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467A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467A
KR20170064467A KR1020160155640A KR20160155640A KR20170064467A KR 20170064467 A KR20170064467 A KR 20170064467A KR 1020160155640 A KR1020160155640 A KR 1020160155640A KR 20160155640 A KR20160155640 A KR 20160155640A KR 20170064467 A KR20170064467 A KR 2017006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econdary battery
discharge control
char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062B1 (ko
Inventor
다카시 오노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H02J7/0026
    • H02J7/0021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병렬로 접속된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로서, 저손실이면서 안전성이 높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병렬로 접속된 2차 전지의 전압 차이를 검출하는, 또는 병렬로 접속된 2차 전지에 각각 접속되어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른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성이 높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2차 전지를 병렬로 접속하여 형성한 배터리 장치는 하나의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를 일으켰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내부 쇼트된 2차 전지는 내부 저항 및 출력 전압이 저하되므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정상인 2차 전지로부터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 역방향 전류는 내부 쇼트된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이 낮기 때문에 대전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배터리 장치는 각 2차 전지와 직렬로 전류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예를 들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정상인 2차 전지와 역방향인 것을 검출하면 그 방전 경로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85228호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장치는 각 2차 전지와 직렬로 전류 검출 회로를 구비하므로, 전류 검출 회로의 전류 검출용 저항에 의해 손실이 커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고, 2차 전지의 출력 전압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는 안전성이 높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했다.
병렬로 접속된 2차 전지의 전압의 차이를 검출하는, 또는 병렬로 접속된 2차 전지에 각각 접속되어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른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다.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에 의하면, 전류 검출 회로의 전류 검출용 저항에 의한 손실이 없고, 또한 안전성이 높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전압 검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전압 검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배터리 장치 (100) 은 2차 전지 (1a, 1b) 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2b) 와 충방전 제어 회로 (10) 을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 (10) 은 적어도 전압 검출부 (11) 과 제어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2차 전지 (1a)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를 개재하여 외부 단자 (EB+) 와 외부 단자 (EB-) 사이에 접속된다. 2차 전지 (1b)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를 개재하여 외부 단자 (EB+) 와 외부 단자 (EB-) 사이에 접속된다. 충방전 제어 회로 (10) 은 전원 단자 (VDD) 가 2차 전지 (1a, 1b) 의 정극 단자 및 외부 단자 (EB+) 와 접속되고, 전원 단자 (VSS1) 가 2차 전지 (1a) 의 부극과 접속되고, 전원 단자 (VSS2) 가 2차 전지 (1b) 의 부극과 접속되고,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a)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b)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다.
전압 검출부 (11) 은 전원 단자 (VSS1) 와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 차이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 (12) 는 전압 검출부 (11) 의 검출 신호를 받아,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또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를 제어하여 정상인 2차 전지로부터 내부 쇼트된 2차 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 (100) 의 전압 검출부 (11) 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압 검출부 (11) 은 비교기 (111 및 113) 과 전압원 (112 및 114) 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원 (112 및 114) 는 2차 전지의 내부 쇼트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치의 전압을 출력한다.
비교기 (11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원 단자 (VSS2)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112)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1) 가 접속된다. 비교기 (11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원 단자 (VSS1)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114)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2) 가 접속된다.
전압 검출부 (11) 은 다음과 같이 하여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한다.
2차 전지 (1a) 와 2차 전지 (1b) 가 정상이면 거의 동등한 전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원 단자 (VSS1) 와 전원 단자 (VSS2) 는 거의 동등한 전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기 (111 및 11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높기 때문에, 비검출을 나타내는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 단자 (VSS1) 의 전압이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보다 전압원 (112)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비교기 (11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압 검출부 (11) 은 2차 전지 (1a)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 (12) 는 비교기 (111) 이 출력하는 검출 신호를 받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a) 로부터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의 제어 단자에 스위치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이 전원 단자 (VSS1) 의 전압보다 전압원 (114)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비교기 (11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압 검출부 (11) 은 2차 전지 (1b)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 (12) 는 비교기 (113) 이 출력하는 검출 신호를 받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b) 로부터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의 제어 단자에 스위치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 (100) 에 의하면, 전원 단자 (VSS1) 와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을 비교하여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11) 을 구비하였으므로, 2차 전지의 출력 전압이 저하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전압 검출부 (11) 은 전원 단자 (VSS1) 와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의 차이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이 회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전압 검출부 (11) 은 전원 단자 (VDD) 와 전원 단자 (VSS1) 나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 차이가 소정치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해도 되고, 전원 단자 (VDD) 와 전원 단자 (VSS1) 의 전압 차이와 전원 단자 (VDD) 와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 차이가 소정치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해도 된다.
