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295A -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295A
KR20170064295A KR1020150169898A KR20150169898A KR20170064295A KR 20170064295 A KR20170064295 A KR 20170064295A KR 1020150169898 A KR1020150169898 A KR 1020150169898A KR 20150169898 A KR20150169898 A KR 20150169898A KR 20170064295 A KR20170064295 A KR 2017006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ool
wearable device
cumulative
vibra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295A/ko
Priority to PCT/KR2016/012382 priority patent/WO2017095027A1/ko
Publication of KR2017006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진동 공구의 동작 시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상기 진동 공구의 식별자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누적 충격량은 상기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METHOD,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CUMULATIVE VIBRATION IMPACT AND METHOD, SERVER FOR MONITORING CUMULATIVE VIBRATION IMPACT}
본 발명은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모니터링 방법,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누적 충격량을 실시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의 진동 공구들 중 대부분은 작업자의 손과 팔, 또는 전신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특히 손, 팔 진동은 주관적 지각 능력과 미세한 운동 기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떨어뜨리며, 특히 수 년간 노출 될 때에 순환기 장애, 신경 기능 장애, 근육 조직 변화, 골격 및 관절 손상 등의 질병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누적되는 충격량을 모니터링하여 누적 충격량이 경고 또는 위험 수준에 도달 시 이를 해당 작업자나 관리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누적되는 충격량을 측정하여, 누적 충격량이 경고 또는 위험 수준에 도달하는지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해당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진동 공구의 동작 시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산출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누적 충격량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a) 상기 진동 공구의 동작 시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산출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위험 수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누적 충격량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 상기 작업자가 사용 중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의 식별자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으로 인해 감지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하고, 상기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누적 충격량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a)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 상기 작업자가 사용 중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의 식별자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으로 인해 감지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누적 충격량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공구 및 기타 진동에 노출되어 있는 산업 재해 환경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의 누적량에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이 조정될 수 있으므로, 유해 진동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지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110) 및 모니터링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간략히 설명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진동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장갑, 의복, 신발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공구’는 그라인더, 칩핑 해머, 용접, 절단, 임팩트 렌치 등 작업자가 손에 파지(把持)한 상태로 사용되며, 동작 시 작업자의 손에 진동에 의한 충격을 전달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진동 공구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하, ‘진동 감지 센서’라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감지 센서’는 일 실시예로서 3방향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전극 및 제 1 전극을 둘러싼 제 2 전극이 존재하고 진동에 의해 제 1 전극이 제 2 전극의 내벽에 접촉 시, 접촉되는 회수와 면적에 따라서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을 이용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을 이용한 센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0분 단위,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해당 작업자와 매칭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식별자 및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공구에는 해당 진동 공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된 태그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진동 공구를 파지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진동 공구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해당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중계기(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미도시)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모니터링 서버(120)와 통신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중계기(미도시)의 개입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누적 충격량’은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특정 기간 동안 작업자가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되어 합산된 결과이며, 누적 충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의 위험 수준(예를 들어, 정상 - 경고 - 위험)은 높아질 수 있다.
만일, 누적 충격량이 미리 정해진 각각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이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및 램프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작업자의 누적 충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실시예로서 ‘장갑’을 사용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 칭하도록 한다.
