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288A -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 Google Patents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288A
KR20170057288A KR1020177007743A KR20177007743A KR20170057288A KR 20170057288 A KR20170057288 A KR 20170057288A KR 1020177007743 A KR1020177007743 A KR 1020177007743A KR 20177007743 A KR20177007743 A KR 20177007743A KR 20170057288 A KR20170057288 A KR 2017005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puting device
capture
comput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688B1 (ko
Inventor
마두르 디시트
친메이 바이샴파얀
저스틴 바라체릴 조지
니라브 애쉬윈 캄다르
디파크 아추탄 메논
스리니바사 브이 시루말라이-아난단필라이
라민다르 싱 카트라
슈동 후앙
애크샤드 비스와나단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5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 G06F9/44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7/305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bstract

컴퓨팅 장치에서의 컨텐츠 캡쳐를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동작시에, 컴퓨팅 장치에서, 컴퓨팅 장치를 동작시키는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검출된다.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실행되며, 이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도록 통지받는 것과, 컨텐츠 저장부로 캡처될 컨텐츠가 식별되어서 획득되는 것과,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받는 것과,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에 획득한 컨텐츠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UNIVERSAL INTERACTION FOR CAPTURING CONTENT TO PERSISTENT STORAGE}
컴퓨터 사용자는 많은 온라인 리소스를 사용해서 다양한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이 온라인 리소스는 종종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앱을 이용한다. 예컨대, 한 커플이 외국의 목적지로 여행하고자 한다면, 숙박지 옵션의 답사, 식사 선택, 차량 렌탈, 목적지 주변의 명소와 액티비티, 여권 및/또는 비자 필요 여부, 항공 요금 옵션, 환률 등을 포함한, 소망의 목적지에 관한 다수의 온라인 검색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모두에 대해서,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많은 정보가 제시되는데, 그 일부는 사용자에게 가치있는 것이어서, 사용자는 이후에 참조하기 위해서 영구 저장부에 그 컨텐츠를 캡쳐해두고자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자는 현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소망의 컨텐츠를 (일정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사용자는 기존의 '저장' 특성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소망의 컨텐츠를 적절하게 캡쳐할 수도 있고 캡쳐하지 못할 수도 있다. 나아가, 기존의 저장 특성 하에서,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터 사용자의 장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의 OneDrive®), 다수의 폴더, 파일명 확장자 등과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 저장 솔루션 및 옵션을 선택해야 하며, 이들 각각은 때로는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의 저장을 처리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저장 특징이 섞여 있으면, 컴퓨터 사용자는 상이한 타입의 저장, 적절한 포맷으로 저장, 및 파일명 규칙 등을 취급할 방법을 알아야 한다. 명백하게, 컨텐츠를 보존하는 현재의 방법에서는 컴퓨터 사용자가 알아야 하는 점이 너무 많다. 또한, 기존의 다양한 컨텐츠 캡쳐 및 보존 옵션은, 컴퓨터 사용자가 저장된/보존된 컨텐츠를 향후에 리콜할 수 있을 확률을 감소시킨다.
