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407A -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407A
KR20170059407A KR1020160153130A KR20160153130A KR20170059407A KR 20170059407 A KR20170059407 A KR 20170059407A KR 1020160153130 A KR1020160153130 A KR 1020160153130A KR 20160153130 A KR20160153130 A KR 20160153130A KR 20170059407 A KR20170059407 A KR 2017005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ing
polarizing plate
resin
stretch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시게히로 이토
도시카즈 마츠모토
요시후미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4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the degradation of a polarization degree due to the deviation of an absorption axis of a polarizing film caused by the dimensional change of an optical film at a heat resistance test with high visibility when polarizing sunglasses are worn. A stretched film, a polarizing film and a first adhesive layer are successively formed. An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stretched film is approximately 45 or 135, and when the stretched film is heated at 105 degrees centigrade for 30 minutes, the shrinking force of the stretching direction is 0.2 N/2 mm or less.

Description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0001]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최근 소비전력이 낮고, 저전압으로 동작하고, 경량이면서 박형인 액정 디스플레이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컴퓨터용의 모니터, 텔레비전 등, 정보용 표시 장치로서 급속히 보급되어 오고 있다. 액정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어, 응답 속도나 콘트라스트, 협시야각(狹視野角)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용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보급에 따라, 예컨대 옥외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시인(視認)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서 화면을 보더라도 시인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Liquid crystal displays that are low in power consumption, operate at a low voltage, and are lightweight and thin are rapidly spreading as information display devices such as portable telephone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monitors for computers, and televisions. With the development of liquid crystal technology, liquid crystal displays of various modes have been proposed, and problems of liquid crystal displays such as response speed, contrast, and narrow viewing angle (viewing angle) have been solved. In addition, when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mobile use is used, for example, in an outdoor environment, there is a case where a scree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s visually inspected in a state of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In this case, It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visibility even when viewed on a screen.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서 화면을 보았을 때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액정 셀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직선 편광을 타원(또는 원) 편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위상차판(예컨대 λ/4 파장판)을 상기 편광판의 시인 측에,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 또는 135°가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 채용된다(특허문헌 1∼9).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when the polarizing sunglasses are used to view a screen, in order to convert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into elliptical (or circular) polarized light, (For example, a? / 4 wave plate) is arranged on the visual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plate form an angle of 45 ° or 135 ° (see Patent Documents 1 to 9 ).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12245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122454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1-10719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107198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11-215646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215646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12-230390호 공보Patent Document 4: JP-A-2012-230390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평03-174512호 공보Patent Document 5: JP-A-03-174512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2013-231761호 공보Patent Document 6: JP-A-2013-231761 특허문헌 7: 일본 특허공개 2011-113018호 공보Patent Document 7: JP-A-2011-113018 특허문헌 8: 일본 특허공개 2013-182162호 공보Patent Document 8: JP-A-2013-182162 특허문헌 9: 일본 특허공개 2013-200445호 공보Patent Document 9: JP-A-2013-200445

이러한 위상차판을 편광 필름에 적층한 편광판은, 당해 편광판을 내열 시험에 사용했을 때에, 위상차판의 치수 변화에 기인하여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틀어짐으로 인해 편광도 저하가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The polarizing plate in which such a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on a polarizing film has a problem that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used in a heat resistance test,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s distorted due to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retardation plate,

[1] 연신 필름, 편광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가지고, [1]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stretched film, a polarizing film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order,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상기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 또는 대략 135°이고,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stretched film is about 45 ° or about 135 °,

상기 연신 필름은, 105℃에서 30분간 가열했을 때의 연신 방향의 수축력이 0.2 N/2 mm 이하인 편광판. Wherein the stretched film has a shrinking forc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0.2 N / 2 mm or less when heated at 105 캜 for 30 minutes.

[2]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연신 필름이, 점착제층, 수계 접착제층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1]에 기재한 편광판. [2]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tretched film are laminated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queous adhesive layer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layer.

[3] 상기 연신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편광판. [3] The stretched film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stretched film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clic polyolefin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cellulose resin, a polyester resin and a (meth) .

[4] 상기 연신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 측의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표면 처리층을 갖는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판. [4] The polar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stretched film has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polarizing film side.

[5] 상기 연신 필름은 이하의 식(1)∼식(4)를 만족하는 [1]∼[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판. [5] The polar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stretched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1) 100 nm≤Re(590)≤180 nm, (1) 100 nm≤R e (590 ) ≤180 nm,

(2) 0.5<Rth(590)/Re(590)≤0.8, (2) 0.5 < R th (590) / R e (590)

(3) 0.85≤Re(450)/Re(550)<1.00 (3) 0.85≤R e (450) / R e (550) <1.00

(4) 1.00<Re(630)/Re(550)≤1.1(4) 1.00 < R e (630) / R e (550)

〔식(1)∼식(4)에서, Re(590), Re(450), Re(550), Re(630)은 각각 파장 590 nm, 450 nm, 550 nm, 63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 값을 나타내고, Rth(590)는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나타낸다.〕[Formula (1) to equation (4), R e (590 ), R e (450), R e (550), R e (630) are respectively the wavelength 590 nm, 450 nm, 550 nm , 630 nm in And R th (590) represents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at a wavelength of 590 nm.

[6]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긴 변의 길이와 짧은 변의 길이의 비는 10:1∼1:1인 [1]∼[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판. [6] The polariz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olarizer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long side to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10: 1 to 1: 1.

[7] [1]∼[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판이 상기 제1 점착제층을 통해 화상 표시 소자에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 [7]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s laminated on the image disp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면서, 내열 시험 시에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에 의해서 야기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의 틀어짐에 의한 편광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polarization degree due to a displacement of an absorption axis of a polarizing film caused by a dimensional change of an optical film at the time of a heat resistance test while making the visibility in a state of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good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의 일례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ay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광판의 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10)은 연신 필름(11), 편광 필름(14) 및 제1 점착제층(13)을 이 순서로 갖는다.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1,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etched film 11, a polarizing film 14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in this order.

연신 필름(11)과 편광 필름(14)은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신 필름(11)과 편광 필름(14)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점착제층, 수계 접착제층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할 수 있다. 도 1에서, 점착제층, 수계 접착제층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층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ed film 11 and the polarizing film 14 are laminated and the stretched film 11 and the polarizing film 14 are laminated so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or the active energy ray- Can be stacked. In Fig.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water-based adhesive layer an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layer are not shown.

본 발명의 편광판(10)은, 편광 필름(14)과 제1 점착제층(13) 사이에, 보호 필름(1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10)이 보호 필름(12)을 가짐으로써, 내열 시험 시의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여, 보다 편광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protective film 12 between the polarizing film 14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has the protective film 12,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ing film at the time of the heat resistance test can be suppressed, and the decrease in polarization degree can be further suppressed.

본 발명의 편광판(10)을 화상 표시 장치에 조립하여 삽입했을 때에, 연신 필름(11)은 편광판의 시인 측의 표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연신 필름(11)은, 편광 필름(14)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표면 처리층(2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olarizing pl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in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stretched film 11 is often disposed on the viewer's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treatment layer 2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onding surface with the surface treatment layer 20.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members constitu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편광 필름(14)][Polarizing Film (14)]

