디플렉터 디바이스, 작동기들 및 연관된 피봇팅 어셈블리는 100%의 무게를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상에 지탱하고, 차례로 자신의 무게를 이동을 제공하는 힌지 또는 피봇 포인트 및 작동기들을 통하여 베일러의 구조, 예컨대 원형 베일러의 섀시 또는 섀시에 직접 부착되는 몇몇 지지 구조에 전달할 수 있다. 디플렉터 디바이스, 작동기들 및 피봇팅 구조의 이런 어레인지먼트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부착되어,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그 자체가 별도로 이동가능한 유닛이지만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관련하여 이동하고, 그러므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디플렉터 디바이스 컴포넌트들 둘 모두는 서로에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고, 그러므로 함께 작동하고 작업하는 결합된 유닛으로서 거동하지만, 둘 모두는 원형 베일러 구조에 무관하게 이동한다.
다른 장점은 베일 형성 챔버들에 관련하여 자신의 피봇팅 이동 및 상대적 포지션들에 관련될 수 있다. 제안된 드롭 플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베일 형성 챔버들로의 막힘들을 제거하기 위한 증가된 작물 경로들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포지션들을 가질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회전에 관련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독립적 회전, 이에 의해 작업 프로세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베일 형성 챔버에 작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과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 간에 제 1 각도를 제공하는 것은 작물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베일 형성 챔버들에 공급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작물 경로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작물이 제 1 베일 형성 챔버로 공급될 때,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포지션 1에 있을 수 있고, 그 포지션 1은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과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 간에서 제 1 각도를 특징으로 한다. 공급 채널 내에 막힘이 있다면,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로의 공급 채널을 개방하도록 더 낮추어질 수 있고,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또한 공급 채널의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따라 더 낮아지고 그러므로 제 1 베일 형성 챔버로의 작물 막힘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드롭 플로어의 연장부일 수 있고 그리고 작물 공급 통로를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후면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과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 간의 제 1 각도는, 드롭 플로어 유닛이 막힘해제를 위하여 더 낮아질 때 변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은 드롭 플로어 유닛을 더 낮추는 것을 포함하는 막힘해제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고,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은 작물을 다른 베일 형성 챔버에 공급하도록 조정된 제 2 각도에 있고, 제 2 각도는 제 1 각도와 상이하다.
그러므로, 작물이 제 1 베일 형성 챔버로 공급될 때,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제 2 포지션에 있을 수 있고, 제 2 포지션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과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의 작업 표면 간의 제 2 각도를 특징으로 한다. 공급 채널 내에 막힘이 있다면,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의 공급 채널을 개방하도록 더 낮추어질 수 있고,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부착되므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또한 공급 채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따라 더 낮아지고 그러므로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의 작물 막힘은 제거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이동은 작물 경로를 제 1 베일 형성 챔버 또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중 어느 하나로 개방하고 그리고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작물 경로를 제 1 베일 형성 챔버 또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 변경하거나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막힘해제 포지션에 있을 때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작물 공급 통로의 포지션 및 개방은 챔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한 막힘이 제거되게 하도록 하는 상이한 공급 경로들이 개방되는 양에 관하여 유사할 수 있다.
다음에, 추가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시되는 도면들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논스톱(nonstop) 타입의 원형 베일러(baler)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원형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공급 경로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에 진입이 차단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3은 원형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작물은 제 1 베일 형성 챔버로 공급된다.
도 4는 원형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작물은 제 2 베일 형성 챔버에 진입하여 베일을 형성한다.
도 5는 원형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공급 경로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에 진입이 차단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6은 원형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공급 경로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로의 막힘을 제거하도록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를 더 낮춤으로써 개방된다.
도 7은 상이한 동작 포지션들에서 드롭 플로어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1, 2 및 3을 참조하여, 작물 생산물로부터 원형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100)가 측면도로 도시된다. 묘사된 원형 베일러(100)는 논-스톱 베일러 타입을 가진다.
도 1 내지 3에 따라, 원형 베일러에는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101, 102)가 제공된다. 공급 경로(103)는 픽업되는 작물 생산물을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101, 102)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공급 경로(103)는 적어도 픽업 디바이스(104)와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101, 102) 간으로 연장된다. 서로 분리되는 상이한 공급 경로 섹션들을 가짐으로써 서로 상이한 다수의 서브-공급 경로들이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101, 102)에는 베일 형성 메커니즘(101a, 102a)이 제공된다.
