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512A - 세포 포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세포 포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512A
KR20170066512A KR1020177011703A KR20177011703A KR20170066512A KR 20170066512 A KR20170066512 A KR 20170066512A KR 1020177011703 A KR1020177011703 A KR 1020177011703A KR 20177011703 A KR20177011703 A KR 20177011703A KR 20170066512 A KR20170066512 A KR 2017006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path
introduction
filter
tra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고타토
요시히토 기쿠하라
다이헤이 오다기리
마사후미 가네토모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6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7Single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01D71/0223Group 8, 9 or 10 metals
    • B01D71/02232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9/00Membrane assemblies within one housing
    • B01D2319/02Elements in series
    • B01D2319/025Permeat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8Trapping microscopic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23(Hyper)proliferation
    • G01N2800/7028Canc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세포를 포함하는 피검액 또는 피검액 중의 세포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액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입 유로와, 피검액 또는 처리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와, 복수의 관통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도입 유로와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피검액 또는 처리액이 해당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필터와, 도입 유로와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있고 필터와 도입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도입 영역과, 필터와 배출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 영역과, 도입 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도입 영역과, 배출 영역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이며, 적어도 하나의 도입 유로 위이며 도입 영역과의 접속 부분과는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도입 유로의 직경보다도 그 직경이 큰 공간 영역에 의해 형성된 전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포 포착 디바이스{CELL-CAPTURING DEVICE}
본 발명은 피검액 중에 침입한 특정한 세포를 필터에 의해 포착하기 위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악성 종양」이라고도 불리는 암은 진행된 경우 생체의 생명 유지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치료 방법에 대하여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암 환자의 치료 방침을 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암의 전이의 유무가 있다. 전이는 암세포가 혈관 또는 림프관의 내부에 침입하여, 이들을 경유하여 체내에 퍼져 다른 장기로 암세포가 옮겨지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혈중의 암세포의 유무 및 그 양의 측정은, 암의 전이 예측을 할 때 중요한 정보가 된다. 이러한 혈관 또는 림프관을 통하여 사람의 체내를 순환하는 암세포는 혈중 순환 암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라고 칭하고 있다.
전이암의 검사 또는 항암의 평가를 위하여 CTC를 파악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CTC를 필터로 포획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필터의 반도체 기술을 사용한 제조 방법, 필터를 수납한 셀 유닛의 형상, 및 혈액 및 처리액을 흘리는 유로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를 수납한 셀 유닛에 암세포를 포함한 혈액을 흘림으로써 암세포를 포획하고, 필터 위에 존재하는 세포를 염색에 의해 암세포라고 동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3에는 암세포 및 면역 세포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세포 분산액을 통과시켜, 상기 암세포 및 상기 면역 세포 중 적어도 한쪽에, 물리적 작용, 화학적 작용 및 생리 활성 작용의 적어도 1종을 부여할 수 있는 세포 처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체액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니켈 기판에 미세 관통 구멍을 갖는 니켈 기판의 상하에 시료 공급구를 구비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제 상부 부재와 시료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부 부재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유체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053152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70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51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383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한 경우, 장치의 유로 내에 공기가 혼입된 경우에는 검체의 처리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또한 측정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처리액 중의 이물이 필터 위에 축적되어 세포 포착의 장해가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특히 세포를 포착하는 필터 부근으로의 공기의 혼입을 억제함과 함께 액 중의 이물을 제거하여,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는, 세포를 포함하는 피검액 또는 피검액 중의 세포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액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입 유로와, 상기 피검액 또는 상기 처리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와, 복수의 관통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상기 피검액 또는 상기 처리액이 해당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필터와, 상기 도입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있고 상기 필터와 상기 도입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도입 영역과, 상기 필터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 영역과, 상기 도입 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도입 영역과, 상기 배출 영역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입 유로 위이며 상기 도입 영역과의 접속 부분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입 유로의 직경보다도 그 직경이 큰 공간 영역에 의해 형성된 전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처리부가 도입 유로에 설치됨으로써, 도입 유로를 흐르는 처리액 또는 피검액에 혼재하는 기포가 분리되어 전처리부의 공간 영역에 저류된다. 