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240A -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240A
KR20190081240A KR1020170183627A KR20170183627A KR20190081240A KR 20190081240 A KR20190081240 A KR 20190081240A KR 1020170183627 A KR1020170183627 A KR 1020170183627A KR 20170183627 A KR20170183627 A KR 20170183627A KR 20190081240 A KR20190081240 A KR 2019008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content
melody
generating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502B1 (ko
Inventor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정 filed Critical 정희정
Priority to KR102017018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02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34 priority patent/WO2019132396A1/ko
Publication of KR2019008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어민의 억양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 장치가 수행하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GENERATING METHOD FOR FOREIGN LANGUAGE STUDY CONTENT AND APPARATU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어민의 억양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외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는 나이, 직업, 성별을 불문하고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우리나라의 외국어 학습은 단순 암기식의 주입식 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습에 투자하는 비용에 대비하여 실질적인 어학능력의 향상은 부진한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어를 원어민과 같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학습 콘텐츠가 필요하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4062호에서는 '게임을 즐기면서도 효율적으로 외국어단어 암기학습이 가능하도록 기존 모든 게임의 헌팅주체 및 헌팅대상의 이미지상 또는 일측에 단어제시창 및 단어대응창이 구현되게 하는 구성'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국어에 대한 노출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이때의 노출은 텍스트에 한정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원어민의 억양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외국어에 대한 노출 시간을 늘려 학습자가 외국어를 모국어와 같이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어에 대한 암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라는 특성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속도, 가창 실력 등에 따라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 장치가 수행하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이때 콘텐츠 생성 방법은,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이때 콘텐츠 생성 방법은,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고,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원어민의 억양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외국어에 대한 노출 시간을 자연스럽게 늘려 학습자가 외국어를 모국어와 같이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어에 대한 암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멜로디가 부가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라는 특성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속도, 가창 실력 등에 따라 콘텐츠를 변환하게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은 일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학습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학습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타서버에 접속하거나 타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학습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3의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생성 장치(10)가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입출력부(11), 저장부(12), 통신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부(11)는 학습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연산의 수행 결과, 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는 학습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또는 헤드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출력부(11)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에는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2)는 콘텐츠 생성을 위해 수집된 텍스트, 음향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외국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콘텐츠 생성 방법의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저장 및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가 지원하는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는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목적지에 데이터 또는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통신부(13)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텍스트, 음향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외국어 데이터를 타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는 통신부(13)가 수신한 외국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는 콘텐츠 생성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콘텐츠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고,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저장부(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부(12)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외국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외국어에 멜로디를 결합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생성 장치(10)가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의 기초가 되는 외국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는 저장부(12) 또는 타서버에 저장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위한 외국어 데이터에서 일부 외국어를 추출하거나 통신부(13)를 통해 타서버에 접속하여 외국어가 포함된 텍스트, 외국어가 포함된 음향 데이터, 외국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 어학 사전 등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외국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외국어와 함께 외국어에 대응하는 한국어를 수집할 수 있다. 가령 'love'라는 외국어가 수집되면, 제어부(14)는 'love'에 대응하는 한국어인 '사랑'을 수집하고, 'love'와 '사랑'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외국어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외국어를 소단위로 분절할 수 있다. 가령, 수집된 외국어가 단어를 포함하면 음절단위로 분절할 수 있고, 수집된 외국어가 문장을 포함하면 단어단위로 분절할 수 있다. 이때, 문장에서 분절된 단어를 다시 음절단위로 분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ove'라는 단어는 '러(lo)'와 '브(ve)'라는 2음절로 분절할 수 있으며, 'I love you'라는 문장은 'I', 'love', 'you'라는 세 단어로 분절할 수 있다. 이때, 문장에 포함된 단어 중 'love'를 '러(lo)'와 '브(ve)'라는 2음절로 분절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단어에 포함된 자음을 기준으로 음절단위의 분절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식 문자 판독기)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경하여 획득한 독음을 분석하거나 음향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파싱함으로써 획득한 독음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어학 사전에 포함된 것으로서 텍스트 또는 음향 데이터로 이루어진 독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독음을 분석할 수 있다.