도 2는 원형 베일러(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작물은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공급된다. 공급 경로(103)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에 진입이 차단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공급 경로(103)를 따라, 작물은 픽업 디바이스(104)로부터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공급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를 거쳐 공급 회전자(105)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1에서, 작물은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공급되고, 따라서 그러므로 이 포지션에서, 비록 작물을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포지션이지만,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또한 폐쇄된 포지션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상부 포지션에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의 후면 측(108)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작물을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지향시키기 위하여 업(up) 포지션에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피봇팅 포인트(109)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팅 디바이스(110)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에 제공된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의 후면 측(108)에서,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피봇 포인트(111)를 통하여 피봇되고 그리고 작동기들(112)에 의해 피봇 포인트들(113, 114)을 통하여 이동된다.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의 전면에 위치된다.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에서, 베일(115)이 생성되고, 그리고 이 베일은 완성을 위하여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에 전달된다. 완성된 베일(116)이 생성되고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와 공급 회전자(105) 간에 위치되는 공급 경로 섹션(117)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도 2는 공급 경로(103)가 예컨대 공급 경로 섹션(117)에서 막히게 될 때를 예시하고, 그리고 PTO(보통 동력 인출 장치("Power Take Off")로서 알려짐) 슬립 클러치는 자동으로 맞물릴 것이다. 구동 라인을 다시 맞물리기 위하여, 공급 경로(103)는, PTO 구동 라인 클러치가 다시 맞물리게 하고 그리고 막힌 작물이 2개의 베일 형성 챔버들(101, 102) 중 하나로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사이즈가 증가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작물의 공급을 위한 상부 포지션에 있고 그리고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작물이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채널링(channel)되거나 전향되는 것을 표시하는 포지션에 있다.
도 3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가 아래로 더 낮아지고 작물 공급 경로 또는 채널(103)의 사이즈가 증가된 것을 도시한다. 또한 이 섹션의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디플렉터 플레이트로서 제공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가 업 포지션인 포지션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에 비해 이런 업 포지션에서, 작물은, 비록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가 더 낮아진 막힘해제 상태에 있더라도,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 전향된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컴포넌트들이다.
도 4, 5 및 6은 원형 베일러(100)를 예시한다.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공급하는 동안 작물의 막힘해제의 프로세스가 묘사된다.
도 1 내지 3에 따라 도 4에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작물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동일한 상부 포지션에 있다. 도 1 내지 3에 비교하여 특히 이 도 4에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7)의 후면 측(108)에 부착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가 작물을 작물 공급 채널(103)을 통하여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공급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포지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포지션에 있다.
도 5는 막힘이 발생한 때를 예시하고,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 공급 포지션에 있다. 공급 회전자 스크레이퍼(scraper) 유닛(119)은 또한, 작물이 공급 회전자(105)를 떠나고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에 진입할 때 공급 회전자(105)로부터 작물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다운(down) 포지션에 있다.
도 6은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의 공급 경로(103), 특히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117)의 막힘을 해제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지만 또한 드롭 플로어 유닛 컴포넌트들, 즉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와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상대적 포지션들을 도시한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힌지 또는 피봇팅 포인트(109)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차례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를 도시된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결과로서, 작물 공급 채널(103)의 사이즈가 증가되고,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원형 베일러(100)를 다시 구동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트랙터들 PTO를 재맞물릴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를 더 낮춤의 결과로서,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막힘해제, 더 낮아진 포지션에 있고, 그리고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의 공급 포지션에 있고 따라서 막힌 공급 경로(103)가 성공적으로 막힘해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드롭 플로어 유닛(118)은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118)은 적어도 2개의 베일 형성 챔버들을 가지는 상이한 타입의 베일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유닛(118)에 관련되지 않은 특징에 관하여, 적어도 2개의 베일 형성 챔버들을 가지는 그런 베일러들은 위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상이할 수 있다.
