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955A -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955A
KR20110067955A KR1020090124754A KR20090124754A KR20110067955A KR 20110067955 A KR20110067955 A KR 20110067955A KR 1020090124754 A KR1020090124754 A KR 1020090124754A KR 20090124754 A KR20090124754 A KR 20090124754A KR 20110067955 A KR20110067955 A KR 2011006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basic
schedul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494B1 (ko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09012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494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34 priority patent/WO2011074855A2/ko
Publication of KR2011006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6Receiv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04H60/12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wherein another information is substituted for the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채널 변경시 발생하는 뮤트시간에 디지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미리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디지털 티브이, 뮤트시간, 콘텐츠, 광고, 콘텐츠 현황, 로그데이터, 과금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providing system for digital TV during mute-tim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 동안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디지털 티브이, 디지털 셋톱박스 등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티브이의 시청시, 채널 변경시마다 다음 채널로 이동하기 전까지 1 내지 2초 정도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뮤트시간이 발생한다. 이 뮤트시간은, 디지털 셋톱박스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티브이에 표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디지털 셋톱박스에서 방송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정보 데이터를 분리하고, 에러 여부를 체크한 다음 디코딩을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채널 변경시마다 뮤트시간동안 기다려야 해당 채널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뮤트시간이 길어질 경우, 사용자는 해당 채널이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채널로 착각할 수도 있고, 디지털 티브이나 디지털 셋톱박스가 고장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뮤트시간을 단축시킬 경우,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으로 디코딩이 완료되지 않은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TV를 통한 광고의 효과는 다른 광고 매체보다 우월하여, 통상적으로 드라마나 뉴스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전후에 광고가 삽입되어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 시간에 기초하여 광고비가 책정되므로, 광고주 입장에서는 최대한의 짧은 시간 동안 최대한의 광고효과를 내고 싶어한다. 이에 비하여 광고를 원하는 시청자도 있지만, 광고를 원하지 않는 시청자들도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최대한 짧은 시간 동안 광고를 하되 광고를 원하는 시청자들에게만 상세한 광고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뮤트시간에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채널 변경시 발생하는 뮤트시간에 디지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미리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 상기 기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채널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채널 변경의 감지시, 미리 선택된 기본 콘텐츠를 디지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변경될 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이 시작되면 상기 콘텐츠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 동안 광고 콘텐츠, 학습용 콘텐츠, 지역 콘텐츠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루함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유료로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의 경우에는 광고가 노출된 횟수, 시간대, 채널에 따라 광고주에게 과금함으로써,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지털 티브에서 채널을 변경하는 뮤트시간 동안 콘텐츠를 제공하며,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 학습 콘텐츠, 지역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는 뮤트시간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외부의 콘텐츠 관리 서버나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로 분류된다. 여기서, 뮤트시간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기본 콘텐츠라 하고, 추가로 콘텐츠 관리 서버나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는 확장 콘텐츠라 한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경우, 최초로 디지털 티브이에 표시되는 것은 광고 또는 홍보화면이 되며, 해당 광고 또는 홍보화면에 표시된 상품을 구매할 때 실 제 콘텐츠를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광고 또는 홍보화면은 기본 콘텐츠가 되고, 실제 콘텐츠는 확장 콘텐츠가 된다.
학습 콘텐츠의 경우에는 무료 콘텐츠가 제공될 때는 뮤트시간에 표시되는 화면 자체가 콘텐츠가 되며, 이는 기본 콘텐츠가 된다. 반면 유료 콘텐츠가 제공될 때는 뮤트시간에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광고 또는 홍보화면이 표시되고 이는 기본 콘텐츠가 되며, 사용자가 구매를 선택하면 실제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고 이는 확장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인 디지털 티브이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이 디지털 셋톱박스와 디지털 티브이(50)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은,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고 뮤트시간에 기본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장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셋톱박스(10)와, 디지털 셋톱박스(10)에서 처리된 방송신호와 기본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지털 티브이(50)를 포함한다.
본 디지털 셋톱박스(10)는, 외부의 디지털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을 처리하며, 후술할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기본 콘텐츠를 사용자의 채널 변경시 뮤트시간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본 콘텐츠와 연관된 확장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셋톱박스(10)는, 입력부(13), 튜너부(11), 디멀티플렉 서(17), 통신모듈(15), 프로그램 저장부(21), 콘텐츠 저장부(23), 스케줄 저장부(25), 콘텐츠 현황 저장부(27), 인증데이터 저장부(29), 로그데이터 저장부(31),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입력부(13)는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채널 변경, 음량 변경, 메뉴 선택 등을 처리하여 제어부(20)로 제공한다.
