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30A -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630A
KR20170059630A KR1020150163803A KR20150163803A KR20170059630A KR 20170059630 A KR20170059630 A KR 20170059630A KR 1020150163803 A KR1020150163803 A KR 1020150163803A KR 20150163803 A KR20150163803 A KR 20150163803A KR 20170059630 A KR20170059630 A KR 20170059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in body
support structure
marin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972B1 (ko
Inventor
정민욱
김석태
강금석
이준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6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72B1/ko
Priority to PCT/KR2016/009564 priority patent/WO2017090867A1/ko
Priority to GB1717289.1A priority patent/GB2554246B/en
Priority to DE112016005356.8T priority patent/DE112016005356B4/de
Publication of KR2017005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4Flat foundations in water or on quick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은: 해수를 수용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여 해상 지지구조물의 본체에 설치되고,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중량과 부력이 가변되며, 해저면에 설치 시 본체를 지지하는 기초부와, 기초부를 본체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VARIABLE FOUNDATION STRUCTURE OF OFFSHORE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OFFSHORE SUPPORT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대한 배치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 지지구조물은 해상기상탑, 해상풍력터빈, 해양플랜트, 해양기지 등 해상에 설치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그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로서 크게 해저지반면에 견고히 시공하는 고정식과, 선박과 같이 부상(浮上)하여 있으며 해저지반면에 앵커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부유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정식 해상 지지구조물의 경우 전통적으로 중력식, 모노파일, 자켓, 트라이포드 등의 형태로 설계 및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고정식 지지구조물은 대부분 대형 바지선에 선적하여 현장으로 이송한 다음 대형설치선박 혹은 해상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설치하므로 대형장비가 필수적이며, 고난이도의 설치작업에 수개월에 달하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이송, 설치 공정에 많은 기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깊게 분포되어 있는 암반층까지 파일기초를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기간 및 비용이 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수의 유입에 의해 중량이 가변될 수 있는 부체형 본체의 하부에, 해저면에 설정 깊이로 고정되는 기초부를 일체로 결합시킨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기초부를 구비함으로써, 평탄한 저면부를 가지는 본체를 설치하는 작업에 앞서 해저지반면을 평탄화하고 사석을 제거하는 등의 중장비 투입 작업 및 이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초부의 존재는 그 길이만큼 수심제약을 야기하게 되어, 부유이송을 수행하기 위해 선행되는 항만에서의 진수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정 수심이 확보된 해역까지 바지선을 동원하여 이송한 후 해상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진수해야하는데, 이 경우 종래장치는 대형장비를 투입하지 않는 이점이 사라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초부로 인해 해상 지지구조물의 해수투영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해상 지지구조물에 작용하는 항력이 증가하게 되어 부유이송 시 이러한 항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예인력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부유이송 시 이송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122168호(2013.11.07. 공개, 발명의 명칭: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한 부력용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이송 및 자가설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수심제약과 이송성능의 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은: 해수를 수용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여 해상 지지구조물의 본체에 설치되고,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중량과 부력이 가변되며, 해저면에 설치 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기초부; 및 상기 기초부를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부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기초본체부; 상기 기초본체부의 일측부에 폐쇄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초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의 부유 이송 시에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 시에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저면부와 접하는 본체접속부; 및 상기 기초본체부의 타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초본체부의 하향 회동 시 해수면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기초본체부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부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내부로 해수를 강제 유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조인트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기초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연결부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회동연결부; 및 상기 회동연결부를 상기 고정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속하는 회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초부와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설정각도로 지지하는 기초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결속되는 결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지지장치는, 상기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측부와 상기 기초부, 상기 기초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고정구는, 상기 본체 중 상기 기초연결부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접촉부; 및 상기 기초연결부 중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접촉부와 함께 쐐기 형상을 이루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게 