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103A -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103A
KR20120072103A KR1020100133897A KR20100133897A KR20120072103A KR 20120072103 A KR20120072103 A KR 20120072103A KR 1020100133897 A KR1020100133897 A KR 1020100133897A KR 20100133897 A KR20100133897 A KR 20100133897A KR 20120072103 A KR20120072103 A KR 2012007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sonal
epg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주
조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103A/ko
Publication of KR2012007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우선순위형의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으며, 외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수집/저장부와, 상기 개인정보와 미리 결정된 EPG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어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메테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 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 ELECTRONIC PROGRAM GUIDE PROVIDING IN PERSON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개인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우선순위형의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터넷 기반 텔레비전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 이하 "IPTV"라 칭함) 환경에서 각각의 사용자 즉, 개인을 위한 추천 서비스는 먼저 IPTV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세트-톱 박스(Set-Top Box : 이하 "STB"라 칭함)나 웹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한 개인 취향 정보와 개인이 시청한 이력 행태에 관한 정보를 IPTV 헤드엔드 사업자나 콘텐츠 사업자가 수집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을 위한 추천서비스는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별 취향을 분석한 후 개인을 위한 서비스나 콘텐츠를 추천하는 형태의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 지고 있다.
그러나 IPTV 헤드엔드 사업자나 콘텐츠 사업자가 개인 추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개인의 시청 이력 행태나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개인 정보 침해의 위협의 가능성이 크며 수집된 개인 정보를 불필요하게 남용하였을 경우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서버 위주의 추천 서비스 기술은 현재 각 가정에서 TV를 활용하는 행태를 기초로 하였을 때, 가족 구성원이 TV 시청할 경우 현재 시청하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예를 들어 어머니, 아버지, 학생, 아들, 친척 등)를 등록하고 로그인하는 과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같은 TV를 공유하는 구성원들의 개인 각각에게 최적화된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TV를 공유하는 구성원이 적절한 개인화 서비스 추천을 받기 위하여 사전에 자신의 신분을 등록하고 서비스 사용할 경우 즉, 일반적으로 로그인과정이 이루어지고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IPTV를 활용하더라도 자신의 시청 이력 행태가 서버에 전달되고 서버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지속적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됨에 따라 개인 정보 보호의 위협 및 사생활의 침해에 대한 우려가 크다.
그러므로 헤드엔드, 콘텐츠 사업자, 응용 서비스 사업자, 광고 사업자 등에게로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면서, 범람하고 있는 IPTV의 다양한 콘텐츠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개인 맞춤형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이하 "EPG"라 칭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개인 휴대 단말 환경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수집/저장부와, 상기 개인정보와 미리 결정된 EPG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어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메테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 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개인 휴대 단말 환경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개인정보를 수집/저장하고 EPG 정보 수집/저장하는 과정 정보 수집/과정과,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수집하며, 외부 데이터 검색시 필요한 질의어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 수집 과정과, 외부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과,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으며, 외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의 콘텐츠 추천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EPG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개인정보 수집/저장부의 구성의 예시도,
도 3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신의 시청 이력 정보 및 개인정보를 기초로 개인 EPG가 생성되고 노출되는 과정의 사용 예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의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의 평균적인 지식을 갖는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IPTV의 리모콘 및 EPG 수신기로 활용하면서 개인화 콘텐츠 추천기기로 활용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고, 기존에 서버에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제공할 수 없었던 추가 개인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개인에게 최적화된 EPG 서비스 제공 및 최적의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기법에 관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개인정보를 소장할 수 있으며 IPTV를 시청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을 통칭하는 것으로 단순히 스마트폰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WWW(World Wide Web)과 같은 웹 정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이하 "SNS"라 칭함) 정보를 추가적으로 참고하므로, 내부적인 개인 정보 외에 시스템의 외부적인 정보도 추천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의 콘텐츠 추천 장치 구성도이다.
도 1에서의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순위형 콘텐츠 추천 장치는 EPG 수신/저장부(110),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 수집데이터 저장부(140), 데이터 검색/수집부(150),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 개인 EPG 생성부(170), 개인 EPG 출력부(180)로 구성된다.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는 수집 데이터 분석부(161), 가중치 설정 입력부(162),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3)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순위형 콘텐츠 추천 장치의 동작과정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의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순위형 콘텐츠 추천 장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개인 시청 이력 정보 및 개인 추가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지 않고, 개인이 단말 내부의 개인정보 및 외부에서 수집한 웹, SNS등의 외부 정보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개인 EPG를 생성하여 노출함으로써 우선순위형의 콘텐츠를 추천해주기 위한 장치이다.
