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102A -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102A
KR20170065102A KR1020150171115A KR20150171115A KR20170065102A KR 20170065102 A KR20170065102 A KR 20170065102A KR 1020150171115 A KR1020150171115 A KR 1020150171115A KR 20150171115 A KR20150171115 A KR 20150171115A KR 20170065102 A KR20170065102 A KR 2017006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ot
liquid
sewing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김어페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김어페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김어페럴
Priority to KR102015017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102A/ko
Publication of KR2017006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6Footwear with soles moulded on to uppers or welded on to uppers withou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B29D35/062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using means to bond the moulding material to the preformed u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을 감싸도록 신축성 천재질로 형성된 덧신형태의 착용부 하부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밑창부를 몰드성형하여 일체화하므로 격한 활동량에도 봉제선이 터지지 않도록 한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부 하부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밑창부를 몰드성형하여 일체화하므로 격한 활동량에도 봉제선이 터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Strong skin shoes}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덧신형태의 착용부 하부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밑창부를 몰드성형하여 일체화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 없이도 신발을 제조하면서도 격한 활동량에도 봉제선이 터지지 않도록 한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시 발의 보호와 발의 건강 및 보행습관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그 제작기술이 날로 발전하여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 제작사별로 규격화 되어 양산되고 있다.
신발은 보통 바닥면부터 굽이 고정된 밑창, 중창, 안창이 각각 다른 재질 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밑창의 외면 상부측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갑피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발을 구성하는 상기 안창의 상부에 깔창을 착탈가능하도록 끼워 착용하거나, 또는 각 제조사에서 상기의 깔창을 끼워 유통시키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레저활동의 보편화됨에 따라 액티비티에 맞는 매우 다양한 용도의 신발이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수상레저를 즐길 때 많은 사람들은 슬리퍼 또는 샌들을 대신해서 통기성이 좋고 물이 잘 빠지며 발바닥을 충분히 보호해주는 아쿠아슈즈 종류를 신고 액티비티를 즐기곤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아쿠아슈즈의 특징은 양말을 신은 것처럼 착화감이 좋고가벼우며 지면과 물속에서도 충분히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질긴소재가 사용되고 세탁이 용이한 것이다.
다음으로 종래에 공지된 기술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7877에 기술된 아쿠아슈즈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종래기술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발을 끼울 수 있도록 된 삽입부(10,20)가 형성되며 선단부는 얇은 핀형상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오리발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10,20)의 하측에는 개구부(40)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20)에 발을 삽입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0)를 통해 외측으로 발의 앞부분을 빼낼 수 있고, 상기 삽입부(10,20)는 발바닥부분이 끼워지는 발바닥삽입부(10)와, 상기 발바닥삽입부(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발가락이 끼워지는 발가락삽입부(20)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40)는 상기 발바닥삽입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간편한 오리발형태로 물속에서 물장구치기 좋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발바닥의 일부가 지면에 닿도록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바다나 강의 백사장, 계곡의 바위 등을 걸어다닐때, 유리조각, 조개껍질, 날카로운 돌, 어린이의 경우 고온의 모래에 의해 발바닥의 화상위험 등으로부터 발바닥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으며, 발끝이 오리발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면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755의 바캉스 전용 신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발에 밀착상태로 착용되도록 신축성 내지 탄력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덧신형태의 신발부(10)를 형성하되 바닥부분(1)은 울(갑피)부분(2) 보다 두껍게 형성하면서 내피(3)와 밀착링(4)을 구비하고 전면에 물갈퀴부(2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바캉스 전용 신발은 전체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물빠짐 또는 신속한 건조가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하고 있을 시 수분에 의해 피부가 짓무르는 등 피부트러블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갈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7877에 기술된 아쿠아슈즈와 동일하게 지면에서는 신고 