되는 상기 기초부의 일측부 또는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와 상기 기초부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장치는,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은: 해상 지지구조물의 본체에 설치된 기초부의 개방부를 흘수선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시킨 상태로 진수하는 진수단계;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을 목적한 해상 위치로 부유 이송하는 부유이송단계;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이 목적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기초부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단계;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기초부를 하향 회동시키는 기초부가변단계;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기초부를 안착시키는 기초부안착단계; 및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을 침설하는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수단계는, 상기 개방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셋팅단계; 및 상기 기초부를 상기 본체의 측부에 결속하여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구속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부가변단계는,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주입하면서, 상기 기초부를 하향 회동시키는 해수주입단계;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는 기초부수침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부안착단계는,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안착되기까지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는 회동안착단계; 및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안착되면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부력을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의 흘수선을 보다 낮출 수 있고, 해수투영면적의 감소에 의해 해상 지지구조물에 작용하는 항력 감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중수심에 비해 보다 얕은 수심인 항만에서의 진수가 가능해지고, 보다 적은 예인력으로 해상 지지구조물을 목적한 해상 위치로 용이하게 부유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하여 그 중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기초연결부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초부를 본체의 하측으로 하향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기초부의 배치와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기초부를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을 목적한 해상 위치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자가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가 하향 회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진수단계 및 부유이송단계, 구속해제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가변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안착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설치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진수단계 및 부유이송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가변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안착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가변형 기초구조물(3)은 기초부(10), 기초연결부(20), 기초지지장치(30), 완충장치(40)를 포함한다.
기초부(10)는 해수를 수용가능한 수용부(12)를 구비하여 해상 지지구조물(1)의 본체(2)의 측부에 배치된다. 기초부(10)는 본체(2)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예를 들어 본체(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 또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기초부(10)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그 반대측에 개방부(14)가 형성된 컵 형상을 가진다.
기초부(10)는 수용부(12)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그 중량과 부력이 가변된다. 기초부(10)로 유입되는 해수량이 증가할수록 기초부(10)의 중량이 증가된다. 기초부(10)는 해수에 일부분이 잠기거나 완전히 잠기게 되는데, 이때 기초부(10)가 밀어낸 해수의 무게만큼 기초부(10)에 부력이 가변하여 작용하게 된다.
기초부(10)의 중량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기초부(10)에 작용하는 부력을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1)을 보다 용이하게 부유이송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10)의 기초부(10)로 해수를 유입하여 중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편심되게 위치되는 기초연결부(20)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초부(10)를 본체(2)의 측부로부터 이격되게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기초부(10)는 본체(2)의 저면부에 닿을 때까지 그 회동을 지속하게 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反轉)되게 뒤집힌 상태에서 그 상부가 본체(2)의 저면부와 접하면서 그 회동이 중지된다. 기초부(10)는 이와 같이 본체(2)의 저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고정설치되고, 그 상측의 본체(2) 및 본체(2)에 설치되는 해상설비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부(10)는 기초본체부(11), 본체접속부(13), 개방부(14), 펌프(15)를 포함한다.
기초본체부(11)는 본체(2)를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에 수용부(12)가 중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기초본체부(11)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본체접속부(13)는 기초연결부(20), 펌프(15)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반전된 상태에서 본체(2)의 저면부와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기초본체부(11)의 일측부에 폐쇄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접속부(13)는 본체(2)의 저면부에 대응되는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본체접속부(13)는 해상 지지구조물(1)의 부유 이송 시에는 기초본체부(11)의 하부에 위치되고, 해상 지지구조물(1)의 설치 시에는 기초본체부(11)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본체(2)의 저면부와 접하게 된다.
개방부(14)는 기초본체부(1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기초본체부(11)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부분으로, 기초본체부(11)의 타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개방부(14)는 해상 지지구조물(1)의 부유 이송 시에는 기초본체부(11)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초본체부(11)의 하향 회동 시에는 해수면 아래로 이동되면서 기초본체부(11)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가능한 통로를 이루게 된다.