본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개시될 개념 중 일부를 선택해서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 대상의 핵심적인 특성이나 필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청구 대상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에서의 컨텐츠 캡쳐를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동작시에, 컴퓨팅 장치를 동작시키는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컴퓨팅 장치에서 검출된다.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하도록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실행되며, 이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 혹은 정지하도록 통지받는 동작과,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될 컨텐츠가 식별되어서 획득되는 동작과,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받는 동작과, 획득한 컨텐츠를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개시된 청구항의 추가적인 측면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에서 컨텐츠를 캡쳐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이 제시된다. 이 방법은 우선, 컴퓨팅 장치 상에서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사용자 인터렉션은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하는 컴퓨터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하도록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실행된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실행시에,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게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도록 통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지받은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될 컨텐츠로서 식별된다. 이 컨텐츠는 획득되어서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다. 나아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받는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컨텐츠 저장부로의 컨텐츠 캡쳐를 개선한 컴퓨팅 장치가 제시된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추가 컴포넌트와 함께 혹은 그 일부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해서 컨텐츠 저장부에 컨텐츠를 캡쳐한다. 추가 컴포넌트는 실행 가능한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동작시에,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는,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하는 컴퓨터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컴퓨팅 장치에서 검출한다. 나아가,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도록 통지하고, 통지받은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될 컨텐츠로서 식별하며, 식별된 컨텐츠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한다. 이후에,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컴퓨터 사용자 인터렉션없이,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에 획득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추가 측면에서, 현재의 실행 상황의 컨텐츠 모두를 캡쳐하는 것에 더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컴퓨터 사용자는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자신이 캡쳐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전체 본문(body)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컨텐츠를 캡쳐하는 동일한 인터렉션을 이용해서, 컨텐츠 중 식별된 부분이 영구 저장부에 캡쳐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상술한 측면 및 수반되는 많은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해서 이해함으로써 더 용이하게 파악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컴퓨팅 장치에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실행하는 예시적인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및 3b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실행 정황으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대안의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실행 정황으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5b는 다른 대안의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실행 정황으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컨텐츠 캡쳐 서비스와 함께 적절하게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시적인"은 어떤 사항의 예시 즉 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 사항의 이상적인 및/또는 대표적인 예시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 '컨텐츠'는 제시, 저장, 배열 및/또는 작용될 수 있는 항목 및/또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컨텐츠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데이터/항목에 대응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의 예로서, 예컨대, 데이터 파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웹 페이지, 사용자 포스트, 데이터 스트림, 그리고 그 일부를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보존/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를 보존하는 것은 컨텐츠 자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 저장부 내의 컨텐츠에 대한 참조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를 캡쳐'하는 내용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용어 '캡쳐' 혹은 '캡쳐하다'는, 영구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을 생성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기록은 컨텐츠의 하나 이상의 포맷 및/또는 컨텐츠에 대한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종종, 가장 무결한 컨텐츠의 버전(포맷)이 영구 데이터 저장부에 기록되어서, 이 무결한 버전으로부터 다른 포맷이 생성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캡쳐하는 일부로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캡쳐되어서 기록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의 의미론적인 이해, 의미론적인 관계 및 데이터 구조, 컨텐츠의 소스, 컨텐츠가 보존된 날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용어 '애플리케이션' 및 '앱'과 관련해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코드/명령어의 본문을 가리킨다. 유사하게, 앱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코드/명령어의 본문을 가리킨다. 전형적으로, 앱은 최소 세트의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으로 더 좁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에, 애플리케이션은 더 큰 포커스 및 범주를 가질 것이다. 용어 앱 및 애플리케이션은 본 명세서에서 별개로 언급되겠지만, 컨텐츠 저장부에 컨텐츠를 캡쳐하는 것과 관련해서 앱과 애플리케이션은 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용어 앱 및 애플리케이션이 본 명세서에서 별개로 언급될 수 있지만,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하는 목적에서(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동의어로 간주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캡쳐 혹은 보존하는 것은, 최근의 컴퓨터 사용자의 중요한 활동이다. 컨텐츠로는 예컨대, 이미지 및 비디오, 오디오 레코딩, 웹 페이지, 이메일 메시지, 텍스트 메시지, 파일 및 문서, 수령 확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다양한 항목은, (소망의 목적지로 여행할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과 같은) 컴퓨터 사용자가 수행하는 중요하고 긴 디지털 액티비티와 관련된 것이고, 그 결과물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컴퓨터 사용자가 캡쳐하고자 하는) 소망의 컨텐츠는, 예컨대, 컴퓨터 사용자가 이후에 액세스 혹은 참조하려던 글(article)을 웹에서 발견하는 경우와 같이, 뜻밖의 결과물이 될 수도 있다.