EPG 수신/저장부(110) 개인이 사전에 응용 서비스 제공자, 프로그램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와 사전 계약을 맺어 EPG 정보를 수신하며 IPTV 셋톱박스를 이용하거나 스마트폰에 직접적으로 유무선 환경을 통하여 수신되어 저장된다. 또한 사전 계약의 방법에 따라 EPG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EPG정보에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타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유사한 개인 정보를 가진 사용자의 선호도를 참고할 수 있다.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 개인이 최적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폰의 입력부을 통하여 나이, 성별, 지역, 관심 분야 등의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개인의 위치정보, 일정정보, 가족정보, 메시징 송수신 정보 등이 추가 개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선호하는 서비스/프로그램/콘텐츠의 장르, 제공시각, 소요시간, 출연자, 개발자, 기획자, 제작자, 제작사, 제공방법, 양방향성, 참여 가능성 등의 추가 개인 선호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또한 개인의 시청 이력 정보를 스마트폰 내부에 저장하여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 개인의 스마트폰에 단말에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EPG 생성 및 추천 콘텐츠에 활용한다.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는 EPG 수신/저장부(110)에 저장된 EPG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를 수집한다. 또한 외부의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EPG에 저장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태그, 키워드 및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를 참고하여 웹 및 SNS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정보 수집을 위한 질의어를 수집한다. 수집데이터 저장부(140)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를 저장한다.
데이터 검색/수집부(131)는 외부의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에서 외부 정보 수집을 위해 수집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웹과 SNS를 이용하여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집한 후 수집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는 수집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즉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직접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인의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최적 콘텐츠 리스츠 추출부(160)의 수집 데이터 부석부(161)는 데이터 저장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콘텐츠의 취향 및 서비스 활용 행태를 분석하고, 가중치 설정 입력부(162)는 분석된 정보 중 EPG 정보, 개인 입력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1)는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만약 외부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 검색/수집부(150)에서 수집되어 수집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웹 수집 정보, SNS 수집 정보 등의 외부 정보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각 수집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개인 EPG 생성부(170)는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와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우선 순위형 개인 EPG 생성한다. 개인 EPG 출력부(180)는 개인 EPG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EPG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개인정보 수집/저장부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정보 수집부(210)와 개인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220)로 구성된다.
개인정보 수집부(210)는 개인정보 입력부(211), 위치정보등록/수집부(212), 일정정보 등록/관리부(213), 가족정보 등록/관리부(214), 메시징 송수신 분석부(215), 선호콘텐츠정보 입력부(216), 시청이력 수집부(217)로 구성된다.
개인정보 저장부(220)는 개인정보 수집부(210)의 구성(211 내지 217)의 각각에 대응하여 개인신상정보 저장부(221), 위치정보 저장부(222), 일정정보 저장부(223), 가족정보 저장부(224), 메시징정보 저장부(225), 선호 콘텐츠 저장부(226), 시청이력 저장부(227)가 존재한다.
개인정보 입력부(211)는 우선순위형의 개인 EPG를 생성하고 노출하기 위하여 나이, 성별, 지역, 가족관계, 친구관계, 직업, 직종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받는다. 개인신상정보 저장부(221)는 개인정보 입력부(221)에서 입력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위치정보 등록/관리부(212)는 스마트폰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집, 직장, 학교, 자주 가는 곳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미 사전에 등록한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위치정보 저장부(222)는 위치정보 등록/관리부(212)에서 등록되어 관리되는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일정관리 등록/관리부(213)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일정을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일정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회의, 모임, 출장, 여행, 운동 등 자신의 일정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일정정보 저장부(223)는 일정관리 등록/관리부(213)에 등록되어 관리되는 일정정보를 저장한다.
가족정보 등록/관리부(214)는 사용자가 가족 정보가 없는 경우와 가족 정보가 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가족정보가 있는 경우 그 가족의 성별, 나이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받는다. 가족정보 저장부(224)는 가족정보 등록/관리부(214)에서 입력된 가족 정보를 저장된다.