또, 충방전 제어 회로 (10) 은 내부 쇼트를 검출한 2차 전지에 접속된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설명했지만, 모든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해도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배터리 장치 (200) 은 적어도 전압 검출부 (21) 과 제어부 (22) 를 갖는 충방전 제어 회로 (20) 을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 (20) 은 전원 단자 (VDD) 가 2차 전지 (1a, 1b) 의 정극 단자 및 외부 단자 (EB+) 와 접속되고, 전원 단자 (VSS1) 가 2차 전지 (1a) 의 부극과 접속되고, 전원 단자 (VSS2) 가 2차 전지 (1b) 의 부극과 접속되고,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가 외부 단자 (EB-) 와 접속되고,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a)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b) 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다.
전압 검출부 (21) 은 전원 단자 (VSS1) 와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간의 전압 및 전원 단자 (VSS2) 와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간의 전압으로부터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고, 그 전류의 방향이 상이하면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 (22) 는 전압 검출부 (21) 의 검출 신호를 받아,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또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를 제어하고, 정상인 2차 전지로부터 내부 쇼트된 2차 전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배터리 장치 (200) 의 전압 검출부 (21) 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압 검출부 (21) 은 비교기 (211, 213, 221, 223) 과 전압원 (212, 214, 222, 224) 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원 (212 및 214) 는 2차 전지 (1b)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치의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원 (222 및 224) 는 2차 전지 (1a)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치의 전압을 출력한다.
비교기 (21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212)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2)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가 접속된다. 비교기 (21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214)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1) 가 접속된다.
비교기 (22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222)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2) 가 접속된다. 비교기 (22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에 전압원 (224) 를 개재하여 전원 단자 (VSS1) 가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 - 에 과전류 검출 단자 (VM) 가 접속된다.
따라서, 비교기 (211) 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에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 (213) 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에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 (221) 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에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기 (213) 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에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검출부 (21) 은 다음과 같이 하여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한다.
2차 전지 (1a) 와 2차 전지 (1b) 가 정상이면,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는 같은 방향으로 충방전 전류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비교기 (211 및 213) 은 일방이 H 레벨이고 타방이 L 레벨인 신호를 출력하고, AND 회로 (215) 는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비교기 (221 및 223) 은 일방이 H 레벨이고 타방이 L 레벨인 신호를 출력하고, AND 회로 (225) 는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2차 전지 (1a) 가 내부 쇼트되면, 2차 전지 (1b) 로부터 2차 전지 (1a),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전원 단자 (VSS1) 의 전압이 과전류 검출 단자 (VM) 의 전압보다 전압원 (224)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비교기 (22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이 과전류 검출 단자 (VM) 의 전압보다 전압원 (222)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비교기 (22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압 검출부 (21) 은 2차 전지 (1a)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 (22) 는 전압 검출부 (21) 이 출력하는 검출 신호를 받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a) 로부터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의 제어 단자에 스위치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 2차 전지 (1b) 가 내부 쇼트되면, 2차 전지 (1a) 로부터 2차 전지 (1b),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전원 단자 (VSS1) 의 전압이 과전류 검출 단자 (VM) 의 전압보다 전압원 (214)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비교기 (213)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전원 단자 (VSS2) 의 전압이 과전류 검출 단자 (VM) 의 전압보다 전압원 (212) 가 출력하는 소정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비교기 (211) 은 비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이 반전 입력 단자 - 의 전압보다 높아지므로, 검출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압 검출부 (21) 은 2차 전지 (1b) 의 내부 쇼트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 (22) 는 전압 검출부 (21) 이 출력하는 검출 신호를 받아, 제어 신호 출력 단자 (COb) 로부터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의 제어 단자에 스위치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 (200) 에 의하면,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에 흐르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된 것에 의해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21) 을 구비하였으므로, 2차 전지의 출력 전압이 저하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전압 검출부 (21) 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a) 와 충방전 제어 스위치 (2b) 에 흐르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이 회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충방전 제어 회로 (20) 은 내부 쇼트를 검출한 2차 전지에 접속된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설명했지만, 모든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해도 된다.