편광 필름(14)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가교시키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가교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The polarizing film 14 is usually formed by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process of adsorbing a dichroic dye by s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 process of adsorbing a dichroic dye- A step of cross-linking an alcoholic resin film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a step of washing with water after a cross-linking treatment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polyvinyl acetate resin may b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in addition to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예컨대 10∼1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0∼50 ㎛ 정도이다.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sed as the original film of the polarizing film. The method of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film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iginal film is, for example, about 10 to 100 m, and preferably about 10 to 50 m.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세로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세로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세로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하여도 좋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물론, 여기에 기재한 복수 단계로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할 수도 있다. 세로 일축 연신에는, 원주 속도가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는 방법이나, 열 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에 의해 행하여도 좋고, 물 등의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 정도이다. The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erformed before,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dyeing with a dichroic dye. When the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carried out after dyeing, the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before the boric acid treatment or during the boric acid treatment. Of course,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t a plurality of steps described herein. As the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a method of uniaxially stretching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velocities, a method of stretching uniaxially using a heat roll, or the like can be adopted. The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y dry stretching in air or may be performed by wet stretching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s stretched by using a solvent such as wate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usually about 3 to 8 time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yeing by the dichroic dy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 method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As the dichroic dye, specifically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ubjected to a treatment in which it is immersed in water and subjected to swelling before dyeing.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is generally employed.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01∼1 중량부 정도이며,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5∼20 중량부 정도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시간)은 통상 20∼1,800초 정도이다. The content of iodin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0.01 to 1 part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s usually about 0.5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used for dyeing is normally about 20 to 40 캜.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20 to 1,800 seconds.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의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수용성의 이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1×10-4∼10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10-3∼1 중량부이다. 이 염료 수용액은, 황산나트륨과 같은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에 이용하는 이색성 유기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1,800초 정도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dichroic organic dy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water-soluble dichroic organic dye is employe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e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1 × 10 -4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 10 -3 to 1 part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dy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as a dyeing aid. The temperature of the dichroic organic dye aqueous solution used for dyeing is usually about 20 to 80 캜.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n this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10 to 1,800 seconds.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2∼15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12 중량부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1∼15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12 중량부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1,200초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60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초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이다. The boric acid treatment after dyeing with the dichroic dye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dipp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The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2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contains potassium iodide.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immersing time in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about 60 to 1,200 seconds, preferably 150 to 6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200 to 400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50 占 폚 or higher, preferably 50 to 85 占 폚, and more preferably 60 to 80 占 폚.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 정도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통상 1∼120초 정도이다.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fter boric acid treatment is usually subjected to water washing treatment. The water wash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a boric acid-treat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water. The temperature of water in the water washing treatment is usually about 5 to 40 캜.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about 1 to 120 seconds.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처리는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1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이다. 건조 처리 시간은 통상 60∼600초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20∼600초이다. 건조 처리에 의해, 편광 필름 중의 수분율은 실용 정도로까지 저감된다. 그 수분율은 통상 5∼20 중량%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8∼15 중량%이다. 수분율이 5 중량%를 밑돌면, 편광 필름의 가요성을 잃게 되어, 건조 후에 손상되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율이 20 중량%를 넘으면, 열안정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After washing with water, drying treatment is carried out to obtain a polarizing film. The dry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using a hot-air dryer or a far-infrared heater.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treatment is usually about 30 to 100 占 폚, preferably 50 to 80 占 폚. The drying treatment time is usually about 60 to 600 seconds, preferably 120 to 600 seconds. By the drying treatment, the water content in the polarizing film is reduced to practical use. The water content thereof is usually about 5 to 20% by weight, preferably 8 to 15% by weight. If the moisture content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flexi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is lost, which may be damaged or broken after drying. When the moisture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the thermal stability tends to be insufficient.

이상과 같이 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14)을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film 14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roduced.

편광 필름(14)은, 편광 필름을 80℃에서 가열했을 때의 흡수축 방향의 수축력은 3 N/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N/2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polarizing film 14 preferably has a shrinking force of 3 N / 2 mm or less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when the polarizing film is heated at 80 캜, and more preferably 1.5 N / 2 mm or less.

또한 편광 필름을 80℃에서 가열했을 때의 투과축 방향의 수축력은 3 N/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N/2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광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내열 시험에 제공했을 때의 편광 필름의 수축을 작게 할 수 있어, 편광도 저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The shrinkag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when the polarizing film is heated at 80 DEG C is preferably 3 N / 2 mm or less, more preferably 1.5 N / 2 mm or less. By using such a polarizing film, the shrinkage of the polarizing film when provided in the heat resistance test can be reduced, and the lowering of the polarization degree can be further reduced.

편광 필름의 수축력은 후술하는 연신 필름의 수축력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지상축」은 「흡수축」 또는 「투과축」으로 바꿔 읽는 것으로 한다. The shrinking force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shrinking force of the stretched film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ground shaft" shall be read in "absorption axis" or "transmission axis".

편광 필름(14)의 수축력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편광 필름(14)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호한 광학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3 ㎛ 이상이다. 또한, 건조 처리의 조건을 조정하는 것도 유용하다. In order to suppress the shrinking force of the polarizing film 14 to a low leve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14 is preferably 15 m or less, more preferably 12 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3 占 퐉 or more in that good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imparted. It is also useful to adjust the conditions of the drying treatment.

또한 편광 필름(14)의 두께에 대한 연신 필름(11)의 두께의 비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stretched film 11 to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14 is preferably 1 or more, more preferably 2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3 or more.

또한 편광 필름(14)의 두께에 대한 연신 필름(11)의 두께의 비는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 비의 조합에 의해, 편광 필름(14)의 수축을 연신 필름에 의해 억제하면서, 연신 필름의 수축도 본원에 규정하는 범위로 하기 쉽다.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stretched film 11 to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14 is preferably 7 or less. By the combination of these thickness ratios, the contraction of the polarizing film 14 can be suppressed by the stretched film, and the shrinkage of the stretched film is also easily set within the rang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편광 필름(14)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연신, 염색, 붕산 처리, 수세 공정, 건조 공정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2-15977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행하여도 좋다. 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기재 필름에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코팅에 의해서, 편광자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유용하다. The stretching, dyeing, boric acid treatment, washing and drying steps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14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You can do it. It is also useful to use a method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to be a polarizer by coa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base film like the method described in this document.

[연신 필름(11)][Stretch film (11)]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연신 필름(11)으로서는, 특히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olarizing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ed film 1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particularly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and the like. For example, polyolefin resins such as a cha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ike) and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and the like);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cellulose triacetate and cellulose diacetate; Polyester-based resin; Polycarbonate resin; (Meth) acrylic resins; Polystyrene type resin; Or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and the like.

연신 필름(11)은, 하기 식: The stretched film (11) has the following formula:

(1) 100 nm≤Re(590)≤180 nm, (1) 100 nm≤R e (590 ) ≤180 nm,

(2) 0.5<Rth(590)/Re(590)≤0.8, (2) 0.5 < R th (590) / R e (590)

(3) 0.85≤Re(450)/Re(550)<1.00 및3 <1.00 and 0.85≤R e (450) / R e (550)

(4) 1.00<Re(630)/Re(550)≤1.1(4) 1.00 < R e (630) / R e (550)

을 만족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에서, Re(590), Re(450), Re(550), Re(630)은 각각 측정 파장 590 nm, 450 nm, 550 nm, 63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 값을 나타내고, Rth(590)는 측정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나타낸다. 이들 면내 위상차 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온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 하에서 측정된다. Is preferable. Formula, R e (590), R e (450), R e (550), R e (630) represents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in the measuring wavelength 590 nm, 450 nm, 550 nm , 630 nm , respectively, R th (590) represents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the measurement wavelength of 590 nm. These in-plane retardation values and thickness retardation values are measured under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23 캜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연신 필름(11)의 면내 위상차 값 Re, 두께 방향 위상차 값 Rth는, 면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율을 nx, 면내 진상축 방향(면내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율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율을 nz, 연신 필름(11)의 두께를 d라고 할 때, 하기 식: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a retardation value R 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retched film 11 has a refractive index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n x, the in-plane fast axis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n y,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n z , and the thickness of the stretched film 11 is d, the following formula:

Re=(nx-ny)×dR e = (n x -n y ) x d

Rth=[{(nx+ny)/2}-nz]×d R th = [{(n x + n y) / 2} -n z] × d

로 정의된다. .

상기 식(1)∼식(4)의 위상차 특성 및 파장 분산 특성을 보이는 연신 필름(11)을 시인 측에 배치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서 여러 방향(방위각 및 극각)에서 화면을 보았을 때의 색조 변화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식(1)∼식(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색조 변화의 억제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the stretched film 11 showing th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s (1) to (4) is arranged on the viewer side, the polarized sunglasses were used and the screen was viewed in various directions (azimuth angle and polar ang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change in color tone and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other hand, when any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1) to (4) are not satisfied, the suppression of the hue change may become insufficient.

색조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식(1)에 있어서의 Re(590)는 105∼170 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2)에 있어서의 Rth(590)/Re(590)는 0.6∼0.75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3)에 있어서의 Re(450)/Re(550)는 0.86∼0.98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4)에 있어서의 Re(630)/Re(550)는 1.01∼1.06인 것이 바람직하다. R e (590) in the formula (1) is preferably 105 to 170 nm, and R th (590) / R e (590) in the formula (2) R e (450) / R e (550) in the formula (3) is preferably from 0.86 to 0.98, and R e (630) / R and e (550) is preferably 1.01 to 1.06.