다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10-2007-0020739 (문헌 2)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075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덧신형태의 착용부 하부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밑창부를 몰드성형하여 일체화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 없이도 신발을 제조하면서도 격한 활동량에도 봉제선이 터지지 않도록 한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발 갑피형태의 덮개부 하부둘레와 발바닥형태의 발판부의 둘레를 봉제결합하여 착용부를 형성하는 봉제단계; 봉제단계로 형성된 착용부를 상부틀의 내부 중앙에 마련된 고정구에 걸어 고정하는 착용부 고정단계; 상기 착용부 고정단계 후, 쿠션재액이 담긴 주입호퍼의 하부에 형틀이 위치되면 주입호퍼로부터 하부틀의 쿠션재 충전 캐비티로 쿠션재액을 주입하는 액주입단계; 액주입이 완료되면 상부틀을 하부틀 쪽으로 회전시켜 닫고, 형틀을 뒤집는 형합단계; 형합이 완료되면, 형틀을 가열존에 통과시켜 쿠션재액을 굳혀 밑창부를 형성하는 경화단계; 경화가 완료되면 형틀을 벌려 경화 완료된 제품을 취출하는 제품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주입단계 이전에 쿠션재액이 새지 않도록 방수처리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단계에서는 상기 가열존의 온도를 20-60℃로 유지하고, 공정 회전시간을 10-20분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고정구는 발판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 및 덮개부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펴지며, 액주입단계에서는 쿠션재액이 발판부와 덮개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봉제선을 덮도록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착용부 하부에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밑창부를 몰드성형하여 일체화하므로 격한 활동량에도 봉제선이 터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밑창부를 몰드성형하므로 착용부와 접착함에 있어서 여타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를 제작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를 제작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발판부와 덮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따르면,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는 형틀(300)이 컨베이어벨트(C)를 타고 회전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착용부(100) 고정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착용부(100) 고정단계는 발판부(120)와 덮개부(110)를 봉제결합하여 형성된 착용부(100)를 상부틀(320)의 내부 중앙에 마련된 고정구(미도시)에 걸어 고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착용부(100) 고정단계를 거치게 되면 착용부(100)와 밑창부(200)를 붙일 수 있도록 착용부(100)의 바닥면이 천정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어, 컨베이어벨트(C)가 정해진 인덱스타임에 따라 회전이동하고, 밑창부액(F)이 담긴 주입호퍼(H)의 하부에 형틀(300)이 위치되면 주입호퍼(H)로부터 하부틀(310)의 밑창부 충전 캐비티(312)로 밑창부액(F)이 주입되는 액주입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액주입단계는 시스템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타임제어 등의 방식으로 제어되므로 인덱스타임 동안 주입호퍼(H)의 하방에 위치한 형틀(300)이 완전히 빠져나가기 전에 주입이 완료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하여, 액주입이 완료되면 상부틀(320)을 하부틀(310) 쪽으로 회전시켜 닫고, 형틀(300)을 뒤집는 형합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형합단계는 천 소재로 된 착용부(100)의 바닥면에 밑창부(200)를 구성하도록 밑창부(200)를 접착하는 단계이며, 형틀(300)을 뒤집는 이유는 밑창부(200)가 상방에 위치되게 하고, 그 하방에 착용부(100)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중력에 형틀(300)의 형합력 및 중력에 의해 보다 균일하고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착용부(100)가 천 소재이므로, 천의 종류에 따라 공극률이 다르므로 형합시 주로 고무액인 밑창부액(F)이 발바닥이 닿는 착용부(100)의 안쪽면으로 새어 나올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밑창부액(F)이 샐 경우에는 밑창부액(F) 일부가 착용부(100) 안쪽면에서 굳게 되므로 착용시 발바닥과 접촉되면서 상당한 이물감을 주게 되어 매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라면 형합전에 미리 착용부(100)의 안쪽면에 방수제를 도포 처리하여 액이 새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형틀(300)이 가열존(400)을 통과하면서 고착되는 경화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경화단계는 가열존(400)을 통과할 때 열을 가해 강제로 경화되게 하는 단계로서, 주의할 점은 가열 경화시 필수적으로 냉각과정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때 절대로 급냉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서냉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급냉하게 되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 몰라도 균열, 미접착의 원인이 되어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바람직한 경화 조건으로는, 상기 가열존(400)의 온도를 20-60℃로 유지하는 것이고, 공정 회전시간은 10-20분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열존(400)의 온도를 20℃ 미만으로 낮추게 되면 고무 성분인 밑창부액(F)이 급하게 굳게 되므로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며, 60℃를 초과하여 높이게 되면 고무가 식지 않아 굳어지지 않으므로 공정시간 내에 처리할 수 없고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경화가 완료되면 제품 분리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품 분리단계는 형틀(300)을 벌려 경화 완료된 제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킨슈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는 착용부(100)와 밑창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용부(100)는 신축성 및 통풍성을 갖는 천으로 제조된다.