튜너부(11)는 사용자의 채널 변경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주파수로 튜닝함으로써, 도시않은 안테나를 통해 해당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디멀티플렉서(17)는, 튜너부(11)의 튜닝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정보 데이터로 분리한다. 여기서, 정보 데이터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EPG)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5)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인터넷은 물론 후술할 콘텐츠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모듈(15)을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함으로써,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기본 콘텐츠 또는 확장 콘텐츠, 스케줄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디지털 셋톱박스(10)로부터 콘텐츠 현황, 인증 및 로그 데이터 등을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5)은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와 접속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이에 따라, 웹사이트로부터 직접 확장 콘텐츠 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1)는, 웹 브라우저를 비롯하여 디지털 셋톱박스(10)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통신모듈(15)의 동작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할 때, 프로그램 저장부(21)에서 웹브라우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PC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공자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23)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기본 콘텐츠가 저장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매된 확장 콘텐츠가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본 콘텐츠와 확장 콘텐츠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콘텐츠의 종류로는 광고 콘텐츠, 학습용 콘텐츠, 지역 콘텐츠 등을 들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특정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콘텐츠로서, 광고 콘텐츠의 기본 콘텐츠는 특정 상품의 이미지, 특징, 규격,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광고 콘텐츠를 본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콘에 마련된 별도의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가 연결되고, 사용자는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이 확장 콘텐츠가 된다.
학습용 콘텐츠는 영어, 한자, 교과학습, 자격증 관련 콘텐츠, 요리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된다.
학습용 콘텐츠가 유료인 경우, 콘텐츠 저장부(23)에는 학습용 콘텐츠 자체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홍보 화면이 기본 콘텐츠로서 저장된다. 따라서, 학습용 콘텐츠의 홍보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리모콘의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확장 콘텐츠인 학습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학습용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되거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연결되며, 사용자는 해당 웹사이트 또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학습용 콘텐츠를 구매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학습용 콘텐츠가 무료인 경우, 콘텐츠 저장부(23)에는 학습용 콘텐츠가 기본 콘텐츠로서 저장되며, 학습용 콘텐츠가 뮤트시간에 디스플레이된다.
지역 콘텐츠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지역의 식당, 편의시설 등에 대한 홍보 내지 광고 화면 또는 민방위 소집 계획과 같은 지역과 관련된 콘텐츠이다. 사용자가 지역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고 싶은 경우, 리모콘의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확장 콘텐츠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각 콘텐츠는 사용자의 디지털 티브이(50)의 채널 변경시 뮤트시간에 표시되는 것을 기본 콘텐츠라 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 또는 웹사이트로부터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확장 콘텐츠라 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가 작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가 뮤트시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념일 알림 서비스를 콘텐츠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캘린더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캘린더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스케줄 등록 테이블(500)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내용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기념일이나 일정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작성된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는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된다.
스케줄 저장부(25)는,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되는 기본 콘텐츠의 스케줄을 저장하며, 스케줄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스케줄이 설정되는 경우, 스케줄은 시간대별, 채널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설정하는 경우,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는 A사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오후 12시부터 2시까지는 B사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별로 설정하는 경우, 임의의 채널에서 채널 11번으로 전환될 때는 B사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관리자, 콘텐츠 제공자, 사용자로부터 각각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이 최우선 순위를 갖는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스케줄을 관리하는 경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제공자나 광고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스케줄을 생성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때, 스케줄의 업데이트는 일정 시간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케줄의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스케줄이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뮤트 시간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종류와 콘텐츠 삽입 시간 등을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콘텐츠가 삽입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1 ~ 100 번까지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주로 시청하는 30 ~ 50 번 채널들의 선택시에만 콘텐츠가 삽입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학습용 콘텐츠, 광고용 콘텐츠, 지역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학습용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공부에 관심있는 사용자의 경우, 영어 콘텐츠로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특정 광고 콘텐츠로 한정할 수도 있고, 광고 콘텐츠를 한정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광고 콘텐츠의 종류가 한정되지 아니한 경우,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광고 콘텐츠 중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셋톱박스(1)로 전송한다.