메시징 송수신 분석부(214)는 스마트폰에서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 Message Service) 또는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인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콘텐츠 및 횟수 등의 메시징 정보를 분석한다. 메시징정보 저장부(225)는 메시징 송수신 분석부(214)에서 분석된 메시징 정보를 저장한다.
선호콘텐츠정보 입력부(216)는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호 콘텐츠 정보(예를 들어, 선호하는 콘텐츠의 장르, 제공시각, 소요시간, 출연자, 개발자, 기획자, 제작자, 제작사, 제공방법, 양방향성, 참여 가능성)를 입력받는다. 선호콘텐츠 정보 저장부(227)는 선호콘텐츠정보 입력부(216)에서 입력된 선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시청이력 수집부(217)는 사용자가 주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각이나 장르, 또는 시간대별로 차이가 있는 장르 등의 사용자의 시청이력을 수집한다. 시청이력정보 저장소(227)는 시청이력 수집부(217)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시청이력을 저장한다.
도 3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신의 시청 이력 정보 및 개인정보를 기초로 개인 EPG가 생성되고 노출되는 과정의 사용 예의 흐름도이다.
301 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사용자 시청 이력정보를 분석한다. 302 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일정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303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일정정보에 특이사항이 없을 때 사용자의 위치 등록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의 위치 등록 정보는 사용자 자신의 GPS정보를 기초로 집, 회사, 자주 가는 지역 등을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304 단계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의 콘텐츠 추천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가 집 등과 같이 IPTV 시청이 가능한 경우 콘텐츠 시청 가능 여부를 질의한다. 305 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304 단계에서 질의한 결과 콘텐츠 시청이 가능한 경우 추가적인 개인 정보로 가족 구성원 정보를 수집한다. 306 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타인 또는 외부의 시스템과의 메시징 정보를 수집한다. 307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개인이 이미 등록해 놓은 선호 콘텐츠 정보를 수집한다.
308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WWW이나 SNS 정보와 같은 외부 정보를 참고할 것인지 판단한다. 만약 판단결과가 외부 정보를 참고할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검색/수집부(150)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에서 생성된 질의어를 기초로 WWW나 SNS 정보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 후 310 단계에서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의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1)는 수집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의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또한 310 단계에서 분석하는 정보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의 가중치 설정 입력부(162)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신뢰도를 조절할 수 있다. 311단계에서 개인 EPG 생성부(170)는 310 단계에서 추출한 콘텐츠 리스트와 가중치를 부여한 정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형의 개인 EPG를 생성하며 개인 EPG 출력부(180)는 생성된 우선 순위형 개인 EPG를 노출 즉, 출력한다. 311 단계에서 시청자는 311 단계에서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 EPG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선택하고 시청한다.
304 단계에서 질의한 결과가 현재 사용자가 콘텐츠 시청이 불가능할 경우 313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녹화 가능 여부에 관하여 질의한다. 만약 사용자에게 질의한 결과가 녹화가 가능하다는 응답이 도착하면 314 단계에서 320 단계를 거쳐 추가 정보를 분석하고 개인 EPG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321 단계에서 녹화를 진행한다. 314 단계에서 320 단계까지의 동작은 305단계에서 311 단계까지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304 단계와 313 단계에서 질의한 결과 두 경우 즉, 현재 콘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며 녹화도 불가능한 상태라고 응답이 도착하면 322 단계에서 콘텐츠 추천 장치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하에서 실제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추천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만약 사용자가 저녁 시간에 귀가하여 IPTV를 시청하는 경우 본 발명의 콘텐츠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 특이사항이 없고, 위치가 집으로 분석된 경우 콘텐츠 시청 가능 여부임을 질의한 후, 시청이 가능하면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을 분석한다. 