여기서, 기포의 비중이 액의 그것보다도 작으므로, 분리된 기포는 액의 상부로 이동하여 저류된다. 따라서, 전처리부보다도 후단에 배치되는 필터 근방을 향하여 기포가 혼재된 처리액 또는 피검액의 공급을 억제하여,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부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처리액 또는 상기 피검액이 해당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제2 필터를 구비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전처리부가 제2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액체 중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에 있어서의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필터를 전처리부에 설치함으로써, 기포의 제거 효과가 향상되고,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의 정밀도도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공간 영역과 상기 도입 영역 사이의 유로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경유하고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영역과 도입 영역 사이의 유로를 하우징부에 형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하우징부 내부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도입 영역의 단부가 만곡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도입 영역의 단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입 영역(51)에 기포가 저류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세포 포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내지」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솟값 및 최댓값으로 하여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세포 포착 장치)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세포 포착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세포 포착 장치는, 피검액인 혈액을 필터에 의해 여과함으로써 혈액 중에 포함되는 세포를 포착하는 장치이다. 또한, 필터에 의해 포착된 세포에 대하여, 염색액 등의 처리액을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세포의 특정 및 세포의 개체수의 카운트 등이 행하여진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액이 혈액이며, 포착 대상이 되는 세포가 혈중 순환 암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검액으로서는, 혈액, 림프액 등을 들 수 있고, 포착 대상이 되는 특정한 세포로서는, CTC를 비롯한 희소 세포, 순환 내피 세포(Circulating endothelial cells: CEC), 혈관 순환 내피 전구 세포(Circulating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CE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포 포착 장치(100)는, 세포를 포착하기 위한 필터가 내부에 설치된 세포 포착 디바이스(1),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처리액(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연질 튜브로 이루어지는 처리액 유로(3),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연질 튜브로 이루어지는 피검액 유로(4)가 형성되어 있다. 처리액 유로(3)의 상류측에는, 서로 다른 처리액(시약)이 넣어져 있는 복수의 처리액 수납 용기(5)가 설치된다. 처리액 수납 용기(5)에 투입되는 처리액으로서는, 세포를 염색하기 위한 염색액, 필터에 포착된 세포 등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 세포를 변성·변질·부패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정액, 염색액이 세포 내부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과액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복수의 처리액 수납 용기(5)는, 밀봉 부재(5A)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만, 이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처리액 수납 용기(5)에 대해서는 각각 연질 튜브(6)에 접속된 경질 튜브(6A)가 삽입되어 개별의 유로(처리액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유로가 선택 밸브(8)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고, 선택 밸브(8)를 회전시킴으로써 처리액 유로(3)에 대하여 접속하는 처리액이 선택되고, 선택된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액 수납 용기(5)에 대하여 삽입된 경질 튜브(6A) 및 연질 튜브(6)와 처리액 유로(3)가 접속된다. 또한, 경질 튜브(6A) 및 연질 튜브(6)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접속하는 피검액 유로(4)에는, 내부에 피검액으로서 특정한 세포를 포함한 혈액이 수납된 혈액 수납 용기(10)(피검액 수납 용기)가 접속되어 있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해서는, 처리액 및 혈액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처리액 및 혈액 중 어느 액체를 공급할지의 제어는 처리액 유로(3) 및 피검액 유로(4)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 밸브(21, 22)에 의해 전환한다. 예를 들어, 혈액을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공급하는 경우는, 밸브(21)를 폐쇄로 하고, 밸브(22)를 개방으로 한다. 밸브(21, 22)로서는, 연질 튜브를 가압 변형시켜 그 흐름을 차단하는 핀치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처리액 및 혈액 중 어느 액체를 공급하는 경우,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하류측의 연질 튜브로 이루어지는 배출 유로(9) 위에 설치된 펌프(24)의 구동에 의해 목적의 액체를 흡인함으로써 액체의 공급이 행하여진다. 펌프(24)는 회전수 변화에 따라 유로 중의 액체의 유속을 바꾸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펌프(24)로서는, 예를 들어 연질 튜브에 대한 가압에 의한 연동점을 순차 이동시키는 연동 펌프(페리스탈틱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펌프(14)의 구동에 의해, 처리액, 혈액 등의 액체는 처리액 유로(3) 또는 피검액 유로(4)의 내부를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공급된다. 그리고,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통과한 액체는, 배출 유로(9)를 거쳐 폐액 용기(16)에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구조에 의해, 혈액 중의 세포가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내의 유로 위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포착됨과 함께, 염색액에 의해 세포가 염색된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는, 처리액 또는 피검액의 전처리를 행하는 전처리부가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유로(3)에 접속되는 유로 위에 처리액의 전처리를 행하는 제1 전처리부가 설치됨과 함께, 세포 포착 디바이스(1)로 혈액을 공급하는 피검액 유로(4)에 접속되는 유로 위에 피검액의 전처리를 행하는 제2 전처리부가 설치된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한 각 부의 제어는, 제어부(30)(선택 수단)에 의한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밸브(8), 밸브(21, 22, 23) 및 펌프(24)의 구동은, 제어부(3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행하여진다. 