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860A -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860A
KR20170057860A KR1020170039744A KR20170039744A KR20170057860A KR 20170057860 A KR20170057860 A KR 20170057860A KR 1020170039744 A KR1020170039744 A KR 1020170039744A KR 20170039744 A KR20170039744 A KR 20170039744A KR 20170057860 A KR20170057860 A KR 2017005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formation
terminal
sensor
ai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잇
Priority to KR102017003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860A/ko
Publication of KR2017005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using a number of analysing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단말이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2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된 상기 실내 공기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상기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표, 고도 별로 수집된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의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품질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해 가스, 환경 오염 물질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쳐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등을 이용하여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 가스의 농도 등을 측정하는 공기 품질 측정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품질 측정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단순히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최근에는 기상청과 같은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기 정보를 수집하여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 품질 측정 시스템에 의할 때 고도에 따라 공기 분포가 크게 달라지는 대기의 특성과 고층 건물에 주거하고 있는 주거 환경에 부합하는 공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10-1044284호(2011. 6. 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은,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단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된 상기 실내 공기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실외 공기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상기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기 품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에 공기 분석 정보가 표시된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에 공기 분석 정보가 표시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에 제공되는 행동 지침을 나타낸 표.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은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단말(110), 제1 단말(11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단말(120), 실외 공기 정보가 저장되는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 및 제2 단말(120)과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공기의 품질을 분석하는 서버(130)를 포함한다.
제1 단말(110)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단말(110)은 제1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112)는 공기에 대한 정보를 계측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구성도가 도시되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110)은 제1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112)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112a), 실내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센서(112b),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CO2)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112c), 실내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 측정 센서(112d), 실내 공기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측정 센서(112e)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을 측정하는 VOCs 측정 센서(112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10)은 제1 센서(112)로부터 센싱된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이산화탄소 측정값, 미세먼지농도 측정값, 유해가스 측정값 및 VOCs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값이 획득될 수 있도록 제1 센서(11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 및 센싱된 측정값을 제2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Wi-fi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단말(120)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11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단말(12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이 블루투스, Wi-fi와 같은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타 단말과의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GPS 센서 및 고도 센서가 탑재되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구성도가 도시되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단말(120)은 제2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센서(122)는 GPS 센서(122a) 및 고도 측정 센서(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단말(120)은 블루투스 또는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110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단말(120)의 GPS 센서(122a)로부터 좌표 측정값를 획득하고, 고도 측정 센서(122b)로부터 고도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는 미리 측정된 실외 공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는 기상청과 같은 외부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에는 기상관측지점에서 측정된 공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기상관측지점마다 측정된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이산화탄소 측정값, 미세먼지농도 측정값, 유해가스 측정값 및 VOCs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실외 공기 정보가 저장되는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 및 제2 단말(120)과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를 수집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공기의 품질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서버(130)는 제2 단말(120)로부터 수집된 실내 공기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제2 단말(1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버(130)는 공기 정보 수집부(132), 공기 정보 관리부(134) 및 공기 상태 분석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보 수집부(132)는 제2 단말(12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실외 공기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공기 정보 관리부(134)는 실내 공기 정보, 위치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좌표 및 고도 별로 공기 정보가 맵핑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며, 그에 따라 공기 정보맵에는 3차원 공간의 각 지점에 대한 공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공기 정보 관리부(134)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공기 분석 정보로서 제2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의 공기와 제2 단말(120)의 위치 주변에 대한 주변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공기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와 제2 단말(120)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예컨대, 1km ~ 10km) 내의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 내의 공기의 품질을 주변 공기의 품질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지점에서의 공기 정보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지도 데이터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지도 상에 표시된 임의의 지점을 선택하거나, 주소 검색을 통해 특정 지점을 검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의 공기와 다른 고도에서의 공기를 비교하여 공기의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120)이 10m 고도(3층)에 위치할 때, 10m 고도에서의 공기 정보를 다른 고도(30m 고도)의 공기 정보와 비교하여 제2 단말(120)의 공기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교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공기의 온도에 대한 기준값, 습도에 대한 기준값, 이산화탄소에 대한 기준값, 미세먼지농도에 대한 기준값, 유해가스에 대한 기준값, VOCs에 대한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다음,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공기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농도에 대한 기준값은 아래 [표 1]과 같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세먼지농도(μg/m3)