10, 20 충방전 제어 회로
11, 21 전압 검출부
12, 22 제어부
111, 113, 211, 213, 221, 223 비교기

Claims (6)

  1.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1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 차이가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의 2차 전지 또는 상기 제 2 의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2.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병렬로 접속된 제 1 항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2 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1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과의 차이와, 상기 제 1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과의 차이가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의 2차 전지 또는 상기 제 2 의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4.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병렬로 접속된 제 3 항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2 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5.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1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이 접속되는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의 제 2 전극과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충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의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 검출 단자와,
    상기 제 1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 2 의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전압 검출 단자의 전압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의 충방전 제어 스위치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른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의 2차 전지 또는 상기 제 2 의 2차 전지가 내부 쇼트된 것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6. 제 1 및 제 2 의 외부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병렬로 접속된 제 5 항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2차 전지와 상기 제 2 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의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160155640A 2015-12-01 2016-11-22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628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61474P 2015-12-01 2015-12-01
US62/261,474 2015-12-01
US15/241,957 2016-08-19
US15/241,957 US10361570B2 (en) 2015-12-01 2016-08-19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including voltage or current detection for secondary batte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67A true KR20170064467A (ko) 2017-06-09
KR102628062B1 KR102628062B1 (ko) 2024-01-22

Family

ID=5877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40A KR102628062B1 (ko) 2015-12-01 2016-11-22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61570B2 (ko)
JP (1) JP6794042B2 (ko)
KR (1) KR102628062B1 (ko)
CN (1) CN106936175B (ko)
TW (1) TWI7386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3456B2 (ja) * 2017-03-15 2021-07-1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US11495839B2 (en) * 2017-10-18 2022-11-08 Textron Innovations, Inc. Internal battery heating
US11035904B2 (en) 2018-07-23 2021-06-15 Samsung Sdi Co., Ltd. Batter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short of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228A (ja) 1999-12-24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を備える電源装置
JP2010200581A (ja) * 2009-02-27 2010-09-09 Nec Tokin Corp 電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90C (zh) * 1995-04-03 2001-03-21 精工电子工业株式会社 充放电控制电路
JPH11215735A (ja) * 1998-01-26 1999-08-06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用or回路
JP4739040B2 (ja) * 2005-02-18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内部短絡検出装置、二次電池の内部短絡検出方法、二次電池の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JP4398432B2 (ja) * 2006-01-18 2010-01-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JP5565603B2 (ja) * 2009-01-23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2011135656A (ja) * 2009-12-22 2011-07-07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バッテリシステムの内部短絡検出方法
WO2013018693A1 (ja) * 2011-07-29 2013-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池集合体の充放電制御システム
JP5781456B2 (ja) * 2012-02-21 2015-09-24 株式会社ベイサン 電力供給システム
JP6028625B2 (ja) * 2013-02-28 2016-11-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充放電制御方法
US9373973B2 (en) * 2014-02-20 2016-06-21 Lg Chem,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battery rack damage by measuring curr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228A (ja) 1999-12-24 2001-07-0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を備える電源装置
JP2010200581A (ja) * 2009-02-27 2010-09-09 Nec Tokin Corp 電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36175B (zh) 2021-06-22
TWI738686B (zh) 2021-09-11
US10361570B2 (en) 2019-07-23
JP6794042B2 (ja) 2020-12-02
JP2017104006A (ja) 2017-06-08
CN106936175A (zh) 2017-07-07
KR102628062B1 (ko) 2024-01-22
TW201725823A (zh) 2017-07-16
US20170155255A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679B2 (en)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CN1988315B (zh) 电池状态监测电路和电池装置
JP6088289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KR102521404B1 (ko) 배터리 장치
JP6370137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5770979B2 (ja)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およびバッテリー装置
US9941717B2 (en) Battery device
KR20110022550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CN103532104A (zh) 一种电池保护电路
KR20020066372A (ko) 충방전 제어회로와 충전식 전원장치
KR102628062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439642B1 (ko) 배터리 장치
US9203119B2 (en) Battery device
CN102983556A (zh) 具有放电过流保护后自恢复功能的电池保护电路
TW201503536A (zh) 開關電路、半導體裝置及電池裝置
CN203522159U (zh) 一种电池保护电路
CN103647259A (zh) 一种电池保护电路及其内的电压保护电路
US10333317B2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