개개의 애플리케이션은 전형적으로(항상은 아니지만) 파일 저장 옵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대해서 일련의 메뉴 선택을 통해서 파일 저장 특성을 개시해야 한다. 전형적인 파일 저장 옵션의 일부로서, 사용자는 드라이브 볼륨, 폴더, 파일명 등에 관한 정보를 식별해야 한다. 물론,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캡쳐 및/또는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디스플레이를 캡쳐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실행 정황을 전환해야 한다(예컨대, 현재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화면 캡쳐'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제한되기는 하지만, 기초 정보를 캡쳐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물을 켭쳐한다.
기존 솔루션과는 달리, 개시된 청구 대상은, 컨텐츠를 캡쳐하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는 실행 정황을 변경하는 일 없이, 실행 정황 및 기능 내에서 액세스될 수 있다. 환언하면,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로, 실행 정황을 변경하는 일 없이(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일없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개시된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가 컴퓨팅 장치의 운영 체제의 기능으로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 서비스는 현재의 실행 정황의 확장판으로서, 모든 실행 정황 및 기능과 마찬가지로호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실행 정황은 변경되지 않는다. 여러 실시예에서,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로서 기능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모달 방식으로(in a modal manner) 동작하지만, 모달 동작이 의무적인 특성은 아니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에 의해 달성되는 다른 이점은, 이 서비스가 컴퓨팅 장치 상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앱에서 독립된 것이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제 3 자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방안으로 운영 제체의 제공자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일부 혹은 전체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해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환언하면, 컴퓨터 사용자는, 전체 시스템의 사전 정의된 사용자 인터렉션(예컨대, 사전 결정된 제스쳐, 사전 결정된 키 스트로크 시퀀스, 하드웨어 버튼 혹은 컨트롤 등)에 의해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으며, 이 인터렉션은 임의의 앱/애플리케이션 정황에서 독립된 것이다. 나아가,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모든 실행 정황에서 보통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호출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그 애플리케이션에서 현재 액세스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해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서 앱/애플리케이션과 협상한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로는 예컨대, 파일명, 컨텐츠의 소스의 URL, 그 컨텐츠가 캡쳐된 애플리케이션, 캡쳐된 컨텐츠의 포맷, 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포맷, 컨텐츠가 캡쳐된 날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예에서, 컴퓨터 사용자는, 캡쳐될 컨텐츠의 포맷 혹은 유형에 대한 옵션을 제공받는다. 예컨대, 웹 페이지를 볼 때, 컴퓨터 사용자는 웹 페이지 혹은 그 웹 페이지의 URL을, 혹은 모두를 캡쳐하는 옵션을 제시받는다. 혹은, 컴퓨터 사용자는, 웹 페이지와 특히 관련된 세그먼트를 캡쳐할 것을 제시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비디오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려고 할 때, 사용자에게는 비디오, 비디오의 세그먼트,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의 스냇샷, 그 비디오의 명칭 및 소스 등을 캡쳐할 옵션이 제시될 수 있다.
개시되는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컨텐츠를 캡쳐할 때,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캡쳐된 컨텐츠를 컴퓨터 사용자를 대신해서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보존한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사용자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캡쳐된 컨텐츠를 보존하는 위치의 요소를 구성하는 기능을 제공받지만, 컨텐츠를 캡처할 때 컴퓨터 사용자가 캡쳐된 컨텐츠의 위치를 명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이전의 구성 설정에 따라서 혹은 컨텐츠에 제시된 정황에 따라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에 의해서 자동으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캡쳐된 컨텐츠를 네트워크-액세스 가능 위치에 저장해서, 컴퓨터 사용자가 현재 동작시키고 있는 컴퓨팅 장치와 관계없이 컨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컨텐츠 저장부 내의 캡쳐된 컨텐츠의 엔트리를 작성하거나,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에 캡쳐되어서 컨텐츠 저장부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캡쳐된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파일명, 소스 URL 등과 같은)를 사용해서, 캡쳐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에 그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기록으로서 추가될 것인지, 혹은 캡쳐된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 내의 기존 기록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서 업데이트되어야 하는지 판정할 수 있다.
