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765A - 다채널 광모듈 - Google Patents

다채널 광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765A
KR20170059765A KR1020150164150A KR20150164150A KR20170059765A KR 20170059765 A KR20170059765 A KR 20170059765A KR 1020150164150 A KR1020150164150 A KR 1020150164150A KR 20150164150 A KR20150164150 A KR 20150164150A KR 20170059765 A KR20170059765 A KR 2017005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tem
filter
optical module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182B1 (ko
Inventor
김정은
강현서
박형준
김거식
류지형
전은경
허영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182B1/ko
Priority to US15/091,032 priority patent/US9759876B2/en
Publication of KR2017005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02B6/29362Serial cascade of filters or filtering operations, e.g. for a large number of chan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comprising a transparent member, e.g. window, protective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 G02B6/4263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of the transisitor outline [TO] ca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5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emiconductor devices activated by light through the light guide, e.g. thyristors, phototransistors
    • H04B10/250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5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elements, e.g. variable wavelength optical modules or wavelength lo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광모듈은,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광 능동소자가 안착되는 스템, 상기 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광 능동소자에 상응하여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학소자를 가지는 광모듈 프레임 및 상기 광모듈 프레임를 내장하고, 상기 스템에 결합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렌즈 및 필터부와 광섬유가 연결되는 광도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광모듈{MULTI-CHANNEL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다채널 광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및 고속 정보통신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다채널 광모듈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복수개 파장의 광신호를 단일 광섬유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 할 수 있는 다채널 광모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가입자의 집 내부에서 광신호를 생성하여 광통신의 기지국으로 보내주는 상향 광통신과 광통신의 기지국에서 전송되어 오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하향 광통신을 한 가닥의 광섬유를 통하여 전송하는 양방향 광통신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광섬유를 통해 하향 전송되어 오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광 수신소자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광 송신소자를 일체화하여 광섬유와 광결합이 되도록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광모듈에 대한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속으로 대용량 정보통신 가능하고,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광결합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양방향 광통신이 가능한 다채널 광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광모듈은,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광 능동소자가 안착되는 스템, 상기 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광 능동소자에 상응하여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학소자를 가지는 광모듈 프레임 및 상기 광모듈 프레임를 내장하고, 상기 스템에 결합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렌즈 및 필터부와 광섬유가 연결되는 광도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모듈 프레임은, 상기 스템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템 외측을 따라 연결되는 연결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모듈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특정한 파장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광필터 및 상기 광필터가 경사지게 안착되는 필터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홀더는 45°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광모듈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에 상응하여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능동소자는,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이오드 및 특정 파장의 광원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 소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상기 특정 파장의 광원을 상기 광섬유로 내보내는 광결합기 및 상기 광섬유에서 들어오는 하나의 광신호를 같은 세기로 나누어 분배하여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보내는 광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능동소자를 보호하고, 상기 스템에 연결되는 스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캡은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사파이어 글라스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광모듈은, 고속으로 대용량 정보통신 및 양방향의 광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내부 구조를 단순화 시켜 광모듈을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단순화 된 광 경로에 의해 복수개 파장의 광신호의 광결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모듈에 적용되는 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모듈에 적용되는 스템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모듈에 적용되는 광모듈 프레임의 연결부 및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광모듈에 적용되는 광모듈 프레임의 필터부 및 광도파로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광신호(18, 도 6 참조)를 송수신하는 광 능동소자(17)를 포함하는 스템(10), 광신호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모듈 프레임(100) 및 이들을 내장하는 외부하우징(150)의 구성이 개시된다.
외부하우징(15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광모듈(200)에 실장되는 구성품 및 광모듈 프레임(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하우징(150) 상부에는 광섬유(160) 인입홀(155) 또는 광섬유(160)과 연결이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160)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18)는 복수개의 파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파장이 송수신 되는 복수개의 채널의 광신호(18)는 하나의 광섬유(160)를 통해 송수신 될 수 있다. 광섬유(160)는 외부하우징(150)의 인입홀(155)을 관통하여 광모듈 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템(10)에는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가 안착될 수 있다. 광 능동소자(17)는 광섬유(160)를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18)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광 수신소자(17a)와 전기신호를 광신호(18)로 바꾸어 광섬유(160)를 통하여 송신하는 광 송신소자(17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10)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의 개수는 채널의 개수를 의미한다.