연신 필름(11)은, 편광 필름(14)으로부터 연신 필름(11)을 향해서 출사된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원 편광인 경우를 포함함)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일종의 위상차 필름이며, 이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광학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45° 또는 대략 135°가 되도록 적층된다. 이루는 각도가 이 범위 밖인 경우에는,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기능을 얻을 수 없고, 그 결과, 상기 색조 변화의 억제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45° 또는 대략 135°란, 25∼65° 또는 115∼155°인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35∼55° 또는 125∼145°인 것을 의미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 또는 130∼140°인 것을 의미한다. The stretched film 11 is a kind of retardation film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ing film 14 toward the stretched film 11 into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includ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optical film is laminated so as to be approximately 45 DEG or approximately 135 DEG. When the angle formed is outside this range, a function of conver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into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and outputting it can not be obtained. As a result, the suppression of the change in color tone may become insuffic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bout 45 ° or about 135 ° means 25 to 65 ° or 115 to 155 °, preferably 35 to 55 ° or 125 to 145 °, more preferably 40 to 55 °, 50 DEG or 130 DEG to 140 DEG.

상기 식(1)∼식(4)의 위상차 특성 및 파장 분산 특성을 부여하기 쉽고, 또한, 투습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광학 적층체의 내습성이나 내습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신된 광학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혹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의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성분이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ince the retardation and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formulas (1) to (4) are easily imparted and the humidity resistance is relatively low, moisture resistance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of the optical laminate can be improved, ,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a polycarbonate-based resin, a cellulose-based resin, a polyester-based resin, or a (meth) acrylic-based resin, or a resin containing two or more thereof. Is more preferable.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hain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a homopolymer of a chain olefin such as a polyethylene resin and a polypropylene resin, and a copolymer composed of two or more chain olefins.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수소화물 등이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name of a resin that is polymerized using a cyclic olefin as a polymerization unit.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ring-opened (co) 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typically, random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chain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Graft polymers modified with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hydrides thereof. Among them, a norbornene resin using a norbornene monomer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 monomer as the cyclic olefin is preferably used.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ellulose ester resin is an ester of cellulose and a fatty acid.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These copolymers and those obtained by modifying a part of hydroxyl groups with other substituents may also be used. Of these, cellulose triacetate (triacetylcellulose: TAC) is particularly preferabl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2가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디올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ester-based resin is a resin having an ester bond,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 polycondensation product of a polyvalent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polyhydric alcohol. As the poly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 divalent di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dimethylterephthalate, dimethyl naphthalenedicarboxylate and the like. As the polyhydric alcohol, a dihydric diol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propane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ester-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polycyclohexane Dimethyl 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머 골격을 수식한 것과 같은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고 불리는 수지나,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이라도 좋다. The polycarbonate resin is composed of a polymer having a monomer unit bonded through a carbonate group.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a resin such as a modified polycarbonate having modified polymer skeleton, a copolymerized polycarbonate, or the like.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트)아크릴산C1-6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 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The (meth) acrylic resin is a resin mainly composed of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 acrylic resin include poly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ic acid ester-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 acrylate-styrene copolymer (MS resin and the like); A copolymer of methyl methacrylate and a compound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etc.) . Preferably, a polymer mainly composed of a poly (meth) acrylate C 1-6 alkyl ester such as poly (meth) acrylate is used, more preferably methyl methacrylate as a main component (50 to 100 wt% By weight, preferably 70 to 100% by weight) is used.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연신 필름(11)을 제작할 수 있다. 연신 처리로서는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미연신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MD),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TD), 기계 흐름 방향(MD)에 사교하는 방향 등을 들 수 있다. 이축 연신은, 2개의 연신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라도 좋고, 소정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라도 좋다. 연신 처리는, 예컨대 출구 측의 주속을 크게 한 2쌍 이상의 닙 롤을 이용하여, 길이 방향(기계 흐름 방향: MD)으로 연신하거나, 미연신 필름의 양측 끝을 척으로 파지하여 기계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TD)으로 넓히거나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 필름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연신 배율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위상차 값 및 파장 분산을 상기 식(1)∼식(2)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에 파장 분산 조정제를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파장 분산값을 상기 식(3)∼식(4)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tretched film 11 can be produced by stretching the film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Examples of the stretching treatment include uniaxial stretching and biaxial stretching. Examples of the stretching direction include a machine direction (MD) of the unstretched film, a direction (TD) orthogonal to the machine direction, and a direction of slacking in the machine direction (MD). Biaxial stretching may b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which two stretching direc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n stretching in another direction. In the stretching treatment, for example, stretching in the machine direction (machine direction: MD) using two or more pairs of nip rolls having a larger peripheral speed at the exit side, or grasping both ends of the unstretched film with a chuck, In the direction (TD) in which the light beam is emitt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tardation value and the wavelength dispersion within the ranges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s (1) to (2) by adjusting the film thickness o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Further, by adding a wavelength dispersion regulating agent to the resi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velength dispersion value within the range of the above-mentioned formulas (3) to (4).

연신 필름(11)의 두께는, 상기 식(1)∼식(4)를 충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고, 또한 취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stretched film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above formulas (1) to (4), but is preferably 9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6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More preferably 45 占 퐉 or l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eferably 5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80℃에 있어서의 연신 필름의 인장 탄성율은 2000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0 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장 탄성율의 연신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편광도 저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The tensile modulus of the stretched film at 80 캜 is preferably at least 2000 MPa,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3500 MPa. By using such a stretched film having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the lowering of the degree of polarization can be further reduced.

연신 필름(11)은, 윤활제, 가소제, 분산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적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연신 필름(11)이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파장 380 nm에 있어서의 연신 필름(11)의 투과율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etched film 11 may contain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a lubricant, a plasticizer, a dispersant, a hea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infrared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oxidant. When the stretched film 11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the transmittance of the stretched film 11 at a wavelength of 380 nm is preferably 10% or less.

또한, 원하는 표면 광학 특성 또는 그 밖의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서, 연신 필름(11)의 외면에 코팅층(표면 처리층(20))을 설치할 수 있다. 코팅층의 구체예는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대전방지층, 방오층을 포함한다.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ating layer (surface treatment layer 20) can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etched film 11 to impart desired surface optical characteristics or other characteristics. Specific examples of the coating layer include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static layer, and an antifouling layer. The method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 연신 필름(11)으로서는, 연신 필름을 105℃에서 가열했을 때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이 0.2 N/2 mm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편광도 저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연신 필름을 105℃에서 가열했을 때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바람직하게는 0.15 N/2 mm 이하이다. 또한,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서 화상 표시 장치를 보았을 때의 시인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연신 필름을 105℃에서 가열했을 때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0.002 N/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신 필름(11)을 사용함으로써, 내열 시험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의 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편광도 저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서 화상 표시 장치를 보았을 때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As the stretched film 11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etched film having a contraction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when heated at 105 캜 is 0.2 N / 2 mm or less is used. The shrinkage force in the slow axis direction when the stretched film is heated at 105 DEG C is preferably 0.15 N / 2 mm or less in that the lowering of the polarization degree can be made smaller.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film has a shrinkag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when heated at 105 DEG C of 0.002 N / 2 mm or more in that the polarizing sunglasses can protect the visibility when vie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By using such a stretched film 1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via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heat resistance tes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polarization deterioration and to improve the visibility when view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by using polarized sunglasses It can be made good.

연신 필름의 수축력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긴 변과 일치하도록, 연신 필름을 짧은 변 2 mm, 긴 변 50 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낸다. 잘라낸 연신 필름의 수축력을, 시판되는 열기계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상세는 실시예의 항에 따른다. The shrinking force of the stretched film can be measured as follows. The stretched film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short side of 2 mm and a long side of 50 mm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stretched film coincides with the long side. The shrinking force of the cut stretched film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thermomechanical analyzer. The details of the measurement method are as described in the examples.

이러한 연신 필름(11)은,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이축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축 연신할 때의 연신 조건을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연신 필름을 어닐링 처리하거나 함으로써 수축력 및 위상차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Such a stretched film 11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biaxially stretching a film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resin. More specifically, the stretching force and th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can be controlled by suitably controlling the stretch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biaxial stretching or annealing the stretched film.

수축력 및 위상차 특성을 제어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 연신 필름(11)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etched film 11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clic polyolefin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cellulose resin, a polyester resin, and a (meth) acrylic resi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one species.

