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795A -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795A
KR20170057795A KR1020150161418A KR20150161418A KR20170057795A KR 20170057795 A KR20170057795 A KR 20170057795A KR 1020150161418 A KR1020150161418 A KR 1020150161418A KR 20150161418 A KR20150161418 A KR 20150161418A KR 20170057795 A KR20170057795 A KR 2017005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seat
handle
b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으뜸
변용규
양혜민
강두천
Original Assignee
박으뜸
변용규
양혜민
강두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으뜸, 변용규, 양혜민, 강두천 filed Critical 박으뜸
Priority to KR102015016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7795A/ko
Publication of KR2017005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뒷바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되, 핸들부를 하방으로 가압해야만 뒷바퀴의 잠금이 해제되어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는,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핸들부; 시트부의 내측에는 유아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몸을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안전바(Bar)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앞바퀴가 체결되는 전륜프레임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뒷바퀴가 체결되는 후륜프레임부; 시트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핸들부, 안전바부, 전륜프레임부 및 후륜프레임부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핸들부와 뒷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뒷바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되, 핸들부를 하방으로 가압해야만 뒷바퀴의 잠금이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수레로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는 기본기능과 더불어 이동 시 편리한 이동편리성, 유아의 관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아 관련 물품(기저귀나 우유병 등)을 수납기능 또는 이동 중 위험상황 발생 시 유모차를 정지시켜 주는 제동기능 등의 편의기능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기능 중 제동기능의 경우 특히 유아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으며, 유모차에 브레이크를 경합시킨 유모차가 개발이 되었으나, 이동 중 유모차를 정지시키거나 바퀴에 잠금장치를 설치하며 사용자가 바퀴 잠금을 해야만 유모차가 있으나, 유모차를 세워두거나 잠금장치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유모차가 움직이게 되어 유아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2409호(2008.08.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지상태의 유모차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뒷바퀴에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시 핸들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동이 손쉽게 해제되도록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는,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핸들부; 시트부의 내측에는 유아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몸을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안전바(Bar)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앞바퀴가 체결되는 전륜프레임부;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뒷바퀴가 체결되는 후륜프레임부; 시트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핸들부, 안전바부, 전륜프레임부 및 후륜프레임부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핸들부와 뒷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뒷바퀴는 뒷바퀴의 내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동부는 핸들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바(bar)부재와, 뒷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바부재와, 제1 바부재와 제2 바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일측이 제1 바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바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제2 바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는 잠금부재가 휠부재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뒷바퀴를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되, 핸들부에 하방으로 가압하면 고정부를 중심으로 핸들바와 제1 바부재가 하방으로 원주회전을 하게 되고, 제1 내지 제2 부재와 연결된 연결부재에 의해 제2 바부재와 잠금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잠금부재가 휠부재 사이에서 이탈되어 뒷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는 정지상태의 유모차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뒷바퀴에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는 이동 시 핸들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손쉽게 제동이 해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동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제동부(900)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는, 시트부(200), 핸들부(300), 안전벨트부(400), 안전바(Bar)부(500), 전륜프레임부(600), 후륜프레임부(700), 고정부(800) 및 제동부(900)를 포함한다.
시트부(200)은 유아가 탑승하는 것으로, 이동 시 유아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앉아 있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한다.
핸들부(300)는 시트부(200)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상방으로 구비된다.
핸들부(300)에 힘을 가하여 유모차(100)를 이동시키며, 핸들부(300)에 가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유모차(100)의 진행방향이 결정된다.
안전벨트부(400)는 시트부의 내측에는 유아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몸을 고정시킨다.
안전벨트부(400)는 6개월 미만의 유아의 경우, 몸을 가누지 못하므로 유아가 유모차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유아의 어깨와 허리, 양쪽 가랑이를 5방향으로 감싸주는 5점식 안전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바(Bar)부(500)는 시트부(200)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상방으로 구비된다.
안전바부(500)는 안전벨트부(400)를 보조하여 시트부(200)에 탑승한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륜프레임부(600)는 시트부(200)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앞바퀴(620)가 체결된다.
앞바퀴(620)는 360로 회전이 가능하며, 핸들부(30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후륜프레임부(700)는 시트부(200)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뒷바퀴(720)가 체결된다.
뒷바퀴(720)는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내측에 휠부재(740)를 포함한다.
뒷바퀴(720)는 적어도 앞바퀴(620)의 지름과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휠부재(740)는 두 개의 뒷바퀴(700)의 마주보는 내측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고정부(800)는 시트부(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핸들부(300), 안전바(Bar)부, 전륜프레임부(600) 및 후륜프레임부(700)와 체결되어 고정시킨다.
유모차(100)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하도록 시트부(200)과 고정부(800)를 중심으로 접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동부(900)는 핸들부(300)와 뒷바퀴(720) 사이에 구비되어 뒷바퀴(7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동부(900)는 제1 바(bar)부재(920)와 제2 바부재(940), 잠금부재(960)를 포함한다.
제1 바부재(920)는 핸들부(3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2 바부재(940)는 제1 바부재(920)와 뒷바퀴(720) 사이에 구비되고, 잠금부재(960)는 제2 바부재(940)의 하부에 구비되어 뒷바퀴(720)의 휠부재(740) 사이의 끼움 결합되어 뒷바퀴(7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유모차(100)는 멈추어 있을 시, 잠금부재(960)가 뒷바퀴(720)의 휠부재(740) 사이의 끼움 결합되어 뒷바퀴(720)가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유모차(100)는 움직일 수 없으며, 이동할 시 핸들부(300)에 하방으로 가압하면, 잠금부재(960)이 휠부(740)에서 이탈되어 뒷바퀴(720)의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유모차(100)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핸들부(300)에 하방으로 가압을 하면, 핸들부(300)는 고정부(80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원주회전을 하게 된다. 핸들부(300) 사이에 구비된 제1 바부재(920)의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제1 바부재(920)와 뒷바퀴(72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바부재(940)의 위치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바부재(9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잠금부재(960)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휠부(740)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뒷바퀴(7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유모차(100)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유모차(100)는 핸들부(30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뒷바퀴(7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움직일 수 없으나, 핸들부(30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뒷바퀴(720)의 잠금이 해제되어 누구라도 손쉽게 잠금을 해제하여 유모차(100)를 움직일 수 있다.
유모차(100)를 제대로 잠금상태가 안 된 채이거나 평지로 보여 잠시 세워두었다가 잠금이 풀리거나 평지가 아닌 경사도가 있어 유모차(100)가 미끄러져 이동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때, 유아가 탑승하고 있거나 유모차(100)가 도로로 이동되면 큰 사고가 발행할 수 있어, 유모차를 잠시라도 세워둘 때는 잠금상태로 해두어야 하나, 계속 사용하여 잠금장치가 헐거워지거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잠금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잠시라는 짧은 시간이라고 간과하여 잠금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탑승하고 있는 유아를 위험에 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핸들부(200)에 가압을 하지 않는 한, 뒷바퀴(720)에 잠금된 잠금부재(960)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유모차(100)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하고 있는 유아가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로로 잠금을 해야 되는 것이 아니며, 핸들부(200)에 가압하는 것으로 해제가 가능하므로 유모차(1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모차
200 : 시트부
300 : 핸들부
400 : 안전벨트부
500 : 안전바(Bar)부
600 : 전륜프레임부
620 : 앞바퀴
700 : 후륜프레임부
720 : 뒷바퀴
740 : 휠부재
800 : 고정부
900 : 제동부
920 : 제1 바부재
940 : 제2 바부재
960 : 연결부재
980 : 잠금부재

