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872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872A
KR20170062872A KR1020150168598A KR20150168598A KR20170062872A KR 20170062872 A KR20170062872 A KR 20170062872A KR 1020150168598 A KR1020150168598 A KR 1020150168598A KR 20150168598 A KR20150168598 A KR 20150168598A KR 20170062872 A KR20170062872 A KR 2017006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ndividual
bolt
vehicle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872A/ko
Publication of KR2017006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21W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램프 모듈,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공통 지지부 및 상기 공통 지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의 배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별 에이밍 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 에이밍 조정부는, 상기 램프 모듈과 상기 공통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서 나사 결합하는 개별 에이밍 볼트와,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에 형성된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에이밍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는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벌브 타입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그 이외에 LED 타입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타입의 광원은 단독으로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보다는 복수의 광원의 조합에 의해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소정 개수의 LED 광원들이, 공통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나의 램프 모듈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램프 모듈들이 다수 포함되어 하나의 차량용 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공통된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들이 상기 공통 지지 부재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램프 모듈이 정확한 위치(position) 및 배향(orientation)으로 설치되지 않으면 전체적인 배광 패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Adaptive Driving Beam; ADB)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램프는, 카메라 등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광패턴을 자동으로 조절해 준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각각의 램프 모듈의 위치나 배향이 어긋나는 경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불편을 야기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4-0268843 A1 한국공개특허 10-2009-0065598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램프 모듈 조립 시 설정된 에이밍 볼트가 진동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공통 지지부 및 상기 공통 지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의 배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별 에이밍 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 에이밍 조정부는, 상기 램프 모듈과 상기 공통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서 나사 결합하는 개별 에이밍 볼트와,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에 형성된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에이밍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마주보는 기저부 및 상기 각각의 기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에 상기 기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홈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부의 단부 모서리에는 소정 각도로 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의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상기 헤드부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 상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부재의 수용부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지지부의 에이밍 조정을 위하여 적어도 2개소에 공통 에이밍 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모듈 조립 시 에이밍 볼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램프 모듈을 에이밍한 후, 차량 주행 중의 진동에 의해 초기 설정된 에이밍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별 에이밍 조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각각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전방의 차량이 검출된 경우 각각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가 개별 에이밍 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가 개별 에이밍 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적용되는 개별 에이밍 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개별 에이밍 조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100), 공통 지지부(300) 및 고정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 모듈(100, 200)은 2개 구비되고, 고정 부재는 4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램프 모듈(100, 200)의 개수에 따라 공통 지지부(300)가 연장되면 그 이상의 개수의 램프 모듈(100, 200)이 설치될 수 있고, 램프 모듈(100, 200)의 개수에 따라 고정 부재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으므로 램프 모듈(100, 200) 및 고정 부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각각의 램프 모듈(100) 및 고정 부재는 위치가 다를 뿐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개의 램프 모듈(100) 및 1개의 고정 부재(15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램프 모듈(100)의 상면에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설치되기 위한 수용면(140)이 형성되고, 수용면(140)에 근접하도록 복수의 방열핀을 세로 방향으로 구비하는 히트 싱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130)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방열핀이 세로로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방열핀이 발광 다이오드에 인접하여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면 가로 또는 대각선으로 구비되어도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히트 싱크(130)는 각각의 램프 모듈(100)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용면(140)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 또는 복수의 광원이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개 발광 다이오드 소자 또는 복수의 광원이 포함된 PCB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용면(140)의 양측에 별도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볼트 구멍에 LED 광원용 PCB, 리플렉터 등의 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차량의 우측 헤드 램프 및 좌측 헤드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공통 지지부(300)의 램프 모듈(100, 200)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좌측 또는 우측 헤드 램프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수용면(140, 240)에는 차량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광원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일 예로 각각 5개의 광원이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좌측 또는 우측의 헤드 램프에는 각각 10개의 광원(L1~L10)이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별도로 구비되는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검출되는 전방 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CU)이 상기 10개의 광원(L1~L10)의 점등을 각각 제어(ADB; Adaptive Driving Beam)함으로써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신호 또는 감지 센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 영역에 존재하는 전방 차량을 검출하고, 그 차량 위치 정보를 CAN 라인 등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CAN 라인을 통해 전방 차량의 차량 위치 정보를 취득한 후,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며 ADB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한 