연신 방법은 동시 이축 연신이라도 좋고, 축차 이축 연신이라도 좋지만, 동시 이축 연신에 의해 제조된 필름 쪽이, 상기 수축력을 만족하는 필름을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동시 이축 연신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미연신 필름의 양 단부를 척으로 파지하고, 그 양끝의 척의 이송 속도에 차등을 두고, 또한 기계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TD)으로 넓히거나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이축 연신에는, 한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 한쪽의 장력을 완화하여 수축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The stretching method may b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or continuous biaxial stretching, but a film produced by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a film satisfying the shrinking force. Th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ossible to grasp both ends of the unstretched film by chucking and to widen in the direction TD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flow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Th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ay include stretching in one direction and shrinking in another stretch.

일반적으로 장척형의 편광 필름은, 긴 변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기 때문에, 롤투롤로 장척형의 광학 필름과 장척형의 편광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광학 필름은 이축 연신에 의해 비스듬히 연신되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a long polarizing film has an absorption axis in a long side direction. Therefore, in view of being able to bond a long optical film and a long polarizing film to each other in a roll film, the optical film is stretched diagonally by biaxial stretching Is preferably produced.

[보호 필름(12)][Protection film (12)]

보호 필름(12)으로서는, 특히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12)으로서는, 위상차 값의 제어가 용이하고, 입수도 용이하므로,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The protective film 1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particularly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and the like. As the protective film 1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ellulose resin, a polyolefin resin, or an acrylic resin because the control of the retardation value is easy and easy to obtain. The polyolefin resin referred to herein includes a chain polyolefin resin and a cyclic polyolefin resin.

셀룰로오스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연신 필름(11)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cellulose-based resin, the cyclic olefin-based resin or the acrylic-based resin, those exemplified in the stretched film 11 can be used.

이상과 같은 수지로 필름으로 제막하는 방법은, 각각의 수지에 따른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예컨대, 앞에서 말한 용제캐스트법, 용융압출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용융압출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한편,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용제캐스트법에 의해서 제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film forming method using the resin as described above may appropriately select the method depending on each resin.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solvent casting method, melt extrusion method and the like can be adopted. Among them, a melt extrusion method is preferably employed for polyolefin resins and acrylic resin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cellulose resin is generally formed by a solvent casting method.

액정 셀이 횡전해(IPS: In-Plane Switching) 모드인 경우, 그 IPS 모드 액정 셀이 원래 갖는 광시야각 특성을 손상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 필름은,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가 -10∼1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liquid crystal cell is in an in-plane switching (IPS) mode, since the optical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nherent to the IPS mode liquid crystal cell is not impaired, the protective film has a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0 to 10 nm Is preferable.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를 -10∼10 nm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필름을 제작할 때에, 면내 및 두께 방향으로 잔류하는 변형을 최대한 작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제캐스트법에 있어서는, 그 유연(流延) 수지 용액를 건조할 때에 생기는 면내 및 두께 방향의 잔류 수축 변형을, 열처리에 의해서 완화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융압출법에 있어서는, 수지 필름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할 때까지 동안에 연신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다이에서부터 냉각 드럼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단축함과 더불어, 압출량과 냉각 드럼의 회전 속도를 필름이 연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캐스트법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필름에 잔류하는 변형을 열처리에 의해서 완화시키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within the range of -10 to 10 nm, there is a method of minimizing the deformation remaining in the plane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film is produced. 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solvent casting method, there can be adopted a method in which the residual shrinkage deformation in the plane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ich occurs when the cast (cast) resin solution is dried, is relaxed by hea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melt extrusion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e resin film from extruding from the die and being stretched until it is cooled, the distance from the die to the cooling drum is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extrusion amount and the rotation spee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ilm so as not to be stretched can be adopted. Also,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olvent casting method, a method of relaxing the deformation remaining in the obtained film by heat treatment can be employed.

보호 필름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며, 또한 취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9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60 占 퐉 or less, further preferably 40 占 퐉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 Preferably not less than 5 mu m,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10 mu m.

[편광 필름(14)과 보호 필름(12)과의 접합][Bonding of polarizing film 14 and protective film 12]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can be bonded by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그 두께를 0.01∼30 ㎛ 정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5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이 범위에 있으면, 적층되는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에 들뜸이나 벗겨짐을 일으키지 않아, 실용상 문제가 없는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점착제층은, 그 두께를 5∼50 ㎛ 정도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이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can be about 0.01 to 30 mu m, preferably 0.01 to 10 mu m, more preferably 0.05 to 5 mu m.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within this range, no peeling or peeling occurs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to be laminated, and an adhesive force with no problem in practical use can be obtain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 to 50 mu m, preferably 5 to 30 mu m, more preferably 10 to 25 mu m.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착함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이나 보호 필름에 미리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유용하다. In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it is also useful to subject the polariz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to a saponification treatment, a corona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or the like in advance.

접착제층의 형성에는, 피착체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서, 적합하게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앵커코트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로서, 예컨대, 용제형 접착제, 에멀젼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재습성 접착제, 중축합형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필름형 접착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an appropriate adhesive may be appropriately used depending on the type and purpose of the adherend, and if necessary, an anchor coat agent may also be used. 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e a solvent type adhesive, an emulsion type adhesi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e-wetting adhesive, a polycondensation adhesive, a solventless adhesive, a film type adhesive and a hot melt type adhesive.

바람직한 접착제의 하나로서, 수계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이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물에 용해 가능한 접착제 성분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있다. 또한, 물에 분산 가능한 접착제 성분의 예를 들면, 친수기를 갖는 우레탄계 수지가 있다. 수계 접착제는, 이러한 접착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추가 첨가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 될 수 있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KL-318" 등이 있다. As an example of a preferable adhesive, an aqueous adhesive, that is, an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adhesive component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Examples of the adhesive component dispersible in water include urethane-based resins having a hydrophilic group. The water-based adhesive can be prepared by mixing such an adhesive component with water together with an additional additive which is optionally compounded. Examples of a commercially availabl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at can be an aqueous adhesive include "KL-318 " which is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sold by Kabushiki Kaisha Kuraray.

수계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의 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수용성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이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경우는, 글리옥살을 비롯한 알데히드 화합물, 메틸올멜라민을 비롯한 메틸올 화합물,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이 가교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aqueous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as required.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mine compounds, aldehyde compounds, methylol compounds, water-soluble epoxy resins, isocyanate compounds, polyvalent metal salts and the like. Whe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as an adhesive component, an aldehyde compound including glyoxal, a methylol compound including methylolmelamine, a water-soluble epoxy resin,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여기서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이나 트리에틸렌테트라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의 시판 제품의 예를 들면, 다오카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미레즈레진(등록상표) 650(30)" 등이 있다. Here, the water-soluble epoxy resin may be a polyamide obtained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a polyamide polyamine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a polyalkylene polyamine such as diethylene triamine or triethylene tetramine with a dicarboxylic acid such as adipic acid, Epoxy resin. Examples of commercial products of water-soluble epoxy resins include "Sumirez resin (registered trademark) 650 (30) " sold by Daoka Kagaku Kogyo K.K.