언어를 구사할 때는 억양에 따라 독음의 높낮이가 변화하게 되며, 언어마다 상이한 특성의 억양을 갖고 있어 외국어를 보다 자연스럽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외국어의 억양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언어 학습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제어부(14)는 외국어를 구사할 때의 언어의 높낮이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외국어를 소단위로 분절하고,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한 단어 안에서 음절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분석함으로써 단어를 읽거나 말하는 동안의 음성의 높낮이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문장 안에서 단어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분석함으로써 문장을 읽거나 말하는 동안의 음성의 높낮이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문장 안의 단어를 음절로 분절한 후, 문장 안의 음절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분석함으로써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의 길이에 의해서도 언어의 자연스러움이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상대적인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상술한 분석에 기초하여 수집한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기 위하여, 외국어와 매칭할 '음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개수에 대응되는 '음계'를 수집된 외국어와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의 상대적인 높낮이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계'를 수집된 외국어와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음계'는 하나 이상의 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파트에 포함된 음이 다른 파트에 포함된 음과 화음을 이룰 수 있도록 화성학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파트에 포함된 음은 다른 파트에 포함된 음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높낮이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음계'는 완전4도에 기초한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음계의 두 개의 파트 중 낮은 음을 포함하는 저음 파트는 '도', '레', '미' 및 '파' 네 개의 음을 포함하며, 높은 음을 포함하는 고음 파트는 '파', '솔', '라' 및 '시#' 네 개의 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음계'는 장3화음에 기초한 세 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음계의 세 파트 중 저음 파트는 '도', '레' 및 '미' 세 개의 음을 포함하고, 중음 파트는 '미', '파' 및 '솔#' 세 개의 음을 포함하며, 고음 파트는 '솔#', '라' 및 '시#' 세 개의 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음계'는 증2도에 기초한 4개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음계의 네 파트 중 저음 파트는 '도' 및 '레#' 두 개의 음을, 중저음 파트는 '레#' 및 '솔' 두 개의 음을, 중고음 파트는 '솔' 및 '라#' 두 개의 음을, 고음 파트는 '라#' 및 '도' 두 개의 음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파트를 포함하는 음계를, 수집된 외국어와 매칭할 수 있다. 가령, 'love'와 같이 2음절로 분절되는 단어 또는 'Thank you'와 같이 2 단어로 분절되는 문장은 두 개의 파트를 갖는 제1음계와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독음의 상대적인 높낮이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파트를 포함하는 음계를 수집된 외국어와 매칭할 수 있다. 가령, 'love'와 같이 고음('러')과 저음('브') 두 개의 높낮이를 갖는 단어 또는 'Thank you'와 같이 고음('땡'), 저음('큐') 두 개의 높낮이를 갖는 문장은 두 개의 파트를 갖는 제1음계와 매칭할 수 있다. 또한, 'Alligator'와 같이 고음('앨리'), 중음('게이'), 저음('러') 세 개의 높낮이를 갖는 단어 또는 'I love you'와 같이 중음('아이'), 고음('러브'), 저음('유') 세 개의 높낮이를 갖는 문장은 세 개의 파트를 갖는 제2음계와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매칭된 음계에서, 독음의 높낮이에 대응하는 파트에 포함된 음을 선정하여 독음 각각과 매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 1]을 참고하면, 제어부(14)는, 제1음계와 매칭된 'love'에서 '러'는 '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음이므로 제1음계의 고음 파트(파, 솔, 라, 시#) 중 어느 한 음을 선정하여 '러'와 매칭하고, '브'는 상대적으로 저음이므로 제1음계의 저음 파트(도, 레, 미, 파) 중 어느 한 음을 선정하여 '브'와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각 파트에서 선정된 음이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집된
외국어
분절된 소단위: 2음절
(제1음계와 매칭)
상대적인 높낮이 매칭된 음계(제1음계) 중 매칭되는 음
Love 고음 파, 솔, 라, 시# 중 선정
저음 도, 레, 미, 파 중 선정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각각에 매칭된 음에 기초하여 외국어의 독음에 멜로디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는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각각에 선택된 음을 적용함으로써 외국어의 독음에 멜로디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독음 각각에 대하여 분석된 길이로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외국어의 독음에 멜로디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멜로디가 부여된 외국어 독음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한국어 독음과 멜로디가 부여된 외국어가 차례로 출력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love'에 매칭되는 한국어 '사랑'과 멜로디가 부여된 'love'가 차례로 출력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학습자의 연령, 외국어 능력 수준 등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연령, 외국어 능력 수준에 기초하여 외국어의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연령이 어리거나 외국어 능력 수준이 낮을 수록 같은 단어나 같은 문장이 더 여러 차례 반복되도록 설정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지역을 입력 받고, 입력된 지역에 대응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수집한 언어가 영어일 때,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지역, 예를 들어,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그 지역에 맞는 억양을 반영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학습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멜로디의 