콘텐츠 현황 저장부(27)는 사용자가 뮤트시간에 시청한 기본 콘텐츠의 종류, 각 기본 콘텐츠의 노출 횟수, 각 기본 콘텐츠를 이용하여 확장 콘텐츠를 구매하였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콘텐츠 현황 저장부(27)에 저장된 정보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제공되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각 디지털 셋톱박스(1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현황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에게 수익금을 분배하거나 광고주에게 과금한다.
인증데이터 저장부(29)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가 유료의 콘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로그데이터 저장부(31)는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며, 로그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한 채널의 변경 상황에 대한 히스토리를 말한다. 로그 데이터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제공되며,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기본 콘텐츠의 종류 및 스케줄을 결정할 때, 사용자가 가장 즐겨보는 채널과 시간대 등을 고려하여 기본 콘텐츠의 종류와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제어부(20)는, i)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ii) 뮤트시간에 기본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고, iii)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장 콘텐츠를 제공한다.
i)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제어부(20)는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튜너부(11), 디멀티플렉서(17), 통신모듈(15)의 동작을 제어하며,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선택하면, 제어부(20)는 튜너부(11)와 디멀티플렉서(17)를 동작시켜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로 튜닝되도록 하는 한편, 튜닝된 주파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정보 데이터로 분리하도록 한다. 또한,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비디오 처리부(55)와 오디오 처리부(51)로 제공하여 처리되도록 한다.
ii) 뮤트시간 동안 기본 콘텐츠 출력의 제어
제어부(20)는 채널 변경시,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된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거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기본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는 해당 채널의 변경시 기저장된 기본 콘텐츠의 스케줄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콘텐츠가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여 표시하고, 저장되어 있 지 아니한 경우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해당 기본 콘텐츠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본 콘텐츠나 확장 콘텐츠는 사운드일 수 있다. 즉, 기본 콘텐츠와 확장 콘텐츠가 음악이나 광고 또는 지역정보 또는 맛집과 같은 생활정보를 나타내는 음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뮤트 시간마다 표시되는 기본 콘텐츠끼리 서로 관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채널 변경될 때는, "가장 맛있는 ** 치킨?"이라는 광고 멘트가 뜨고, 두 번째 채널 변경될 때는 "인천 ** 집, 전화번호: 031-***-****"라는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채널을 임의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가장 맛있는 치킨 가게를 알 수 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마지막 표시된 화면("인천 ** 집, 전화번호: 031-***-****")에 관련된 확장 콘텐츠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광고를 위해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콘텐츠들을 본원 명세서에서는 순차적 기본 콘텐츠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 기본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맛있는 XX 콜라'라는 광고를 하기 위해서, 채널을 전환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기본 콘텐츠들 '맛', '있', '는', 'XX 콜라'를 표시하고 있다. 이처럼, 순차적으로 기본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궁금증을 유발하여 광고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뮤트 시간에 표시되는 기본 콘텐츠는,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념일 7일전부터 가장 자주 보는 채널들(6, 9, 11)로 화면이 전환될 때,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는 기념일 뿐 아니라 개인이나 가족 또는 업무 관련 스케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는 다른 기본 콘텐츠의 일부로서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기본 콘텐츠가 채널 뮤트 시간에 표시될 때, 광고 기본 콘텐츠의 하단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 확장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리모콘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모콘(미도시)은 확장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나 터치식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캘린더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캘린더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스케줄 등록 테이블(500)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내용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기념일이나 일정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작성된 기념일 알림 서비스 콘텐츠는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된다.
iii) 확장 콘텐츠 출력의 제어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면, 최근에 표시된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본 콘텐츠에 연관된 확장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면, 해당 확장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 또는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 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결제하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 또는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된 확장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57)에 표시한다.
디지털 티브이(50)는 오디오 처리부(51), 스피커(53), 비디오 처리부(55), 디스플레이 패널(57)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51)는 디멀티플렉서(17)에서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53)로 출력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비디오 처리부(55)는 디멀티플렉서(17)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패널(57)에 출력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과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기본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본 콘텐츠와 연관된 확장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공자 관리부(210), 사용자 관리부(220), 서버 관리부(230)를 포함하며,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240),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60),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270)로 정보를 입출력한다.
제공자 관리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콘텐츠 제공자에게 기본 콘텐츠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 스케줄 설정 화면을 제 공하고,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된 제공자의 스케줄을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이때, 스케줄 설정화면에는 채널에 따라 시간대와 횟수가 매칭되어 있고, 각 횟수에 따라 요금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시간대에 표시된 횟수 중 원하는 횟수를 선택하면 해당 요금이 과금된다. 이렇게 콘텐츠 제공자가 선택한 채널, 시간대, 횟수는, 제공자 관리부(210)에 의해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다.