캡쳐된 컨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순차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캡쳐된 컨텐츠와 관련된 인덱스 각각으로서, 캡쳐된 메타데이터 및 캡쳐된 컨텐츠 모두로부터의 핵심 용어 및 정보를 사용한다. 요켠대, 핵심 용어 및 정보가 컨텐츠 저장부로부터 캡쳐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식별 및/또는 취득하기 위한 인덱스에서 사용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호출되면,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소망의 컨텐츠를 캡쳐할 수 있도록 앱/애플리케이션 혹은 복수의 앱/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는 정지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앱/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정지시키는 것에 더해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컨텐츠가 캡쳐될 하나 이상의 앱/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위해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z-오더(z-order)를 순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 및 1b는 개시된 청구 대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세하게, 도 1a는 컴퓨터 사용자(101)와 관련된,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구성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102)의 예시적인 실시예(100)를 나타내고 있다. 컴퓨팅 장치(102)가 태블릿 컴퓨터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개시된 청구 대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을 실시하기 위한 적절한 컴퓨팅 장치로는,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미니 및 메인 프레임 컴퓨터, 스마트폰, 이른바 '패블릿' 컴퓨터(즉, 스마트폰과 태블릿 컴퓨터가 결합된 특성을 가진 컴퓨터), 게임 콘솔을 구비한 콘솔 컴퓨팅 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02)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로서 실행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를 포함한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와 인터렉션하기 위한 사용자 커맨드에 응답해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컨텐츠(106)를 캡쳐하고, 이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장부(108)가 컴퓨팅 장치(102)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러한 구성 측면으로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도 1b는, 컴퓨터 사용자(101)와 관련된 사용자 컴퓨터(112)를 포함하는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110)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112)는 운영 체제-레벨 프로세스로서 실행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를 포함한다. 도 1a와는 달리,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는 컨텐츠(106)를 캡쳐하고, 이 컨텐츠를 원격 위치된 컨텐츠 저장부(108)로 네트워크(120)를 통해서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텐츠 저장부가 컴퓨팅 장치에 위치될 수 있지만, 대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10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컨텐츠 저장부(108)를 위치시킴으로써, 컴퓨팅 장치(102)과 같은 특정 컴퓨팅 장치가 온라인인지 여부 및/또는 액세스 가능한지 여부와 무관하게, 컴퓨터 사용자(101)가 컨텐츠 저장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팅 장치와 무관하게,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된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두가지 목적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컨텐츠 저장부는 액세스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캡쳐된 컨텐츠는 원격 컨텐츠 저장부에서 비동기식으로 업데이트되고 저장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로컬 저장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도 2는 컴퓨팅 장치(2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컨텐츠를 캡쳐하는 예시적인 루틴(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블록 202에서 시작되고, 여기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는, 컨텐츠 캡쳐 동작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검출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캡쳐 동작의 개시를 트리거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은 임의의 수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렉션으로는 예컨대, 터치-감응형 입력 장치(태블릿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의 표면과 같은) 상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쳐, 사전 결정된 키-눌림 시퀀스, 하드웨어 버튼 혹은 제어, 오디오 커맨드(소리를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소리-감응형 장치에 의해 검출됨), 사전 결정된 마우스 클릭(키-눌림 및/또는 마우스 버튼 눌림과는 별개의 혹은 이와 조합한), 광학적으로 감지된 액션이나 제스쳐(광학적으로 감지된 동작을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롤 변환하는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됨), 물리적으로 검지된 모션(예컨대, 가속도계나 다른 모션 검지 장치를 통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캡쳐 서비스가 (컨텐츠의 캡쳐를) 개시한 이후에, 블록(204)에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가 컴퓨터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를 캡쳐하는 동안에, 루틴(200)은 실행중인 앱 및 애플리케이션이 컨텐츠의 표시 혹은 표시되는 컨텐츠의 업데이트를 중지하도록 통지한다(즉 커맨드를 송신함).