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759A - 외국어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759A
KR20170060759A KR1020150165310A KR20150165310A KR20170060759A KR 20170060759 A KR20170060759 A KR 20170060759A KR 1020150165310 A KR1020150165310 A KR 1020150165310A KR 20150165310 A KR20150165310 A KR 20150165310A KR 20170060759 A KR20170060759 A KR 2017006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language
sentence
mouth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758B1 (ko
Inventor
이만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글리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글리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글리쉬
Priority to PCT/KR2015/0127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82447A1/ko
Priority to US15/774,086 priority patent/US10978045B2/en
Priority to KR1020150165310A priority patent/KR1020067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센서부(110)로부터 학습자의 음소 운동에 해당하는 자음, 모음 입 동작을 인식하여 분석하는 음소 인식 수단(131a); 음소 인식 수단(131a)에 의한 입 모양 및 혀 모양에 따른 음소 분석의 결과를 활용해, 학습자의 음절 운동에 대한 인식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음절 인식 수단(131b); 및 음절 인식 수단(131b)에 의해 분석된 단어가 결합된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단위인 문장(sentences)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문장의 핵심요소인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를 추출하여 강조의 강음으로 설정하고, 기능적 요소에 대해서는 약음으로 설정하는 문장 인식 수단(131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교재{Text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효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해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외국어 및 자국어를 표시하되 외국어의 발음의 강세에 맞추어 표시하고 또한 이에 매칭되는 리듬동작을 표시하여 암기 학습인 서술기억(declarative memory)이 아닌 시각기억과 운동학습으로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기억과 함께 몸으로 즉각 반응하며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에 따라 온오프라인 상에서 세계인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로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영어 또는 상대방의 언어인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 습득은 장기간의 시간을 요한다. 언어학자에 의하면 듣기를 정복하는데 5,000시간의 노출이 필요하다고 하고 하루 1시간 매일 들어도 13년 이상이 소요된다. 특히, 외국어가 자국어와 다를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하기도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독해, 단어, 문법은 학교 교육으로 어느 정도 향상이 가능하지만 듣기, 말하기는 각자의 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언어는 그 언어만의 고유한 문자와 발음(소리)을 갖고 있으므로 그 언어의 고유한 문자와 발음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언어습득이 이루어지는데, 문자는 그 자체가 명확하기 때문에 학습에 어려움이 없지만 발음은 그 명확성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학습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세계의 모든 언어를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문자는 소리기호를 갖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어인 히라가나는 문자자체가 소리기호이고, 영어나 중국어는 소리기호로 음소기호(발음기호)를 갖고 있고 이러한 음소기호가 그 언어의 고유소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외국어를 학습할 때 발음을 쉽게 하려면 그 문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고유한 소리 즉, 음소기호의 소리를 정확하게 익히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국어를 학습할 때 자국어의 기호나 발음으로 고유한 본래의 소리를 가공해서 쓰기 때문에 정확한 본래 소리로 외국어 발음을 할 수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외국어의 발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발음을 제대로 배우기 위해, 학교나 학원 또는 통신매체를 이용한 통화학습 등에서 원어민교사 또는 강사를 통해 원어민 발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발음정확성에 대해 다수 원어민 교사 또는 강사의 개인별 수준 차이가 크게 발생되어 신뢰도가 낮으며, 영어음소기호를 통한 외국어 소리 습득이 아닌 뜻문자를 통해 외국어소리를 습득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기존 교육방식과의 혼란으로 인해 정확한 외국어 소리 습득에 의한 학습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39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생활영어나 생활일어와 같은 외국어를 한글만 알면 선택한 분야 상황별로 번역내용과 함께 발음내용이 한글표기식으로 표시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영어가 자국어가 아닌 학습자가 영어의 소리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들이는 노력에 비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발음내용이 한글표기식으로 가공되어 표시되면서 정확한 본래 소리로 영어 발음을 하지 못하고 콩클리쉬를 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지금까지 노력하여 습관화된 소뇌의 운동능력과 언어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영어수준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즉시 영어를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신개념의 과학적 자국어 표기 영어학습 방법이 필요하였다.