편광 필름 및/또는 거기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의 접착면에,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양자를 접합시킨 후, 건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접착에 앞서서, 보호 필름에는, 비누화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또는 프라이머 처리와 같은 이접착 처리를 실시하여, 습윤성을 높여 두는 것도 유효하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50∼100℃ 정도로 할 수 있다. 건조 처리 후, 실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예컨대 30∼50℃ 정도의 온도에서 1∼10일간 정도 양생하는 것은 접착력을 한층 더 높이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A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n aqueous adhesive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 or the protective film to be bonded thereto and bonding them together, followed by drying treatment. Prior to the adhesion, it is also effective to increase the wetta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by subjecting the protective film to a bonding treatment such as saponification treatment,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or primer treatment. The drying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about 50 to 100 占 폚. After the drying treatment, curing at a temperature slightly higher than the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30 to 50 占 폚 for about 1 to 10 days is preferable in further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또 하나의 바람직한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다. 이 경우,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은, 당해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열을 부여하여, 접착제에 함유되는 경화성의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화합물의 양이온 중합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생산성의 관점에서, 이 경화는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preferable adhesive, there is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energy ray or heating. Here,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epoxy compound has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In this case,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by irradiating an actinic energy ray or applying heat to the applied layer of the adhesive composition to cure the curable epoxy compound contained in the adhesive . The curing of the epoxy compound is generally carried out by cationic polymerization of the epoxy compound.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is cur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내후성, 굴절율,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4-245925호 공보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여기서도 개략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From the viewpoints of weatherability, refractive index, cationic polymerizability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epoxy compound contained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that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include hydrogenated epoxy compounds, alicyclic epoxy compounds, aliphatic epoxy compounds, and the like. An epoxy compound suitably used for such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45925, but it will also be schematically described here.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은,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촉매의 존재 하 및 가압 하에서 선택적으로 핵수소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글리시딜에테르화한 것일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및 비스페놀 S와 같은 비스페놀류;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및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의 수지; 테트라히드록시디페닐메탄,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및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작용형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핵수소화 반응을 행하고,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시딜에테르화할 수 있다. 적합한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The hydrogenated epoxy compound may be a glycidyl etherified product of a nuclear hydrogenated polyhydroxy compound obtained by subjecting an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 as a raw material of an aromatic epoxy compound to a nuclear hydrogenation reaction selectively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and under pressure . Examples of the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 as a raw material of the aromatic epoxy compound include bisphenols such as bisphenol A, bisphenol F and bisphenol S; Novolak type resins such as phenol novolak resin, cresol novolak resin and hydroxybenzaldehyde phenol novolac resin;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tetrahydroxydiphenylmethane, tetrahydroxybenzophenone and polyvinylphenol, and the like. The glycidyl etherification can be carried out by subjecting the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 to a nuclear hydrogenation reaction and then reacting the obtained nucleus hydrogenated polyhydroxy compound with epichlorohydrin. Suitable hydrogenated epoxy compounds include glycidyl ethers of hydrogenated bisphenol A.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이다.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다음 식에 표시되는 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의 산소 원자 -O-를 의미하고, 이 식에서, m은 2∼5의 정수이다.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in the molecule. The "epoxy group bonded to the alicyclic ring" means a bridging oxygen atom -O- in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wherein m is an integer of 2 to 5.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 식에 있어서의 (CH2)m 중의 수소 원자를 1개 또는 복수 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 될 수 있다. 또한, 지환식 고리를 형성하는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와 같은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옥사비시클로헥산환(상기 식에 있어서 m=3인 것)이나, 옥사비시클로헵탄환(상기 식에 있어서 m=4인 것)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은, 우수한 접착성을 보이므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든다. 여기서는, 우선 화합물명을 들고, 그 후, 각각에 대응하는 화학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며, 화합물명과 그것에 대응하는 화학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A compound in which one or more hydrogen atoms in (CH 2 ) m in this formula are bonded to other chemical structures may be an alicyclic epoxy compound. One or more hydrogen atoms in (CH 2 ) m forming an alicyclic ring may be appropriately substituted with a straight chain alkyl group such as a methyl group or an ethyl group. Among the alicyclic epoxy compounds, an epoxy compound having an oxabicyclohexane ring (wherein m = 3 in the above formula) or an oxabicycloheptane ring (in which m = 4 in the above formula) has excellent adhesiveness So that it is preferably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are given below. Here, the compound names are given first, and then the corresponding chemical formulas are shown. The compound names and the corresponding chemical formula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A: 3,4-epoxycyclohexylmethyl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3,4-

B: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B: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3,4-epoxy-6-methylcyclohexanecarboxylate,

C: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C: Ethylene bis (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D: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D: bis (3,4-epoxycyclohexylmethyl) adipate,

E: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아디페이트, E: bis (3,4-epoxy-6-methylcyclohexylmethyl) adipate,

F: 디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F: di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G: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G: ethylene glycol bis (3,4-epoxycyclohexylmethyl ether),

H: 2,3,14,15-디에폭시-7,11,18,21-테트라옥사트리스피로[5.2.2.5.2.2]헨이코산, H: 2,3,14,15-diepoxy-7,11,18,21-tetraoxatrispyro [5.2.2.5.2.2] heneic acid,

I: 3-(3,4-에폭시시클로헥실)-8,9-에폭시-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I: 3- (3,4-epoxycyclohexyl) -8,9-epoxy-1,5-dioxaspiro [5.5] undecane,

J: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J: 4-vinylcyclohexene dioxide,

K: 리모넨디옥사이드, K: limonene dioxide,

L: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L: bis (2,3-epoxycyclopentyl) ether,

M: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M: dicyclopentadiene dioxide and the lik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과 같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The aliphatic epoxy compound may be a polyglycidyl ether of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or an alkylene oxide adduct thereof. More specifically, diglycidyl ether of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of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of 1,6-hexanediol;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Triglycidyl ether of trimethylolpropane; A polyglycidyl ether of a polyether polyol (e.g., a diglycidyl ether of polyethylene glycol) obtained by adding an alkylene oxide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to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glycerin .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이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the epoxy compound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mong these, the epoxy compound preferably contain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bonded to an alicyclic ring in the molecul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통상 30∼3,000 g/당량 범위 내의 에폭시 당량을 가지며, 이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50∼1,500 g/당량의 범위이다. 에폭시 당량이 30 g/당량을 밑도는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경화 후의 편광판의 가요성이 저하하거나 접착 강도가 저하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3,000 g/당량을 넘는 에폭시 당량을 갖는 화합물에서는,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The epoxy compound used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usually has an epoxy equivalent within a range of 30 to 3,000 g / equivalent, and the epoxy equival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1,500 g / equivalent. When an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 equivalent of less than 30 g / equivalent is 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lexi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curing is lowered and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in a compound having an epoxy equivalent of more than 3,000 g / equival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lowered.

반응성의 관점에서,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 반응으로서 양이온 중합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는,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및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작업성의 관점에서, 양이온 중합개시제에는 잠재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라고 하고, 열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열양이온 중합개시제」라고 한다. From the viewpoint of reactivity, cationic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used as a curing reaction of an epoxy compou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incorporate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nto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generates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irradiation or heating of an active energy ray such as visible light, ultraviolet ray, X-ray and electron beam to initiat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poxy group.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given a potential. Hereinafter,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generating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to initiate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an epoxy group is referred to as a &quot;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quot;, and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is generated by heat to generate an epoxy group The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referred to as &quot;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quot;.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방법은, 상온 상습에서의 경화가 가능하게 되어, 편광 필름의 내열성 또는 팽창에 의한 변형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고,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는, 빛으로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 화합물에 혼합하더라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The method of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using a cationic ion polymerization initiator enables curing at room temperature and normal humidity to reduce the need to consider deformation due to heat resistance or expansion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can be favorably adhered. Further, since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cts catalytically with light, even when mixed with an epoxy compound, the storage stability and workability are excellent.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이다. Examples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romatic diazonium salts; Onium salts such as aromatic iodonium salts and aromatic sulfonium salts, and iron-allene complexes.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ually 0.5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ompound.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를 밑돌면, 경화가 불충분하게 되어,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ompound, the curing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tend to be lowered.

한편,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넘으면, 경화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져, 내구 성능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poxy compound, the ionic substance in the cured product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hygroscopicity of the cured product and possibly lowering the durability.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이용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광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양이온 중합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화합물,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 속도 향상을 위해서, 나프토퀴논 유도체와 같은 증감 조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When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ed,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photosensitizer, if necessary. By using a photosensitizer, the reactivity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can be improved. Examples of the photosensitizer include a carbonyl compound, an organic sulfur compound, a persulfide compound, a redox compound, an azo compound, a diazo compound, a halogen compound, a light reducing pigment and the like. When the photosensitizer is blended, the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curing rate, a sensitizer such as a naphthoquinone derivative may be used.