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컨텐츠의 표시 혹은 디스플레이 상의 컨텐츠의 업데이트를 중지하도록,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것은, 앱/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뷰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혹은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블록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 206에서, 루틴(200)은 캡쳐될 컨텐츠를 식별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현재의 실행 정황에 따라 컨텐츠가 식별될 수도 있고,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가 개시된 이후에 - 사용자에 의한 명시적인 선택에 의해서나 혹은 정황(실행 정황을 포함함)에 따른 자동 선택에 의해서 - , 사용자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컴퓨터 사용자는 표시 장치 혹은 터치 표면 상에서 컨텐츠의 영역의 윤곽을 그려서, 캡쳐될 컨텐츠(그려진 영역 내의)를 규정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비한정의 대안의 예로서, 컴퓨터 사용자는 사전 결정된 인터렉션을 사용해서 현재의 실행 정황/애플리케이션 내의 모든 컨텐츠가 캡쳐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블록 208에서, 식별된 컨텐츠가 컴퓨팅 장치 상의 앱/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 혹은 캡쳐된다. 전형적으로,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가 앱 혹은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렉트할 수 있는 API 방식을 이용해서, 컨텐츠가 캡쳐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한정의 예로서)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는 인터렉션을 통하거나 API 없이 앱/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황을 결정하거나, 혹은 공통의 앱/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전 결정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블록 210에서, 컨텐츠를 캡쳐하는 것에 더해서, 컨텐츠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캡쳐된다. 이 메타데이터는 예컨대, 컨텐츠가 캡쳐되는 애플리케이션, 앱/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포맷의 컨텐츠, 컨텐츠가 작성된 날짜, 컨텐츠의 소스를 나타내는 URL, 컨텐츠의 파일명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캡쳐한 이후에, 블록 212에서, 루틴(200)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컴퓨팅 장치 상에서의 컨텐츠의 표시를 재개할 수 있다고 통지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이와 같은 재개 통지는, 애플리케이션이 이들 표시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금지하는 블록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214에서, 식별된 컨텐츠 및 관련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구성 및 실시예에서, 컴퓨터 사용자는, 식별된 컨텐츠가 컴퓨터 사용자가 캡쳐하고자 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할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서 캡쳐될 컨텐츠를 식별/확인할 수 있지만, 특정 위치, 파일 포맷 등을 명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파일 저장 동작과는 달리, 식별된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렉션 없이 컨텐츠 저장부에 자동으로 저장되며, 이로써 일관된 위치 컨텐츠를 저장하는 사용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컨텐츠가 일관된 위치에 저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쳐된 컨텐츠의 핵심 용어, 정보 및 속성에 따라서 인덱스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에 그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컴퓨터 사용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쳐된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하는 것에 더해서, 블록 216에서 캡쳐된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에 관한 핵심 용어 및 정보가 식별된다. 블록 218에서, 이 핵심 용어 및 정보는, 이후에 취득하기 위한, 컨텐츠 인덱스 내의 컨텐츠에 대한 인덱스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가 핵심 용어 및 정보의 식별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컨텐츠 인덱스에 용어를 추가하는 것에 더해서, 다른 방안으로, 블록 216, 218의 둘레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 단계는 컴퓨터 사용자의 컨텐츠 저장부(108)를 관리하는 외부의 협업 컨텐츠 저장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시된 청구 대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협업 컨텐츠 저장 프로세스는 다른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저장부를 관리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부에 컨텐츠를 추가한 이후에, 루틴(200)은 종료된다.