한편, 모니터링 서버(120)는 각 진동 공구별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20)는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진동 공구의 종류와 각 진동 공구의 사용 시간, 누적 진동 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20)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부터 해당 장갑의 식별자,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의 식별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누적된 진동 수와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서버(120)는 상기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에 대한 기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하고, 해당 진동 공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특정 기간 동안 사용했던 진동 공구가 하나라면, 해당 진공 공구의 누적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 충격량이 되고, 특정 기간 동안 사용했던 진동 공구가 복수라면, 복수의 진동 공구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의 합산 결과가 누적 충격량이 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서버(120)는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 및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공구의 마모 정도에 따라서 각 진동 공구별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가 영향을 받게 되는데, 모니터링 서버(120)는 누적 진동 크기의 변화 추이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 공구의 마모 또는 손상 정도를 추정하고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 및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중 하나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120)는 네트워크 중계기(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미도시)를 통해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서버(120)가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과 통신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중계기(미도시)의 개입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진동 감지 센서(111), 메모리(112), 통신부(113), 출력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전, 진동 감지 센서(111)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진동 공구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감지 센서(111)는, 일 실시예로서 3방향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3방향 가속도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진동 수와 크기(가속도 값)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3방향’은 작업자가 진동 공구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등(the back of the hand)을 기준으로 x축 방향(진동 공구 손잡이의 축 방향), y축 방향(진동 공구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정면 방향) 및 z축 방향(손등에서 수직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 센서(111)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극 및 제 1 전극을 둘러싸는 제 2 전극이 존재하고, 진동에 의해 제 1 전극이 흔들리면서 제 2 전극의 내벽에 접촉하면, 접촉되는 회수와 접촉 면적에 따라서 진동 수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진동이 크면 제 1 전극에 제 2 전극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질 것이며, 각 접촉 면적에 대응하는 진동의 크기는 DB화 되어 저장소(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지 센서(1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메모리(112)는 진동 감지 센서(111)에서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예를 들어 10분 단위,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작업 준비 시간 또는 이동 시간 등 실제 작업 시간 이외의 시간은 제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5)는 진동 공구 사용으로 인한 진동 발생 시,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5초 또는 10초 등) 동안 연속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한해서 메모리(112)에 진동의 수와 크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작업자와 매칭된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진동 공구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획득된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3)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진동 공구의 식별자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누적된 진동 수 및 크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이란 의미는 진동 감지 센서(111)에서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가 메모리(112)에 저장되는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 센서(111)에서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가30분 단위로 메모리(112)에 저장되는 경우, 통신부(113)는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30분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3)는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수준은 ‘정상 - 경고 - 위험’ 등과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3)는 모니터링 서버(12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은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3)는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태그로부터 해당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한 태그 리더기(예를 들어 RFID 리더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14)는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14)는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중인 진동 공구의 누적 충격량이 미리 정해진 각각의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각 위험 수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및 램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5)는 상기 진동 감지 센서(111), 메모리(112), 통신부(113) 및 출력부(114)를 제어하여 각 구성 요소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120)는 진동 공구 정보 저장부(121), 작업자 작업 정보 저장부(122), 작업 정보 분석부(123) 및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진동 공구 정보 저장부(121)는 각 진동 공구별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진동 공구의 조합과 해당 조합의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진동 공구만을 사용하는 작업자의 경우, 해당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 충격량으로 산출될 수 있지만, 복수의 진동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경우는 각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모두 반영되어 누적 충격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공구의 종류에 따라서 진동 수와 크기가 서로 다른 점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위험 수준이 ‘경고’인 경우가 100이라면, 진동 크기가 1인 진동 공구 A는 진동 수가 100회일 때 경고 수준에 해당하는 충격을 작업자에게 가할 수 있고, 진동 크기가 5인 진동 공구 B는 진동 수가 20회일 때 경고 수준에 해당하는 충격을 작업자게 가할 수 있다.
만일 작업자가 진동 공구 A와 B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위험 수준이 ‘경고’에 도달하는 누적 충격량은 진동 공구 A와 B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진동 공구 A를 사용한 최근 진동 수가 40회(진동 크기는 1)이고, 이후에 진공 공구 B를 사용한다면, 진동 공구 B의 진동 수가 12회(진동 크기는 5)에 도달했을 때 누적 충격량 100이 되어 위험 수준 ‘경고’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 작업 정보 저장부(122)는 각 작업자의 식별자, 각 작업자가 착용하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의 식별자, 각 작업자가 사용하는 진동 공구의 식별자, 각 진동 공구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작업 정보 분석부(123)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자 작업 정보 저장부(122)에 저장된 해당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 즉,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의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작업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 정보 분석부(123)는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에 대하여 1시간 동안 누적된 진동 수와 크기를 기 저장된 진동 수와 크기에 반영(합산)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후, 작업 정보 분석부(123)는 해당 작업자가 사용하는 진동 공구의 수(종류) 및 각 진동 공구별로 누적된 진동 수와 크기에 기반하여,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정보 분석부(123)는 진동 공구의 진동 크기가 특정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진동 공구의 마모 여부를 점검하도록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4)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은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24)를 작업 정보 분석부(123)에서 생성된 작업자의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나 진동 공구의 마모 여부를 점검하도록 알리는 메시지를 해당 작업자의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과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하,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을 실행 주체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가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을 손에 착용하고 진동 공구를 파지하면,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진동 공구의 태그로부터 해당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획득한다(S401).
