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494A -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494A
KR20170059494A KR1020150162912A KR20150162912A KR20170059494A KR 20170059494 A KR20170059494 A KR 20170059494A KR 1020150162912 A KR1020150162912 A KR 1020150162912A KR 20150162912 A KR20150162912 A KR 20150162912A KR 20170059494 A KR20170059494 A KR 2017005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eaf spring
center portion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890B1 (ko
Inventor
손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890B1/ko
Priority to US15/137,456 priority patent/US10065470B2/en
Priority to DE102016208607.3A priority patent/DE102016208607A1/de
Priority to CN201610333450.1A priority patent/CN106739898B/zh
Publication of KR2017005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 B60G5/047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the movements of which are resiliently interrelated, e.g. the arms being rigid at least one arm being resilient, e.g. a leaf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4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different axles on the same side of the vehicle, i.e. the left or the righ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1Pivoted lever mechanism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e.g. Watt lin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1축(1a) 또는 전2축(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다른 축으로 축하중을 전이시켜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본 발명은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1축과 전2축의 축하중 편차를 줄이고 승차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차에서의 전축(1)은 조향이 가능한 차량 앞쪽의 축이 되고, 후축(2)은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된다.
일부 대형트럭의 전축(1)은 2개로 구성되어서 전1축(1a)과 전2축(1b)로 분리되는데, 상기 전1축(1a)과 전2축(1b)의 현가장치에 해당하는 전방 리프스프링(3)과 후방 리프스프링(4)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방 리프스프링(3)의 전방 단부에 해당하는 아이부(3a)는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제1전방브라켓(6)과 결합되고,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의 후방 단부는 전방 새클(7)과 결합되고, 상기 전방 새클(7)은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제2전방브라켓(8)과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 리프스프링(4)의 전방 단부에 해당하는 아이부(4a)는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제1후방브라켓(9)과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의 후방 단부는 후방 새클(100)과 결합되고, 상기 후방 새클(100)은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제2후방브라켓(111)과 결합된다.
한편, 전방 리프스프링(3)과 후방 리프스프링(4)의 스프링 상수 값의 변화 또는 공차시 캠버 값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전1축(1a)과 전2축(1b)의 밸런스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면 전1축(1a)과 전2축(1b)의 축하중에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전방 리프스프링(3)과 후방 리프스프링(4)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현가장치는 전1축(1a)과 전2축(1b)의 축하중 편차를 줄일 수 없는 구조로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전1축(1a)과 전2축(1b)의 축하중 편차가 더욱 심해지는 단점이 있고, 조안성(조종성과 안전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으며, 전1축(1a)과 전2축(1b)의 타이어 마모량의 차이로 인해 주행 안정성이 나빠지고 타이어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6220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차체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해서, 전1축과 전2축에 축하중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축하중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안성 향상 및 주행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고, 더 나아가 타이어 마모에 따른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서로 연결된 부위에 부시를 적용해서 승차감 향상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는, 전1축과 연결된 전방 리프스프링과 전2축과 연결된 후방 리프스프링사이에 위치하면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된 중간브라켓;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새클; 및 상기 전방 새클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쪽 아이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사이의 중간부가 중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브라켓은 상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연결기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전방홀과 후방홀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기구는 원형단면을 갖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전방 새클과 결합된 전방로드, 상기 센터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후방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와 결합된 후방로드를 구비한 크로스빔; 상기 센터부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러버부시; 및 상기 러버부시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부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파이프는 중간브라켓의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로드와 후방로드는 중간브라켓의 전방홀과 후방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로드의 상하면 및 후방로드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서 센터부의 회전시에 중간브라켓과 접촉하는 상단스토퍼와 하단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부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결합홀을 가로지르도록 중간브라켓에 나사 결합된 어저스트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1축 또는 전2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러버부시가 탄성 변형되면서 센터부가 회전하고, 상기 센터부의 회전에 의해서 축하중은 다른 하나의 축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의하면, 전1축 또는 전2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다른 축으로 축하중을 전이시켜서 분산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전1축과 전2축의 축하중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조안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타이어의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타이어의 교체 주기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리프스프링과 후방 리프스프링을 연결하는 크로스빔이 러버부시를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승차감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전방 2축을 구비한 대형트럭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전방 2축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연결기구가 결합된 부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는 바,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한다.