상술한 루틴(200)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프로세스와 관련해서, 이들 루틴/프로세스가 개별 단계와 관련해서 설명되었지만, 이들 단계는 사실상 논리적인 측면으로 봐야하며, 특정 구현예의 어떤 실제 단계 및/또는 개별 단계에 대응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루틴 및 프로세스에서 이들 단계가 표시되어 있는 순서가, 그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유일한 순서인 것처럼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부 예에서, 이들 단계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들 루틴이 개시된 청구 대상의 다양한 신규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지만, 루틴의 실행시에 다른 순서(나열되지 않은)가 수행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이들 루틴의 논리적인 단계는 통합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루틴의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차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종종, 다양한 루틴의 기능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는 컴퓨팅 장치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서비스, 라이브러리 등)에서 실행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실시예에서, 다양한 루틴 중 일부 혹은 전체는, 비한정 예로서 시스템 온 칩, 특수 설계 프로세서 및/또는 논리 회로 등을 포함한, 실행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들 루틴/프로세스는 전형적으로, 루틴, 함수, 루프 구조 그리고, if-then 및 if-then-else 구문, 대입문, 산술 연산자 등과 같은 셀렉터를 포함한 실행 가능 코드로 실시된다. 그러나, 각 루틴의 실행 가능 구문에서 정확하게 실행하는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 타겟 프로세서, 운영 환경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실시 구성 및 판정에 기초하고 있다. 당업자라면, 이들 루틴에 나타나는 논리 단계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설명한 논리적인 기술(description)로도 충분히 유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청구 대상에 대한 많은 신규한 측면이 애플리케이션(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도 함), 앱(작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일반적으로는 하나 혹은 한정된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방법에서 실시되는 루틴으로 표현되었지만, 이들 측면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라고도 함)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가 이후에 취득 및 실행하기 위해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어를 호스팅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어는, 실행될 때, 다양한 예시적인 루틴과 관련해서 상기 설명한 단계, 방법 및 루틴을 포함한, 다양한 단계, 방법 및/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블루레이 디스크, DVD, CD, 광 디스크 카드리지 등과 같은 광학식 저장 매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을 포함한 자기식 저장 매체; RAM, ROM, 메모리 카드, 썸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 메모리 저장 장치; 클라우드 저장부(즉, 온라인 저장 서비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반송파 및 전파 신호는 분명히 제외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컴퓨터 디스플레이(3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현재의 실행 정황으로부터 컨텐츠를 캡쳐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렉션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컴퓨터 디스플레이(300)는 현재 컨텐츠(302)를 표시하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의 현재 실행 정황을 변경하지 않고 이를 바라보고 있다. 컴퓨터 사용자가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한다고 가정하면, 이 예에서, 사용자는 표시 화면(300)의 측부(304)를 터치하고, 안쪽으로 스와이프한다. 터치 화면에 대한 또 다른 트리거링 인터렉션으로는 화면을 두번 탭하는 것을 들 수 있다(이것도 역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의 의미가 아니다). 이에 응답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 뷰(306) 상에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104)를 호출하는 캡쳐 옵션(308)을 포함한 다양한 운영 체제-레벨 옵션이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캡쳐 옵션(308)을 선택함으로써, 컨텐츠(302)는 컨텐츠 저장부(108)에 캡쳐되고, 옵션 뷰는 사라지며, 현재의 실행 정황에서 실행은 계속된다.
도 3a 및 3b에,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와 인터렉션하기 위한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와 인터렉션하는 구현예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4a~4c에는, 스마트 폰(400)으로부터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와 인터렉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400)은 현재 비디오(402)를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에지(404)를 터치하고 아래로 스와이프함으로써,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가 호출된다. 개시된 청구 대상의 측면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가 호출되면, 컴퓨팅 장치의 컨텐츠의 표시는 일시 정지되고, 사용자는 변경, 클리어 혹은 소거되지 않은 컨텐츠를 캡쳐할 기회를 갖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가 호출되면, 컨텐츠의 표시는 일시 정지되고, 이는 이 예에서 투명 캡쳐 박스(406) 내에 표시되는데, 이 박스(406)는 이 처리에 의해 캡쳐될 컨텐츠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컴퓨터 사용자는 예컨대, 컨텐츠 중 캡쳐될 영역을 표시하는 '올가미(lasso)' 동작을 통해서 캡쳐될 컨텐츠의 선택을 나타낼 수도 있다.