광모듈 프레임(100)은 외부하우징(15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스템(10)과 연결된다. 특히, 광모듈 프레임(100)은 스템(1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광모듈 프레임(100)에는 채널의 개수에 따라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광 경로를 보다 작은 공간에서 많이 형성하기 위해 광모듈 프레임(100)의 양측에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모듈 프레임(100)은 광섬유(160)와 연결되고, 광섬유(160)로부터 광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모듈에 적용되는 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템(10)에는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가 안착될 수 있다. 광모듈(200)의 스템(10)은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스템(10)은 TO-스템(transistor outline stem) 또는 flat-타입의 스템 일 수 있다.
스템(10)의 외측에는 단이 형성될 수 있다. 스템(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은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단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템(10)은 하부에 복수개의 스템핀(12)을 포함한다. 스템핀(12)은 스템(10)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를 통해 스템(1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템(1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템핀(12)은 스템(10) 상면에 배치된 광 능동소자(17) 및 기타 전기적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미 있는 값을 갖는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핀(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템(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가 안착될 수 있다. 스템(10) 에는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가 2열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광 능동소자(17)는 광 수신소자(17a), 광 송신소자(17b) 또는 광 수신소자(17a) 및 광 송신소자(17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광 능동소자(17)의 위치는 스템(10) 상면에 다양한 경우의 수로 조합될 수 있다.
즉, 광 능동소자(17)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18)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광 능동소자(17)가 총 4개일 경우 채널의 수는 4채널이고, 광 능동소자(17)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채널의 경우의 수는
Figure pat00001
개 이다. 다른 예로, 광 능동소자(17)가 총 8개일 경우 채널의 수는 8채널이고, 광 능동소자(17)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채널의 경우의 수는
Figure pat00002
개가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광 능동소자(17)로 조합이 가능한 채널구성의 경우의 수는 2의 거듭제곱배로 늘어나므로,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열에는 광 수신소자(17a)가 배열되고, 2열에는 광 송신소자(17b)가 안착된 경우에는 4개의 수신채널과 4개의 송신채널을 갖춘 광모듈(200)을 제작할 수 있다.
2열로 배치된 광 능동소자(17)로 인해, 광모듈 프레임(100)의 양측으로 광 경로를 형성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 경로는 광모듈 프레임(100)의 양측으로 보다 단순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18)는 광섬유(160) 또는 광 능동소자(17)로 전송될 수 있다.
광 수신소자(17a)와 광 송신소자(17b)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서로 섞여 스템(10)상에 혼재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광 수신소자(17a)와 광 송신소자(17b)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광 수신소자(17a)가 광 송신소자(17b) 보다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템(10)에는 열전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상기 스템(1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능동소자(17)에 의해 광모듈(200, 도 1 참조)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각시키거나, 외부환경에 의해 광모듈(20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또는 광모듈(20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템(10)에 TEC(thermoelectric cooler)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광모듈(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광 송신소자(17b)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전류 주입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광원으로서,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일 수 있다.
광 수신소자(17a)는 포토 다이오드일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로 광신호의 감지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모듈에 적용되는 스템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템캡(20)은 스템(1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템캡(20)은 스템(10)의 외측을 따라 연결되어, 스템(10) 내부에 안착된 광 능동소자(17)를 보호 할 수 있다.
스템캡(20)은 윈도우(2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능동소자(17)를 보호하고, 광 능동소자(17)로부터 송수신되는 광신호(18, 도 6 참조)를 투과할 수 있는 윈도우(25)가 설치 될 수 있다.
스템캡(20)과 광모듈 프레임(100) 사이에 윈도우(25)가 위치되고, 윈도우(25)는 사파이어 글래스 또는 유리 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광원의 파장영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사파이어 글래스일 경우, 윈도우(25)에 흠이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광신호(18)의 투과율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광모듈에 적용되는 광모듈 프레임의 연결부 및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광모듈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연결부(36) 및 스템(10)의 외측을 따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링(36a)이 형성될 수 있다.
광모듈 프레임(100)은 렌즈(50) 및 필터부(38) 등이 안착되는 프레임부(30)와 직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36)의 하단에는 연결링(36a)이 형성될 수 있다.