펌프(15)는 기초본체부(11)의 내부로 해수를 강제 유입 또는 배출한다. 펌프(15)는 기초본체부(11) 또는 본체접속부(13)에 설치된다. 개방부(14)가 해수면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접속부(13)는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데(도 19 참조), 펌프(15)를 본체접속부(13)에 설치하면, 기초본체부(11)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기초본체부(11)의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것에 의해 기초부(10)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양방향으로 가동되는 펌프(15)를 이용해 기초본체부(11) 내부의 해수를 기초본체부(11)의 외부로 배출하면서 기초본체부(11)의 회동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기초연결부(20)는 기초부(10)를 본체(2)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기초부(10)는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본체(2)의 측부와 마주하게 되고,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본체(2)의 저면부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기초연결부(20)는 본체(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연결부(20)는 고정연결부(22), 회동연결부(23), 회동축부(24)를 포함하는 핀조인트(21)의 구조를 가진다.
고정연결부(22)는 본체(2)의 측부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동연결부(23)는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상에 형성되되, 기초부(10)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연결부(22)와 회동연결부(23)는 일직선상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회동축부(24)는 회동연결부(23)를 고정연결부(22)에 회전가능하게 결속한다. 회동축부(24)로는 고정연결부(22)와 회동연결부(23)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핀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기초지지장치(30)는 기초부(10)를 설정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 본체(2)의 측부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지지장치(30)는 지지대(31), 결속장치(32), 회동고정구(35)를 포함한다.
지지대(31)는 기초부(10)의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본체(2)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지지대(31)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면, 기초부(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기초부(10)는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가 되고, 그 측면부가 지지대(31)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안정되게 접하게 된다.
결속장치(32)는 기초부(10)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팅한 상태에서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로, 지지대(31)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32)는 로프 등의 연결부재(33)를 결속시킬 수 있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로프 등의 연결부재(33)를 이용해 기초부(10)를 결속장치(32)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기초부(1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회동고정구(35)는 기초부(10)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고정구(35)는 제1접촉부(36)와 제2접촉부(37)를 포함하여 본체(2)의 측부와 기초부(10), 기초연결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부(34)에 끼워진다.
제1접촉부(36)는 본체(2) 중 기초연결부(20)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접촉부(37)는 기초연결부(20) 중 본체(2)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1접촉부(36)와 함께 쐐기 형상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접촉부(37)는 회동연결부(2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1접촉부(36)는 본체(2)의 측부 중 회동연결부(23)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기초부(10)를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시킨 상태에서 회동고정구(35)를 본체(2)와 기초연결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부(34)에 끼움으로써, 기초부(1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고, 기초부(10)를 본체(2)의 저면부에 안착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완충장치(40)는 기초부(10)의 회동력으로 인해 본체(2)와 기초부(10)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기초부(10)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와 본체(2)의 저면부는 서로 접하게 되는데, 완충장치(40)는 이와 같이 상호 접속되는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 또는 본체(2)의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장치(40)로서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튜브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비교해, 기초연결부(20)가 본체(2)의 가장자리부의 접선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본체(2)의 가장자리부의 법선 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축을 가진다.
이때, 본체(2)에는 기초연결부(20)의 설치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초부(10)의 하중을 지지하고,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제공하는 기초설치부(2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설치부(2a)는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평탄한 상면부와 저면부를 가진다.
기초부(10)가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팅된 상태에서 본체접속부(13)는 기초설치부(2a)의 상면부에 안착된다. 또한, 기초부(10)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된 상태에서 본체접촉부(13)는 기초설치부(2a)의 저면부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은, 기초부(1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그 중력과 부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중복,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가 하향 회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비교해, 기초연결부(20)가, 제1링크(26), 제2링크(27), 제3링크(28)를 포함하는 링크장치(25)의 구조를 가진다.
제1링크(26)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본체(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링크(27)와 힌지연결된다. 제1링크(26)는 기초부(10)가 직립되게 셋팅된 상태에서 기초부(10)를 하단지지하도록 기초부(1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초부(10)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되게 셋팅한 상태에서 제1링크(26)는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와 나란한 수평을 이루게 되고, 제1링크(26)의 변위 발생 시 기초부(10)는 도 1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6)와 함께 회전, 반전된다.
