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303A -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303A
KR20170059303A KR1020150163527A KR20150163527A KR20170059303A KR 20170059303 A KR20170059303 A KR 20170059303A KR 1020150163527 A KR1020150163527 A KR 1020150163527A KR 20150163527 A KR20150163527 A KR 20150163527A KR 20170059303 A KR20170059303 A KR 20170059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og
status
search
playback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919B1 (ko
Inventor
장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6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G06F17/300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는 상황 코드 생성부,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는 상황 로그 생성부,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및 미디어 재생 장치로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MEDIA 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 전송 서비스(Contents Delivery Service)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보다 빠르게 네티즌들에게 전송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 콘텐츠가 과거 텍스트나 정지화상 위주에서 동영상과 오디오파일 등의 대용량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급속하게 변환되는 추세여서 네티즌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콘텐츠 전송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하나이며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나 기술을 콘텐츠 전송 솔루션 또는 콘텐츠 전송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 및 추천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51961호는 콘텐츠 안내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콘텐츠 추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단문 형태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입력받아 콘텐츠를 추천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 사용자의 성향 등을 분석하고, 여기에 맞는 콘텐츠로 구성된 개인화 추천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향기반의 추천은 매시간 매초마다 변화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는 평소의 성향과 항상 일치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에 기반한 콘텐츠 검색 및 콘텐츠 추천 결과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검색 또는 추천에 대한 명시적인 요청을 받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에 적합한 콘텐츠를 sms나 Push 메시지, TV화면, 2nd Device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는 상황 코드 생성부,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는 상황 로그 생성부, 상기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코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황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기반한 콘텐츠 검색 및 콘텐츠 추천 결과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검색 또는 추천에 대한 명시적인 요청을 받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콘텐츠 제공 서버(1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서버(1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미디어 재생 장치(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은, SMS, Push메시지, TV 화면, 스마트폰 화면, 혹은 2nd device의 화면을 통해, 그 시간에 사용자가 원할 것 같은 콘텐츠에 대한 할인혜택, 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황 정보는 IPTV 등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검색, 시청, 메뉴트리 네비게이션 등의 모든 활동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서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서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가 검색을 요청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와 같이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가 드러날 때, 이 의도를 표현하고 있는 검색 질의어, 시청 콘텐츠 제목들과 그 당시의 상황 코드를 결합하여 상황 코드가 결합된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로그 및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시청 로그 및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시청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를 해당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실시간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할 수 있다. 즉,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상황 정보 로그 군으로부터 지배 적인 성향(일정 요청수 이상일 경우, 또는 일정 빈도수 이상일 경우, 또는 일정 출현확률값 이상일 경우)을 가지는 검색어 또는 시청 제목 목록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상황 코드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는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한 빈도가 단순히 몇 개 이상인 경우로 추출 방법을 정의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상황 코드의 전체 경우에서 특정 검색어/시청제목이 나타나는 빈도 (확률값)이 얼마(예: 50%)이상인 경우로 추출방법을 정의할 수도 있고, 상기 두가지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로 추출 방법을 정의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110)은 추천 요청을 수신한 당시의 상황 코드 및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 명 또는 질의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요청을 수신한 당시의 상황 코드 코드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는 추출된 콘텐츠 명 또는 질의어라고 볼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추출된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되, 추출된 콘텐츠들의 순서를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코드를 입력으로 하여 미리 추출된 의도 파악 모델과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추출된 콘텐츠를 노출 순서를 조정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그 순간의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와 관련된 푸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 그 순간의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와 관련된 쿠폰/할인 정보 및 콘텐츠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검색/추천 요청을 수신하거나, 시스템으로부터 push 마케팅 요청을 받은 시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황코드를 입력받음으로써, 그 당시 사용자의 실시간 의도를 콘텐츠 추출 및 노출에 반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검색"은 사용자가 검색버튼을 누름으로서 활성화가 되고, "추천"과 "push 마케팅"은 사용자가 메뉴의 특정 위치로 진입하였을 때 활성화되거나, 시스템이 주기적으로, 혹은 시간대에 따라 추천/마케팅을 할 시간임을 판단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퓨팅 장치가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고,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고,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고,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황 코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까지 걸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를 노출 순서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의 노출 순서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검색 요청을 전송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상황 정보 로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5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일 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셋톱박스 등과 같이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TV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황 정보 수집부(210), 상황 코드 생성부(220), 상황 로그 생성부(230), 의도 파악 모델 추출부(240), 콘텐츠 추출부(250), 수신부(260), 콘텐츠 조정부(270) 및 전송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 까지 걸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토요일 아침에, 미디어 재생 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메뉴트리를 이용하여 '영화/시리즈-> '최신영화' -> 'Top100' ->'최신 TV 시리즈'에 도달한 후, 사용자가 검색버튼을 통해 '주말 영화'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1분 정도 살펴본 후, '터미네이터2'의 상세화면을 통해 연관 추천 콘텐츠인 '터미네이터1'을 선택하여 시청한 경우, 상황 정보 수집부(2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메뉴트리의 시작부터 콘텐츠 선택까지의 일련의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황 코드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코드 생성부(220)는 최근 생성된 