제어부(30)에는, 상기한 각 부에 관한 구동, 정지 등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입력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기기를 순서대로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제어부(30)(선택 수단)에 의해 액체를 흘리는 라인이 선택되고, 그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30)로부터 상기한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구동(송액 수단)에 관한 지시가 각 부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4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는, 복수의 관통 구멍(12)을 갖는 필터(11)를 포함하는 프레임재(13)를 덮개 부재(50)와 수납 부재(60) 사이에 끼워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가 하우징부로서 기능한다. 필터(11)는,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를 조합했을 때에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11)는,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고, 그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2)이 형성된 것이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치수는, 작업성 및 관찰성의 관점에서, 상면에서 보아 덮개 부재(50)의 1변의 길이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에 관해서는 관찰 기기의 높이 방향의 가동 범위의 관점에서, 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클립 등에 의해 끼워 보강하는 경우, 상기한 두께에는 클립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필터(11)에 사용되는 금속의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니켈, 크롬 및 이들 금속의 합금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은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른 금속과의 합금 또는 금속의 산화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가격 또는 입수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니켈, 구리, 금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57)가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니켈의 표면에 금 도금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 도금에 의해 필터 표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착 대상의 특정한 세포(예를 들어 CTC 등)에 대한 부착성이 균일해져, 데이터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건이 맞으면, 비금속의 필터를 채용해도 된다.
필터(11)의 두께는 3㎛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1)의 막 두께를 상기한 범위로 한 경우, 필터의 취급이 용이하고, 정밀 가공에도 적합하다. 또한, 필터(11)에 있어서 관통 구멍(12)이 형성되는 영역(이것은 피검액 또는 처리액이 통과 가능한 영역에 상당함)의 크기는 25㎟ 내지 1000㎟가 바람직하다. 25㎟ 내지 400㎟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25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터(11)에 있어서 관통 구멍(12)이 형성되는 영역의 크기가 1000㎟를 초과하면, 데드 스페이스가 많아진다. 또한, 필터(11)에 있어서 관통 구멍(12)이 형성되는 영역의 크기가 25㎟ 미만이면 처리 시간이 길어져, 필터 폐색 등의 문제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필터(11)의 관통 구멍의 개구 형상은, 타원, 원, 직사각형, 정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및 다각형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이란, 단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는 직사각형을 의미한다.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일례로서, 2개의 동등한 길이의 긴 변과 2개의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의 2개의 짧은 변의 외측에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중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 형상이 형성된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포착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필터(57)의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은, 포착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필터(11)의 주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재(13)는, 덮개 부재(50)와 수납 부재(60)에 의해 끼워 넣어졌을 때에,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밀봉성을 유지한다는 관점에 있어서, 코킹제 등을 프레임재(13)로서 적용해도 된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는, 연질 튜브로 형성된 처리액 유로(3)에 접속되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와, 피검액 유로(4)에 접속되는 피검액측 도입 유로(41)가 형성된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덮개 부재(50)에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와 연통하여 필터(11)의 상방에 형성되어 액체를 필터(11)의 관통 구멍(12)에 대하여 유도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도입 영역(51)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입 유로」란, 유로 중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내부에 형성된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를 가리킨다. 또한, 「처리액 유로」, 「혈액 유로」란,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의 상류측에 각각 접속되는 처리액 유로(3), 피검액 유로(4)를 가리킨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있어서, 처리액을 도입하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위에는 처리액의 전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1 전처리부(70)가 설치된다. 