광모듈 프레임(100)의 연결부(36)는 프레임부(30) 하단에서 스템(10, 도 2 참조)에 안착된 광 능동소자(17, 도 2 참조)와 렌즈(50)의 거리에 의해 높이가 정해진다. 즉, 렌즈(50)는 광원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할 고유거리가 정해져 있으므로, 연결부(36)는 광 능동소자(17)로부터 렌즈(50)까지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높이가 정해진다. 연결부(36)는 광모듈 프레임(100)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30)의 양단에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모듈 프레임(100)의 연결링(36a)은 스템(10)의 외측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템(10) 외측에는 복수개의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모듈 프레임(100)의 연결링(36a)은 스템(10) 외측에 형성된 단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템(10)은 스템캡(20, 도 2 참조)이 끼워져 연결되어 있으며, 광모듈 프레임(100)의 연결링(36a)은 스템캡(2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템캡(20)을 내측에 두고 스템(10)의 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템캡(20)은 광모듈 프레임(100)의 프레임부(30)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부(36) 사이에 위치된다.
광모듈 프레임(100)에는 사각형의 렌즈(50)가 결합될 수 있다. 렌즈(50)는 광신호(18, 도 6참조)를 집속할 수 있는 포커싱 렌즈 또는 조준렌즈 일 수 있다.
렌즈는 광모듈 프레임의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함입부(미도시)에 삽입되어 에폭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렌즈(50, 도 6 참조)는 광축 상에 위치된다.
도 5는 도 1의 광모듈에 적용되는 광모듈 프레임의 필터부 및 광도파로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광모듈 프레임(100)의 프레임부(30)는 필터부(38) 및 광도파로 소자(4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38)는 상술한 렌즈(50)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필터부(38)에는 필터(60, 도 6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광 송신소자(17b)로부터 방사되는 광신호(18, 도 6 참조)는 렌즈(50)를 거쳐 필터부(38)에 안착된 광필터(60)를 통해 광도파로 소자(40)로 전송되며, 광도파로 소자(40)을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18)는 필터부(38)에 안착된 광필터(60)로부터 필터링된 파장의 광신호(18)를 렌즈(50)를 통해 광 수신소자(17a)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광필터(60)는 특정한 파장만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킬 수 있는 파장선택형 필터 일 수 있다.
필터부(38)는 경사지게 형성된 필터홀더(38a)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홀더(38a)는 약 45°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홀더(38a)에 안착된 광필터(60)는 광 경로와 45°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홀더(38a)는 광모듈 프레임(100)의 프레임부(30)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30)의 일측 필터홀더(38a)에는 제1 필터(62, 도 6 참조)가 안착될 수 있고, 타측 필터홀더(38a)에는 제2 필터(64, 도 6 참조)가 안착될 수 있다.
제1 필터(62)와 제2 필터(64) 사이에는 광신호(18)가 원활하게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필터홀(38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모듈 프레임(100)에는 개구된 필터홀(38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62)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18)는 제2 필터(64)로 전송 될 수 있다.
필터홀(38b)에는 윈도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홀(38b)에 설치되는 윈도우는 사파이어 글라스 일 수 있다.
필터홀더(38a)에는 복수개의 광필터(60)가 안착될 수 있다. 광필터(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필터홀더(38a)에는 광필터(60) 크기에 맞는 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홀더(38a)는 각각 광필터(60) 사이에 격벽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필터(60)의 안착이 보다 용이해지고, 필터홀더(38a)에 광필터(6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필터홀더(38a) 상측에는 광도파로 소자(40)가 설치될 수 있고, 광도파로 소자(40)은 광섬유(160, 도 1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광도파로 소자(40)는 광결합기 및 광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도파로 소자(40)는 광섬유(160)로부터 전달되는 광신호(18)를 여러 개의 동일한 세기의 광신호로 나누어 분배하거나, 복수개의 광 송신소자(17b)로 전해오는 서로 다른 여러 파장의 광신호(18)를 하나로 통합하여 단일 광섬유(160)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광결합기는 여러 개의 신호를 받아 단일 회선으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분배기는 하나의 광섬유(160, 도 1 참조)로 전송된 광신호(18)를 동일한 세기의 여러 개의 광신호로 나누어 송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복수개의 광필터(60)를 거친 복수개 파장의 광신호(18)는 광도파로 소자(40)의 광결합기를 거쳐 하나의 신호를 광섬유(1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모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광 송신소자(17b)로부터 송신되는 제2 광신호(18b)와 광 수신소자(17a)에서 수신되는 제1 광신호(18a)가 개시된다. 