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417A -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417A
KR20170060417A KR1020150164844A KR20150164844A KR20170060417A KR 20170060417 A KR20170060417 A KR 20170060417A KR 1020150164844 A KR1020150164844 A KR 1020150164844A KR 20150164844 A KR20150164844 A KR 20150164844A KR 20170060417 A KR20170060417 A KR 2017006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hollow tube
camera
point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516B1 (ko
Inventor
김병철
곽필재
강재모
최창호
김진영
박상혁
박기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관 내면(10)의 촬영을 위한 중공관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 구축장비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중공관 내면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Photograph Apparatus for Tube Hollow}
본 발명은 하수관 등과 같은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내면을 촬영하기 위한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경우 시공 및 설계를 위하 내면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수관거의 경우 유지관리를 위해 크랙 발생 여부 등을 확인 요구된다.
이와 같은 내면 상태 체크는 내면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중공관의 내면 촬영은 카메라를 360도 회전하여 촬영하거나 360도를 촬영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카메라를 360도 회전하여 쵤영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촬영 범위가 일정하지 않아 균일한 품질의 내면 사진의 촬영이 어려운 뿐더러 촬영에 필요한 시간이 긴 단점이 있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360도를 촬영할 수 있는 특수 장비의 경우 고가의 장비의 구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360도를 촬영한 영상의 편집 기술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중공관 내면 촬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 구축장비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중공관 내면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선형레이저를 이용하는 경우 선형 레이저를 직선화하는 것만으로 카메라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중공관의 곡률을 갖는 피사체와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점 제공함에 있다.
카메라에 촬영된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에 표시된 위치와 카메라의 거리를 산정할 수 있으므로 관내 장치의 상대거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공관 내면 촬영영상을 일체화하기 위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개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정밀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는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관 내면(10)의 촬영을 위한 중공관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중복구간(3)에 포인터를 형성하는 포인터 형성부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상기 중복구간(3)에 2 이상의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에 의해 상기 내면(10)의 전부가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일 수 있다.
또한, 중공관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및 복수의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가 설치되는 본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레이저 포인터이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관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상기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하며, 상기 중복구간(3)에 포인터(4)를 형성하는 포인터 형성부재(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을 촬영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중복구간(3)에 형성된 상기 포인터(4)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연결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에 의해 상기 내면(10)의 전부가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중공관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및 복수의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가 설치되는 본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레이저 포인터이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00); 상기 영상저장부(400)에 저장된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 구축장비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중공관 내면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관 내면 촬영영상을 일체화하기 위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개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정밀하게 일체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찰영장치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찰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중공관 내부의 사진을 복수의 포인터를 기준으로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찰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된 중공관 내부의 사진을 선형의 포인터를 기준으로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의 구성 및 중공관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는 기본적으로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한다. 카메라(100)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촬영범위, 카메라(100)의 촬영각도 및 대상에 따라 카메라(100)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중공관 촬영장치의 촬영대상은 곡률을 가지는 관형 구조물의 내면이다. 즉, 중공을 갖는 구조물을 중공 내면(10)을 그 촬영의 대상으로 한다. 중공의 내면(10)은 하나의 카메라도 촬영할 수 없으므로 중공 내면(10)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00)를 사용하여 동시에 촬영한다.
이 경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는 중복구간(3)에 포인터를 형성하는 포인터 형성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복구간(3)에 형성된 포인터는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및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에 모두 표현되므로, 각 영상을 연결함에 있어 중복구간(3)에 표현된 포인터가 연결 단서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과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을 연결함에 있어, 각 영상의 중공구간(3)에 표현된 포인터가 겹쳐지도록 위치시키고 연결(파노라마 연결)하여 영상 연결 이미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각 영상의 연결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중복구간(3)에 2 이상의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이에 더하여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중복구간(2)에 선형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중복구간에 존재하는 연결 지점의 경계가 선형으로 표시될 수 있어 더욱 정교한 연결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는 중공관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카메라(100) 및 복수의 포인터 형성부재(200)가 설치되는 본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100)로부터 각 촬영구간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300)는 중공관의 심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레이저 포인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포인터는 복수의 카메라(100) 사이마다 설치되어 중복구간(3)에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카메라 및 레이져 포인터만으로 중공관의 내면을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360 촬영 장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중복구간(3)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100)가 촬영한 각 이미지를 정밀하게 파노라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중공관의 내면 촬영을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관나 촬영장치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방법은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제1 촬영구간(1)과 제2 촬영구간(2)을 촬영하는 제1 단계(S100) 및 중복구간(3)에 형성된 포인터(4)를 이용하여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연결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공관 촬영장치는 복수의 카메라(100)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00), 영상저장부(400)에 저장된 촬영영상을 수집하여 이를 파노라마 연결하는 제어부(500) 및 제어부(500)에 의해 연결된 촬영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카메라
200 : 포인터 형성부재
300 : 본체
400 : 영상저장부
500 : 제어부
600 : 모니터링부