사용자 관리부(220)는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기본 콘텐츠 또는 확장 콘텐츠를 인출하여 디지털 셋톱박스(10)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 디지털 셋톱박스(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변경시 사용자가 선택한 기본 콘텐츠를 요구하며, 사용자 관리부(220)는 요청된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여 디지털 셋톱박스(10)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의 디지털 셋톱박스(10)로부터 사용자의 채널변경 정보와 콘텐츠 시청 정보를 제공받아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한다.
서버 관리부(230)는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채널 변경 정보와 기본 콘텐츠 시청 현황을 기초로 하여 과금정책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특정 채널과 특정 시간대의 시청률이 높은 경우, 해당 채널과 시간대의 과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한 다음, 콘텐츠 버튼을 선택하여 확장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해당 구매에 대해 과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렇게 변 경된 과금 정책은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되며, 스케줄 설정화면에 반영되어 콘텐츠 제공자에게 과금정보를 제공한다.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240)는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된 기본 콘텐츠 시청 여부, 시청 횟수, 확장 콘텐츠 구매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기본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 사용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사용자의 과금 내역과, 콘텐츠 제공자의 과금 및 수익 내역이 저장된다.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제공 채널, 시간대, 횟수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스케줄도 저장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수많은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스케줄을 저장하는 것은 통신 트래픽이나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250)의 용량을 고려할 때 불합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스케줄이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의 스케줄 저장부(25)에 스케줄을 저장하고, 제어부(20)에서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기본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60)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작된 기본 콘텐츠와 확장 콘텐츠가 저장된다. 기본 콘텐츠와 확장 콘텐츠는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며, 확장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확장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의 IP 주소가 기본 콘텐츠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270)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과,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이 저장된다.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은, 광고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자가 지불해야 할 요금에 대한 정책과, 유료 콘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의 유료 콘텐츠 사용으로 지급받아야 하는 요금에 대한 정책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금정책 중, 콘텐츠 제공자가 지불해야 할 요금에 대한 과금정책은, 상술한 스케줄 설정화면을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의 선호채널, 선호시간대, 선호 콘텐츠의 변경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변경된 과금정책은 스케줄 설정화면에 반영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은, 사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된다.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의 설정방식은, 인기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 리모콘 조작이 용이한 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 특정 방송시간대를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을 들 수 있다.
인기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의 경우, 김연아 선수의 경기가 45번 채널에서 10:00 AM 에 시작한다고 가정하면, 45번을 포함하는 인접 채널인 42번 부터 48번 채널 사이를 이동할 때 별도의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방식이다.
리모콘 조작이 용이한 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은, 11번, 22번, 33번, 44번, 55번, 66번, 77번, 88번, 99번, 111번, 222번, 333번 등과 같이 동일한 숫자를 반복하여 누름으로 해서 10단위의 채널별 이동이 용이한 채널에 대해서는 별도의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방송은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에 이르는 채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이렇게 많은 채널의 방송사 이름을 외우기는 어려우며,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의 번호나 즐겨보는 장르의 채널이 몇 번 채널 근처에 있다는 정도만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드라마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10번대 채널에 드라마 채널이 모여있고,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50번대 채널에 스포츠 채널이 모여있다는 정도만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10번대 채널로 변경하기 위해, 1과 0을 눌러 10번 채널로 이동하는 것보다 1을 두 번 눌러 11번 채널로 이동하는 것이 10번 채널대로 이동하기에 편리하다. 물론 사용자가 정확히 채널 번호를 아는 경우에는 해당 채널번호를 눌러 이동하면 된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50번대 채널인 53번 채널에 있다가 10번대 채널인 17번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채널 번호를 모른다고 가정하면, 53번 채널에서 채널 다운 버튼을 수십 번 눌러서 17번 채널로 이동하는 것보다는 11번 채널을 누른 다음 채널 업 버튼을 6번 눌러 17번 채널로 이동하거나 22번 채널을 누른 다음 채널 다음 버튼을 5번 눌러 17번 채널로 이동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숫자가 중복되는 채널은 사용자의 사용횟수가 많을 수밖에 없으므로, 별도의 요금을 부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특정 방송시간대에 과금하는 방식은, 사용자들이 주로 시청하는 황금 시간대 등에는 별도의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면(S600), 튜너부(11)와 디멀티플렉서(17)를 동작시켜 해당 채널로 주파수를 튜닝하도록 한다(S610). 이와 동시에, 제어부(20)는 스케줄 저장부(25)를 확인하여 해당 채널의 변경시, 해당 시간대에 콘텐츠의 제공이 스케줄링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확인 결과, 콘텐츠가 스케줄링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기본 콘텐츠가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30).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여 디지털 티브이(50)의 비디오 처리부(55)로 제공하고(S640), 디스플레이 패널(57)에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S620 단계에서 해당 시간대에 콘텐츠의 제공이 스케줄링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2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킨다(S625).