또한, 학습자로부터 보다 효과적인 영어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요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외국 언어의 외래어 맞춤법에 근거해 표기하는 외국어 학습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인터넷 영역 학습 로직의 경우 들리는 소리로서의 표기가 아니므로 실제 외국어 발음소리와는 거리가 멀었고 그로인해 효과적인 언어습득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외국어를 듣고 말하기 위해서는 소뇌 피질에 운동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언어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소뇌의 운동능력은 초당 10Hz(1초에 10번의 진동)를 상한으로 작동하는데 영어 듣기와 말하기는 자전거 타기와 마찬가지로 운동학습에 해당하여 반복 운동을 통해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에 저장되어 있어야 이른 시간에 즉각 반응하여 듣고 말할 수 있다.
운동학습은 한 번 기억되면 장기간 잊어버리지 않는 특징이 있지만 기억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습자의 대부분이 절대 시간의 부족으로 운동 학습에 실패한다.
또한, 기존의 영어 학습은 사고 학습으로 문법이나, 독해 등을 통해 학습했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느려 일상생활에 필요한 회화를 듣고 말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단기간에 극복하고 누구나 쉽게 영어를 체득할 수 있는 학습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학습 현장에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국어의 정확한 습득을 위하여 외국어의 문장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단어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 규칙과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으로 생성하여 표시함에 따라 독음된 외국어의 발음 그대로 자국어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어의 발음의 강세를 자국어의 음절 및 단어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외국어 학습교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을 위해 외국어의 발음의 강세에 맞추어 매칭되는 리듬동작을 표시하여 암기 학습인 서술기억(declarative memory)이 아닌 시각기억과 운동학습으로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을 수행하도록 하고, 그 결과 운동을 통해 쉽고, 신나고, 재미있게 몸으로 배워 반응하는 외국어 습득원리를 시각적으로 수록한 학습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외국어 학습교재에 있어서,
외국어 발음을 입 모양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과 혀 위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으로 나누어 표시한 발음규칙부(100); 및
상기 발음규칙부(100)의 발음규칙과 기 설정된 리듬규칙에 따라 외국어 및 자국어에 리듬 이미지를 표시한 문장표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발음규칙부(100)는,
상기 외국어 발음을 입 모양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M1 내지 M8와,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입 모양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M1 내지 M8는,
발음 'a'에 해당하는 M1(Mouth 1)와; 'i', 'e'에 해당하는 M2(Mouth 2)와; 'I', '
Figure pat00001
', '
Figure pat00002
'해당하는 M3(Mouth 3)와; 'u'에 해당하는 M4(Mouth 4)와; 'o', '
Figure pat00003
'에 해당하는 M5(Mouth 5)와; 발음 'b', 'p', 'm'에 해당하는 M6(Mouth 6)와; 'f', 'v'에 해당하는 M7(Mouth 7)와; 's', 'z'에 해당하는 M8(Mouth 8);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은,
발음 'a', 'o', 'u', '
Figure pat00004
', 'I'에 대한 기본 위치인 하단(Below) T1(Tongue 1); 's', 'z'에 대한 하단(Below) 아랫니 뒷부분인 T2(Tongue 2); 'r'에 대해서 입 상단(Upper) 윗 어금니 끝인 T3(Tongue 3); 'i', 'e', '
Figure pat00005
'에 대한 상단(Upper) 윗니 중간인 T4(Tongue 4); 'θ', 'ð'에 대한 전방(Front) 윗니 앞부분인 T5(Tongue 5); 'l'에 대한 상단(Upper) 윗니 뒷부분인 T6(Tongue 6); 'd', 't', 'n'에 대한 상단(Upper) 경구개(Hard Palete) 앞인 T7(Tongue 7); ‘k’, ‘g’, ‘ŋ’에 대한 상단(Upper) 연구개(Soft Palete) 뒤인 T8(Tongue 8);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가 배치되는 외국어 표현부(210);
자국어, 또는 자국어와 외국어가 혼용되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자국어 표현부(220); 및
상기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상기 자국어 표현부(220)에 배치된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의 자국어 의미를 기재하는 해석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가 배치되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현되는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자국어, 또는 자국어와 외국어가 혼용되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현되는 자국어 표현부(2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상기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상기 자국어 표현부(220)에 배치된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외국어 학습교재에 있어서,