Claims (11)

  1. 중공관 내면(10)의 촬영을 위한 중공관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구간(3)에 포인터를 형성하는 포인터 형성부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상기 중복구간(3)에 2 이상의 포인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에 의해 상기 내면(10)의 전부가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중공관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및 복수의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가 설치되는 본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레이저 포인터이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 촬영장치.

  7. 중공관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상기 내면(10) 중 일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 및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제2 촬영구간(2)은 일부 중복되어 중복구간(3)을 형성하며,
    상기 중복구간(3)에 포인터(4)를 형성하는 포인터 형성부재(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영구간(1)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을 촬영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중복구간(3)에 형성된 상기 포인터(4)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연결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110) 및 상기 제2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1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에 의해 상기 내면(10)의 전부가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중공관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및 복수의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가 설치되는 본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형성부재(200)는 레이저 포인터이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0) 사이마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촬영장치는,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400);
    상기 영상저장부(400)에 저장된 상기 제1 촬영구간(1)에 대한 촬영영상과 상기 제2 촬영구간(2)에 대한 촬영영상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KR1020150164844A 2015-11-24 2015-11-24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KR10178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44A KR101782516B1 (ko) 2015-11-24 2015-11-24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44A KR101782516B1 (ko) 2015-11-24 2015-11-24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17A true KR20170060417A (ko) 2017-06-01
KR101782516B1 KR101782516B1 (ko) 2017-09-27

Family

ID=5922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44A KR101782516B1 (ko) 2015-11-24 2015-11-24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66B1 (ko) * 2019-11-29 2021-03-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집관로 건전성 조사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1923B2 (ja) * 2013-02-22 2017-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メラ撮影装置およびマルチカメラ撮影方法
KR101471927B1 (ko) 2013-09-13 2014-12-11 우석 계 멀티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와 그 방법
KR101652753B1 (ko) 2015-09-11 2016-09-01 주식회사 마이다스아이티 3차원 파노라마 가상현실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66B1 (ko) * 2019-11-29 2021-03-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집관로 건전성 조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16B1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69583A5 (ja) 校正方法、校正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EP3306908B1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MY185068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611494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9161814A3 (zh) 一种全景成像系统及方法
EP2068280A3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s well as mobile object having the same
TWI587060B (zh) 多鏡頭攝像裝置
JP2016036066A5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複眼撮像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3005214A5 (ko)
CN105719239A (zh) 一种用于图像拼接的方法及装置
TW201701235A (zh) 車用環景系統調校方法
WO2013150830A1 (ja) グレア測定システム
WO2015051282A3 (en) Xslit camera
KR20180137541A (ko) 파노라마 촬영 장치 파라미터를 위한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82516B1 (ko) 포인터를 이용한 중공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중공관을 촬영하는 방법
JP5363878B2 (ja) ステレオ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CN108652653B (zh) 拍摄医学影像的方法、装置、医学影像系统及存储介质
JP2017096654A (ja) 撮影システム
US109124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ndoscope
CN206573465U (zh) 一种环外侧成像装置
KR102127135B1 (ko) 시설물 정밀점검 시스템 및 방법
JP2016090626A (ja) マルチカメラのセンサー回転機構
JP6770828B2 (ja) 顕微鏡
WO2018150086A3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multi-directional image capture apparatuses
JP200528674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