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718A -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718A
KR20170064718A KR1020150170528A KR20150170528A KR20170064718A KR 20170064718 A KR20170064718 A KR 20170064718A KR 1020150170528 A KR1020150170528 A KR 1020150170528A KR 20150170528 A KR20150170528 A KR 20150170528A KR 20170064718 A KR20170064718 A KR 2017006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ressing
heater
valu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원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7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718A/ko
Publication of KR2017006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와,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성에 의해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조리기 중 전기밥솥은 그 내부에 위치되는 내솥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고 익힌다. 이렇게 익혀진 음식물을 적정온도를 유지한 채 보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일반적인 전기밥솥(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2), 상부히터(3), 중부히터(4), 하부히터(5), 입력기(6), 표시기(7), 중앙처리장치(8), 데이터저장부(9), 제어기(10), 전원(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 전기밥솥(1)은 후술하는 내솥(2)이 수용되도록 그 중앙부가 중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솥(2)이 삽/출 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상면을 덮어 막도록 뚜껑이 설치된다.
상기 내솥(2)은 상기 전기밥솥(1)의 중공된 내부에 수용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쌀 등의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히터(3)는 상기 내솥(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솥(2)의 상부를 가열하도록 된 고무절연 히터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기(7)는 후술하는 중앙처리장치(8)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음식물의 취사, 보온 등의 사항을 문자와 그림 또는 소리로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며, 통상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 ; 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이 상기 전기밥솥(1)의 전면 또는 상부에 설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기(7)는 후술하는 입력기(6)의 입력사항을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설정된 사항에 따라 표시하여 상기 입력기(6)를 통한 입력사항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입력기(6)는 통상 상기 표시기(7)의 일측단 또는 상기 표시기(7)와 일체로 형성되며, 일반적인 전기스위치 작용을 함과 더불어,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연결된 버튼이 다수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처리장치(8)는 상기 상부히터(3)와 중부히터(4)와 하부히터(5)의 발열 온도와 발열 시간 등의 정보가 기 설정되고, 상기 입력기(6)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기(10)를 작동 시키도록 되며, 상기 입력기(6)에서 입력된 정보 및 기 설정된 정보 중에서 제어기(10)로 전송되어 실행된 정보 등을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연결된 데이터저장부(9)에 저장하도록 된 통상의 반도체 칩이나, 상기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저장부(9)는 상기 중앙처리장치(8) 및 각종 센서에서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8)의 요청정보에 의해 해당 정보를 중앙처리장치(8)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기 설정된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1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전원(11)을 상기 상부히터(3)와 중부히터(4) 및 하부히터(5)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11)은 통상의 외부전원 또는 가정용 전원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증압 또는 감압하여 전기밥솥(1)에 적합한 전력으로 형성한 후에 제어기(10)의 연결에 의해 상기 히터로 연결되는 통상의 전력공급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솥(2)에 쌀 등의 음식물과 물을 함께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내솥과 전기밥솥(1)의 뚜껑을 닫고,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입력기(6)의 취사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입력기(6)의 취사정보가 상기 중앙처리장치(8)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기 설정된 취사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기(10)가 제어되어 상기 전원(11)의 전력이 상부히터(3)와 중부히터(4)와 하부히터(5)로 인가되어 상기 내솥(2)의 상부와 중부와 하부를 가열함과 더불어,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서 표시기(7)로 취사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표시기(7)에 취사정보가 표시되면서 상기 쌀 등의 음식물이 조리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기 설정된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 동안 상기 히터들에서 발열을 이루어 상기 내솥(2)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된 후에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 기 설정된 보온정보에 의해 상기 중앙처리장치(8)에서 보온정보를 제어기(10)로 전송하여 상기 각 히터로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표시기(7)에 보온정보를 출력하면서 상기 음식물의 보온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취사된 음식물을 보온하는 것은 상기 중앙처리장치(8) 및 데이터저장부(9)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일괄적인 발열량으로 상기 내솥(2)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음식물의 종류 및 보온기간 등에 따른 또 다른 보온온도의 설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350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재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특허문헌 1'은 전원(101), 제어기(102), 상부히터(103), 표시기(106), 입력기(107), 데이터저장부(111), 마이콤(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기(107)는 상기 내솥의 보온 온도와 상기 히터의 전력 설정 값을 조정하는 제어키(108)와 제 1 조정키(109) 및 제 2 조정키(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키(108)는 상기 내솥의 보온 온도와 상기 히터의 전력 설정 값을 조정하는 보온온도조정모드로 변환하는 키로서, 예를 들어 보온 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콤(112)은 상기 입력기(107)를 통해 입력(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내솥의 보온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히터{특히, 상부히터(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기밥솥에 기본 전압이 입력된 상태에서 또는 보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키(예를 들어, 보온키)(108)를 일정시간 동안(수 초간) 누르면 보온 온도 및 상부히터(103)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보온온도조정모드로 변환(동작)된다. 상기 보온온도조정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1 조정키(109)를 누르면 기본 값이 나타난다. 이때, 상기 제 1 조정키(109)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보온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보온온도조정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2 조정키(110)를 누르면 상기 상부히터(103)의 전력 값을 조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보온온도나 상부히터(103)의 전력 값이 원하는 값으로 조정될 때까지 조정키(109,110)를 반복적으로 눌러야 해 소비자의 불편함이 발생해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9-005350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와,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조정키를 여러번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을 세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조정키가 눌린 경우에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이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압력밥솥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기 압력밥솥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어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플로어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플로어 차트.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 방법의 플로어 차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플로어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플로어 차트이다.
===================제1실시 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 방법은,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와,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 압력조리기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S110)에서 제어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제어키가 일정 시간 입력되거나 일정 횟수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를 수행하고(S132),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온 동작을 수행한다.(S134)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면(S132), 표시부에 보온온도의 값이 표시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온온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제1조정키가 눌리고, 제1조정키의 눌림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71도'에서 '72도', '72도'에서 '73도'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후 제1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은 제1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의 값으로 세팅된다.(S)
이후 제2조정키가 눌리고, 제2조정키의 눌림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1단계'에서 '2단계', '2단계'에서 '3단계'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후 제2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은 제2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의 값으로 세팅되고,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종래와 달리 조정키를 여러번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을 세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실수로 조정키가 눌린 경우에 보온온도나 히터의 전력값이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 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1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 압력조리기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S110)에서 제어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제어키가 일정 시간 입력되거나 일정 횟수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를 수행하고(S132),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온 동작을 수행한다.(S134)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면(S132), 표시부에 보온온도의 값이 표시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온온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제1조정키가 눌리고, 제1조정키의 눌림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71도'에서 '72도', '72도'에서 '73도'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후 제1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은 제1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의 값으로 세팅되고,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종래와 달리 조정키를 여러번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보온온도의 값을 세팅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외의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제3실시 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와,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와, 제2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3실시 예에 따른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 압력조리기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S110)에서 제어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제어키가 일정 시간 입력되거나 일정 횟수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를 수행하고(S132),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가 입력되지 않으면 보온 동작을 수행한다.(S134)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면(S132), 표시부에 보온온도의 값이 표시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온온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후 제2조정키가 눌리고, 제2조정키의 눌림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1단계'에서 '2단계', '2단계'에서 '3단계'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후 제2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은 제2조정키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의 값으로 세팅되고,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종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은 종래와 달리 조정키를 여러번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조정키를 한 번만 눌러 히터의 전력값을 세팅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외의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2,3실시 예의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에서 히터는 상부히터와 하부히터를 말한다.
또한, 보온온도 값은 온도를 실시 예로 들었지만, 보온온도를 단계 또는 범위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의 전력값의 단계 또한 범위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