외국어 또는 자국어가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시된 문장표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문장표현은,
상기 외국어 또는 상기 자국어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리듬 이미지는,
글자폰트 크기 차이, 색상 차이, 글자의 굵기 차이, 특정한 형태의 모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동작이미지는, 손 동작, 발 동작, 몸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상기 동작이미지 중 손 동작은 손뼉치기이며, 강한 손뼉과 약한 손뼉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이미지 중 발 동작은 발구르기이며, 두발구르기와 한발구르기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리듬 동작 감지 센서 기반의 운동 학습 장치를 이용한 운동 학습 방법의 각 단계가 시각적으로 수록된 학습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외국어에 대한 발음과 동시에 운동을 통해 쉽고, 신나고, 재미있게 몸으로 배워 반응하는 외국어 습득원리를 통해 외국어가 장기 기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학습자에 대해서 동기부여의 지속, 경쟁심 유발에 관여하는 인간 본연의 승리욕과 외국어 학습을 접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다루게 될 외국어의 학습원리를 보충설명하기 위한 운동 학습 변환 원리의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는 외국어의 음소, 음절, 문장에 대한 발음, 입 동작과 혀 위치 및 강세에 따른 동작이미지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외국어 문장의 단어별, 음소별 분리되는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1,2,3번에 대해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4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동작이미지 매칭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교재에서 다루게 될 외국어의 학습원리를 보충설명하기 위한 운동 학습 변환 원리의 흐름도, 도 3과 도 4는 외국어의 음소, 음절, 문장에 대한 발음, 입 동작과 혀 위치 및 강세에 따른 동작이미지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외국어 문장의 단어별, 음소별 분리되는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1,2,3번에 대해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4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의 동작이미지 매칭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어 발음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입 모양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과 혀 위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으로 나누어 표시한 발음규칙부(100)와 발음규칙부(100)의 발음규칙과 후술하는 기 설정된 리듬규칙에 따라 외국어 및 자국어에 리듬 이미지를 표시한 문장표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음규칙부(100)는 학습자가 외국어에 대해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 모양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M1 내지 M8와,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을 각 음소 및 음절의 발음에 맞추어 대응 배치하여 표시한다.
즉, 입 동작에 따라 나타나는 입 모양(Mouth Shape) 8개를 기준으로 하여 발음을 나누어보면, 모음에 해당되는 발음은 입 동작 5가지 발음으로 분류되는데, 즉 발음 'a'에 해당하는 M1(Mouth 1)와; 발음 'i', 'e'에 해당하는 M2(Mouth 2)와; 발음 'I', '
Figure pat00006
', '
Figure pat00007
'해당하는 M3(Mouth 3)와; 발음 'u'에 해당하는 M4(Mouth 4)와; 발음 'o', '
Figure pat00008
'에 해당하는 M5(Mouth 5)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음 중 입술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내는 발음은 입 동작 3가지 발음으로 분류되는데, 발음 'b', 'p', 'm'에 해당하는 M6(Mouth 6)와; 발음 'f', 'v'에 해당하는 M7(Mouth 7)와; 발음 's', 'z'에 해당하는 M8(Mouth 8)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의 음소에 있어서의 자음, 모음 혀 위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소리의 최소 단위인 음소의 구성 요소 중 자음은 혀의 위치인 조음점을 변화시키면서 내는 소리로, 혀의 위치를 바꿔 소리 내는 8개의 혀의 위치(tongue position)로 모음 및 자음을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혀의 위치 8개를 기준으로 발음 'a', 'o', 'u', '
Figure pat00009
', 'I'에 대해서는 기본 위치인 하단(Below) T1(Tongue 1)로 표시하며, 발음 's', 'z'에 대해서는 하단(Below) 아랫니 뒷부분인 T2(Tongue 2)로 표시하며, 발음 'r'에 대해서는 입 상단(Upper) 윗 어금니 끝인 T3(Tongue 3)로 표시하며, 발음 'i', 'e', '
Figure pat00010