등급

0~ 30

좋음
31 ~ 80


보통

81 ~ 150

나쁨

151 ~

매우나쁨
위 [표 1]를 참조하면,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미세먼지농도)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교 결과 정보(등급)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생성된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행동 지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농도의 측정값이 160(μg/m3)인 경우, 전술한 [표 1]에 따르면, 비교 결과 정보는 '매우나쁨'으로 생성된다. 이 경우,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매우나쁨'에 대응되는 행동 지침으로 '환기하기 안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행동 지침에 대한 다양한 예시는 도 7에 나타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 결과, 제2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로서 공기 분석 정보(주변 공기 정보, 비교 결과 정보, 행동 지침을 포함한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단말(12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10)은 제어 신호에 따라 실내 공기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단말(120)은 전술한 공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1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의 발광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으로 점등되며, 제2 단말(110)은 공기 상태가 '좋음' 또는 '보통'일 때 '녹색'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상태가 '나쁨'일 때 '황색', '매우나쁨'일 때 '적색'이 점등되도록 제1 단말(11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기 품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1 단말(110)이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한다(S40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센서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 실내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센서,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CO2)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실내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 측정 센서, 실내 공기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를 측정하는 유해가스 측정 센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을 측정하는 VOCs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다음, 제1 단말(110)은 무선 통신(블루투스, Wi-fi)을 통해 실내 공기 정보를 제2 단말(120)로 전송한다(S404).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정보는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이산화탄소 측정값, 미세먼지농도 측정값, 유해가스 측정값 및 VOCs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120)은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S406). 구체적으로, 제2 단말(120)은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좌표 정보 및 고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2 센서는 GPS 센서 및 고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다음, 서버(130)는 제2 단말(12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S408),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실외 공기 정보를 수신한다(S410). 전술한 바와 같이,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미리 측정된 실외 공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140)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그다음, 서버(130)는 실내 공기 정보, 실외 공기 정보를 수집하여 공기 정보맵을 생성한다(S412).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는 3차원 공간의 공기 정보맵에 매핑되며, 공기 정보맵에는 3차원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공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다음, 서버(130)는 제2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다(S414). 구체적으로, 서버(130)는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의 공기와 제2 단말(120)의 위치 주변에 대한 주변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공기의 상태를 분석하거나,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비교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비교 결과 정보가 생성되면,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행동 지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서버(130)는 제2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하며, 그 결과로서 공기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30)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제2 단말(120)에 제공하며(S416), 제2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공기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18).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에 공기 분석 정보가 표시된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말에는 실내 공기에 대한 공기 정보(502)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정보(502)는 제1 단말의 제1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이며, 도 5에는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이산화탄소 측정값, 미세먼지농도 측정값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유해가스 측정값 또는 VOCs 측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비교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공기 상태(504)를 도 5와 같이 아이콘에 대응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실내 공기와 제2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외 공기를 서로 비교한 결과(506)를 '나쁨(poor)', '보통(fair)', '좋음(good)', '매우좋음(excellent)'과 같이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의 공기 상태가 표시되며, 종래와 달리 고도에 따른 공기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602)가 표시될 수 있으며, 공기 정보맵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602)로부터 일정 거리(좌표, 고도) 내의 공기 상태가 3차원으로 표시된 입체 공기 상태도(604)가 제2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에 제공되는 행동 지침을 나타낸 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행동 지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상태 분석부(134)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비교하여 실외의 공기가 좋다고 판단된 경우(제1 유형), '환기하기 안내'를 행동 지침으로 사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지점에서의 공기 상태가 동일한 좌표의 다른 고도에서의 공기 상태보다 나쁜 경우(제2 유형), '청소하기 안내'를 행동 지침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실정 수준 이상으로 좋은 경우에는(제3 유형), '조깅하기 안내'를 행동 지침으로 결정하고, 실내의 공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나쁜 경우(제4 유형), '환기하기 안내'를 행동 지침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가 지속적으로 나쁘게 유지되는 경우(제5 유형), 조심해야 할 질환을 안내하여 경고하거나, 실내의 습도가 낮은 경우(제6 유형), 가습이 필요함을 안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외의 습도 및 온도가 적절한 경우(제7 유형), 빨래 건조를 안내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실내 공기 정보와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행동 지침을 제공하여 빅데이터화된 공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제1 단말이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제2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집된 상기 실내 공기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고, 상기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온도 측정 센서, 습도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미세먼지농도 측정 센서, 유해가스 측정 센서 및 VOCs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이산화탄소 측정값, 미세먼지농도 측정값, 유해
    가스 측정값 및 VOCs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보를 측정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GPS 센서 및 고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GPS 센서 및 상기 고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좌표 정보 및 고도 정보를 획득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실내 공기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외 공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대하여 공기 정보를 맵핑한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정보맵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공기 분석 정보로서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보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기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좌표 및 고도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를 상기 공기 정보맵에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주변에 대한 주변 공기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공기 정보 및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미리 정해진 행동 지침을 포함하는 공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039744A 2017-03-29 2017-03-29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7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744A KR20170057860A (ko) 2017-03-29 2017-03-29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744A KR20170057860A (ko) 2017-03-29 2017-03-29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06A Division KR20170057597A (ko) 2015-11-17 2015-11-17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60A true KR20170057860A (ko) 2017-05-25