한편, 열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벤질술포늄염, 티오페늄염, 티오라늄염, 벤질암모늄, 피리디늄염, 히드라지늄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th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ylsulfonium salts, thiophenium salts, thioronium salts, benzylammonium, pyridinium salts, hydrazinium salts, carboxylic acid esters, sulfonic acid esters and amine imides.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대로 광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열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존재시켜, 열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시킬 수도 있고, 광양이온 중합과 열양이온 중합을 병용할 수도 있다. 광양이온 중합과 열양이온 중합을 병용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는,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와 열양이온 중합개시제 양쪽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is preferably cured by light-ionic 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but it may be cured by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described above, And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hen the cationic ion polymerization and the thermal cation polymerization are used in combin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both a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옥세탄 화합물이나 폴리올 화합물 등, 양이온 중합을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여도 좋다.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4원환 에테르를 갖는 화합물이다.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에, 통상 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이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이나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알킬렌글리콜 또는 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에, 통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다. Furthe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compound that promotes cation polymerization such as an oxetane compound or a polyol compound. The oxetane compound is a compound having a 4-membered ring ether in the molecule. When the oxetane compound is compounded, the amount thereof is usually 5 to 95% by weight, preferably 5 to 50% by weight,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The polyol compound may be an alkylene glycol or an oligomer thereof, such as ethylene glycol, hexamethylene glycol, or polyethylene glycol, a polyester polyol, a polycaprolactone polyol, a polycarbonate polyol, or the like. When blending the polyol compound, the amount thereof is generally 50%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추가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그 접착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다른 첨가제, 예컨대, 이온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이동제, 증감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온트랩제로서는, 예컨대, 분말상의 비스무트계, 안티몬계, 마그네슘계, 알루미늄계, 칼슘계, 티탄계, 이들의 혼합계 등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산화방지제로서는, 예컨대, 힌더드페놀계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Furthe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an ion trapping agent, an antioxidant, a chain transfer agent, a sensitizer, a tackifier, a thermoplastic resin, a filler, Plasticizers, antifoaming agent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ion trap agent include inorganic compounds including powdery bismuth, antimony, magnesium, aluminum, calcium, titanium, and mixtures thereof. Examples of the antioxidant include hindered Phenol antioxidants and the like.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 필름 또는 보호 필름의 접착면, 혹은 이들 양쪽의 접착면에 도공한 후, 접착제의 도공된 면에서 접합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가열함으로써 미경화의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닥터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코터, 콤마코터, 그라비아코터 등, 다양한 도공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compound is coated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or both the adhesive surfaces thereof and then bonded on the coated surface of the adhesive to irradiate the active energy ray or to heat Whereby the uncured adhesive layer can be cured to adhere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As the coating method of the adhesive,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a doctor blade, a wire bar,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nd a gravure coater can be adopted.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는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 접착제로서 이용할 수 있지만,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최적의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점도 조정을 위해서 용제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용제는,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에폭시 화합물을 비롯한 각 성분을 양호하게 용해하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톨루엔으로 대표되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is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an basically be used as a solvent-free adhesive agent substantially not containing a solvent. However, since each coating method has an optimum viscosity range, a solvent may be added for viscosity adjustment . The solvent is preferably an organic solvent that dissolves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epoxy compound well without deteriorating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Examples thereof include hydrocarbons typified by toluene, esters typified by eth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used.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전술한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취급이 용이하고, 조사 광량 등의 제어도 용이하므로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활성 에너지선, 예컨대 자외선의 조사 강도나 조사량은, 편광 필름의 편광도를 비롯한 각종 광학 성능, 및 보호 필름의 투명성이나 위상차 특성을 비롯한 각종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알맞은 생산성이 유지되도록 적절하게 결정된다.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ure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various kinds of the above-mentioned active energy rays can be used. However,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are easy to handle and easily control the amount of irradiation light. The irradiation intensity or irradiation amount of an active energy ray, for example, ultraviolet ray is suitably adjusted so as not to affect various optical performances including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ing film and various optical performances including transparency and retar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film .

열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가열할 수 있다. 통상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배합된 열양이온 중합개시제가 양이온종이나 루이스산을 발생하는 온도 이상에서 가열이 행해지고, 구체적인 가열 온도는 예컨대 50∼200℃ 정도이다. Whe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ured by heat, it can be heated by a generally known method. Usually, the thermal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mixed 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heated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a temperature at which a cationic species or Lewis acid is generated, and the specific heat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about 50 to 200 캜.

편광 필름(14)과 보호 필름의 접합에는, 점착제층을 매개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편광 필름(14)과 보호 필름의 적층에 이용하는 점착제층은,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 응집성, 접착성 등을 포함하는 점착 특성이 우수한 것이면 되지만, 추가로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laminate the polarizing film 14 and the protective film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be used for the lamination of the polarizing film 14 and the protective film may be any one having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and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including appropriate wettability,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and further preferably excellent in durability and the like . Specifically,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e.

아크릴계 점착제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옥틸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요한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이 아크릴계 수지에는 통상 극성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다. 극성 모노머란, 중합성 불포화 결합 및 극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여기서 중합성 불포화 결합은, (메트)아크릴로일기에 유래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극성 작용기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일 수 있다. 극성 모노머의 구체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2-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resin having acrylic acid alkyl ester such as butyl acrylate, eth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s main monomers. A polar monomer is usually copolymerized with the acrylic resin. The polar monomer is a compound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and a polar functional group, wherein the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is derived generally from a (meth) acryloyl group, and the polar functional group is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polar monom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2-N, ) Acrylate, and glycidyl (meth) acrylate.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통상 아크릴계 수지와 함께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다. 가교제의 대표예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토기(-NCO)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usually blended with a crosslinking agent together with an acrylic resin. As typical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there can be mentioned isocyanat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isocyanato groups (-NCO) in the molecule.

점착제에는 추가로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적합한 첨가제로서, 실란 커플링제나 대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리와의 접착력을 높이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대전방지제는 정전기의 발생을 저감 또는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further contain various additives. Suitable additives include silane coupling agents and antistatic agents.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effective in enhancing adhesion to glass. The antistatic agent is effective in reducing 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점착제층은, 이상과 같은 점착제 성분이 유기 용제에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접합면(편광 필름 혹은 보호 필름) 중 어디에 직접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서, 혹은 이형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으로 하고, 이것을 접합면(편광 필름 혹은 보호 필름) 중 어디에 접착하여 점착제를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의 직접 도공법에 의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경우는, 그 표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세퍼레이터라고도 불림)을 접합하여,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 표면을 임시 부착하여 보호하는 것이 통례이다. 유기 용제 용액인 점착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 등에서, 후자의 전사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는, 맨 처음에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이형 처리된 기재 필름이, 편광판에 접착한 후 그대로 세퍼레이터로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안성맞춤이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 method of prepar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irectly to a bonding surface (polarizing film or protective film), drying and removing the solv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base film made of the resin film, and the solvent is removed by drying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is adhered to any of the bonding surfaces (polarizing film or protective film) Method can be formed. Whe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direct coating method using an electron, it is customary to bond a surface of a resin film (also referred to as a separator)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to the surface thereof and temporarily adhere and protect the surface of the pressure- The latter transfer method is widely used in view of handling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an organic solvent solution. In this case, the release-treated base film used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the beginning is adhered to the polarizer, It is also suitable for being able to be.

접착제나 점착제로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적층하기 전에는, 접합되는 편광 필름 면 및 연신된 광학 필름 면이나 점착제 면에 미리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유용하다. Prior to lamin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with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is also useful to perform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or the like in advance on the polarizing film surface to be bonded and the stretched optical film surface or adhesive surface.

[제1 점착제층(13)][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보호 필름(12)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14)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쪽의 면 측에 형성되는 제1 점착제층(13)은,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 응집성, 접착성 등을 포함하는 점착 특성이 우수한 것이면 되지만, 추가로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점착제층(13)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form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12 opposite to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14 is excellent in optical transparency and has appropriate wettability, cohesiveness, .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on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the like. Specifically,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used. Specifical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can be used for laminat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may be used.

제1 점착제층(13)은,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적층하기 위한 점착제층과 마찬가지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제1 점착제층(13)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액정 셀에 붙일 때는, 그때까지 점착제층을 덮어 임시 부착 보호하고 있었던 표면 보호 필름(세퍼레이터)을 벗기고 나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데, 그 표면 보호 필름을 벗길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서, 액정 셀 내의 액정의 배향 불량을 일으키고, 이 현상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전기의 발생을 저감 또는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점착제에 대전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은 유효하다.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3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for laminat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Among them,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3 preferably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Generally, when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a liquid crystal cell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surface protective film (separator) which has been temporarily adhered and protected by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til then is peeled off and then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The static electricity may cause defective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 in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is phenomenon may cause display fail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effective to add an antistatic agen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a means for reducing 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uch static electricity.

보호 필름(12)과 제1 점착제층(13)을 접합할 때는, 보호 필름(12)과 제1 점착제층(13)을 접합하는 면에, 각각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유용하다. When joining the protective film 12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it is also effective to perform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or the like on the surfac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12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are bonded.

[편광판의 제조 방법][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접착제를 통해 편광 필름(14)과 보호 필름(12)을 롤투롤로 접합한 후, 편광 필름(14) 상에 접착제를 통해 연신 필름(11)을 롤투롤로 접합하는 방법이나, 접착제를 통해 연신 필름(11), 편광 필름(14) 및 보호 필름(12)을 동시에 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제층(13)을 보호 필름(12) 상에 형성함으로써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은 제1 점착제층(13)을 통해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fter the polarizing film 14 and the protective film 12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a roll roll, 11) with a roll roll, or a method of simultaneously bonding the stretched film 11, the polarizing film 14, and the protective film 12 with an adhesive. Further, by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on the protective film 12, a polariz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bond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3).