작물을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들(101, 102)에 공급하고 그리고 2 또는 그 초과의 챔버들로부터 작물의 막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의 상단 작업 표면(106a)은 자신의 기울기 및 각도를 변경하여 제 1 및 제 2 베일 형성 챔버들(101, 102)에 작물을 공급하고 그리고 2개의 챔버들로의 작물 막힘을 해제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3개 이상의 베일 형성 챔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는 회전 포인트(106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제 1 베일 형성 챔버들(101)에 작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제 1 베일 형성 챔버(101)에 관한 공급 동작)에 관해,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의 상단 작업 표면(106a)은 다음의 구성을 가진다. 상단 작업 표면(106a)에는 수평 축에 대해 각도(x)가 제공된다. 다음에서, 모든 각도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평 축에 관련된다.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수평 축에 대해 각도(z)의 작업 표면(107a)을 가진다. 상단 작업 표면(106a)은 상단 작업 표면(106a)의 각도를 정의하는 x 및 회전 포인트(107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작업 표면(107a)을 정의하는 z의 조합된 각도들 세트를 가진다. 상단 작업 표면(106a)과 상단 작업 표면(107a) 간의 관계는 각도(y)에 의해 정의된다(도 7에서 도면 7.1 참조). 상단 작업 표면(106a) 및 작업 표면(107a)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18)의 디바이스 작업 표면(118a)으로 결합한다.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로의 작물 막힘을 해제하기 위한 구성(제 2 베일 형성 챔버(101)에 관하여 막힘해제 동작)인 도 7의 도면 7.2를 참조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의 상단 작업 표면(106a)은 수평 축에 관하여 각도(x1) 및 작업 표면(107a)에 대한 각도(z1)에 의해 정의된 대안적인 포지션으로 구성된다. 도면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작업 표면(106a)과 작업 표면(107a) 간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있고 그리고 각도(y)는 변경되지 않고 있고 이 구성에 있는 동안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가 막힘을 제거하게 하는 것이 한다. 드롭 플로어 유닛(118)은 더 낮아진다.
그 다음으로, 도 7의 도면 7.3에 따라,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유닛 작업 표면(118a)의 구성은 작물을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공급하도록 교체된다(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에 관한 공급 동작).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는 각각 각도(y1 및 z3)에 의해 정의된 자신의 각도들을 교번하고, 이는 작물을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작동 및 지향시키도록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를 구성한다. 각도(y1)는 상단 작업 표면(106a)을 정의하고, 그리고 각도(z3)는 작업 표면(107a)을 정의한다. 유닛 작업 표면(118a)을 제공하는 결합된 작업 표면들은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작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 공급 경로의 막힘이 발생할 때, 드롭 플로어 유닛(118)은 더 낮아진다(도 7의 도면 7.4 참조). 상단 작업 표면(106a)은 x1로 변화하고, 그리고 작업 표면(107a)은 각도(z4)로 변화한다. 드롭 플로어 유닛(118)을 더 낮추는 것 및 각도들의 변경은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더 낮추는 동작은 먼저 행해지고 그 다음 각도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그 반대이다. 도 7.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7)와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 간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있고, 그리고 각도(y1)는 변경되지 않고 있고 그리고 이 구성에 있는 동안 드롭 플로어 유닛(118)이 막힘을 제거하게 한다. 동일한 것은 도 7.2의 막힘해제 동작에 적용된다.
유닛 작업 표면(118a)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결합된 작업 표면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단 작업 표면(106a) 및 작업 표면(107a)에 의해 정의된 드롭 플로어 유닛(118) 내에 적어도 2개의 작업 표면들이 있다. 상단 작업 표면(106a)은 베일러 구조의 메인 프레임에 부착된 피봇팅 축(도 7의 회전 포인트 A)을 중심으로 전체로서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피봇팅 동작에 의해 변경된다. 작업 표면(107a) 각도는 베일러들 구조에 무관하게 드롭 플로어 유닛(118)에 부착된 추가 피봇팅 축(도 7의 피봇팅 포인트 B)을 중심으로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피봇팅 동작에 의해 변경된다.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작업 표면들은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유닛 작업 표면(118a)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독립적인 피봇팅 축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작업 표면 각도들은 드롭 플로어 유닛(118) 내의 수평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교번하는 각도들을 유발하는 공급 모드와 막힘해제 모드 간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교번 각도들을 유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닛 작업 표면(118a)으로 결합하는 상단 작업 표면(106a) 및 작업 표면(107a)은 작물을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 및/또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에 공급하거나 제 1 베일 형성 챔버(101) 및/또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102)로의 공급 채널에서 작물의 막힘을 해제하는 작업 모드에 의해 정의된 각도들 간에서 교번할 수 있지만, 상단 작업 표면(106a)과 작업 표면(107a) 간의 관계는, 작물을 공급하거나 작물의 막힘을 해제하는 작업 모드들 각각 내에서 작업할 때 변경되지 않고 있을 수 있다.