'에 대해서는 상단(Upper) 윗니 중간인 T4(Tongue 4)로 표시하며, 발음 'θ', 'ð'에 대해서는 전방(Front) 윗니 앞부분인 T5(Tongue 5)로 표시하며, 발음 'l'에 대해서는 상단(Upper) 윗니 뒷부분인 T6(Tongue 6)로 표시하며, 발음 'd', 't', 'n'에 대해서는 상단(Upper) 경구개(Hard Palete) 앞인 T7(Tongue 7)로 표시하며, 발음‘k’, ‘g’, ‘ŋ’에 대해서는 상단(Upper) 연구개(Soft Palete) 뒤인 T8(Tongue 8)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예시된 발음규칙부(100)의 구성 및 분리기준은 임의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양한 기준으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장표현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의 주 특징중의 하나로서, 외국어 문장의 각 단어는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리듬 이미지로 표시하고 이에 매칭되어 대응되는 자국어 표현 역시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리듬 이미지로 표시하되 기타 나머지 음소는 외국어로 혼용표기함으로써, 외국어와 자국어의 리듬규칙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하고 손 동작이나 발 동작으로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표현부(210), 자국어 표현부(220), 동작이미지 표현부(230), 해석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외국어 표현부(210)나 자국어 표현부(22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때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어 표현부(210)는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가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시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split the ice apart and break the frozen heart' 또는 'Ho! Watch your step! Let it go!'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국어 표현부(220)는 배치된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자국어, 또는 자국어와 외국어가 혼용되어 매칭되도록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시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Sp위s 으-rt 앤 b위k 듸 f우즌 -rt' 또는 '우! -ch 유r s! 렛 윗 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장에 표현되는 리듬 이미지는 글자폰트 크기 차이, 색상 차이, 글자의 굵기 차이, 특정한 형태의 모양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는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자국어 표현부(220)에 배치된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동작이미지를 매칭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동작이미지는 손 동작, 발 동작, 몸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손 동작은 손뼉치기로 나타낼수 있고 강한 손뼉과 약한 손뼉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발 동작은 발구르기로 나타낼수 있고 두발구르기와 한발구르기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국어 및 자국어 문장의 리듬 이미지 표기를 외국어 및 자국어의 글자폰트 크기, 색상, 특정한 형태의 모양, 폰트의 나열 등의 변화로 나타내고, 동작이미지를 다양한 손 동작이나 발 동작 등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며 다양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외국어 문장은 대응되는 자국어 의미를 해석부(240)에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장표현부(200)를 도 1에 예시된 것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lit the ice apart and break the frozen heart'의 강세는 "split, ice, apart, break, frozen, heart"에 오며, 'Ho! Watch your step! Let it go!'의 강세는 "Ho, Watch, step, go"에 있으므로, 외국어 표현부(210)는 제1 강세, 제2 강세 및 강세가 없는 부분이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글자 폰트를 32폰트, 28폰트, 18폰트로 나누고, 글자의 굵기 등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또한, 외국어 표현부(210)에 매칭되는 자국어 표현부(220)는 제1 강세, 제2 강세가 있는 부분은 글자 폰트를 32폰트, 28폰트로 한 글자굵기가 다른 자국어로 표기하되 색상를 달리하여 표시하고 및 강세가 없는 음소부분은 자국어로 변환없이 외국어 그 자체로 표시한다.
즉, 'Ho! Watch your step! Let it go!'에서 제1강세가 있는 감탄사 "Ho"와 본동사 "Watch"의 음절"Wa"와 "step"의 음절 "te"와 본동사 "go"는 32폰트, 강세가 없는 "your"의 음절"you", "let"의 음절"le", "it"의 음절"i"는 18폰트로 표기하고, "Watch"에서 강세가 없는 음소부분 "-tch"는 외국어 음소 그대로 "ch"로, "step"에서 강세가 없는 음소부분 "s-"는 외국어 음소 그대로 "s"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외국어 'Ho! Watch your step! Let it go!'는 자국어 표기시 외국어와 자국어를 혼용하여 "호우! 와-ch 유r s텝! 렛 윗 고우!"로 표기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이미지 표현부(230)에 표현되는 외국어 및 자국어 문장의 리듬 이미지에 대응되는 동작이미지는 손뼉치기와 같은 손 동작 이미지의 크기차이로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의 표기원리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외국어를 리듬동작을 가미하여 학습하는 학습 변환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외국어 듣기 말하기를 구성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를 음소(phonemes)라 하고, 음소가 모여 음절이 된다. 음절은 자음과 모음의 결합 혹은 모음 자체로 소리 난다. 음절이 모여 단어가 되고 단어가 모여 문장이 된다. 외국어에는 자국어와 다른 고유의 강세, 연음, 인터네이션(intonation)이 존재한다. 이러한 소리의 덩어리(tone units)를 잘 구분하여 리드미컬하게 듣고 말할 수 있어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 진다.