그리고 편광판을 매엽체로 컷트함으로써 원하는 형상, 크기의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이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긴 변의 길이와 짧은 변의 길이의 비는 10:1∼1:1인 것이 바람직하고, 2:1∼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판의 크기는, 그 긴 변의 길이가 5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그 짧은 변의 길이가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편광판의 크기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2.7형(55 mm×4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형(154 mm×87 mm)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3형(174 mm×231 mm) 이상이다. Then, the polarizing plate is cut into a single sheet of paper to produc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desired shape and size. The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and short sides. Whe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long sides and short sides,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long side to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preferably 10: 1 to 1: 1, more preferably 2: 1 to 1: 1 Do.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is preferably 50 mm or more, more preferably 150 mm or more, 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preferably 40 mm or more, more preferably 80 mm or mor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7 mm (55 mm x 41 mm) or more, more preferably 7.0 mm (154 mm x 87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1.3 mm mm x 231 mm).

[화상 표시 소자,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element,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소자 및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소자로서는, 액정 셀이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소자를 들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소자에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층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편광판은 시인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element include a liquid crystal cell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element.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mage display element.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의 각 물성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parts and% indicating the content or amount are based on the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the respective properties in the following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1) 두께의 측정: (1) Measurement of thickness: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micrometer "MH-15M"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2) 면내 위상차 값 및 파장 분산 특성의 측정(2) Measurement of in-plane retardation value and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오지 게이소쿠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평행 니콜 회전법을 원리로 하는 위상차계 "KOBRA(등록상표)-WPR"를 이용하여, 23℃의 온도에 있어서, 필름 A∼E의 면내 위상차 값 Re(590), Re(450), Re(550), Re(630)를 측정함과 더불어, Re(450)/Re(550), Re(630)/Re(550)를 산출했다. Plane retardation value Re (590) of the films A to E at a temperature of 23 占 폚 using a phase difference meter "KOBRA (registered trademark) -WPR" based on a parallel Nicol rotation method manufactured by Oji Keisukei Kikai Co., Re (450) / Re (550) and Re (630) / Re (550) were calculated by measuring Re (450), Re (550) and Re (630)

(3) 편광판의 편광도 및 단체 투과율의 측정: (3) Measurement of Polarizability and Bulk Transmittance of Polarizer:

적분구를 갖는 분광광도계〔닛폰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 2도 시야; C 광원〕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A spectrophotometer having an integrating sphere (&quot; V7100 &quot;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2 degrees viewing angle; C light source].

(4) 연신 필름의 수축력의 측정(4) Measurement of shrinkage force of stretched film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긴 변과 일치하도록, 연신 필름을 짧은 변 2 mm, 긴 변 50 mm의 직사각형으로 수퍼커터(가부시키가이샤 오기노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에 의해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했다. 시험편의 수축력을 열기계 분석 장치(에스아이아이ㆍ나노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형식 TMA/61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 측정은, 치수 일정 모드에서 실시하고(척 사이 거리를 10 mm로 함), 시험편을 20℃의 실내에 충분한 시간 방치한 후 샘플의 실내의 온도 설정을 20℃에서부터 105℃까지 10분간으로 승온시키고, 승온 후에는 샘플의 실내의 온도를 105℃에서 유지하도록 설정했다. 승온 후 추가로 30분 방치한 후, 105℃의 환경 하에서 시험편의 긴 변 방향의 수축력을 측정했다. 이 측정에 있어서 정하중은 0 mN으로 하고, 지그에는 SUS제의 프로브를 사용했다. The stretched film was cut out with a super cutter (manufactured by Ogino Seiki Seisakusho Co., Ltd.) with a rectangle of 2 mm in short side and 50 mm in long side so that the slow axis of the stretched film coincided with the long side. The shrinkage force of the test piece was measured using a thermomechanical analyzer (Type TMA / 6100, manufactured by SAI, Nanotechnology Co., Ltd.). This measurement is performed in a constant-size mode (distance between chucks is 10 mm), and the test piece is allowed to stand in a room at 20 ° C for a sufficient time. Then, the temperature setting of the room is raised from 20 ° C to 105 ° C for 10 minutes And aft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he room temperature of the sample was set to be maintained at 105 ° C.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the test piece was further left for 30 minutes, and then the shrinkage force in the long-side direction of the test piece was measured under an environment of 105 ° C. In this measurement, a static load was set to 0 mN, and a probe made of SUS was used for the jig.

[제조예 1]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Production Example 1]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두께 2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건식 연신에 의해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5/5/100인 수용액에 28℃에서 60초간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8.5/8.5/100인 수용액에 72℃에서 300초간 침지했다. 이어서 26℃의 순수로 20초간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두께 7 ㎛의 편광 필름을 얻었다. A polyvinyl alcohol film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or more)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as uniaxially stretched by about 5 times by dry stretching and immersed in pure water at 60 占 폚 for one minute And then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weight ratio of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of 0.05 / 5/100 at 28 ° C for 60 seconds. Thereafter,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weight ratio of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of 8.5 / 8.5 / 100 at 72 ° C for 300 seconds. Subsequently, the film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26 ° C for 20 seconds, and then dried at 65 ° C to obtain a polariz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7 μm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a polyvinyl alcohol film.

이어서, 이 편광 필름의 한쪽에, 물 100 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에서 입수한 상품명 "KL-318"〕을 3 부 용해하고, 그 수용액에 수용성 에폭시 수지인 폴리아미드에폭시계 첨가제〔다오카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입수한 상품명 "스미레즈레진(등록상표) 650(30)", 고형분 농도 30%의 수용액〕를 1.5 부 첨가한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보호 필름으로서 두께 13 ㎛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닛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ZF-14-013"〕을 접합시켜, 보호 필름/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Subsequently, 3 parts of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trade name "KL-318 ", available from Kabushiki Kaisha Kurara Co., Ltd.) was dissolved in 100 parts of water 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An epoxy-based adhesive to which 1.5 parts of an amide epoxy additive (Sumirez Resin (registered trademark) 650 (30),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obtained from Daoka Kagaku Kogyo K.K.) (Trade name: "ZF-14-013 ",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13 탆 was bonded as a protective film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 polarizing film.

[제조예 2] 연신 필름[Production Example 2]

연신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이하의 연신 필름을 준비했다. 또한 참고예로서 미연신의 필름도 준비했다. The following stretched films were prepared by adjust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As a reference example, an unoriented film was also prepared.

연신 필름 A: 미연신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연신하여, 두께 40 ㎛의 연신 TAC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0.18 N/2 mm였다. Stretched film A: An unstretched triacetylcellulose (TAC) film was stretched to prepare a stretched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The shrinking force of this film in the slow axis direction was 0.18 N / 2 mm.

연신 필름 B: 미연신의 TAC 필름을 연신하여, 두께 40 ㎛의 연신 TAC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0.02 N/2 mm였다. Stretched film B: An unstretched TAC film was stretched to prepare a stretched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The shrinkage force of this film in the slow axis direction was 0.02 N / 2 mm.

연신 필름 C: 미연신의 TAC 필름을 연신하여, 두께 40 ㎛의 연신 TAC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0.30 N/2 mm였다. Stretched film C: An unstretched TAC film was stretched to prepare a stretched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The shrinking force of the film in the slow axis direction was 0.30 N / 2 mm.

연신 필름 D: 미연신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COP) 필름을 연신하여, 두께 25 ㎛의 연신 COP 필름을 제작했다. 이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수축력은 0.002 N/2 mm였다. Stretched Film D: An unoriented cycloolefin resin (COP) film was stretched to produce a stretched COP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탆. The shrinking force of the film in the slow axis direction was 0.002 N / 2 mm.

미연신 필름 E: 두께 40 ㎛의 미연신 TAC 필름을 제작했다. 어느 방향이나 수축력은 0.001 N/2 mm였다. Unstretched film E: An unoriented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was produced. The contraction force in any direction was 0.001 N / 2 mm.