특히, 상기 착용부(100)는 재단되어 형성되는데, 통형으로 형성되어 발을 끼워 신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용부(100)는 상부에 개방된 개방구(111)를 갖는 신발 갑피형태로서, 발 앞꿈치부터 순차적으로 개방구(111)를 통해 끼워 넣은 착용부(100)가 발전체를 감싸도록 착용하므로 착용부(100)는 발목(발등 포함)을 감싸는 형태로 신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점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착용부(10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는 발바닥이 접하며 후미로 향할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수직연장되는 뒤꿈치부(121)를 포함하는 발판부(120), 및 상기 발판부(120)의 둘레를 따라 봉제결합되고 후단은 뒤꿈치부(121)와 봉제결합되어 상부로 개방구(111)가 형성되되 발을 감싸는 형태로 덮는 덮개부(1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개방구(111)의 둘레에는 조임밴드(112)가 부착되어 발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밴드(112)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발판부(120)와 덮개부(110)가 단단하게 봉제결합되므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터운 봉제선(L)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발판부(120)와 덮개부(110)로 이루어진 착용부(100)는 발목(발등 포함)을 감싸는 형태로 신어지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뒤꿈치부(121)는 일반적으로 신발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밑창부(200)는 신축성 소재, 즉 밑창부(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한 밑창부(200)로는 고무가 좋다.
한편 상기 밑창부(20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밑창부(200)의 바닥면(250)은 넓은 면적이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돌기(210)가 형성된다.
또한 대량생산성, 균일가공성 등을 위해 밑창부(200) 형성시 몰드를 통해 성형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는 제조방법 설명시 부연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밑창부(200)가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21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100: 착용부 200: 밑창부
300: 형틀 400: 가열존

Claims (4)

  1. 신발 갑피형태의 덮개부 하부둘레와 발바닥형태의 발판부의 둘레를 봉제결합하여 착용부를 형성하는 봉제단계;
    봉제단계로 형성된 착용부를 상부틀의 내부 중앙에 마련된 고정구에 걸어 고정하는 착용부 고정단계;
    상기 착용부 고정단계 후, 쿠션재액이 담긴 주입호퍼의 하부에 형틀이 위치
    되면 주입호퍼로부터 하부틀의 쿠션재 충전 캐비티로 쿠션재액을 주입하는 액주입단계;
    액주입이 완료되면 상부틀을 하부틀 쪽으로 회전시켜 닫고, 형틀을 뒤집는 형합단계;
    형합이 완료되면, 형틀을 가열존에 통과시켜 쿠션재액을 굳혀 밑창부를 형성하는 경화단계;
    경화가 완료되면 형틀을 벌려 경화 완료된 제품을 취출하는 제품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주입단계 이전에 쿠션재액이 새지 않도록 방수처리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에서는 상기 가열존의 온도를 20-60℃로 유지하고, 공정 회전시간을 10-20분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고정구는 발판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 및 덮개부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펴지며,
    액주입단계에서는 쿠션재액이 발판부와 덮개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봉제선을 덮도록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
KR1020150171115A 2015-12-03 2015-12-03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KR20170065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15A KR20170065102A (ko) 2015-12-03 2015-12-03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15A KR20170065102A (ko) 2015-12-03 2015-12-03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02A true KR20170065102A (ko) 2017-06-13

Family

ID=5921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115A KR20170065102A (ko) 2015-12-03 2015-12-03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1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9947B (zh) 鞋類物品及其形成的方法
US20180103719A1 (en) Environment-friendly, cushioning and well-wrapping popcorn bridging shoe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3605292A (en) Safety footwear
US4026046A (en) Dancing slipper with self-molding toe insert
EP3145304B1 (en) Dog shoe
US20180103715A1 (en) Comprehensive wrapping and waterproof snow boot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CN205728345U (zh) 具有位于鞋跟构件内的垫片的鞋
US2932910A (en) Removable resilient foam block overshoes
ES8101866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articulos de calzado, ta-les como botas, zapatos, sandalias y zuecos.
US3543316A (en) Boots and shoes
KR201700651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
US2707340A (en) Weather protected rubber sole shoe
KR20170065102A (ko) 내구성이 강화된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WO2023044940A1 (zh) 一种低阻力镂空透气鞋底及制备工艺
JP3209856U (ja) 安全と衛生を兼ね備えたスリッパ
KR200362938Y1 (ko) 다용도 신발
CN209498774U (zh) 一种皮鞋固定器
US3562930A (en) Footwear
JPS5937046Y2 (ja) 履物用中敷
CN219813321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硫化鞋
CN203302417U (zh) 涉水鞋
RU60843U1 (ru) Цельноформованная обувь и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946349B1 (ko) 뒤꿈치 마사지 기능용 신발
KR101759165B1 (ko) 신발보호용 기능성 덧신
RU146280U1 (ru) Галоши для модельной обув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