음소(p1)의 구성 요소인 모음은 입 모양의 변화로 나는 소리이고, 자음은 혀의 조음점을 변화하면서 내는 소리이다. 따라서, 도 1의 발음규칙부(100)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모음에 적용되는 입 동작 5개와 자음 중 입술의 움직임으로 내는 소리 3개를 합쳐 입 동작 8개와, 혀의 위치로 내는 8개의 소리를 합쳐 입과 혀로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p2).
음소가 결합된 음절이 하나 이상 모여 의미의 최소 단위인 단어(words)를 이룬다(p3). 단어는 음절을 강하게 발음하는 제 1 강세와 약하게 발음하는 제 2 강세, 강약이 없는 음절, 소리가 없는 묵음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p4). 이때, 제 1 강세에는 강한 손뼉, 두발 구르기 등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표시, 제 2 강세에는 약한 손뼉, 한발 구르기 등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표시를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입 동작, 혀 위치를 사용한 운동을 하도록 강세위치에 그에 매칭되는 리듬 동작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어가 결합 된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단위인 문장(sentences)은 강조의 강음, 연음, 생략, 축약, 인터네이션(intonation)이 존재한다(p5). 기본적으로 문장의 핵심요소인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에 강조의 강음이 오고 기능적 요소에 약음이 온다. 강음에 강한 손뼉, 두발 구르기와 같은 동작과 약음에 약한 손뼉, 한발 구르기 등과 같은 동작과 동시에 입 동작, 혀 위치를 사용한 운동을 하도록 강세위치에 그에 매칭되는 리듬 동작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듬 동작에 의해 소뇌를 자극하면(p6), 기억을 담당하는 신경전달 물질이 지속적으로 분비되어 장기 기억될 수 있게 된다(p9).
즉, 입 모양 및 혀 모양에 따라 표시된 음소가 결합된 음절이 하나 이상 모여 의미의 최소 단위인 단어(words)를 이루는데, 단어는 음절을 미리 설정된 주파수 이상의 강세로 강하게 발음하는 '제 1 강세', 제 1 강세보다 약하게 발음하는 '제 2 강세', '강약이 없는 음절', 소리가 없는 '묵음'으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강세'에 강한 손뼉, 두발 구르기 등과 같은 동작을 매칭시키고, '제 2 강세'에 약한 손뼉, 한발 구르기 등과 같은 동작을 매칭시킴으로써, 발음은 입 혀 위치를 이용하여 함과 동시에 강세의 강약 부분을 손 운동과 발 운동으로 표현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몸 전체가 외국어 문장을 익히게 되어 장기 기억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시된 도 3을 참조하면, 4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Sit-u-a-tion
Figure pat00011
’은 제 1 강세가 세 번째 음절인 ‘a’에 오고 제 2 강세는 첫 번째 음절인 ‘sit’에 온다. 따라서, 제 2 강세인 ‘sit’에 약하거나 빠른 손뼉, 한발 구르기 등과 같은 제 2 강세 동작, 제 1 강세인 ‘a’에 강한 손뼉, 두발 구르기 등과 같은 제 1 강세 동작을 매칭시켜 표시한다.
또한, 단어가 결합된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단위인 문장(sentences)은 강조의 강음, 연음, 생략, 축약, 인터네이션(intonation)이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은 문장의 핵심요소인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를 추출하여 강조의 강음으로 설정하여 표시하고, 기능적 요소에 대해서는 약음으로 설정하여 표시한다.