제2링크(27)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제1링크(26)의 타단부와 힌지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링크(28)와 힌지연결된다. 제3링크(28)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제2링크(27)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링크(26)의 상측에서 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초부(10)를 직립되게 셋팅한 상태에서 본체(2)에 대한 기초부(10)의 결속을 해제하면, 기초부(10)가 도 1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6)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의 기초연결부(20)는 기초부(1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 도 11, 도 12에 도시된 제3실시예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중복,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비교해, 본체(2)가 중력식 지지구조물이 아니라, 일반적인 형태의 지지구조물, 예를 들어 자켓형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가진다.
본체(2)로서 자켓형 지지구조물을 적용하는 경우, 본체(2)에 별도의 기초지지장치(30)를 설치하지 않고도, 본체(2)의 자켓기둥을 지지대(31)로서 활용하여 기초부(10)를 직립되게 셋팅,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은, 중력식 지지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자켓형 지지구조물을 포함한 일반적인 형태의 지지구조물을 본체(2)로 하여 그 적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기초구조물(3)과 중복,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진수단계 및 부유이송단계, 구속해제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가변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안착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설치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진수단계 및 부유이송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가변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의 기초부안착단계에서 기초부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 자유물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가변형 기초구조물(3)을 이용하여 해상 지지구조물(1)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상 지지구조물(1)의 본체(2)에 설치된 기초부(10)의 개방부(14)를 흘수선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시킨 상태로 진수하는 진수단계(S1)와, 해상 지지구조물(1)을 목적한 해상 위치로 부유 이송하는 부유이송단계(S2)와, 해상 지지구조물(1)이 목적한 위치에 도달되면, 기초부(10)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단계(S3)와, 기초부(10)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기초부(10)를 하향 회동시키는 기초부가변단계(S4)와, 기초부(10)의 회동을 지속하면서 본체(2)의 하부에 기초부(10)를 안착시키는 기초부안착단계(S5)와, 해상 지지구조물(1)을 침설하는 설치단계(S6)를 포함한다.
진수단계(S2)는, 개방부(14)가 기초부(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기초부(1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셋팅단계(S1-1)와, 기초부(10)를 본체(2)의 측부에 결속하여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구속단계(S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해상 지지구조물(1)을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에 진수한다.
셋팅단계(S1-1)에서 기초부(1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개구부(21a)가 흘수선 상측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기초부(1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시킨 상태에서 개방부(14)는 기초부(10)의 최상부에 위치되고, 해상 지지구조물(1)를 진수한 상태에서도 개방부(14)는 해수면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기초부(10)를 설정 각도로 셋팅하는 것은, 예를 들어 직립되게 셋팅하는 것은, 기초부(10)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기초지지장치(30)의 지지대(31)에 접속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구속단계(S1-2)에서는 기초부(10)와 연결된 루프 등의 연결부재(33)를 기초지지장치(30)의 결속장치(32)에 결속시킴으로써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한다. 결속장치(32)를 이용해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함으로써, 이후 항만 진수 및 부유이송 과정에서 기초부(10)가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되는 것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초부(10)를 직립되게 셋팅시킨 상태에서, 진수하면 기초부(10)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연결부(2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W는 기초부(10)의 중력, M은 기초연결부(20)에 작용하는 모멘트, e는 중력의 편심, θ는 기초부(10)의 각변위, B는 기초부(10)에 작용하는 부력, ω는 기초부(10)의 각속도, D는 기초부(10)의 회전 시 발생하는 항력, α는 기초부(10)의 각가속도, R은 완충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이다.