대형트럭에서 전축은 조향이 가능한 차량 앞쪽의 축이, 후축은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으로, 일부 대형트럭의 전축(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되어서 전1축(1a)과 전2축(1b)로 분리되고, 상기 전1축(1a)과 전2축(1b)은 현가장치에 해당하는 전방 리프스프링(10)과 후방 리프스프링(20)에 각각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1축(1a)과 연결된 전방 리프스프링(10) 및 전2축(1b)과 연결된 후방 리프스프링(20);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10)과 후방 리프스프링(20)사이에 위치하면서 차체 프레임(5)에 고정되게 설치된 중간브라켓(30);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10)의 후방 단부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전방 새클(40); 및 상기 전방 새클(40)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20)의 전방쪽 아이부(21)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사이의 중간부가 중간브라켓(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기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10)의 전방 단부에 해당하는 아이부(11)는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전방브라켓(60)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20)의 후방 단부는 후방 새클(7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후방 새클(70)의 타단은 차체 프레임(5)에 결합된 후방브라켓(80)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는 전방 리프스프링(10)의 후방 단부와 결합된 전방 새클(40) 그리고 후방 리프스프링(20)의 전방쪽 아이부(21)가 연결기구(5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연결기구(50)는 차체 프레임(5)에 고정되게 설치된 중간브라켓(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특징인 것이다.
상기 중간브라켓(30)은 상단부가 차체 프레임(5)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연결기구(60)가 결합되는 결합홀(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1)에 전방홀(32)과 후방홀(33)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합홀(31)은 차체 프레임(5)의 하단부에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방홀(32)과 후방홀(33)은 결합홀(31)의 둘레면을 관통해서 외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구조가 된다.
상기 연결기구(50)는 원형단면을 갖는 센터부(51a), 상기 센터부(5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전방 새클(40)과 결합된 전방로드(51b), 상기 센터부(51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후방 리프스프링(20)의 아이부(21)와 결합된 후방로드(51c)를 구비한 크로스빔(51); 상기 센터부(51a)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러버부시(52); 및 상기 러버부시(52)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부시파이프(53)를 포함한다.
상기 부시파이프(53)는 중간브라켓(30)의 결합홀(31)에 압입 결합되어서 설치되고, 상기 전방로드(51b)와 후방로드(51c)는 중간브라켓(30)의 전방홀(32)과 후방홀(33)을 각각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로드(51b)의 상하면 및 후방로드(51c)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서 센터부(51a)의 회전시에 중간브라켓(30)과 접촉하는 상단스토퍼(91,92)와 하단스토퍼(93,9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터부(51a)가 도시된 화살표의 R1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전방로드(51b)의 상단스토퍼(91)와 후방로드(51c)의 하단스토퍼(94)는 각각 중간브라켓(30)과 접촉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센터부(51a)가 도시된 화살표의 R2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후방로드(51c)의 상단스토퍼(92)와 전방로드(51b)의 하단스토퍼(93)는 각각 중간브라켓(3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상단스토퍼(91,92)와 하단스토퍼(93,94)는 충격 및 소음흡수가 가능한 러버재질로 형성되어서 크로스빔(51)의 최대 회전각을 제어하고, 또한 접촉소음의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터부(51a)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결합홀(31)을 가로지르도록 중간브라켓(30)에 나사 결합된 어저스트 볼트(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저스트 볼트(100)의 체결을 위해 상기 중간브라켓(30)에는 나사홈(32)이 형성되며, 어저스트 볼트(100)의 체결력에 따라 러버부시(52)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안성 및 승차감의 튜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저스트 볼트(100)는 2개로 구성되어서 센터부(51a)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2개의 어저스트 볼트(100)사이에 크로스빔(51)의 센터부(51a)가 어저스트 볼트(10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 구조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1축(1a)으로부터 축하중(F1)이 입력되면 전방 리프스프링(10)이 상승하고, 전방 리프스프링(10)의 상승에 의해 전방 새클(40)이 상승하며, 크로스빔(51)은 러버부시(5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화살표의 R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전1축(1a)으로부터 입력된 축하중(F1)은 후방 리프스프링(20)을 통해서 전2축(1b)으로 전이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그리고, 전2축(1b)으로부터 축하중(F2)이 입력되면 후방 리프스프링(20)이 상승하고, 후방 리프스프링(20)의 상승에 의해 전방쪽의 아이부(21)가 상승하며, 크로스빔(51)은 러버부시(5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화살표의 R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전2축(1b)으로부터 입력된 축하중(F2)은 전방 리프스프링(10)을 통해서 전1축(1a)으로 전이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대형트럭의 전축이 전1축(1a)과 전2축(1b)으로 구성된 상황에서 전1축(1a) 또는 전2축(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입 입력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다른 축으로 축하중을 전이시켜서 분산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전1축(1a)과 전2축(2b)의 축하중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조안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타이어의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타이어의 교체 주기를 늦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리프스프링(10)과 후방 리프스프링(20)을 연결하는 크로스빔(51)이 러버부시(52)를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승차감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전축 1a - 전1축