도 4는 문장을 각 단어별로 발음, 그에 따르는 입 동작과 혀의 위치, 강세에 따른 손동작과 발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문장이 7개의 단어로 구성된 ‘I put my hands on my knees’는 핵심어인 본동사(put), 명사(hands, knees)와 기능어인 대명사( I ), 소유격( my ), 전치사 ( on )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핵심어인 put, hands, knees에 강한 손뼉, 두발 구르기 등과 같은 강음 동작을 하도록 설정 및 표시하고, 기능어인 I, my, on, my에 약하거나 빠른 손뼉, 한발 구르기 등과 같은 약음 동작을 하도록 설정 및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에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구성시킬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별로 분리한다. 예를들면, I am a student의 경우 I, am, a, student 로 분리한다.
그런 다음,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예를들면, MPA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여 표시한다. 예를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는 aI1, am은 æ0와 m으로, a는 ∂0, student는 s, t, u:1, d, ∂2, n, t 로 분리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u:1의 '1'은 해당 음소에 1강세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0의 '0'는 해당 음소에 강세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2의 '2'는 해당 음소에 2강세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단어별로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여 표시된 외국어 문장은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자의 발음을 돕기 위해 자국어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표시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한다.
예를들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모음인 'aI1'은 'ㅏ위’로, 'æ0'은 'ㅐ'로, '∂0'는 'ㅡ'로 표기되고, 자음인 m은 'ㅁ', s는 's', t는 'ㅌ', d는 'ㄷ', n은 'ㄴ', t는 't'로 표기되어, I am a student는 '아이, 엠, 으, sㅌ+ㅜ-+ㄷ+ㅡ+ㄴ+t"를 합한 "아이엠 으 s투든t"가 된다.
이와 같이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은, 외국어 발음 그대로 자국어와 외국어로 혼용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외국어 음절의 발음은 이에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로 표시한다. 이때,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하여 리듬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외국어 문장과 그에 대응되는 자국어 표기에서 강세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음소에 대한 리듬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제1, 제2 강세가 있는 경우, 제1 강세 모음부분과 2음절 이상에서 강세가 있는 모음부분은 강한 박자로 표시한다.
2) 1음절 이상의 강세가 없는 모음 부분은 한 박자로 표시한다.
3) 제1, 제2 강세가 있는 경우 제2 강세 모음 부분과, 1음절 이상에서 두번째 오는 모음은 1/2 박자로 표시한다.
4) 이중모음 ou(오우)의 두번째 모음 u(우)에 해당되는 부분과 장모음의 장음부분':', 그리고 모든 자음은 1/4 박자로 표시한다.
이러한 리듬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및 대응되는 자국어 음소는 글자 폰트크기, 색상, 특정 형상, 폰트의 나열 등의 다양한 변화로 나머지 음소들과 구분되게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리듬분석에 의한 4가지 박자(강세, 한 박자, 1/2박자, 1/4박자) 형태로 표현하며, 음소 표기는 폰트 크기(강세-32폰트, 한 박자-28폰트, 1/2박자-18폰트, 1/4박자-10.5폰트 또는 변화 식별이 가능한 일정 비율의 폰트사이즈)와 색상조정, 특정 형태의 모양, 폰트의 나열 등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student'의 경우 자음 s음소는 10.5폰트, 1강세가 오는 자음 t음소와 모음 u음소의 "tu" 및 "투"는 32폰트, 1음절 이상에서 두번째 오는 모음부분인 자음 d음소와 모음 e음소 및 자음 n음소의 "den" 및 "든"은 18폰트, 자음 t음소는 10.5폰트로 표기한다.
한편, 외국어의 강세가 반영된 자국어 음절에 대한 리듬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내용어 명사에 제1 강세가 있는 경우와 본동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부정축약, 부정어, 예를들어 never, not, no 등의 내용어에 강세가 있는 경우, 강박자로 표시된다.
2) 또한,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부정축약, 부정어, 예를들어 never, not, no 등의 내용어에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한 박자로 표시된다.
3) 전치사, 접속사,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관사, 조동사, 한정사의 기능어에 강세가 있는 경우에는 1/2 박자로 표시된다.