이때, 기초부(10)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해 해상 지지구조물(1)의 흘수선이 보다 낮아지게 되고, 수심이 낮은 항만에서의 진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초부(10)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해 해상 지지구조물(1)의 해수투영면적이 감소하게 되면서 해상 지지구조물(1)에 작용하는 항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후 부유이송단계(S2)에서 도 15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선을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1)을 중수심의 목적한 해상위치로 부유 이송함에 있어서도 예인력이 보다 감소하게 되어, 해상 지지구조물(1)의 이송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속해제단계(S3)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지지구조물(1)이 목적한 위치에 도달되면, 기초부(10)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과정이다. 이는 기초지지장치(30)의 결속장치(32)에 대한 연결부재(33)의 결속을 해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기초부가변단계(S4)는, 이와 같이 기초부(10)의 회동 구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기초부(10)에 해수를 주입하면서 기초부(10)를 하향 회동시키는 해수주입단계(S4-1)와, 개방부(14)를 통해 기초부(10)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기초부(10)의 회동을 지속하는 기초부수침단계(S4-2)를 포함한다.
해수주입단계(S4-1)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상태에서 기초부(10)에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기초부(10)의 하향 회동이 개시되는 과정이다. 해수주입단계(S4-1)에서는 펌프(15)를 이용해 기초부(10)에 해수를 주입하면서 기초부(10)의 중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기초부(10)의 중량이 점차 증가하다가 기초부(10)에 가해지는 부력보다 커지게 되면 기초부(10)에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연결부(2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면서, 반시계방향 회전이 개시된다. 기초부(10)의 회전 각속도가 기준치보다 빨라서 혹은 다른 사유로 인하여 각속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펌프(15)를 이용해 해수를 배출시킴으로써 기초부(10)에 시계방향의 모멘트를 유도할 수 있다.
기초부수침단계(S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중인 기초부(10)의 개방부(14)가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에 닿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초부(10)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수침되기까지의 과정을 포함한다.
기초부수침단계(S4-2)에서는 도 20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4)를 통한 해수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면서 기초부(1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유지된다. 이때 펌프(15)를 이용해 기초부(10)의 회전 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기초부수침단계(S4-2)가 진행되는 동안 해수가 기초부(10)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면서 기초부(10)의 부력이 감소하게 되고, 해상 지지구조물(1)의 흘수선이 점차 높아지게 된다.
기초부안착단계(S5)는, 기초부(10)가 본체(2)의 하부에 안착되기까지 기초부(10)의 회동을 지속하는 회동안착단계(S5-1)와, 기초부(10)가 본체(2)의 하부에 안착되면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하는 고정단계(S5-2)를 포함한다.
회동안착단계(S5-1)는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가, 또는 본체접속부(13)에 설치된 완충장치(40)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저면부에 닿으면서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저면부에서 기초부(10)를 향하는 반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기초부(10)의 회동이 지속되는 과정이다.
기초부(10)가 본체(2)의 저면부에 가까워지면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에 설치된 완충장치(40)가 본체(2)의 저면부와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기초부(1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완충장치(40)가 압착되면서 기초부(10)의 반시계방향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반력이 발생된다. 이때, 완충장치(40)는 기초부(10)의 회전중심이 되는 기초연결부(20)의 오른쪽에 위치되므로, 기초부(10)에는 시계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초부(10) 반시계방향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이와 같이 완충장치(40)의 완충력을 이용해 시계방향의 모멘트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기초부(10)의 회전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고, 급격한 충격력없이 기초부(10)의 본체접속부(13)를 본체(2)의 저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장치(40)는 이와 같이 기초부(10)에 반력을 작용시키는 기능 외에, 강성체로 이루어지는 기초부(10)와 본체(2)간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기초부(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반전되면, 기초부(10)에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더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고정단계(S5-2)는 이와 같이 기초부(10)가 본체(2)의 하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기초부(10)의 회동을 구속하여 기초부(10)를 본체(2)에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회동고정구(35)를 본체(2)와 기초연결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부(34)에 끼우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단계(S5-2)를 거침으로써 기초부(10)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초부(10)를 본체(2)의 저면부에 안착시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기초부(1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2) 및 해상설비를 지지하는 기능을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지지구조물(1)의 가변형 기초구조물(3)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1)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기초부(10)에 해수를 유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초부(10)에 작용하는 부력을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1)의 흘수선을 보다 낮출 수 있고, 해수투영면적의 감소에 의해 해상 지지구조물(1)에 작용하는 항력 감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상 지지구조물(1)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중수심에 비해 보다 얕은 수심인 항만에서의 진수가 가능해지고, 보다 적은 예인력으로 해상 지지구조물(1)을 목적한 해상 위치로 용이하게 부유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부(10)에 해수를 유입하여 그 중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기초연결부(20)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초부(10)를 본체(2)의 하측으로 하향 회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기초부(10)의 배치와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기초부(10)를 이용해 해상 지지구조물(1)을 목적한 해상 위치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자가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해상 지지구조물 2 : 본체