또한, 피검액을 도입하는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위에는 피검액의 전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2 전처리부(80)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전처리부(70)보다도 전단의 도입 유로를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로 하고, 제1 전처리부(70)보다도 후단의 도입 유로를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2 전처리부(80)보다도 전단의 도입 유로를 피검액측 도입 유로(41A)로 하고, 제2 전처리부(80)보다도 후단의 도입 유로를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로 하는 경우가 있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 중 수납 부재(60)에는, 필터(11)의 하방에 형성되고 중앙부의 깊이가 주연부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필터(11)의 관통 구멍(12)을 통과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배출 영역(61)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 부재(60)에는, 배출 영역(61)에 대하여 연통함과 함께 배출 유로(9)에 대하여 접속되어, 배출 영역(61)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91)가 형성된다. 덮개 부재(50)와 수납 부재(60)에 의해 끼워 넣어지는 필터(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2)은, 포착 대상이 되는 세포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대한 처리액 유로(3), 피검액 유로(4) 및 배출 유로(9)의 설치 위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처리액 유로(3) 및 피검액 유로(4)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구성하는 4개의 측면 중 하나에 있어서 처리액 유로(3) 및 피검액 유로(4)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면에 처리액 유로(3) 및 피검액 유로(4)가 접속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 유로(9)에 대해서도 그의 형성 위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처리액 유로(3), 피검액 유로(4) 및 배출 유로(9)의 형성 위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및 배출 유로(91)에 따라 변경되므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및 배출 유로(91)의 배치에 관해서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로의 수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설치되는 전처리부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전처리부는, 유로를 흐르는 액체 중의 기포의 제거를 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의한 측정의 피검액은 혈액 등인 점에서, 보다 소량의 피검액으로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피검액 또는 처리액 중에 기포가 혼입된 경우, 디바이스에 도입하는 부피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기포가 필터 위에 체류된 경우에는 필터 위의 도입 영역(51)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어, 필터(11)에 있어서 세포를 적합하게 포착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포 포착 디바이스에서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위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위의 각각에 전처리부를 설치하고, 필터(11)가 설치되는 도입 영역보다도 전단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전처리부는, 필터(11)가 설치되는 도입 영역보다도 전단이며, 또한 도입 영역과는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전처리부와 도입 영역 사이는 이들 영역보다도 직경이 작은 유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필터 및 전처리부는 하나의 피검액의 측정마다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내부에 세포를 포착하기 위한 필터(11)와 피검액 또는 처리액의 전처리를 행하는 전처리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피검액의 측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때의 작업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세포 포착 장치를 보다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 등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있어서, 제1 전처리부(70)는,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제1 전처리부(70)는, 그 직경이 처리액측 도입 유로(31)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단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와, 후단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사이에서 그 직경이 상이한 경우, 그 중 직경이 큰 쪽의 유로의 유로 직경보다도 제1 전처리부(70)의 직경이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유로에 기포가 혼입될 때에 제1 전처리부(70)에 있어서 기포가 체류될 수 있도록, 제1 전처리부(70)의 용적에 따라 변경되고, 제1 전처리부(70)의 용적이 하나의 기포의 부피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의 직경이 1㎜인 경우, 유로 내에서의 기포의 길이가 1㎜ 내지 3㎜ 정도가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1 전처리부(70)의 용적은 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처리부(70)는, 처리액의 출구인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에 대하여, 상방에 기포를 저류하는 공간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제1 전처리부(70)의 상방에 상류측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가 형성되고,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로부터 제1 전처리부(70) 내로 처리액이 도입된다. 또한, 제1 전처리부(70)의 하방에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가 형성된다. 즉, 제1 전처리부(70) 내에서 처리액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제1 전처리부(70)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로의 입구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처리액이 기포를 포함한 채 제1 전처리부(70)로부터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의 도입 영역(51)으로의 도입구(처리액측 도입 유로(31B)의 출구)와,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의 제1 전처리부(70)로의 도입구(처리액측 도입 유로(31A)의 출구)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처리부(70)보다도 후단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는, 수납 부재(60)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보다도 덮개 부재(50)측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가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는, 수납 부재(60), 프레임재(13) 및 덮개 부재(50)를 연통하는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또한,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덮개 부재(50), 프레임재(13) 및 수납 부재(60)를 형성할 때의 금형에 유로에 대응하는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제조해도 되고,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에 관통 구멍의 일부를 마개 등으로 막음으로써 유로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2 전처리부(80)도 제1 전처리부(70)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즉, 제2 전처리부(80)는,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2 전처리부(80)의 상방에 상류측의 피검액측 도입 유로(41A)의 출구(제2 전처리부로의 도입구)가 형성되고, 피검액측 도입 유로(41A)로부터 제2 전처리부(80) 내로 처리액이 도입된다. 