한편, S630 단계에서 해당 기본 콘텐츠가 콘텐츠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20)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기본 콘텐츠를 요청한다(S635). 그런 다음, 해당 기본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아 디지털 티브이(50)로 제공한다(S645).
제어부(20)는 튜너부(11)에서 튜닝된 주파수로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디멀티플렉서(17)에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정보 데이터로 분리되면, 각각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를 비디오 처리부(55)와 오디오 처리부(51)로 제공하여 디코딩되도록 한다(S660). 비디오 처리부(55)와 오디오 처리부(51)에서 처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57)과 스피커(53)를 통해 출력된 다(S670).
제어부(20)에서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디스플레이 패널(57)로부터 콘텐츠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5번을 시청하던 중, 채널 11번으로 채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채널 11번을 누르면, 채널 5번에서 채널 11번으로 변경되는 중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변경된 채널을 시청하던 중, 콘텐츠 버튼을 클릭하면(S700), 제어부(2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패널(57)에 표시되었던 가장 최근의 콘텐츠를 다시 디스플레이 패널(57)에 표시한다(S710). 사용자가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위해 구매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20)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한다(S720).
먼저, 확장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S730-Y), 제어부(20)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해당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 그러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구매 정보가 표시된 구매화면을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S740), 사용자가 결제하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해당 확장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셋톱박스(10)로 제공한다(S750). 디지털 셋톱박스(10)에서는 디지털 티브 이(50)로 확장 콘텐츠를 제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760).
만약, 확장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의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받거나 구매할 수 있는 경우(S730-N), 제어부(20)는 프로그램 저장부(21)로부터 웹브라우저를 인출하여 표시하는 한편, 통신모듈(15)을 동작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735). 그러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웹사이트에서 확장 콘텐츠나 제품을 구매한다(S745). 확장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에는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등의 방법으로 디지털 셋톱박스(100)에 제공되고(S755), 제품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배달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기본 및 확장 콘텐츠를 시청한 채널, 시간대, 횟수, 콘텐츠를 구매한 내역 등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 현황 저장부(27)에 저장되며, 제어부(20)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요청시 또는 일정 시간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콘텐츠 현황 저장부(27)에 저장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념일 알림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캘린더를 표시한 도면,
도 4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스케줄 설정화면,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채널 변경시 기본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인 디지털 티브이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시 기본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장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0 : 디지털 셋톱박스 15 : 통신모듈
20 : 제어부 21 : 프로그램 저장부
23 : 콘텐츠 저장부 25 : 스케줄 저장부
27 : 콘텐츠 현황 저장부 29 : 인증데이터 저장부
31 : 로그데이터 저장부 50 : 디지털 티브이
100 :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200 : 콘텐츠 관리 서버

Claims (21)

  1. 채널 변경시 발생하는 뮤트시간에 디지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미리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 상기 기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뮤트시간에 표시되는 기본 콘텐츠와, 상기 기본 콘텐츠에 관련된 콘텐츠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매되는 확장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기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콘텐츠 제공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본 콘텐츠의 제공을 위한 스케줄을 저장하는 스케줄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스케줄 저장부에 저장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상기 채널 변경에 부합되는 스케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 고, 상기 스케줄이 존재하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스케줄링된 기본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콘텐츠의 존재시에는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상기 기본 콘텐츠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본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상기 기본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본 콘텐츠와 연관된 확장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상기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콘텐츠의 노출된 횟수, 종류, 시간대, 상기 확장 콘텐츠 구매여부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현황을 저장하는 콘텐츠 현황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현황을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채널 변경 히스토리, 시청 시간대 등을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기념일 등의 일정을 등록할 수 있는 기념일 등록용 캘린더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기념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기본 콘텐츠 또는 확장 콘텐츠의 스케줄을 저장하는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기본 콘텐츠 또는 확장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중 광고 콘텐츠의 과금을 위한 과금정책이 저장된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된 기본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스케줄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과금정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과금정책을 인출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스케줄을 상기 콘텐츠 스케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공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된 기본 콘텐츠 또는 확장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에게 노출된 콘텐츠 현황을 제공받아 상기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상기 콘텐츠 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현황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게 과금하고, 상기 콘텐츠 현황에 따라 과금정책을 변경하는 서버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과금정책은, 인기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 식, 리모콘 조작이 용이한 채널을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 특정 방송시간대를 기준으로 하는 과금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5. 