2a : 기초설치부 3 : 기초구조물
10 : 기초부 11 : 기초본체부
12 : 수용부 13 : 본체접속부
14 : 개방부 15 : 펌프
20 : 기초연결부 21 : 핀조인트
22 : 고정연결부 23 : 회동연결부
24 : 회동축부 25 : 링크장치
26 : 제1링크 27 : 제2링크
28 : 제3링크 30 : 기초지지장치
31 : 지지대 32 : 결속장치
33 : 연결부재 34 : 틈새공간부
35 : 회동고정구 36 : 제1접촉부
37 : 제2접촉부 40 : 완충장치

Claims (17)

  1. 해수를 수용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여 해상 지지구조물의 본체에 설치되고, 해수의 유입량에 따라 중량과 부력이 가변되며, 해저면에 설치 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기초부; 및
    상기 기초부를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기초본체부;
    상기 기초본체부의 일측부에 폐쇄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초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의 부유 이송 시에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 시에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저면부와 접하는 본체접속부; 및
    상기 기초본체부의 타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초본체부의 하향 회동 시 해수면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기초본체부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기초본체부의 내부로 해수를 강제 유입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조인트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기초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연결부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회동연결부; 및
    상기 회동연결부를 상기 고정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속하는 회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초부와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를 설정각도로 지지하는 기초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의 측면부와 접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결속되는 결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지지장치는,
    상기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측부와 상기 기초부, 상기 기초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부에 끼워지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고정구는,
    상기 본체 중 상기 기초연결부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접촉부; 및
    상기 기초연결부 중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접촉부와 함께 쐐기 형상을 이루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게 되는 상기 기초부의 일측부 또는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와 상기 기초부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비금속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14. 해상 지지구조물의 본체에 설치된 기초부의 개방부를 흘수선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시킨 상태로 진수하는 진수단계;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을 목적한 해상 위치로 부유 이송하는 부유이송단계;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이 목적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기초부의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단계;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기초부를 하향 회동시키는 기초부가변단계;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기 기초부를 안착시키는 기초부안착단계; 및
    상기 해상 지지구조물을 침설하는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수단계는,
    상기 개방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초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셋팅단계; 및
    상기 기초부를 상기 본체의 측부에 결속하여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구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가변단계는,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주입하면서, 상기 기초부를 하향 회동시키는 해수주입단계;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기초부에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는 기초부수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안착단계는,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안착되기까지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지속하는 회동안착단계; 및
    상기 기초부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안착되면 상기 기초부의 회동을 구속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20150163803A 2015-11-23 2015-11-23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186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03A KR101866972B1 (ko) 2015-11-23 2015-11-23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PCT/KR2016/009564 WO2017090867A1 (ko) 2015-11-23 2016-08-29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GB1717289.1A GB2554246B (en) 2015-11-23 2016-08-29 Variable foundation structure of marin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marine support structure, using same
DE112016005356.8T DE112016005356B4 (de) 2015-11-23 2016-08-29 Variable gründungsstruktur einer marinen trägerstruktur und verfahren zum installieren der marinen trägerstruktur unter verwendung dav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03A KR101866972B1 (ko) 2015-11-23 2015-11-23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30A true KR20170059630A (ko) 2017-05-31
KR101866972B1 KR101866972B1 (ko) 2018-06-14

Family

ID=5876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03A KR101866972B1 (ko) 2015-11-23 2015-11-23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66972B1 (ko)
DE (1) DE112016005356B4 (ko)
GB (1) GB2554246B (ko)
WO (1) WO201709086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2913A (ja) * 1985-01-28 1986-08-04 Hitachi Zosen Corp 重力式海洋構造物の製作据付方法
JP2007092406A (ja) * 2005-09-29 2007-04-1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Bridge & Steel Structures Engineering Co Ltd 水上構造物の基礎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8838B1 (no) * 2008-06-20 2010-05-25 Seatower As Anordning og fremgangsmate ved vindgenerator
FR2949482B1 (fr) * 2009-08-28 2011-08-26 Technip France Fondation support pour une hydrolienne, dispositif subaquatique et procede de mise en place associes.