S401 후, 진동 공구가 동작하면,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진동 공구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수와 크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예를 들어 10분) 감지한다(S402).
이때, 휴식이나 이동으로 인해 진동 공구의 사용이 중지되면,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작업 시간에 대한 카운트를 중지하고, 진동 공구의 사용이 다시 시작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작업 시간을 다시 카운트한다.
S402 후,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작업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에 도달하면, 해당 시간 동안 누적하여 측정한 진동 공구의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한다(S403).
이때,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자신의 식별자와 S401에서 획득한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S403 후,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그 동안 사용했던 진동 공구(작업자의 작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의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위험 수준의 정도를 확인한다(S404).
S404 후,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상기 확인된 위험 수준의 정도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및 램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한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모니터링 서버(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이하, 모니터링 서버(120)를 실행 주체로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모니터링 서버(120)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작업 정보를 수신한다(S501).
여기서 작업 정보는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의 식별자, 현재 사용 중인 진동 공구의 식별자, 해당 진동 공구에 의해 발생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S501 후, 모니터링 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작업 정보를 갱신하고, 진동 공구 사용에 따른 누적 충격량에 대한 위험 수준을 분석한다(S502).
여기서 진동 공구 사용에 따른 누적 충격량은 그 동안 작업자가 사용한 진동 공구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반영될 수 있다.
참고로, 모니터링 서버(120)는 진동 공구의 진동 크기가 특정 기준치 이상 증가하는 경우, 공구의 마모로 인하여 진동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공구의 마모 여부를 점검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502 후, 모니터링 서버(120)는 분석 결과, 즉,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으로 전송한다(S50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지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지 센서(111)는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는 진동 감지 센서로서, 제 1 전극(111a) 및 제 1 전극(111a)을 둘러싸는 제 2 전극(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을 손에 착용하고 진동 공구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진동 공구가 동작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제 1 전극(111a)은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서 제 2 전극(111b)의 내벽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진동의 크기에 따라서 제 1 전극(111a)이 제 2 전극(111b)의 내벽에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며, 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110)은 접촉된 면적에 기반하여 진동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진동의 크기와 함께 진동의 수 또한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110 : 웨어러블 디바이스(누적 충격량 측정 장갑)
111 : 진동 감지 센서
112 : 메모리
113 : 통신부
114 : 출력부
115 : 제어부
120 : 모니터링 서버
121 : 진동 공구 정보 저장부
122 : 작업자 작업 정보 저장부
123 : 작업 정보 분석부
124 : 통신부

Claims (11)

  1.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진동 공구의 동작 시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산출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누적 충격량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 센서는
    3방향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3방향 가속도 센서는
    진동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중 하나 이상의 축에 발생하는 가속도와 상기 가속도의 크기에 근거하여 진동 수 및 크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 센서는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는 센서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을 둘러싸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이 흔들리면서 상기 제 2 전극의 내벽에 접촉하면, 접촉되는 회수와 접촉 면적에 근거하여 진동 수 및 크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더 전송하되,
    상기 진동 공구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상기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태그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화면, 진동, 스피커 및 램프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에 의한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동 공구의 동작 시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전달되는 진동 수와 크기를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감지된 진동 수와 크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산출된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위험 수준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누적 충격량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충격량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진동 공구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상기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식된 진동 공구의 식별자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충격량 측정 방법.