상단 작업 표면(106a) 및 작업 표면(107a)은 베일러의 메인 구조에 부착된 피봇팅 축 및 베일러의 구조에 무관한 피봇팅 축에 의해 상이한 구성들로 변경되고 포맷팅(format)될 수 있다.
상단 작업 표면(106a) 및 작업 표면(107a)의 각도들은 베일러들의 메인 구조에 부착된 피봇팅 축 및 베일러들의 구조에 무관하지만 드롭 플로어 유닛(118)에 부착되는 독립적인 피봇팅 축에 의해 수평 축에 대해 교번할 수 있다. 이런 독립적인 피봇팅 축은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작업 표면 각도를 구성할 수 있고, 차례로 베일러들 구조에 부착된 축을 중심으로 드롭 플로어 유닛(118)의 피봇팅으로부터 발생하는 수평 축에 대한 드롭 플로어 유닛들(118) 작업 표면 각도들에 더하여,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독립적인 작업 각도를 유발하는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106) 및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107)의 독립적인 내부 작업 각도를 구성한다.
이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도면들 및/또는 청구항들은 별개로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로 취해지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실현을 위한 자료일 수 있다.

Claims (14)

  1.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baler)로서,
    - 제 1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 제 2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및
    - 픽업(pickup) 디바이스,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유닛(drop floor unit)을 포함하는 공급 메커니즘, 및
    - 상기 픽업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 상기 제 2 베일 형성 챔버 간에 제공되는 공급 경로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롭 플로어 유닛은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 디플렉터(deflector)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에서 상기 공급 경로의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상기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하여 작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 경로 섹션이 각각 개방되는 복수의 상이한 포지션들 간에서 피봇가능한,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상기 작물 공급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응된 블라인딩 방지(anti-blinding) 포지션으로 재배치가능한,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재배치에 무관하게 피봇가능한,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베일러 섀시(chassis) 상에 제공되는 힌지(hinge)에 피봇가능하게 부착(attach)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제공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연장부를 제공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상기 작물을 각각 상기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 상기 제 2 베일 형성 챔버에 공급하도록 적응된 제 1 및 제 2 포지션으로 피봇가능한,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경로 섹션은 상기 공급 회전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작동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힘을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에 인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피봇가능한,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 플로어 유닛은 커팅(cutting)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디바이스는 상기 공급 경로 섹션을 향하는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의 일측 상에 제공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디바이스는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인접한 상기 공급 경로 섹션으로 돌출하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는 자신의 피봇 포인트 및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피봇팅 작동기들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디플렉터 디바이스 및 자신의 피봇팅 작동기들은 섀시에 의해 제공되는 원형 베일러 구조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부착이 없는,
    작물 생산물부터 베일(bale)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14. 원형 베일러의 공급 경로의 막힘해제를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원형 베일러에, 제 1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1 베일 형성 챔버, 제 2 베일 형성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제 2 베일 형성 챔버, 및 공급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공급 메커니즘은 픽업 디바이스, 공급 회전자 디바이스, 및 드롭 플로어 유닛을 가짐 ―,
    - 상기 원형 베일러의 상기 픽업 디바이스에 의해 작물 생산물을 픽업하는 단계,
    - 상기 픽업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베일 형성 챔버 및 상기 제 2 베일 형성 챔버 간에 제공되는 공급 경로를 따라 상기 작물 생산물을 운반하는 단계, 및
    - 적어도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 및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 디플렉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드롭 플로어 유닛에 인접한 공급 경로 섹션에서 공급 경로의 사이즈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급 경로의 막힘을 막힘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막힘해제를 위하여, 상기 드롭 플로어 디바이스는 동작 포지션으로부터 막힘해제 포지션으로 더 낮추어지고, 상기 동작 포지션 및 상기 막힘해제는, 공급 경로 섹션을 통하여 작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 경로 섹션이 개방되는 포지션들인,
    원형 베일러의 공급 경로의 막힘해제를 위한 방법.