제2 광신호(18b)는 송신되는 광신호(18)을 의미하고, 제1 광신호(18a)는 수신되는 광신호(18)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광 송신소자(17b)는 광신호(18)를 방사할 수 있다. 방사된 광신호(18)인 제2 광신호(18b)는 렌즈(50)에 의해 집속되어 광필터(6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광신호(18b)는 렌즈(50)에 의해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간섭되지 않고 집속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광 송신소자(17b)는 제2 광신호(18b)를 방사할 수 있다. 제2 광신호(18b)는 고유의 파장(
Figure pat00003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광신호(18b)의 고유 파장(
Figure pat00004
)은 제1 필터(6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2 광신호(18b)는 제2 필터(64)에 전송되고, 제2 필터(64)에 의해 재 반사되어 광도파로 소자(4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광 송신소자(17b)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제2 광신호(18b)는 광도파로 소자(40)로 전송되고, 광도파로 소자(40)의 광결합기는 입력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하나의 광신호(18)로 통합하여 광섬유(160, 도 1 참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광 수신소자(17a)는 광신호(18)를 수신할 수 있다. 광섬유(160)로부터 입력된 복수개의 파장이 결합된 광신호(18)는 광도파로 소자(40)의 광분배기를 거쳐 동일한 세기의 여러 제1 광신호(18a)로 분리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제1 광신호(18a)는 제2 필터(64)에 전송되고, 제2 필터(64)의 특성에 따라 파장은 반사되거나 투과된다. 제2 필터(64)를 투과한 제1 광신호(18a)는 광 수신소자(17a)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광필터(60)를 거쳐 특정한 파장을 반사 또는 투과하여 파장별로 광신호(18)을 나눌 수 있다.
광필터(60)는 제2 광신호(18b)의 고유 파장인(
Figure pat00005
)의 경우 반사시키고 제1 광신호(18a)의 고유 파장인 (
Figure pat00006
)은 투과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필터(64)를 투과한 제1 광신호(18a)는 렌즈(50)에 의해 집적되어 광 수신소자(17a)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200: 광모듈 150: 외부하우징
160: 광섬유 155: 인입홀
100: 광모듈 프레임 조립체
10: 스템 12: 스템핀
17: 광 능동소자 17a: 광 수신소자
17b: 광 송신소자 18: 광신호
18a: 제1 광신호 18b: 제2 광신호
20: 스템캡 25: 윈도우
30: 프레임부 36: 연결부
36a: 연결링 38: 필터부
38a: 필터홀 38b: 필터홀
40: 광도파로 소자 50: 렌즈
60: 광필터 62: 제1 필터
64: 제2 필터

Claims (10)

  1.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광 능동소자가 안착되는 스템;
    상기 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광 능동소자에 상응하여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학소자를 가지는 광모듈 프레임; 및
    상기 광모듈 프레임를 내장하고, 상기 스템에 결합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 경로상에 배치되는 렌즈 및 필터부와 광섬유가 연결되는 광도파로 소자를 포함하는 다채널 광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 프레임은,
    상기 스템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템 외측을 따라 연결되는 연결링을 포함하는 다채널 광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모듈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채널 광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특정한 파장을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광필터; 및
    상기 광필터가 경사지게 안착되는 필터홀더를 포함하는 다채널 광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홀더는 45°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채널 광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모듈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에 상응하여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하는 다채널 광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능동소자는,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이오드; 및
    특정 파장의 광원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다채널 광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 소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상기 특정 파장의 광원을 상기 광섬유로 내보내는 광결합기; 및
    상기 광섬유에서 들어오는 하나의 광신호를 같은 세기로 나누어 분배하여 상기 포토 다이오드로 보내는 광분배기를 포함하는 다채널 광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능동소자를 보호하고, 상기 스템에 연결되는 스템캡을 더 포함하는 다채널 광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캡은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사파이어 글라스 또는 유리로 형성되는 다채널 광모듈.