또한, 제2 전처리부(80)의 하방에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가 형성된다.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의 도입 영역(51)으로의 도입구(피검액측 도입 유로(41B)의 출구)와, 피검액측 도입 유로(41A)의 제2 전처리부(80)로의 도입구(피검액측 도입 유로(41A)의 출구)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전처리부(80)보다도 후단의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는, 수납 부재(60)측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보다도 덮개 부재(50)측에 형성되어 있는 출구가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는, 수납 부재(60), 프레임재(13) 및 덮개 부재(50)를 연통하는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처리액측 도입 유로(31A, 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A, 41B)의 배치 및 형상은, 액체를 필터(11)의 관통 구멍(12)에 대하여 유도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도입 영역(51)의 배치와,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의 배치에 의해 결정 되는 점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는 필터(11)를 포함하는 프레임재(13)를 끼운 상태에서, 덮개 부재(50)와 수납 부재(60)를 중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 각 부재의 위치 정렬을 행한 후, 클립 등으로 외주측으로부터 이들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들을 열 압착 등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및 배출 유로(91)에 대하여, 각각 처리액 유로(3), 피검액 유로(4) 및 배출 유로(9)를 접속함으로써 세포 포착 장치(100)에 대하여 설치된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포함하는 세포 포착 장치(100)에서는, 처리액 수납 용기(5)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액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제1 전처리부(70)를 거쳐 필터(11)의 도입 영역(51)으로 공급된다. 이때, 처리액 중의 기포는 제1 전처리부(70)의 상방에 체류되기 때문에, 처리액 내로부터 기포가 제거된다. 기포가 제거된 처리액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내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를 거쳐 도입 영역(51), 필터(11) 및 배출 영역(61)을 거쳐, 배출 유로(91)로부터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혈액 수납 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혈액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제2 전처리부(80)를 거쳐 필터(11)의 도입 영역(51)에 공급된다. 이때, 처리액 중의 기포는 제2 전처리부(80)의 상방에 체류되기 때문에, 처리액 내로부터 기포가 제거된다. 기포가 제거된 처리액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내의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를 거쳐 도입 영역(51), 필터(11) 및 배출 영역(61)을 거쳐, 배출 유로(91)로부터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는, 이들의 각 장치 내 및 이들을 접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유로 내를, 미리 세정액, 생리 식염수 또는 순수 등으로 충전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위에 제1 전처리부(70)를 구비함과 함께, 피검액측 도입 유로(41) 위에 제2 전처리부(8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전처리부(70) 또는 제2 전처리부(80)에 있어서, 처리액 또는 피검액의 내압이 일시적으로 저하됨으로써, 처리액측 도입 유로(31)를 흐르는 처리액 또는 피검액측 도입 유로(41)를 흐르는 피검액에 혼재되는 기포가 분리되어 전처리부의 공간 영역에 저류된다. 여기서, 기포의 비중이 액의 그것보다도 작으므로, 분리된 기포는 액의 상부로 이동하여 저류된다. 따라서, 제1 전처리부(70) 또는 제2 전처리부(80)보다도 후단에 배치되는 필터(11) 근방을 향하여 기포가 혼재된 처리액 또는 피검액의 공급을 억제하여,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가 필터(11)가 설치되는 도입 영역과의 접속 부분과는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분리된 기포가 도입 영역(51)측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고 있는 점에서,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필터(11)가 설치되는 도입 영역(51) 및 배출 영역(61)과, 제1 전처리부(70)와, 제2 전처리부(80)가 동일한 하우징부(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에 수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 처리액측 도입 유로(31)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사용하여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 기포의 제거의 관점에서도 유로 내를 모두 피검액 또는 처리액으로 채운 후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로가 긴 구성으로 하면, 결과적으로 측정에 필요한 액량이 증가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전처리부를 일체화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전처리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유로의 장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성도 향상된다. 또한, 전처리부를 별체의 구성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처리부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터(11) 상면에 있어서의 기포의 제거를 더욱 확실하게 행하는 경우에는, 필터 상방의 도입 영역(51)에 있어서의 단부(측면끼리의 경계부 및 측면과 천장면의 경계부)가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부위에 모서리부가 있으면 기포가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입 영역(51) 상방측의 단부를 만곡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입 영역(51)에 기포가 저류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9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A)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와 상이한 점은 이하의 점이다. 