1b - 전2축 10 - 전방 리프스프링
20 - 후방 리프스프링 30 - 중간브라켓
40 - 전방 새클 50 - 연결기구
51 - 크로스빔 52 - 러버부시
53 - 부시파이프 91,92 - 상단스토퍼
93,94 - 하단스토퍼 100 - 어저스트 볼트

Claims (6)

  1. 전1축과 연결된 전방 리프스프링과 전2축과 연결된 후방 리프스프링사이에 위치하면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된 중간브라켓;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새클; 및
    상기 전방 새클의 타단과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쪽 아이부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사이의 중간부가 중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브라켓은 상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연결기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전방홀과 후방홀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원형단면을 갖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전방 새클과 결합된 전방로드, 상기 센터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후방 리프스프링의 아이부와 결합된 후방로드를 구비한 크로스빔;
    상기 센터부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러버부시; 및
    상기 러버부시의 바깥 둘레에 결합된 부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파이프는 중간브라켓의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로드와 후방로드는 중간브라켓의 전방홀과 후방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로드의 상하면 및 후방로드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서 센터부의 회전시에 중간브라켓과 접촉하는 상단스토퍼와 하단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부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결합홀을 가로지르도록 중간브라켓에 나사 결합된 어저스트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1축 또는 전2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러버부시가 탄성 변형되면서 센터부가 회전하고, 상기 센터부의 회전에 의해서 축하중은 다른 하나의 축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KR1020150162912A 2015-11-20 2015-11-20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KR101755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912A KR101755890B1 (ko) 2015-11-20 2015-11-20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US15/137,456 US10065470B2 (en) 2015-11-20 2016-04-25 Suspension of front double-axle vehicle
DE102016208607.3A DE102016208607A1 (de) 2015-11-20 2016-05-19 Aufhängung eines Doppelvorderachsenfahrzeugs
CN201610333450.1A CN106739898B (zh) 2015-11-20 2016-05-19 用于前双轴车辆的悬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912A KR101755890B1 (ko) 2015-11-20 2015-11-20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494A true KR20170059494A (ko) 2017-05-31
KR101755890B1 KR101755890B1 (ko) 2017-07-10

Family

ID=5869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912A KR101755890B1 (ko) 2015-11-20 2015-11-20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5470B2 (ko)
KR (1) KR101755890B1 (ko)
CN (1) CN106739898B (ko)
DE (1) DE102016208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176B1 (ko) * 2018-06-21 2023-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판 복합재스프링 서스펜션
NL2027032B1 (nl) * 2019-12-20 2021-10-14 Bcw Aanhangwagen
CN111216791A (zh) * 2020-01-09 2020-06-02 湖南行必达网联科技有限公司 转向传动系统连接件、转向传动系统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6981A (en) * 1924-09-15 1925-05-05 Elvir W Stossel Spring connection
GB248027A (en) * 1924-10-27 1926-03-01 John Fifield Ady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ring suspensions for motor and like vehicles
NL19052C (ko) * 1926-04-28
US1745433A (en) * 1926-07-27 1930-02-04 Emory Winship Spring suspension
US2451293A (en) * 1946-06-06 1948-10-12 Fayette Mfg Company Suspension for tandem wheeled vehicles
US3608923A (en) * 1969-05-29 1971-09-28 William J Houfek Sr Means restoring an axle to horizontal position upon tire deflation at either end thereof
US3767222A (en) * 1971-11-09 1973-10-23 E Willetts Vehicle suspension structure
US3833236A (en) * 1973-07-16 1974-09-03 A J Ind Inc Equalized suspension system for a tandem axle vehicle