채널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채널 변경의 감지시, 미리 선택된 기본 콘텐츠를 디지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변경될 채널의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디코딩이 시작되면 상기 콘텐츠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의 감지시, 미리 설정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변경될 채널, 시간대에 부합되는 기본 콘텐츠의 제공을 위한 스케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이 존재하면 스케줄에 포함된 기본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본 콘텐츠의 존재시 상기 기본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티브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콘텐츠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외부의 콘텐츠 관리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기본 콘텐츠와 관련된 확장 콘텐츠의 구매를 선택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콘텐츠의 제공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확장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콘텐츠의 노출된 횟수, 종류, 시간대, 상기 확장 콘텐츠 구매여부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현황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현황을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현황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채널 변경 히스토리, 시청 시간대 등을 포함하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그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기념일 등의 일정을 등록할 수 있는 기념일 등록용 캘린더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기념일을 등록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등록된 기념일을 표시한 상기 캘린더를 미리 설정된 날의 뮤트시간에 상기 기본 콘텐츠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90124754A 2009-12-15 2009-12-15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4A KR101507494B1 (ko) 2009-12-15 2009-12-15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0/008934 WO2011074855A2 (ko) 2009-12-15 2010-12-14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4A KR101507494B1 (ko) 2009-12-15 2009-12-15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55A true KR20110067955A (ko) 2011-06-22
KR101507494B1 KR101507494B1 (ko) 2015-03-30

Family

ID=4416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54A KR101507494B1 (ko) 2009-12-15 2009-12-15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7494B1 (ko)
WO (1) WO201107485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303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55A (ko) 2017-11-06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887A (ko) * 2002-01-12 200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기간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85992B1 (ko) * 2004-11-10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시 정보 출력 방법
KR100730800B1 (ko) * 2005-09-16 2007-06-20 유현정 인터넷 망을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US7813963B2 (en) * 2005-12-27 2010-10-12 The Pen Interactive electronic desktop actio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 transa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303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55A2 (ko) 2011-06-23
WO2011074855A3 (ko) 2011-11-17
KR101507494B1 (ko) 201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512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event recommendation banner
CN100373945C (zh) 带有列表组的交互式电视节目指南系统
KR101378088B1 (ko) 진보된 서비스를 위해 전자 질의서를 사용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및 컨텐츠 수신 장치
TW519830B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s with integrated program listings
JP371840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蓄積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0252361A (ja) 放送に対する視聴者フィードバックを収集し、かつ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27957A (ko)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서 채널 재핑을 통해 vod 프리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1266A (ko) 개인용 광고방송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10050B1 (ko)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 제2시청화면을 이용하여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단말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
JP2012039498A (ja) コンテンツ視聴傾向分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20069403A1 (en) Receiving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KR20010097415A (ko) 인터넷 텔레비젼수상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JP5240979B2 (ja) 情報処理装置、推薦情報提供サーバ、推薦情報提供システム、推薦情報取得方法、推薦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34046B1 (ko) 티브이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 관심광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46217B1 (ko) 사용자 시청 패턴 분석 기반의 맞춤형 광고 적시 제공 방법
KR100814129B1 (ko) 데이터 방송의 가상채널 편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7494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2351B1 (ko) 맞춤형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09153A (ko)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JP4714766B2 (ja) 視聴行動率算出装置、視聴行動率算出方法および視聴行動率算出プログラム
KR100935303B1 (ko) lPTV 서비스들 중 관련 서비스들 간 연동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lPTV 시스템
KR100834047B1 (ko)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 관심광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75515B1 (ko) Iptv 서비스에서 선호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2412A (ko) Tv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품판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105397A (ko) 티브이의 시청내역 관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