즉, 제1 전처리부(70)와 도입 영역(51) 사이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제2 전처리부(80)와 도입 영역(51) 사이의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가 하우징부로서의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이물 제거 필터(제2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와 상위하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한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내부의 유로 구성이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에 대하여 하우징부의 외측을 경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우징부의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는, 외측을 경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포 포착 디바이스(1A)에서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가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의 형성 위치(제1 전처리부(70), 제2 전처리부(80) 및 도입 영역(51)에 대한 접속 위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1)와 동일하다. 이 경우,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는, 예를 들어 실리콘 튜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금속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전처리부(70) 또는 제2 전처리부(80)보다도 후단에 배치되는 필터(11) 근방을 향하여 기포가 혼재된 처리액 또는 피검액의 공급을 억제할 수 있어,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가 실리콘 튜브 등의 유연성이 있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를 외부로부터 가압하는 밸브 기구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를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11)를 구비하는 하우징부만을 측정 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는 장치측에 형성한 상태로 하거나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 및 피검액측 도입 유로(41B) 중 어느 한쪽만이 외측으로 돌출된 구성이어도 된다. 이 점에 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를 세포 포착 디바이스(1) 밖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세포 포착 디바이스(1)를 설치하는 장치측에 처리액측 도입 유로(31B)와 동등한 유체 회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이 유로의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A)에서는,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각각 이물 제거 필터(75, 85)가 설치되어 있다. 이물 제거 필터(85)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피검액이 통과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그 구멍 직경은, 필터(11)의 구멍 직경보다도 충분히 크고 또한 포착 대상의 세포가 포착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검액 중의 이물만을 적합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포착 대상의 세포를 잘못하여 포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액이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이물 제거 필터(75)에 대해서는, 구멍 직경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처리액 중의 이물 제거가 가능하면 되지만, 세포의 포착 방해가 되는 크기의 이물은 미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포를 포착하는 필터의 구멍 직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 제거 필터(75, 85)에 사용되는 금속의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니켈, 크롬 및 이들 금속의 합금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은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른 금속과의 합금 또는 금속의 산화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가격 또는 입수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니켈, 구리, 금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 제거 필터(75, 85)가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니켈의 표면에 금 도금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 도금에 의해 필터 표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 제거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포에 대하여 무해한 중합체로 필터의 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세포에 대한 접착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각각 이물 제거 필터(75, 85)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있어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11)에 있어서의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를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물 제거 필터(75, 85)를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설치함으로써,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에 있어서의 기포의 제거 효과도 향상된다. 이것은, 처리액 또는 피검액이 이물 제거 필터(75, 85)를 통과함으로써, 이물 제거 필터(75, 85)에 의해 기포의 분리가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물 제거 필터(75, 85)를 구비하는 경우, 기포의 제거 효과가 향상되고, 세포의 포착에 관한 처리의 정밀도도 향상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서는, 필터(11)와 이물 제거 필터(75, 85)가 1매의 시트(11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시트(11A)의 외주에 프레임재(13)가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필터(11), 이물 제거 필터(75, 85)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1매의 시트(11A)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시트(11A)의 상면측 또는 하면측에서 제1 전처리부(70), 제2 전처리부(80), 도입 영역(51) 및 배출 영역(61)이 접속하지 않도록, 탄성 부재 등을 더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전처리부(70) 및 제2 전처리부(80) 중 어느 한쪽에만 이물 제거 필터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2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1)에 있어서 필터 부분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필터용의 개구가 3개소에 형성된 프레임재(13A)에 대하여, 각각 관통 구멍(12)을 갖는 필터(11B), 이물 제거 필터(75A, 85A)가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 이물 제거 필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정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14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상면으로부터의 구성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세포 포착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B)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와 상이한 점은 이하의 점이다. 즉, 제2 전처리부(80)를 구비하지 않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와 상위하다.