US4676523A (en) * 1985-09-26 1987-06-30 Rogers Ralph R Suspension system for a trailer or the like
JPH05169945A (ja) 1991-12-20 1993-07-09 Mitsubishi Motors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234067A (en) * 1992-06-09 1993-08-10 Emmanuel Simard Et Fils (1983) Inc. Tandem axle suspension for vehicle
US5526895A (en) * 1993-12-10 1996-06-18 Hyundai Motor Company Rear wheel self-steering system for vehicle
US5662314A (en) * 1995-11-03 1997-09-02 Leland Engineering, Inc. Wheel spring support frame for vehicles
KR200203106Y1 (ko) * 1995-12-30 2000-12-01 정몽규 이축식 후륜 현가장치
US6220580B1 (en) * 1998-10-15 2001-04-24 Lord Corporation Leaf spring pivot bearing and assembly with adjustment pilot
US6478321B1 (en) * 2000-08-02 2002-11-12 Mor/Ryde International, Inc. Rubber shear spring assembly for tandem axle trailer
US6382659B1 (en) * 2001-03-21 2002-05-07 Emmanuel Simard Et Fils (1983) Inc. Load distributing tandem suspension assembly
JP3797918B2 (ja) * 2001-11-08 2006-07-1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前2軸車の駆動力減少防止装置
AU2003287214A1 (en) * 2002-10-25 2004-05-13 Advanced Designed Systems Inc. Suspension isolator equalizer
US7753399B2 (en) * 2005-08-22 2010-07-13 Lippert Components, Inc. Equalizer for a suspension system
SE530099C2 (sv) * 2006-07-05 2008-03-04 Volvo Lastvagnar Ab Nivåreglering för fordonsfjädring
US20080164645A1 (en) 2007-01-10 2008-07-10 The Pullman Company Increased axial rate and improved durability of an elastomeric bushing
KR20090062206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축 현가장치
KR100993192B1 (ko) 2008-10-21 2010-11-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 차량용 윤축 조향 장치
DE102009028893A1 (de) * 2009-08-26 2011-03-03 Zf Friedrichshafen Ag Lagervorrichtung einer im Bereich einer Fahrzeugachse eines Fahrzeuges montierbaren Querblattfeder
US8641079B2 (en) * 2011-12-08 2014-02-04 Dexter Axle Company Multi-axle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03213468A (zh) * 2012-01-20 2013-07-2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悬架系统及具有该悬架系统的车辆
CN202541243U (zh) * 2012-05-02 2012-11-2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车辆的悬架机构及具有该悬架机构的车辆
CN202782548U (zh) * 2012-07-31 2013-03-13 四川昆仑石油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多轴机车双车桥的悬架系统
CN203318070U (zh) * 2013-06-14 2013-12-04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卡车底盘车桥布置形式
CN104943496A (zh) * 2015-07-01 2015-09-30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重型汽车的双前桥板簧悬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08607A1 (de) 2017-05-24
US20170144498A1 (en) 2017-05-25
KR101755890B1 (ko) 2017-07-10
CN106739898B (zh) 2021-04-30
US10065470B2 (en) 2018-09-04
CN106739898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9542C (en) Variable-geometry suspension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pparatus
US2706113A (en) Spring suspension for vehicles
KR101500415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101755890B1 (ko)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
US2409501A (en) Vehicle suspension
JP2011207468A (ja) 能動制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用駆動装置
EP1896279A1 (de) Radaufhängung
GB2460169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converting vertical movement of wheels into horizontal forces acting on struts
AU2013251907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 force between a chassis and a body of a rail vehicle
KR10128359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US2202665A (en) Motor vehicle construction
KR20100136170A (ko)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 시스템
CN104191925A (zh) 一种非驱动独立悬架车轴及全地面起重机
DE1605126C3 (de) Triebgestell für Schienenfahrzeuge
CN110997356B (zh) 具有布置在中央的驱动单元的车轴
US2828969A (en) Vehicle suspension with interconnected steering and camber adjusting means
IE20080753A1 (en) Connected suspension for two wheeled vehicle
JP2017067293A (ja) シャーシ軸受
JP6505842B2 (ja) 車両
WO2019100970A1 (zh) 一种具有刚度可调结构的转向架轮对径向机构
KR20220068549A (ko) 독립 현가 시스템
US9399377B2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GB2098841A (en) The stabilisation of spraying frames on plant protecting machines
KR101317374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211969453U (zh) 用于转向架的导向框以及具有其的转向架、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