ADB 점등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용면(140, 240)의 10개의 광원(L1~L1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차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10개의 광원(L1~L10)이 모두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으로 전체의 광원이 조사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각각의 광원(L1~L10)은 상호 근접하는 광원과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 광원 간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방 차량(V)이 검출되는 경우, CAN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차량의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개의 광원(L1~L10) 중 검출된 전방 차량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하고 있는 광원이 L8 및 L9인 경우를 가정하면, 광원(L8, L9)을 소등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방 차량이 속하는 조명 영역이 차광되어 상기 전방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방 차량의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램프 모듈의 광원을 제어하되, 주행로가 곡선로인 경우에는 전방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카메라 또는 감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조사 방향의 광원이 소등 제어됨과 동시에 전방 차량이 검출되지 않는 영역을 조사하는 광원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램프 모듈(100, 200)의 광축과 카메라의 촬영 광축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완전하게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검출한 전방 차량의 위치 및 조명 영역 간의 오차가 발생한다. 즉, 이러한 오차에 의해 배광 제어에 있어서 검출된 전방 차량의 위치 및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어 조사되는 광원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아 전방 차량 또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 대하여 눈부심을 일으키거나 차광영역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램프 모듈의 조립 후 부품 이동 또는 그 이후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램프 모듈이 조립 시에 최초로 설정된 에이밍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서 기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램프 모듈(100, 200)의 각각의 에이밍 위치는 차량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조립 시에 적합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램프 모듈(100, 200)에는 개별 에이밍 조정부(110a, 110b, 210a, 210b)가 각각 구비된다. 개별 에이밍 조정부(110a, 110b, 210a, 210b)는 램프 모듈(100, 200)의 최초 생산 시 각각의 램프 모듈(100, 200)에 장착된 LED 광원의 조사 방향을 차량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개별 에이밍 조정부(110a)는 램프 모듈(1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 브래킷(111)의 볼트 구멍에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삽입되고,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공통 지지부(300)의 지지 브래킷(310)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램프 모듈(100, 200)이 공통 지지부(300)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램프 모듈(100)이 각각의 개별 에이밍 볼트(111a)에 의해 에이밍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램프 모듈(100)의 개별 에이밍 볼트(111a, 112a)가 2개소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개별 에이밍 볼트(111a, 112a)의 사이에서 중간 지점에 개별 피봇(120)을 중심으로 에이밍되도록 한다. 개별 피봇(120)은 볼 조인트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볼 조인트가 구름 접촉 가능하도록 이를 감싸는 별도의 볼 조인트 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방향성을 갖지 않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공통 지지부(300)의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가 설치될 수 있다.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는 공통 지지부(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가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에 의해 에이밍되되 공통 피봇(미도시)을 중심으로 에이밍되도록 한다. 공통 피봇은 개별 피봇(120)과 마찬가지로 볼 조인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볼 조인트가 구름 접촉 가능하도록 이를 감싸는 별도의 볼 조인트 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방향성을 갖지 않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통 지지부(300)의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는 각각의 램프 모듈(100, 200)의 에이밍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어 있더라도 차량 운행 중에 진동에 의해 공통 지지부(300) 전체의 에이밍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공통 지지부(300)의 에이밍 위치를 정확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100)이 개별 에이밍 조정부(110a)에 의해 각각 공통 지지부(300)에 대하여 에이밍 가능하며, 공통 지지부(300)는 공통 에이밍 조정부(401, 402)에 의해 공통 피봇을 중심으로 헤드 램프 하우징(미도시)에 대하여 공통 지지부(300) 전체를 한번에 에이밍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통 지지부(300)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서 헤드 램프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지지부(300)의 램프 모듈(100, 200)간에는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램프 모듈(100, 200)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차량의 헤드 램프는 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램프 모듈(100, 200)은 차량의 양 측방으로 갈수록 후측 또는 상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열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가 개별 에이밍 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5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상기 에이밍 볼트(111a)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부재(15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151), 수용부(15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수용부(15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절곡되어 마주보는 기저부(150a) 및 각각의 기저부(150a)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말단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5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를 수용할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중심에 상기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홈(151)이 형성되고, 수용홈(151)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평행하도록 절곡되는 기저부(15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151)에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의 일부가 수용되어야 하므로 수용홈(151)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헤드부의 외표면 중 상호 마주보는 평행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용홈(151)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헤드부의 접촉하는 대칭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래킷(111) 상에 적어도 기저부(150a)의 접촉면(150b)이 접촉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삽입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저부(150a)의 각각의 두께는 삽입홈(G)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저부(150a)는 삽입홈(G)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접촉면(150b)이 삽입홈(G)의 가장 깊은 위치에 면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아울러, 기저부(150a)의 단부 모서리에는 소정 각도로 챔퍼(chamfer; 150c)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150c)에 의해 기저부(150a)가 삽입홈(G)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진입 초기에 챔퍼(150c)에 의해 삽입홈(G)의 내측벽을 따라 안내되므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용홈(151)에 의해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기저부(150a)가 삽입홈(G)에 의해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의 진동에 