5개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하여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코드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기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된 벡터 형식의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코드 생성부(220)는 기설정된 기간으로서 5분의 시간동안 수집된 상황 정보로서 메뉴트리의 시작부터 콘텐츠의 선택까지의 상황 정보에 대해 '토요일아침', '터미네이터 2 상세화면', '검색결과-60초', '검색-주말 영화', '최신 TV 시리즈', 'TOP100', '최신영화', '영화/시리즈'의 순서로 배열하여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 로그 생성부(230)는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황 로그 생성부(230)는 검색 로그 및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말 영화'를 검색한 경우, 상황 로그 생성부(230)는 검색 로그인 '주말 영화'에, '주말 영화'를 검색한 시점에 생성된 상황 코드인 '토요일아침', '최신 TV 시리즈', 'TOP100', '최신영화', '영화/시리즈'를 결합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황 로그 생성부(230)는 시청 로그 및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터미네이터 1'을 시청한 경우, 상황 로그 생성부(230)는 시청 로그인 '터미네이터 1'에, '터미네이터 1'을 시청하기까지 생성된 상황 코드인 '토요일아침', '터미네이터 2 상세화면', '검색결과-60초', '검색-주말 영화', '최신 TV 시리즈', 'TOP100', '최신영화', '영화/시리즈'를 결합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는 기준 시점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의도 파악 모델 추출부(240)는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를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출부(250)는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추출부(250)는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점을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는 현재 시점이라고 가정한다면, 콘텐츠 추출부(250)는 현재 시점과 대응되어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의도 파악 모델 간을 비교함으로써 유사도를 측정하고, 현재 시점과 대응되는 상황 코드와 가장 근사한 유사도를 가지는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콘텐츠 또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도로서 콘텐츠 또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추출부(250)는 수신부(26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와는 별개로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수신부(26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60)는 예를 들어, 콘텐츠명, 배우명, 카테고리 등과 관련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조정부(270)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추출부(250)에서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면, 콘텐츠 조정부(270)는 추출된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조정부(270)는, 검색 요청에 따라 '터미네이터 제네시스' 및 '아이언맨1'이 추출된 경우,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과 대응되어 가장 가까운 시점에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의도 파악 모델 간을 비교함으로써 유사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 중 '터미네이터 제네시스'가 '아이언맨1'보다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면, 콘텐츠 조정부(270)는 '터미네이터 제네시스'-'아이언맨1'의 순으로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검색 요청에 따라 추출된 콘텐츠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전송부(28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순간 순간 변화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전송부(310), 수신부(320), 입력부(330) 및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31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까지 걸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토요일 아침에, 메뉴트리를 통해 '영화/시리즈-> '최신영화' -> 'Top100' ->'최신 TV 시리즈'에 도달한 후, 사용자가 검색버튼을 통해 '주말 영화'를 검색한 후, 검색 결과를 1분 정도 살펴본 후, '터미네이터2'의 상세화면을 통해 연관 추천 콘텐츠인 '터미네이터1'을 선택하여 시청한 경우, 전송부(310)는 메뉴트리의 시작부터 콘텐츠 선택까지의 일련의 상황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1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을 입력받으면,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검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3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를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되고,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의 측정을 통해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32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어, 콘텐츠명, 배우명, 카테고리 등과 관련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부(340)는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340)는 콘텐츠를 노출 순서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의 노출 순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검색 요청을 전송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콘텐츠가 '터미네이터 제네시스'-'아이언맨1'의 순으로 노출 순서가 결정된 경우, 출력부(340)는 노출 순서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12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12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까지 걸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코드는 수집된 순서로 배열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로그는 검색 로그 및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가 결합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검색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가 검색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황 정보 로그는 시청 로그 및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시청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의도 파악 모델은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호아 정보 로그가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콘텐츠를 노출 순서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노출 순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검색 요청을 전송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디어 재생 장치(120)는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20)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까지 걸린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기설정된 수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로그 및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시청 로그 및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시청 로그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황 코드 및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를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경우, 추출된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콘텐츠 제공 서버
120: 미디어 재생 장치
210: 상황 정보 수집부
220: 상황 코드 생성부
230: 상황 로그 생성부
240: 의도 파악 모델 추출부
250: 콘텐츠 추출부
260: 수신부
270: 콘텐츠 조정부
280: 전송부
310: 전송부
320: 수신부
330: 입력부
340: 출력부

Claims (18)

  1.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상황 정보 수집부;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는 상황 코드 생성부;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는 상황 로그 생성부;
    상기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및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기 까지 걸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코드 생성부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상황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로그 생성부는, 검색 로그 및 상기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로그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로그 생성부는, 시청 로그 및 상기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시청 로그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를 상기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하는 의도 파악 모델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부는,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상기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상기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하는 콘텐츠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부는, 상기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조정부는, 상기 추출된 콘텐츠의 노출 순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서버.