4) 전치사, 접속사,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관사, 조동사, 한정사의 기능어에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1/4 박자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외국어 문장의 각 단어는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고 이에 매칭되어 대응되는 자국어 표현 역시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되 기타 나머지 음소는 외국어로 혼용표기함으로써, 외국어와 자국어의 리듬규칙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하고 손 동작이나 발 동작으로 익힐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의 구성은, 외국어 또는 그에 매칭되어 대응하는 자국어를 표시할 때,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를 나타내거나 문장을 이룰때에는 품사별 분석을 통하여 기능어와 핵심어로 나누어 다르게 표시한다. 즉,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와 같은 핵심어와 대명사, 전치사, 조동사, Be동사, 한정사, 접속사와 같은 기능어는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강세를 표현하는 이미지 표기는 외국어와 매칭되게 생성된 자국어의 음절부위를 기준하여 제1 강세가 오는 부분, 제2 강세가 오는 부분, 강세가 없는 부분에 각각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하여 손, 손뼉, 한발 또는 두발, 기타 다른 신체부위나 동작, 도구 이미지를 배치시켜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를 단순히 입으로써만이 아닌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언어습득을 할 수 있고 장기기억에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교재는 다양한 전자매체와 함께 그 보조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예시된 실시예들에 표기된 이미지와 문자 및 설명된 방법은 알고리즘의 형태로 다양한 전자매체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국어로 한국어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어를 제1 외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모든 국가의 모든언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발음규칙부
200:문장표현부
210: 외국어 표현부
220: 자국어 표현부
230: 동작이미지 표현부
240: 해석부

Claims (13)

  1. 외국어 학습교재에 있어서,
    외국어 발음을 입 모양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과 혀 위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발음으로 나누어 표시한 발음규칙부(100); 및
    상기 발음규칙부(100)의 발음규칙과 기 설정된 리듬규칙에 따라 외국어 및 자국어에 리듬 이미지를 표시한 문장표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음규칙부(100)는,
    상기 외국어 발음을 입 모양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M1 내지 M8와,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 모양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M1 내지 M8는,
    발음 'a'에 해당하는 M1(Mouth 1)와; 'i', 'e'에 해당하는 M2(Mouth 2)와; 'I', '
    Figure pat00012
    ', '
    Figure pat00013
    '해당하는 M3(Mouth 3)와; 'u'에 해당하는 M4(Mouth 4)와; 'o', '
    Figure pat00014
    '에 해당하는 M5(Mouth 5)와; 발음 'b', 'p', 'm'에 해당하는 M6(Mouth 6)와; 'f', 'v'에 해당하는 M7(Mouth 7)와; 's', 'z'에 해당하는 M8(Mouth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혀 위치 타입에 해당하는 8개의 T1 내지 T8은,
    발음 'a', 'o', 'u', '
    Figure pat00015
    ', 'I'에 대한 기본 위치인 하단(Below) T1(Tongue 1); 's', 'z'에 대한 하단(Below) 아랫니 뒷부분인 T2(Tongue 2); 'r'에 대해서 입 상단(Upper) 윗 어금니 끝인 T3(Tongue 3); 'i', 'e', '
    Figure pat00016
    '에 대한 상단(Upper) 윗니 중간인 T4(Tongue 4); 'θ', 'ð'에 대한 전방(Front) 윗니 앞부분인 T5(Tongue 5); 'l'에 대한 상단(Upper) 윗니 뒷부분인 T6(Tongue 6); 'd', 't', 'n'에 대한 상단(Upper) 경구개(Hard Palete) 앞인 T7(Tongue 7); ‘k’, ‘g’, ‘ŋ’에 대한 상단(Upper) 연구개(Soft Palete) 뒤인 T8(Tongue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가 배치되는 외국어 표현부(210);
    자국어, 또는 자국어와 외국어가 혼용되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자국어 표현부(220); 및
    상기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상기 자국어 표현부(220)에 배치된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의 자국어 의미를 기재하는 해석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외국어 문장을 이루는 각 단어가 배치되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현되는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자국어, 또는 자국어와 외국어가 혼용되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현되는 자국어 표현부(2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문장표현부(200)는,
    상기 외국어 표현부(210) 또는 상기 자국어 표현부(220)에 배치된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 표현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9. 외국어 학습교재에 있어서,
    외국어 또는 자국어가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가 표시된 문장표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문장표현은,
    상기 외국어 또는 상기 자국어 문장의 강세에 따른 리듬 이미지에 대응하여 매칭되도록 배치되는 동작이미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 이미지는,
    글자폰트 크기 차이, 색상 차이, 글자의 굵기 차이, 특정한 형태의 모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12.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이미지는, 손 동작, 발 동작, 몸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동작이미지 중 손 동작은 손뼉치기이며, 강한 손뼉과 약한 손뼉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이미지 중 발 동작은 발구르기이며, 두발구르기와 한발구르기 표시로 강세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교재.