  8.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 상기 작업자가 사용 중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의 식별자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으로 인해 감지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하고, 상기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누적 충격량을 산출하며, 상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정보 분석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 분석부는
    상기 진동 공구의 진동 크기가 특정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동 공구의 마모 여부를 점검하도록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서버.
  10. 모니터링 서버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누적 충격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자, 상기 작업자가 사용 중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구(이하, ‘진동 공구’라 칭함)의 식별자 및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으로 인해 감지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에 근거하여, 기 저장된 상기 진동 공구의 사용에 의한 누적 진동 수와 크기를 갱신하는 단계;
    (c) 상기 진동 공구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하나 이상의 진동 공구에 의한 진동 수와 크기가 누적된 누적 충격량을 산출하고, 상기 누적 충격량에 따른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위험 수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충격량 모니터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진동 공구의 진동 크기가 특정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진동 공구의 마모 여부를 점검하도록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적 충격량 모니터링 방법.
KR1020150169898A 2015-12-01 2015-12-01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KR20170064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98A KR20170064295A (ko) 2015-12-01 2015-12-01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PCT/KR2016/012382 WO2017095027A1 (ko) 2015-12-01 2016-10-31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98A KR20170064295A (ko) 2015-12-01 2015-12-01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95A true KR20170064295A (ko) 2017-06-09

Family

ID=5879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98A KR20170064295A (ko) 2015-12-01 2015-12-01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64295A (ko)
WO (1) WO2017095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9692B (zh) * 2018-07-12 2019-06-11 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环境医学与作业医学研究所 可穿戴式个体噪声暴露评估预警系统
CN110674752B (zh) * 2019-09-25 2023-06-20 广东省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基于隐马尔可夫模型的刀具磨损状态识别与预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9168A (en) * 1995-03-22 1996-09-25 British Gas Plc Vibration monitor
JP2010194664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インパクト回転工具
KR101306528B1 (ko) * 2010-11-17 2013-09-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자의 신체활동량 및 종합스트레스지수 예측 시스템
KR101436984B1 (ko) * 2012-10-04 2014-09-04 한국기계연구원 공작기계 진동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343403B1 (ko) * 2013-08-14 2013-12-20 (주)한국툴모니터링 공작기계 운전시의 이상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5027A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42494B (zh) 具有至少一个工具机和至少一个移动式传感器装置的系统
JP6763758B2 (ja) アタッチメント監視システム
JP2019516152A5 (ko)
EP3239409B1 (en) Attachment monitoring system
JP2013080305A (ja) 作業者の異常状態検知装置及び作業現場の異常状態管理方法
CN105637281A (zh) 用于防护操作人员使免受工具机损伤的装置和对此的方法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CN112997210B (zh) 风险值计算系统、信息处理装置及程序
JP6676322B2 (ja) 負担評価装置、負担評価方法
KR20170064295A (ko) 누적 충격량을 측정하는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니터링 방법 및 서버
KR101974281B1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10321A (ko) 옥내용 이동통신 양방향 무선증폭기를 이용한 건물붕괴 및 매몰자 파악 시스템
WO20171973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afety and productivity of physical tasks
CN105190563A (zh) 用于识别动力设备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JP6854630B2 (ja) 解析装置、通知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6304964A (zh) 一种声暴露计的测量数据处理方法及系统
US20220284369A1 (en) Evaluation system for users in a worksite
CN113788377A (zh) 一种机器人乘梯检测方法及装置
JP2018001282A (ja) 稼働状況検知方法、稼働状況検知システムおよび稼働状況検知プログラム
JP6999532B2 (ja) 異常点検システムおよび異常点検方法
JP6326576B2 (ja) アイドリング判定装置およびアイドリング判定方法
KR101747549B1 (ko) 슬링을 이용하여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0412B1 (ko) 작업현장의 아차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JP2020014124A (ja) 作業員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携帯端末、作業員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