음정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학습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음정을 높게 또는 낮게 변환하거나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식의 학습 속도 또는 가창 실력에 따라 효과적인 음정 및 속도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제공한 외국어 학습 콘텐츠에 대한 퀴즈 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특정 외국어, 특정 단어 또는 특정 카테고리의 단어 등으로 카테고라이징된 퀴즈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국어 학습 콘텐츠가 특정 외국어, 특정 단어 또는 특정 카테고리의 단어를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된 정도, 즉, 학습 능률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평가된 학습 능률에 기초하여 학습자에 대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는 퀴즈의 결과에 기초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의 난이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판단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연령, 외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적합한 난이도의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선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는 수집된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되, 수집된 외국어에 대응하는 영상을 결합하여 음향과 영상이 출력되는 시청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외국어 'crow(까마귀)'가 수집되면, 제어부(14)는 수집된 외국어 'crow'에 멜로디를 부여하고, 'crow'에 대응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시청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결합된 영상에서 'crow'에 대응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어 'crow'에 멜로디가 부여된 음향과 까마귀가 등장하는 영상이 결합된 경우, 제어부(14)는 'crow'의 음향이 출력될 때, 영상 상에서 'crow'에 대응하는 까마귀 이미지를 검출하여 점멸 표시함으로써 음향 출력되는 외국어 'crow'가 지시하는 대상이 까마귀임을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영상 상에서 'crow'에 대응하는 까마귀 이미지에 근접하게 'crow'의 영자 스펠링을 삽입함으로써 외국어 'crow'가 지시하는 대상이 까마귀임을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crow'의 음향이 출력될 때, 영상 상에 삽입된 스펠링 'crow'를 점멸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자료로서, 텍스트, 음향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을 수집할 때, 하나의 스토리를 담고 있는 텍스트 또는 음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가령, '까마귀는 crow crow 나무에 앉아있네, 밤 하늘의 아름다운 별 한 가득, 부엉이는 owl owl 나무에 앉아 있네, 밤 하늘의 아름다운 별 한 가득'이라는 텍스트 또는 음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관련한 영상으로서 나무 위에 까마귀, 부엉이, 고양이 등이 앉아 있는 모습이 표현된 동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상기 텍스트 또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서 외국어 'crow' 및 'owl'을 추출하여 학습하고, 동영상에서 외국어에 대응되는 이미지, 즉, 까마귀와 부엉이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텍스트에 기반하여 생성된 음향 데이터 또는 수집한 음향 데이터와 영상을 결합하고, 음향 데이터 출력 시 'crow' 또는 'owl'이 출력되면, 영상에서 검출된 까마귀와 부엉이 이미지를 점멸 표시하거나 까마귀 또는 부엉이 이미지에 근접한 위치에 'crow' 또는 'owl'의 영문자 스펠링을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는 콘텐츠 생성 장치(10)가 수행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은 도 1과 관련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과 관련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생성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외국어를 수집하고(S21),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여(S22),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23).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외국어를 수집함에 있어서(S21), 외국어와 함께 외국어에 대응하는 한국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외국어를 분석함에 있어서(S22), 외국어를 소단위로 분절하고(S31), 분절된 소단위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판단할 수 있다(S32). 이때,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외국어가 단어를 포함하면 음절단위로, 외국어가 문장을 포함하면 단어단위로 분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상대적인 높낮이와 함께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S23), 판단된 상대적인 높낮이의 개수에 대응하는 음계를 외국어와 매칭하고(S41), 매칭된 음계에서,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높낮이에 대응하는 파트에 포함된 음을 선정하여 소단위의 독음 각각과 매칭할 수 있다(S42). 또한,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매칭된 음에 기초하여 생성된 멜로디를 외국어의 독음에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43).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S43에서, 매칭된 음과 함께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길이에 기초하여 멜로디를 생성하고, 생성된 멜로디를 외국어의 독음에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음계는 완전 4도에 기초한 2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1음계와, 장3화음에 기초한 3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2음계와, 증2도에 기초한 4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3음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S23), 한국어 독음과, 멜로디가 부여된 외국어를 차례로 출력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고하면,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생성된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1). 또한,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학습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멜로디의 음정 및 속도를 변환할 수 있다(S52).