Family

ID=5905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744A KR20170057860A (ko) 2017-03-29 2017-03-29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8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2392A (zh) * 2017-12-28 2018-07-27 江苏科技大学 一种空气质量信息检测系统
KR20190083531A (ko) * 2018-01-04 2019-07-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먼지농도 보정 장치
KR20200092009A (ko) * 2019-01-24 2020-08-03 변수연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20082717A (ko) * 2020-12-10 2022-06-17 유한회사 호원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사용자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2392A (zh) * 2017-12-28 2018-07-27 江苏科技大学 一种空气质量信息检测系统
KR20190083531A (ko) * 2018-01-04 2019-07-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먼지농도 보정 장치
KR20200092009A (ko) * 2019-01-24 2020-08-03 변수연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20082717A (ko) * 2020-12-10 2022-06-17 유한회사 호원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사용자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7597A (ko)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KR20170057860A (ko)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5275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ambient air
JP2009281741A (ja) 現在位置出力装置、現在位置出力方法及び現在位置出力プログラム
KR20130066354A (ko)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및 장치
KR101206634B1 (ko) 참조 포지션과의 포지션 일치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3354909B (zh) 位置确定装置、方法、系统、空气调节系统以及照明系统
US10067233B2 (en) Illuminance measuring system
US9207677B2 (en) Vehicle positioning method and its system
US201302117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navigation service
KR101352006B1 (ko) 인프라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12573A (ko) 실내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180030719A (ko) 실내 네비게이션을 지원하는 분산된 기압계 네트워크
US11226391B2 (en) Floor levels of a venue
JP7246829B2 (ja) 移動体の位置測定システム
CN108700428A (zh) 电子地图中道路的绘制方法及装置
KR20130089136A (ko) 실내 수집 위치와 이종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839613B (zh) 一种使用路径信息校准的射频定位方法和装置
EP3852399A1 (en) Analyzing pressure data from a stationary mobile device to detect that a state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has changed
KR2019002946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 보수 과정의 추적
US20210055372A1 (en) Matching of crowdsourced building floors with the ground level
US11248815B2 (en) Analyzing a mobile device's movement pattern during a pressure change to detect that a state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has changed
US20210215365A1 (en) Analyzing sets of altitude data from mobile device groups to detect that a state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has changed
CN114485656A (zh) 室内定位方法及相关装置
KR20150089633A (ko)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