상기 필름의 광학 특성 등은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The optical properties and the like of the film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실시예 1] [Example 1]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의 편광 필름 상에, 물 100 부에 대하여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에서 입수한 상품명 "KL-318"〕을 3 부 용해하고, 그 수용액에 수용성 에폭시 수지인 폴리아미드에폭시계 첨가제〔다오카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입수한 상품명 "스미레즈레진(등록상표) 650(30)", 고형분 농도 30%의 수용액〕를 1.5 부 첨가한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했다.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한 면에 연신 필름 A를 접합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3 parts of a carbox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trade name "KL-318 ", available from Kabushiki Kaisha Kurara Co., Ltd.) was dissolved in 100 parts of water on a polarizing film of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An epoxy adhesive to which 1.5 parts of a polyamide epoxy additive (Sumirez Resin (registered trademark) 650 (30),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obtained from Daoka Kagaku Kogyo Co., Ltd.) . The stretched film A was bonded to the surface coated with the epoxy adhesiv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얻어진 편광판을 40 mm×40 mm의 크기로 컷트하여, 보호 필름이 무알칼리 유리와의 접합면이 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기 무알칼리 유리에 압착했다. 50℃, 5 kg의 하중으로 20분간 오토클레이브 안에 방치하여 접착 상태를 숙성하고, 이어서 23℃/60% RH의 환경 하에서 10시간 방치했다.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a size of 40 mm x 40 mm and pressed against the alkali-free glass through an adhesive so that the protective film became a bonding surface with the alkali-free glass.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in an autoclave at 50 DEG C under a load of 5 kg for 20 minutes to mature the adhered state, and then left to stand for 10 hours under an environment of 23 DEG C / 60% RH.

그 후, 얻어진 편광판의 초기 편광도를 구하기 위해서, 투과축 방향과 흡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자외 가시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편광도(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JIS-Z8729에 준거하여 계산으로 구했다. Then, in order to obtain the initial polarization degre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ultraviolet visible spectrum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was measured. The degree of polarization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wa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JIS-Z8729.

에스펙 제조 항온항습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편광판을 105℃의 환경에서 1시간 방치하는 내열 시험을 행하였다. 항온항습기로부터 편광판을 빼낸 직후 30분 이내에, 초기 편광도의 측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편광도를 측정했다. 이 편광판의 초기 편광도와 내열 시험 후에 있어서의 편광도의 차분(편광도의 변화량)은 -0.028%였다. A heat resistance test was conducted in which the produced polarizing plate was allowed to stand in an environment of 105 캜 for 1 hour us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achine manufactured by Espec Corporation. Within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polarizer was removed from the thermo-hygrostat, the degree of polarization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easurement of the initial polarization. The initial polarized light of this polarizing plate and the difference in polarization degree after the heat resistance test (change amount of polarization degree) were -0.028%.

또한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시인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액정 셀에 접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얻었다.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점등하여, 편광 선글라스를 통해 그 화상을 관찰했다. 관찰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에 대하여 360° 전방위에서 행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Further, in order to evaluate the visibility in the state of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the polarizing plate wa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was turned on, and the image was observed through polarized sunglasses. Observation was performed at a 360-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valuation was made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시인성><Visibility in polarized sunglasses>

○: 어느 방위로부터도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A: Images can be viewed from any direction.

×: 화상을 시인할 수 없는 각도가 있다. X: There is an angle at which the image can not be viewed.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착색>&Lt; Coloring in the state of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

◎: 어느 방위로부터도 색조의 변화없이 시인할 수 있다. &Amp; cir &amp;: Visible from any direction without changing color tone.

○: 색조의 변화가 생기는 각도가 있지만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 There is an angle at which the color tone changes, but it is acceptable.

[실시예 2∼3, 비교예 1, 참고예 1][Examples 2 to 3, Comparative Example 1, Reference Example 1]

연신 필름 A를, 연신 필름 B∼D 또는 미연신 필름 E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판을 제조했다. 제조한 편광판 각각에 관해서 초기 편광도 및 내열 시험 후에 있어서의 편광도를 측정하여,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시인성·착색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retched film A was changed to the stretched films B to D or the unstretched film E. Each of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s was measured for initial polarization degree and polarization degree after heat resistance test, and visibility and coloring evaluation in the state of wearing polarized sunglasses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면서, 내열 시험 시에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에 의해서 야기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의 틀어짐에 의한 편광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a decrease in polarization degree caused by a change in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ing film caused by a dimensional change of an optical film at the time of heat resistance test while making the visibility in a state of polarizing sunglasses good It is useful because it can do.

10: 편광판, 11: 연신 필름, 12: 보호 필름, 13: 제1 점착제층, 14: 편광 필름, 15: 보호 필름, 20: 표면 처리층10: polarizing plate, 11: stretched film, 12: protective film, 13: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4: polarizing film, 15: protective film,

Claims (7)

연신 필름, 편광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이 순서로 가지고,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상기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 또는 대략 135°이고,
상기 연신 필름은, 105℃에서 30분간 가열했을 때의 연신 방향의 수축력이 0.2 N/2 mm 이하인 편광판.
A stretched film, a polarizing film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is order,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low axis of the stretched film is about 45 ° or about 135 °,
Wherein the stretched film has a shrinking force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0.2 N / 2 mm or less when heated at 105 캜 for 30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연신 필름이, 점착제층, 수계 접착제층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tretched film are laminated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 aqueous adhesive layer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편광판. The stretched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retched film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clic polyolefin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cellulose resin, a polyester resin and a (meth) acrylic resin Polarizing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 측의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표면 처리층을 갖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retched film has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polarizing film 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은, 이하의 식(1)∼식(4)를 만족하는 편광판.
(1) 100 nm≤Re(590)≤180 nm,
(2) 0.5<Rth(590)/Re(590)≤0.8,
(3) 0.85≤Re(450)/Re(550)<1.00
(4) 1.00<Re(630)/Re(550)≤1.1
〔식(1)∼식(4)에서, Re(590), Re(450), Re(550), Re(630)은 각각 파장 590 nm, 450 nm, 550 nm, 63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 값을 나타내고, Rth(590)는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나타낸다.〕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retched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1) 100 nm≤R e (590 ) ≤180 nm,
(2) 0.5 < R th (590) / R e (590)
(3) 0.85≤R e (450) / R e (550) <1.00
(4) 1.00 < R e (630) / R e (550)
[Formula (1) to equation (4), R e (590 ), R e (450), R e (550), R e (630) are respectively the wavelength 590 nm, 450 nm, 550 nm , 630 nm in And R th (590) represents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at a wavelength of 590 n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긴 변의 길이와 짧은 변의 길이의 비는 10:1∼1:1인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long side to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10: 1 to 1: 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편광판이, 상기 제1 점착제층을 통해 화상 표시 소자에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s laminated on the image disp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KR1020160153130A 2015-11-20 2016-11-17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594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7382A JP2017097087A (en) 2015-11-20 2015-11-20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JP-P-2015-227382 2015-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407A true KR20170059407A (en) 2017-05-30

Family

ID=5881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130A KR20170059407A (en) 2015-11-20 2016-11-17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97087A (en)
KR (1) KR20170059407A (en)
CN (1) CN106873068B (en)
TW (1) TWI70146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6125A1 (en) * 2018-09-25 2020-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KR102399189B1 (en) * 2019-07-02 2022-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Injection-molded Product
CN114829993A (en) * 2019-12-11 2022-07-29 日东电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group,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1452A (en) * 2000-03-31 2001-10-10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81334B2 (en) * 2005-03-31 2011-05-11 帝人株式会社 Laminated retardation film
CN101414022B (en) * 2007-10-17 2010-10-1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Polarizing optical element, LCD device, polarized light source and method thereof
JP4791434B2 (en) * 2007-11-15 2011-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282146A (en) * 2008-05-20 2009-12-0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Optical film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JP5391818B2 (en) * 2008-06-11 2014-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JP5408923B2 (en) * 2008-08-04 2014-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film
JP5148431B2 (en) * 2008-09-19 2013-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2011203641A (en) * 2010-03-26 2011-10-13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JP5985145B2 (en) * 2010-10-07 2016-09-06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584672B2 (en) * 2011-11-24 2014-09-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Liquid crystal display
EP3127681A4 (en) * 2014-03-31 2017-11-08 Kuraray Co., Ltd. Biaxially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olarizer protective film, decorative film, and layer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73068B (en) 2021-06-11
CN106873068A (en) 2017-06-20
TWI701469B (en) 2020-08-11
JP2017097087A (en) 2017-06-01
TW201727286A (en)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85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used in the same
KR20180132976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8180407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170059407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7455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out nonuniform display
JP2017083820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21036328A (en)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panel
CN106990471B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180105193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WO2017130656A1 (en) Produc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s
KR101643503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173169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 sided protective polarizing plate
CN109298479B (en) Polarizing plate group and liquid crystal panel
TWI711845B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KR101748531B1 (en)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panel
JP201007921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JP201010228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WO201003590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