의해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회전되어 풀리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개별 에이밍 볼트(111a)와 고정 부재(150)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에이밍 공정 완료 후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150)의 기저부(150b)가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도록 삽입홈(G)에 고정 결합된 상태의 정지 마찰력으로서, 단위 면적당 접촉면적에 비례하므로 기저부(150a)의 형상이 최대 정지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모듈 각각의 최초 에이밍 공정 이후 차량 주행 시의 진동에 의하여 최초 설정된 에이밍 위치로부터 변경되어 상대방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 부재(150)의 수용홈(151)의 수용 면적은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의 일부를 감싸는 구성으로 형성된 반면, 수용홈(151)보다 넓은 수용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수용홈(161)을 도시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이외의 구성인 기저부(160a), 접촉면(160b) 및 챔퍼(160c)의 기능 및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부재(16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 전체가 수용되도록 형성하고,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의 측면 전체에 대하여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의도치 않은 풀림회전을 보다 강한 힘으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61)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아닌 관통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수용부(161)의 내측 벽면이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를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 부재(160)의 상하 방향의 두께를 축소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가 개별 에이밍 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적용되는 개별 에이밍 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고정 부재(17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반경 외측 방향으로 환형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11b), 플랜지(111b)의 상면에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 돌기(111c), 고정 부재(170)의 내측에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고정 돌기(111c)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173a) 및 개별 에이밍 볼트(111a)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플랜지(111b)의 하면에 일단이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 브래킷(111)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고정 부재(170)는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지지 브래킷(111)에 나사 결합되면 고정 부재(170)의 기저부(170a)가 삽입홈(G)에 결합되어서 고정 부재(170)가 지지 브래킷(111)에 고정됨과 동시에, 스프링(S)이 플랜지(111b)와 지지 브래킷(111) 사이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스프링(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랜지(111b)가 탄성 지지됨으로써 플랜지(111b)의 고정 돌기(111c)가 고정홈(173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고정 부재(170)에 밀착되는 힘이 부가적으로 작용하므로 개별 에이밍 볼트(111a)가 지지 브래킷(111)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불필요한 회전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아울러, 기저부(170a)의 단부 모서리에는 소정 각도로 챔퍼(170c)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170a)에 의해 기저부(170a)가 삽입홈(G)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진입 초기에 챔퍼(170c)에 의해 삽입홈(G)의 내측벽을 따라 안내되므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용부(171)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별 에이밍 볼트(111a)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아닌 관통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램프 모듈
110a, 110b: 개별 에이밍 조정부
111, 112: 고정 브래킷
150: 고정 부재
150a: 말단부
150b: 기저부
150c: 챔퍼
300: 공통 지지부
310, 311: 지지 브래킷

Claims (8)

  1. 복수의 램프 모듈;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을 공통으로 지지하는 공통 지지부; 및
    상기 공통 지지부에 대해,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의 배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별 에이밍 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 에이밍 조정부는, 상기 램프 모듈과 상기 공통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사이에서 나사 결합하는 개별 에이밍 볼트와,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에 형성된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에이밍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마주보는 기저부; 및
    상기 각각의 기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에 상기 기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홈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껍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단부 모서리에는 소정 각도로 챔퍼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의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에이밍 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상기 헤드부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 상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부재의 수용부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지지부의 에이밍 조정을 위하여 적어도 2개소에 공통 에이밍 조정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68598A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램프 KR20170062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98A KR20170062872A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98A KR20170062872A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72A true KR20170062872A (ko) 2017-06-08

Family

ID=5922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598A KR20170062872A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3933A (zh) * 2019-04-22 2019-07-05 大茂伟瑞柯车灯有限公司 一种安装简单且精度要求低的车灯调光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3933A (zh) * 2019-04-22 2019-07-05 大茂伟瑞柯车灯有限公司 一种安装简单且精度要求低的车灯调光机构
CN109973933B (zh) * 2019-04-22 2024-04-12 大茂伟瑞柯车灯有限公司 一种安装简单且精度要求低的车灯调光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145B2 (en) Vehicle headlight
US7316495B2 (en) Vehicle headligh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lighting device units
US7244057B2 (en) Headlight
EP2532950B1 (en) Vehicular headlamp device
US7905632B2 (en) Projection module for a headlamp or an automobile light
US9423087B2 (en) Vehicular lamp
US11370351B2 (en) Aiming adjustment method for vehicle headlamp, aiming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US20070025117A1 (en) Vehicle headlamp
US20130120988A1 (en) Hybrid projector led low beam headlamp
JP2011518716A (ja) ランプ組立体
JP2016149274A (ja) 車両用灯具
JP6122513B2 (ja) 自動車ヘッドライト用照明装置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KR20200141248A (ko) 차량용 램프
US20090279318A1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US8439538B2 (en) Vehicle light
US11953171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KR20170062872A (ko) 차량용 램프
US2016031297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498484B1 (ko) 자동차 안개등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987916B1 (ko) 차량용 램프와 그 램프의 조향각 조정방법
KR20170062865A (ko) 차량용 램프
KR101968093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JP7425121B2 (ja) 投光器のための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