사용자가 가족이 있고, 유아 또는 청소년 등의 연령대의 가족이 있는 경우 추천할 콘텐츠의 제약사항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수신 및 전송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지인과 IPTV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지 여부 및 메시징 수신, 전송 빈도수에 따라서 개인 EPG에 제공할 우선순위 콘텐츠의 장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WWW, SNS 정보를 수집하여 참고할 것인지 질의하여 시스템 내부에 있는 개인 정보 외에 외부 정보를 참고할 것인지 가중치를 두어 외부인들의 콘텐츠 추천을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된 정보를 모두 분석하고 IPTV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EPG를 제공받아 우선순위형의 개인 EPG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노출하여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의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여 스마트폰 환경에서 우선 순위형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400 단계에서 EPG 수신/저장부(110)는 개인이 사전에 응용 서비스 제공자, 프로그램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와 사전 계약을 맺어 EPG 정보를 수신하며 IPTV 셋톱박스를 이용하거나 스마트폰에 직접적으로 유무선 환경을 통하여 수신되어 저장한다. 또한 사전 계약의 방법에 따라 EPG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EPG정보에는 각 서비스에 대하여 타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유사한 개인 정보를 가진 사용자의 선호도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400 단계에서 개인정보 수집/저장부(120)는 개인이 최적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나이, 성별, 지역, 관심 분야 등의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개인의 위치정보, 일정정보, 가족정보, 메시징 송수신 정보 등이 추가 개인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선호하는 서비스/프로그램/콘텐츠의 장르, 제공시각, 소요시간, 출연자, 개발자, 기획자, 제작자, 제작사, 제공방법, 양방향성, 참여 가능성 등의 추가 개인 선호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시청 이력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 개인의 스마트폰에 단말에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EPG 생성 및 추천 콘텐츠에 활용한다.
410 단계에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는 400단계에서 수집된 개인정보와 EPG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 및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 수집하고, 외부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수집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 및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웹 및 SNS을 통하여 정보 수집을 위한 질의어를 수집한다.
420 단계에서 사용자는 외부데이터가 필요한지에 대한 판단을 한다. 만약 외부데이터가 필요 없다면 430 단계에서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는 410 단계에서 수집한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 및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개인의 콘텐츠의 취향 및 서비스 활용 행태를 분석하고 수집된 정보의 종류 중 EPG 정보, 개인 입력 정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입력된 수집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가중치 설정 입력부(161)를 통하여 부여한 후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즉, 개인정보와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분석하는 하는 과정과,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과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440 단계에서 개인 EPG 생성부(170)는 450 단계에서 추출한 콘텐츠 리스트를 가중치가 부여된 우선 순위형 EPG로 생성하고, 450 단계에서 개인 EPG 출력부(180)는 사용자에게 440 단계에서 생성된 EPG를 출력한다.
4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외부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460 단계에서 데이터 검색/수집부(150)에서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130)에서 생성한 질의어를 이용하여 웹 또는 SNS와 같은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집한다.
470 단계에서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160)는 410 단계에서 수집한 메타데이터, 키워드, 태그 및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 등의 정보와 460 단계에서 수집한 외부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콘텐츠의 취향 및 서비스 활용 행태를 분석하고 수집된 정보의 종류 중 EPG 정보, 개인 입력 정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입력된 수집 정보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정보에 가중치를 가중치 설정 입력부(162)를 통하여 부여한 후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한다. 즉 개인정보와 EPG 정보와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와 수집된 외부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과정과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480 단계에서 개인 EPG 생성부(150)는 470 단계에서 추출한 콘텐츠 리스트를 가중치가 부여된 우선 순위형으로 개인 EPG를 생성하고, 490 단계에서 개인 EPG 출력부(160)는 사용자에게 480 단계에서 생성된 EPG를 통하여 출력한다.
110 : EPG 수신/저장부,
120 : 개인정보 수집/저장부,
130 :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
140 : 수집데이터 저장부,
150 : 데이터 검색/수집부,
160 :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
161 : 수집 데이터 분석부,
162 : 가중치 설정 입력부,
163 :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
170 : 개인 EPG 생성부,
180 : 개인 EPG 출력부.