KR101177395B1 (ko) * 2012-02-06 2012-08-27 주식회사 언딘 해양풍력발전-조류발전용 발전기 기초구조물의 수중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1352096B1 (ko) * 2012-05-21 2014-0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트라이포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KR101346225B1 (ko) * 2012-06-28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200477410Y1 (ko) * 2013-04-26 2015-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디버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101529097B1 (ko) * 2013-05-02 2015-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상풍력발전용 매입식 대구경 강관파일 및 그 매입시공 방법
JP2015004351A (ja) * 2013-06-24 2015-01-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洋上風力発電設備の基礎頂部、及び、洋上風力発電設備の基礎構造部材
KR101597592B1 (ko) * 2013-12-18 2016-03-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안전 하강 장치
KR101554939B1 (ko) * 2014-12-08 2015-09-22 (주)대우건설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2913A (ja) * 1985-01-28 1986-08-04 Hitachi Zosen Corp 重力式海洋構造物の製作据付方法
JP2007092406A (ja) * 2005-09-29 2007-04-1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Bridge & Steel Structures Engineering Co Ltd 水上構造物の基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717289D0 (en) 2017-12-06
GB2554246A (en) 2018-03-28
GB2554246B (en) 2021-06-02
DE112016005356B4 (de) 2024-02-22
WO2017090867A1 (ko) 2017-06-01
DE112016005356T5 (de) 2018-08-16
KR101866972B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8063B2 (en) Mooring system for floating arctic vessel
EP2789850B1 (en) Floating type wind turbine generation apparatus
GB2510666A (en) Tidal turbine mooring arrangement
JP2009248792A (ja) 洋上風力発電用のスパー型浮体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設置方法
CN103422483B (zh) 浅水导管架浮托安装的方法
KR20210010997A (ko) 윈드 터빈 및 윈드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11858604B2 (en) Method for installing offshore floating body for wind power generation
WO2017194813A1 (es) Sistema flotante auxiliar para la instalación y/o el transporte de estructuras marinas y procedimiento que comprende dicho sistema
CN113950444B (zh) 海上风力发电浮体
JP2013519568A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JP5225930B2 (ja) 起伏式防波装置
CN105339651A (zh) 用于潮汐涡轮机的平台
CN1442342A (zh) 水下软体排铺设工程船及水下软体排铺设工艺
US20200354030A1 (en) System for providing stability to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20110107881A (ko) 바지선 위에 설치한 수평형 수차를 이용한 파력발전설비
EP3078846B1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KR101866972B1 (ko) 해상 지지구조물의 가변형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150115977A (ko)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의 운송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 방법
NO20131235A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KR101422502B1 (ko)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JP5820861B2 (ja) 洋上建物の施工方法
KR20090040608A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NO347048B1 (en) Floating support structure for offshore windmill
KR101954842B1 (ko) 상층 데크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