KR1020177012006A 2014-10-06 2015-10-06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 KR10236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7804.1 2014-10-06
EP14187804.1A EP3005854B1 (en) 2014-10-06 2014-10-06 A round baler for forming a bale from a crop product and a method
PCT/EP2015/073004 WO2016055448A1 (en) 2014-10-06 2015-10-06 A round baler for forming a bale from a crop product and a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545A true KR20170066545A (ko) 2017-06-14
KR102363301B1 KR102363301B1 (ko) 2022-02-15

Family

ID=5166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06A KR102363301B1 (ko) 2014-10-06 2015-10-06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3005854B1 (ko)
KR (1) KR102363301B1 (ko)
CA (1) CA2963592C (ko)
ES (1) ES2897769T3 (ko)
LT (1) LT3203830T (ko)
NZ (1) NZ730766A (ko)
PL (1) PL3203830T3 (ko)
WO (1) WO2016055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446B2 (en) * 2017-08-21 2023-01-03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Method for operating a round baler and a round baler
US10537066B1 (en) * 2018-09-25 2020-01-21 Redlands Ashlyn Motors, PLC Continuous baler
CN111820016A (zh) * 2019-04-17 2020-10-27 成都致靖超云科技有限公司 一种双仓连续打捆系统
IT201900007605A1 (it) 2019-05-30 2020-11-3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Imballatore connettibile ad un trattore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e metodo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IT201900007614A1 (it) * 2019-05-30 2020-11-3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Una macchina agricola
IT201900007593A1 (it) 2019-05-30 2020-11-3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Imballatore connettibile ad un trattore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e metodo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IT202000000928A1 (it) 2020-01-20 2021-07-20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Rotopressa
DE102022112958A1 (de) * 2022-05-23 2023-11-23 Maschinenfabrik Bernard Krone GmbH & Co. KG Rundballenpres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925A1 (en) * 2001-01-24 2002-07-25 Preheim William W. Round baler having incoming crop deflectors
US8751115B2 (en) * 2009-05-12 2014-06-10 Deere & Company Unplugging control for a feeding system
US20140165856A1 (en) * 2011-07-28 2014-06-19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Round bal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8521A1 (de) * 1999-06-22 2001-01-04 Lely Welger Maschinenfabrik Gm Zuführkanal für ein Ernte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 landwirtschaftliche Aufsammelballenpresse
DE102012212846A1 (de) * 2012-07-23 2014-01-23 Deere & Company Ballenpres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925A1 (en) * 2001-01-24 2002-07-25 Preheim William W. Round baler having incoming crop deflectors
US8751115B2 (en) * 2009-05-12 2014-06-10 Deere & Company Unplugging control for a feeding system
US20140165856A1 (en) * 2011-07-28 2014-06-19 Kverneland Group Ravenna S.R.L. Round ba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5448A1 (en) 2016-04-14
NZ730766A (en) 2022-08-26
EP3203830B1 (en) 2021-09-08
ES2897769T3 (es) 2022-03-02
EP3203830A1 (en) 2017-08-16
EP3005854A1 (en) 2016-04-13
PL3203830T3 (pl) 2022-01-31
LT3203830T (lt) 2021-12-27
CA2963592A1 (en) 2016-04-14
KR102363301B1 (ko) 2022-02-15
EP3005854B1 (en) 2019-05-08
CA2963592C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301B1 (ko) 작물 생산물로부터 베일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베일러 및 방법
EP3053429B1 (en) Drop floor with front and rear linkage mechanism
US10462974B2 (en) Two stage knife floor
US9491909B2 (en) Continuous round baler chambers and conveyor system
CN107920470B (zh) 农用压捆机
CN107846845B (zh) 农业捆包机
EP2959768B1 (en) Continuous round baler with variable conveyor
EP3103323B1 (en) Electrohydraulic circuit for a drop floor assembly
US20140096692A1 (en) Rubber Torsion Spring and Cushion to Protect Cutter Knives in Baler
EP3300588B1 (en) Agricultural baler
EP2564683B1 (de) System zur Steuerung einer Überladeeinrichtung
US7836673B2 (en) Cotton harvesting machine with on-board module builder and integrated module transporter having on-the-go unload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same
EP3545752B1 (en) An agricultural baler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101869467B1 (ko) 수평 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101937875B1 (ko) 농업용 베일러의 이물질 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