Claims (4)

  1. 유아가 탑승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시트부의 내측에는 유아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몸을 고정시키는 안전벨트부:
    상기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상방으로 구비되는 안전바(Bar)부;
    상기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정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앞바퀴가 체결되는 전륜프레임부;
    상기 시트부의 좌우 측면에서 배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뒷바퀴가 체결되는 후륜프레임부;
    상기 시트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 상기 안전바부, 상기 전륜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프레임부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뒷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는,
    상기 뒷바퀴의 내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핸들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바(bar)부재와,
    상기 뒷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바부재와,
    상기 제1 바부재와 상기 제2 바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제1 바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바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바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뒷바퀴의 구동을 제어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4. 제 2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휠부재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를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핸들부에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상기 핸들바와 상기 제1 바부재가 하방으로 원주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1 내지 제2 부재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바부재와 상기 잠금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휠부재 사이에서 이탈되어 상기 뒷바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50161418A 2015-11-17 2015-11-17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KR20170057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418A KR20170057795A (ko) 2015-11-17 2015-11-17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418A KR20170057795A (ko) 2015-11-17 2015-11-17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795A true KR20170057795A (ko) 2017-05-25

Family

ID=5905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418A KR20170057795A (ko) 2015-11-17 2015-11-17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7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186B2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US8845021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positioning a headrest in an infant car seat
US8157286B2 (en) Stroller
US9487111B2 (en) Spinning infant car seat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US11267376B2 (en) Car seat carrier
US8967717B2 (en) Portable child restraining seat
ITMI20040001U1 (it) Staffa per il fissaggio ad uno stelo
KR101632185B1 (ko) 접이식 전동 유모차
US20130229033A1 (en) Car seat
TW201509705A (zh) 腳輪及嬰兒車
EP3489110A1 (en) Sibling board
AU2014336954A1 (en) Convertible toddler platform
US20160029813A1 (en) Infant car seat
CN109843642A (zh) 儿童安全座椅
TWI824919B (zh) 嬰幼兒推車
KR20170057795A (ko) 자동 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JP2017019303A (ja) 坂道でも安全なブレーキの制御方法
KR102077063B1 (ko) 휠 타입 이동수단 바퀴용 잠금 장치
TWI594911B (zh) Anti-frame misuse agencies and have the anti-misuse of the chassis infants Car
JP6885630B2 (ja) 幼児・児童移送手段用ブレーキ装置
CN103213612A (zh) 推车的自动制控装置
JP2009090777A (ja) 自転車用搭載車
CN203920867U (zh) 一种儿童多功能汽车用安全座椅
KR20170000931A (ko)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