KR1020150164150A 2015-11-23 2015-11-23 다채널 광모듈 KR10250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50A KR102506182B1 (ko) 2015-11-23 2015-11-23 다채널 광모듈
US15/091,032 US9759876B2 (en) 2015-11-23 2016-04-05 Multi-channel optica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50A KR102506182B1 (ko) 2015-11-23 2015-11-23 다채널 광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765A true KR20170059765A (ko) 2017-05-31
KR102506182B1 KR102506182B1 (ko) 2023-03-06

Family

ID=5872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50A KR102506182B1 (ko) 2015-11-23 2015-11-23 다채널 광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9876B2 (ko)
KR (1) KR102506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64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파장 분배방식이 적용된 초소형 다채널 광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185B2 (en) * 2018-08-06 2021-02-1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s and methods of dual-side array bi-directional CWDM micro-optics
JP2024044014A (ja) * 2022-09-20 2024-04-0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Canパッケージ型レーザ光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860A (ko) * 2007-10-22 2009-04-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광 송수신 모듈
JP5439191B2 (ja) * 2007-12-26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送受信モジュール
KR20140033559A (ko) * 2012-08-30 2014-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광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911B2 (ja) * 2002-05-10 2007-06-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KR100480252B1 (ko) 2002-10-10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캡 구조의 양방향 광송수신기 모듈
US20060088255A1 (en) 2004-10-22 2006-04-27 Enboa Wu Multi-wavelength optical transceiver subassembly module
JP2009093101A (ja) * 2007-10-12 2009-04-30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光モジュール
KR100985362B1 (ko) 2008-04-16 2010-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일체형 광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0164818A (ja) 2009-01-16 2010-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一芯双方向光モジュール
EP2312352B1 (en) * 2009-09-07 2018-04-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wavelength optic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KR101144665B1 (ko) * 2010-09-20 2012-05-24 옵티시스 주식회사 파장 분할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
KR101434397B1 (ko) * 2010-11-22 2014-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광 모듈
KR20120056411A (ko) 2010-11-25 2012-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속 광 도파로로 이루어진 광 하이브리드와 광 검출기를 포함한 광 모듈
US20130051024A1 (en) * 2011-08-31 2013-02-28 Moshe Amit Optical Transmitter Assembly, Optical Transceiver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Optical Transmitter Assemblies and Optical Transceivers
US8777497B2 (en) * 2011-10-06 2014-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module
KR101342097B1 (ko) * 2011-10-26 201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광모듈
KR101164377B1 (ko) 2011-10-28 2012-07-09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집적형 두 파장 광 송신 모듈
KR101871799B1 (ko) 2011-11-14 2018-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용 광 모듈
TWI511477B (zh) * 2011-12-07 201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收發裝置
KR102167838B1 (ko) 2013-11-20 2020-10-20 주식회사 포벨 좁은 파장 간격의 양방향 통신용 광모듈 패키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860A (ko) * 2007-10-22 2009-04-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광 송수신 모듈
JP5439191B2 (ja) * 2007-12-26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送受信モジュール
KR20140033559A (ko) * 2012-08-30 2014-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광모듈
KR101721851B1 (ko) * 2012-08-30 2017-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광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64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파장 분배방식이 적용된 초소형 다채널 광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9876B2 (en) 2017-09-12
US20170146755A1 (en) 2017-05-25
KR102506182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879078U (zh) 光模块
CN101652689B (zh) 用于光学三路复用器的准直球透镜
KR20150145124A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및 이의 정렬방법
CN109964158B (zh) 用于多角度光路对准的具有垂直安装结构的光学部件组件和使用其的光学次组件
KR102628638B1 (ko) 멀티 채널 광 커플러
US9755745B2 (en) Device for simultaneous data and power transmission over an optical waveguide
KR101925476B1 (ko)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엔진
US20200328814A1 (en) Optical packaging and designs for optical transceivers
TW201537249A (zh) 混成集成式光學次模組
CN108693607B (zh) 光通信模组及双向光通信模组
KR101896697B1 (ko) 다채널 광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197751B2 (en) Coaxial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TOSA) including ball lens
CN107852244A (zh) 具有长方体型to激光器封装的同轴光发射次模块(tosa)及包括其的光收发器
KR102506182B1 (ko) 다채널 광모듈
US7750289B2 (en) Integrated optical device including an optoelectronic element and a sealing substrate with an optical element having optical power thereon
TWI814267B (zh) 盒型封裝光收發器
TWI785576B (zh) 晶體管外形封裝光收發器
TW202343051A (zh) 蝶型封裝光收發器
CN208110108U (zh) 一种单激光光学组件的组装结构
JP5837329B2 (ja) 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4791651B (zh) 晶体管外形封装光收发器
TWI616076B (zh) 分波多工光收發器
KR101211790B1 (ko) 광 인터페이스용 다중채널 송신기
CN208026909U (zh) 一种适用于wdm的多激光光学组件的组装结构
JP2008090093A (ja) 一心双方向光送受信トランシ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