세포 포착 디바이스(1B)는 피검액측 도입 유로(41)가 제2 전처리부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도입 영역(51)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피검액은, 제2 전처리부 등을 경유하지 않고, 피검액 유로(4)로부터 도입 영역(51)에 도입된다.
예를 들어, 피검액에 관해서는 기포가 충분히 제거되어 있거나 하는 이유로 인하여 전처리가 불필요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포 포착 디바이스(1B)와 같이, 제2 전처리부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유로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고, 피검액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입 유로를 갖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에 있어서, 일부의 도입 유로 위에 있어서만 전처리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전처리부를 통과한 액체로부터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의 포착에 관하여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1)가 덮개 부재(50)와 수납 부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덮개 부재(50) 및 수납 부재(60)에 의해 구성된 하우징부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입 유로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세포 포착 디바이스(1)의 처리액측 도입 유로, 피검액측 도입 유로 및 배출 유로 위에 밸브 등을 더 설치하고, 디바이스 내의 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세포 포착 디바이스
5: 처리액 수납 용기
10: 혈액 수납 용기(피검액 수납 용기)
11: 필터
31: 처리액측 도입 유로
41: 피검액측 도입 유로
50: 덮개 부재
51: 도입 영역
60: 수납 부재
61: 배출 영역
70: 제1 전처리부
80: 제2 전처리부
100: 세포 포착 장치

Claims (4)

  1. 세포를 포함하는 피검액 또는 피검액 중의 세포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액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입 유로와,
    상기 피검액 또는 상기 처리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로와,
    복수의 관통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상기 피검액 또는 상기 처리액이 해당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필터와,
    상기 도입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의 유로 위에 있고 상기 필터와 상기 도입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도입 영역과,
    상기 필터와 상기 배출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 영역과,
    상기 도입 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도입 영역과, 상기 배출 영역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입 유로 위이며 상기 도입 영역과의 접속 부분과는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입 유로의 직경보다도 그 직경이 큰 공간 영역에 의해 형성된 전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처리액 또는 상기 피검액이 해당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제2 필터를 구비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영역과 상기 도입 영역 사이의 유로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경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영역의 단부가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포착 디바이스.