  1.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어키가 입력되면 보온온도 조정모드가 수행되는 단계;
    제1조정키를 누르는 단계;
    제1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변하는 단계;
    제1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온온도의 값이 세팅되면, 제2조정키를 누르는 단계;
    제2조정키의 누름이 일정시간 유지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변하는 단계;
    제2조정키의 누름을 해제되면 히터의 전력값이 세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KR1020150170528A 2015-12-02 2015-12-02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KR20170064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28A KR20170064718A (ko) 2015-12-02 2015-12-02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28A KR20170064718A (ko) 2015-12-02 2015-12-02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18A true KR20170064718A (ko) 2017-06-12

Family

ID=5921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528A KR20170064718A (ko) 2015-12-02 2015-12-02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3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475704Y1 (ko) 조리기기
BR112014030328B1 (pt) aparelho de cozimento, panela de cozimento e método de cozimento
TWI226231B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102350474B1 (ko) 자동보온기능을 구비한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5605B1 (ko) 애니메이션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KR20036558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US20160106258A1 (en) Heating device with alarm function
KR1006606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4718A (ko)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KR101709403B1 (ko) 레시피의 선택을 통한 즉석식품 내용물 조리기기
KR102357792B1 (ko) 전기 압력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4527B1 (ko) 전기밥솥의 물맺힘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0918801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보온 온도 및 상부 히터 제어 방법과그 장치
KR20180060655A (ko) 전기밥솥의 제어방법
JP2019211149A (ja) 加熱調理器
KR101130389B1 (ko) 워밍 드로어용 히터 제어 방법
KR101675731B1 (ko) 조리기기
KR102357790B1 (ko) 전기 압력조리기의 제어방법
KR20170068997A (ko) 전기밥솥의 제어방법
KR200245630Y1 (ko) 보온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밥솥
KR200381002Y1 (ko) 전기밥솥의 물맺힘 방지장치
KR100686744B1 (ko) 오븐 레인지의 보온 서랍 온도 제어 방법
KR20170071966A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보온 제어 장치
KR20150022571A (ko) 보관가열 기능을 지닌 전기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