한편, 콘텐츠 생성 장치(10)는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S23), 수집된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되, 멜로디를 부여하여 생성된 음향 데이터와 수집된 외국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생성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 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콘텐츠 생성 장치 11: 입출력부
12: 저장부 13: 통신부
14: 제어부

Claims (12)

  1. 외국어 학습 장치가 수행하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외국어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를 소단위로 분절하는 단계; 및
    분절된 상기 소단위의 독음 간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가 단어를 포함하면 상기 단어를 음절단위로 분절하며, 상기 외국어가 문장을 포함하면 상기 문장을 단어단위로 분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판단된 상기 상대적인 높낮이의 개수에 대응하는 음계를 상기 외국어와 매칭하는 단계;
    매칭된 상기 음계에 포함된 파트 중, 상기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높낮이에 대응하는 파트에 포함된 음을 선정하여 상기 소단위의 독음 각각과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음에 기초하여 생성된 멜로디를 상기 외국어의 독음에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계는,
    완전 4도에 기초한 2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1음계와, 장3화음에 기초한 3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2음계와, 증2도에 기초한 4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제3음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단위의 독음 각각의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된 음에 기초하여 생성된 멜로디를 상기 외국어의 독음에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음 및 상기 판단된 길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멜로디를 상기 외국어의 독음에 부여하여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와 함께 상기 외국어에 대응하는 한국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한국어 독음과, 멜로디가 부여된 상기 외국어를 차례로 출력하는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멜로디의 음정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생성한 음향 데이터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생성 방법.
  10.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콘텐츠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수집된 외국어를 분석하고, 상기 외국어에 멜로디를 부여하여 외국어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생성 장치.
KR1020170183627A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KR10204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27A KR102048502B1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PCT/KR2018/016234 WO2019132396A1 (ko) 2017-12-29 2018-12-19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27A KR102048502B1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240A true KR20190081240A (ko) 2019-07-09
KR102048502B1 KR102048502B1 (ko) 2019-11-26

Family

ID=6706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627A KR102048502B1 (ko) 2017-12-29 2017-12-29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502B1 (ko)
WO (1) WO201913239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45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톡톡채널 그래픽 캡션을 이용한 운율중심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70059253A (ko) * 2005-12-06 2007-06-12 최종민 언어를 상징적 선율로 변환시키는 방법
KR20140079245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1460447B1 (ko) * 2013-07-25 2014-11-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어 학습을 위한 억양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70060759A (ko)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엠글리쉬 외국어 학습교재
KR20170120234A (ko) * 2016-04-20 2017-10-31 김혜정 영어 단어의 음절과 연동된 악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45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톡톡채널 그래픽 캡션을 이용한 운율중심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70059253A (ko) * 2005-12-06 2007-06-12 최종민 언어를 상징적 선율로 변환시키는 방법
KR20140079245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1460447B1 (ko) * 2013-07-25 2014-11-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어 학습을 위한 억양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70060759A (ko)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엠글리쉬 외국어 학습교재
KR20170120234A (ko) * 2016-04-20 2017-10-31 김혜정 영어 단어의 음절과 연동된 악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02B1 (ko) 2019-11-26
WO2019132396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0717B (zh) 基于语音后验概率的多对一语音转换方法
US10891928B2 (en) Automatic song generation
CN106688034B (zh) 具有情感内容的文字至语音转换
RU2632424C2 (ru) Способ и сервер для синтеза речи по тексту
CN113892135A (zh) 多语言语音合成和跨语言话音克隆
US11120785B2 (en) Voice synthesis device
Fort et al. Seeing the initial articulatory gestures of a word triggers lexical access
US9613616B2 (en) Synthesizing an aggregate voice
CN111161695B (zh) 歌曲生成方法和装置
US2018034164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decodability index for one or more words
Shih et al. Effects of talker-to-listener distance on tone
CN111079423A (zh) 一种听写报读音频的生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Baird et al. Perception of paralinguistic traits in synthesized voices
US118938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obanu et al.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technologies in the translation workflow
Voete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doption of sound change
US10079028B2 (en) Sound enhancement through reverberation matching
CN113314096A (zh) 语音合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048502B1 (ko) 외국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생성 장치
Kawahara Durational compensation within a CV mora in spontaneous Japanese: Evidence from the Corpus of Spontaneous Japanese
Pérez-Ramón et al. Generating iso-accented stimuli for second language research: Methodology and a dataset for Spanish-accented English
US111824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version of content based on user preferences
Leung et al. Production-perception relationship of Mandarin tones as revealed by critical perceptual cues
Davidson Perception of relative pitch of sentence-length utterances
KR102526391B1 (ko) 분배모델을 기반으로 통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