KR1020177011703A 2014-10-08 2015-10-05 세포 포착 디바이스 KR20170066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7218 2014-10-08
JP2014207218 2014-10-08
PCT/JP2015/078211 WO2016056512A1 (ja) 2014-10-08 2015-10-05 細胞捕捉デバイ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512A true KR20170066512A (ko) 2017-06-14

Family

ID=556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703A KR20170066512A (ko) 2014-10-08 2015-10-05 세포 포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356898A1 (ko)
EP (1) EP3205712A4 (ko)
JP (1) JP6164375B2 (ko)
KR (1) KR20170066512A (ko)
CN (1) CN107109332A (ko)
SG (1) SG11201702864QA (ko)
TW (1) TW201619369A (ko)
WO (1) WO2016056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85560B2 (en) * 2018-02-02 2024-09-10 Nippon Chemiphar Co., Ltd. Biochemical reaction substrate with sloping flow passage to absorber and analyzer therefore
CN115253682B (zh) * 2022-07-29 2024-02-02 烟台至公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膀胱癌细胞捕获装置及捕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723Y2 (ja) * 1987-04-23 1995-11-01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一槽式染色装置に於ける気泡混入防止構造
JP3517359B2 (ja) * 1998-09-14 2004-04-12 テルモ株式会社 細胞分離・回収装置および細胞の分離・回収方法
US6942169B2 (en) * 2001-06-06 2005-09-13 Integrated Sensing Systems Micromachined lysing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ell lysis
AU2003256742A1 (en) * 2002-07-24 2004-02-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apture and detection of microbes by membrane methods
US7807454B2 (en) * 2006-10-18 2010-10-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fluidic magnetophoretic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5704590B2 (ja) * 2010-02-05 2015-04-22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サイズ選択マイクロキャビティアレイを用いた循環腫瘍細胞の検出
US20130071304A1 (en) * 2010-04-15 2013-03-21 Cytogen Co., Ltd. Microfluidic device
CN106929401B (zh) * 2011-05-05 2020-06-09 安派科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肿瘤细胞检测仪
CN103160430A (zh) * 2011-12-13 2013-06-19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高的长宽比的细胞捕获过滤器
JP5963159B2 (ja) * 2012-01-05 2016-08-03 日立化成株式会社 細胞捕捉デバイス
SG11201407379VA (en) * 2012-05-14 2014-12-30 Hitachi Chemical Co Ltd Cancer cell-trapping metal filter, cancer cell-trapping metal filter sheet, cancer cell-trapp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JP6124285B2 (ja) * 2013-01-22 2017-05-10 日立化成株式会社 循環がん細胞捕捉装置
WO2015019889A1 (ja) * 2013-08-09 2015-02-12 日立化成株式会社 細胞捕捉デバイス、細胞捕捉システム、及び細胞捕捉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70137769A1 (en) * 2014-03-28 2017-05-1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Cell capturing apparatus, cell capturing device provided with pre-processing part, and pre-process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9369A (zh) 2016-06-01
CN107109332A (zh) 2017-08-29
WO2016056512A1 (ja) 2016-04-14
JPWO2016056512A1 (ja) 2017-07-06
JP6164375B2 (ja) 2017-07-19
EP3205712A4 (en) 2018-05-09
EP3205712A1 (en) 2017-08-16
US20170356898A1 (en) 2017-12-14
SG11201702864QA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552A (ko) 세포 포착 장치, 전처리부 부착 세포 포착 디바이스 및 전처리부
JP6124285B2 (ja) 循環がん細胞捕捉装置
JP5643340B2 (ja) 低圧インラインフィルター作用を備える自動アナライザー
US20160082436A1 (en) Microfluidic separation device,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kit for separating circulating rare cells from blood using the same
EP2275822B1 (en) Tank for introducing liquid drop thereinto and analyzing device
KR101776245B1 (ko) 입자 여과 장치 및 입자 여과 방법
KR20170066512A (ko) 세포 포착 디바이스
EP3048163B1 (en) Particle filtering device and particle filtering method
ES2910048T3 (es) Disposición para el análisis de sangre individualizado de un paciente y su uso
JP6251998B2 (ja) 細胞捕捉システム及び細胞捕捉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20230116635A (ko) 미세유체소자 기반 생체유체 시료 전처리 장치 및 방법
JP7175231B2 (ja) 検体の分析方法及び検体の分析装置
JP4988541B2 (ja) ノズル装置及び液体試料分析装置
KR20190070635A (ko) 버블 유입 방지용 시료주입 장치
JP6439268B2 (ja) 細胞捕捉デバイス及び細胞捕捉装置
WO2019240236A1 (ja) 細胞溶解装置、細胞溶解方法、および細胞成分含有液の製造方法
CN117916021A (zh) 使用介电泳浓缩流体样本中的目标微粒的微流体设备
JP7020488B2 (ja) 流体デバイス及びその使用
JP2015097499A (ja) 細胞捕捉システム及び細胞捕捉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20220003746A (ko) 입자 여과 장치 및 입자 여과 방법
JP2019213491A (ja) 細胞捕捉デバイス及び細胞捕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