  10. 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포커스가 위치하는 메뉴트리,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거쳐 온 복수의 메뉴트리,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요청된 검색어, 상기 메뉴트리의 위치에 오기까지 시청한 콘텐츠, 검색 및 시청 시간대, 검색 결과 중 선택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기 까지 걸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코드는, 수집된 순서로 배열된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로그는, 검색 로그 및 상기 검색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가 결합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검색 로그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로그는, 시청 로그 및 상기 시청 로그가 생성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를 결합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시청 로그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기준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상기 의도 파악 모델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의도 파악 모델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가 상기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상기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검색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콘텐츠를 노출 순서에 기초하여 출력하고,
    상기 콘텐츠의 노출 순서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검색 요청을 전송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황 코드와 의도 파악 모델 간의 유사도가 측정됨으로써 조정되고,
    상기 의도 파악 모델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유사한 상황 코드를 가지는 복수의 상황 정보 로그로부터 기설정된 빈도수나 출현확률값 이상의 검색어 또는 시청 콘텐츠 제목목록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로그가 상기 상황 정보 로그를 구성하는 상황 코드에서의 상기 의도 파악 모델로서 추출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8. 콘텐츠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기설정된 수의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된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황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코드에 기초하여 상황 정보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코드 및 상기 상황 정보 로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추출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각 시점에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코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상황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63527A 2015-11-20 2015-11-20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27A KR101979919B1 (ko) 2015-11-20 2015-11-20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27A KR101979919B1 (ko) 2015-11-20 2015-11-20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03A true KR20170059303A (ko) 2017-05-30
KR101979919B1 KR101979919B1 (ko) 2019-05-17

Family

ID=5905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27A KR101979919B1 (ko) 2015-11-20 2015-11-20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79A1 (en) * 2018-07-09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06B1 (ko) * 2019-12-26 2021-02-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록시 서버,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WO2021137671A1 (en) * 2020-01-03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generation apparatus and video gener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video genera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48A (ko) * 2008-02-20 2009-08-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채널변경 정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67955A (ko) * 2009-12-15 2011-06-22 안태영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634B1 (ko) * 2010-12-28 2011-09-15 주식회사 네오패드 유저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48A (ko) * 2008-02-20 2009-08-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채널변경 정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67955A (ko) * 2009-12-15 2011-06-22 안태영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7494B1 (ko) * 2009-12-15 2015-03-30 안태영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634B1 (ko) * 2010-12-28 2011-09-15 주식회사 네오패드 유저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79A1 (en) * 2018-07-09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content
CN112368696A (zh) * 2018-07-09 2021-02-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检索内容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919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1373B1 (en) Content aggregation and presentation
US10587912B2 (en) Complimentary content based recording of media content
US8026805B1 (en) Media tracker
EP334671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a media asset
US20120221645A1 (en) Automatic media asset update over an online social network
US117294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routing of content using a static playlist manifest
US109319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skipping through media content
WO20190890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zing display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media asset
KR20190037270A (ko) 정적 및 시간 지식 그래프를 기반으로 용어를 명확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79919B1 (ko)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84949A (ja) コンテンツ視聴時間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をレコメンド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60077764A (ko)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32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action
KR20130082915A (ko) 콘텐츠를 분할하고 분할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서버
US105118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returning to playback of a media asset when the media asset is trending in social chatter
KR20120071173A (ko) Sns 메시지를 활용한 vod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방법
KR101997224B1 (ko)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175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laying back indexed conversations based on the presence of other people
KR102560564B1 (ko) 맞춤형 콘텐츠 제공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US119914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number of viewers
KR20120072103A (ko)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36280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laying back indexed conversations based on the presence of other people
KR20160043701A (ko) 방송 부가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비콘(Beacon) 통신으로 제공받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