KR1020150165310A 2015-11-11 2015-11-25 외국어 학습교재 KR102006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2741 WO2017082447A1 (ko) 2015-11-11 2015-11-25 외국어 독음 및 표시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리듬 동작 감지 센서 기반의 운동학습장치와 운동학습방법, 이를 기록한 전자매체 및 학습교재
US15/774,086 US10978045B2 (en) 2015-11-11 2015-11-25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KR1020150165310A KR102006758B1 (ko) 2015-11-25 2015-11-25 외국어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10A KR102006758B1 (ko) 2015-11-25 2015-11-25 외국어 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59A true KR20170060759A (ko) 2017-06-02
KR102006758B1 KR102006758B1 (ko) 2019-08-02

Family

ID=5922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10A KR102006758B1 (ko) 2015-11-11 2015-11-25 외국어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396A1 (ko) * 2017-12-29 2019-07-04 정희정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77B1 (ko) * 2019-09-30 2021-03-09 이은성 아동학습용 한글 교육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59A (ko)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운변이 규칙을 이용한 외래어 음차표기 자동 확장 방법및 그 장치
KR20080087541A (ko) * 2007-03-27 2008-10-01 이정균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
KR20110039747A (ko) * 2009-10-12 2011-04-20 김승호 외국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40071070A (ko) * 2012-12-03 2014-06-11 교육도시 주식회사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20140078810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50024295A (ko) * 2014-10-28 2015-03-06 주식회사 셀리이노베이션스 발음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59A (ko)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운변이 규칙을 이용한 외래어 음차표기 자동 확장 방법및 그 장치
KR20080087541A (ko) * 2007-03-27 2008-10-01 이정균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
KR20110039747A (ko) * 2009-10-12 2011-04-20 김승호 외국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40071070A (ko) * 2012-12-03 2014-06-11 교육도시 주식회사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20140078810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50024295A (ko) * 2014-10-28 2015-03-06 주식회사 셀리이노베이션스 발음 교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396A1 (ko) * 2017-12-29 2019-07-04 정희정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KR20190081240A (ko) * 2017-12-29 2019-07-09 정희정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758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vis Intelligibility, oral communication, and the teaching of pronunciation
Grant Prologue to the myths: What teachers need to know
KR101990021B1 (ko)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US10978045B2 (en)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Black Learn to Read New Testament Greek
Piske Phonetic awareness, phonetic sensitivity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er
Sharma Significance of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Features of English
KR102006758B1 (ko) 외국어 학습교재
Don The CEFR and the production of spoken English: A challenge for teachers
Yilmaz The awareness of phonetics in ELT
Liu Teaching Chinese pronunciation: Explanation, expectation, and implementation
KR100780531B1 (ko) 구화 교육용 게임 시스템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Riyahifar Unmask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Pronunciation: Critical Period or Sensitive Period
Ode Field notes from a phonetician on Tundra Yukaghir orthography
AU2022228148B2 (en) Method and system
Awramiuk et al. Sound form signalization in L1 Polish, Czech and Slovak textbooks: In search of best practices
KR101669408B1 (ko) 외국어 독음 장치 및 그 방법
AlJuhani Arab ESL Phonological Acquisition and the Role of Orthography
Heck Adapting Modern Latin Instruction: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to Ancient and Modern Latin Learners
Fiktorius Phonetics transcrip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Faraj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ctivities in Pronouncing the English Vowel Schwa by EFL College Level Students
Aoki Effective Use of Text-to-Speech Technology for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Hussein Practical mechanisms for teaching perception and pronunciation of problematic consonants in Standard Arabic
Grant Pronunciationforteachers. com Suprasegmentals: An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