Claims (16)

  1. 개인 휴대 단말 환경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개인정보 수집/저장부와,
    상기 개인정보와 미리 결정된 EPG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어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 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EPG 정보를 수신/저장하는 EPG 수신/저장부와,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출력하는 개인 EPG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EPG 수신/저장부는,
    개인이 사전에 계약된 응용 서비스 제공자, 프로그램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하는 EPG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EPG 정보를 저장하는 EPG 저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면 상기 생성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수집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검색/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수집/저장부는,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개인 정보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수집부는,
    상기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개인정보 입력부,
    상기 개인의 위치정보를 등록하며 수집하는 위치정보 등록/수집부,
    상기 개인의 일정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일정정보 등록/관리부,
    상기 개인의 가족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가족정보 등록 관리부,
    상기 개인이 타인과 송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징 송수신 분석부,
    상기 개인이 선호하는 콘텐츠 정보를 입력하는 선호 콘텐츠 입력부,
    상기 개인의 시청이력을 수집하는 시청이력 수집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저장부는,
    상기 입력된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신상 정보 저장부,
    상기 수집된 개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상기 등록되고 관리되는 개인의 일정정보를 저장하는 일정정보 저장부,
    상기 등록되고 관리되는 개인의 가족정보를 저장하는 가족정보 저장부,
    상기 분석된 개인이 타인과 송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징 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된 개인이 선호하는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선호 콘텐츠 정보 저장부,
    상기 수집된 개인의 시청이력을 저장하는 시청이력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는,
    상기 EPG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는 수집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 입력부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콘텐츠 리스트 추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9. 개인 휴대 단말 환경에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개인정보를 수집/저장하고 EPG 정보 수집/저장하는 과정 정보 수집/과정과,
    상기 저장된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수집하며, 외부 데이터 검색시 필요한 질의어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 수집 과정과
    외부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과,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출력하는 개인 EPG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는
    상기 개인이 사전에 계약된 응용 서비스 제공자, 프로그램 공급자,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개인 신상 정보, 위치정보, 일정정보, 가족정보, 메시징 송수신 정보, 선호하는 콘텐츠 정보, 시청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를 분석하는 수집데이터 분석 과정과와,
    상기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과정과,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콘텐츠 리스트 과정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면 상기 생성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하는 외부데이터 수집과정과,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와 상기 수집된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과,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생성하는 개인 EPG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우선순위형 개인 EPG를 출력하는 개인 EPG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EPG 정보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키워드/태그 정보와 상기 수집된 외부 데이터를 분석하는 수집데이터 분석 과정과,
    상기 분석된 정보에 사용자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과정과,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는 콘텐츠 리스트 추출과정을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
KR1020100133897A 2010-12-23 2010-12-23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72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97A KR20120072103A (ko) 2010-12-23 2010-12-23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97A KR20120072103A (ko) 2010-12-23 2010-12-23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103A true KR20120072103A (ko) 2012-07-03

Family

ID=4670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897A KR20120072103A (ko) 2010-12-23 2010-12-23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1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562A1 (ko) * 2018-02-05 2019-08-08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정보 기반 채널형 콘텐츠 서비스 방법
WO2019216630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562A1 (ko) * 2018-02-05 2019-08-08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정보 기반 채널형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190094687A (ko) * 2018-02-05 2019-08-14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정보 기반 채널형 콘텐츠 서비스 방법
WO2019216630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편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233953B2 (en) 2018-05-11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40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content
US10235025B2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US9396258B2 (en) Recommending video programs
US9134875B2 (en) Enhancing public opinion gathering and dissemination
US20110138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mments regarding content
CN110168541B (zh) 基于静态和时间知识图消除词语歧义的系统和方法
KR101774397B1 (ko) 방송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13865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CN103686375A (zh) 视频分享方法及装置
US20120036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using an internet television
US20130117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ewership and/or message data
KR20140079446A (ko) 로컬에 저장된 콘텐츠의 정확한 관심사 매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833552A (zh) 一种流媒体标记和推荐的方法
JP2014086955A (ja) プログラム、携帯端末、視聴分析システム、及び視聴分析方法
KR102007504B1 (ko) 사용자별 맞춤형 콘텐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2029200A (ja) リモート予約システム、リモート予約方法及びリモート予約装置
JP552785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979919B1 (ko)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20072103A (ko) 개인 휴대 단말에서 개인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2150662A (ja) 番組情報収集装置、映像表示装置、番組情報収集方法
KR101511311B1 (ko) 셋탑박스 제어 기록 및 콘텐츠 검색 기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JP5526257B1 (ja) 投稿データ処理装置及び投稿データ処理方法
JP5680986B2 (ja) 番組視聴情報処理装置、番組視聴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37954B2 (ja) 推薦番組提示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