캡쳐 박스(406)에 더해서,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는 (본 예에서) 캡쳐 컨트롤(410) 및 구성 컨트롤(408)을 표시한다. 캡쳐 컨트롤(410)을 선택하면, 캡쳐 박스(406) 내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된다. 전형적으로, 캡쳐되는 컨텐츠 포맷은, 컨텐츠의 가장 완전한 버전으로 디폴트된다. 그러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컨트롤(408)을 통해서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캡쳐될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이 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캡쳐하는 것과 캡쳐 박스(406)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스냅샷'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5a 및 5b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뷰(502~506)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의 표시 화면(500)에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시에서는, 컴퓨팅 장치는 키-눌림 시퀀스에 따라서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화면(500)의 이 뷰는 컴퓨터 사용자가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를 트리거한 이후이다.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뷰 사이에 선택 표시자(510)가 표시되어서, 캡쳐될 컨텐츠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뷰(502~506)에 대한 출력은 일시 정지되고, 이로써 컴퓨터 사용자는 컨텐츠의 특정 디스플레이나 아래에 있는 컨텐츠를 캡쳐할 기회를 갖게 된다. 본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뷰(506)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뷰 위에 위치됨으로써,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경계부를 하이라이트시켜서, 어떤 컨텐츠가 캡쳐되는지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뷰(506)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뷰 상에서 선택 표시자(510)를 해제함으로써, 대응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가 캡쳐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며, 여기에는, 실행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를 행하는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갖고 구성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6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600)는 프로세서(602)(즉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604)를 포함하며, 이들은 시스템 버스(61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604)는 일반적으로(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님) 휘발성 메모리(606)와 비휘발성 메모리(608)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휘발성 메모리(606)는,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한 계속해서 정보를 유지 혹은 저장하고 있다. 반대로 비휘발성 메모리(608)는 급전부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정보를 저장(즉 보존)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RAM 및 CPU 캐시 메모리가 휘발성 메모리(606)의 예이고, 반면에 ROM, 고체 상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저장 소자 및/또는 메모리 카드가 비휘발성 메모리(608)의 예이다.
프로세서(602)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를 컨텐츠 카드 인덱스로 캡쳐하는 것, 지능형 캔버스를 제공하는 것, 및 지능형 클립 보드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해서, 메모리(604)로부터 취득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602)는, 싱글-프로세서, 멀티-프로세서, 싱글-코어 유닛 및 멀티-코어 유닛과 같은 다양한 시판중인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개시된 청구 대상의 신규한 측면이, 비한정 예로서, PDA,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장치, 태블릿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팸플릿 컴퓨팅 장치,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시스템 버스(610)는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컴포넌트가 상호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버스(610)는, 다양한 컴포넌트(내부 컴포넌트와 외부 컴포넌트를 모두 포함)를 상호 접속시킬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버스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600)은 또한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 컴퓨터, 온라인 서비스 및/또는 네트워크 개체, 그리고, 네트워크(120)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와 상호 접속할 때 사용할 네트워크 통신 컴포넌트(6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 컴포넌트(612)는, 유선 접속, 무선 접속 혹은 이들 모두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다양한 컴퓨터 및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600)에는, 운영 체제(616) 및 하나 이상의 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618), 그리고 사용자 I/O 서브시스템(614)도 포함된다. 운영 체제는(실행시에), 추가적인 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618)의 실행을 포함한, 컴퓨터를 운영할 베이스를 제공한다. 운영 체제(616)는 앱 혹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앱의 서비스 확장으로서 동작하는 서비스이다. 종종, 운영 체제는 앱 및 애플리케이션에사용자 I/O(입출력) 서브시스템(614)과 인터렉트하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 상의 앱 및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렉트하는 것 및 앱/애플리케이션이 컴퓨터 사용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600)는 또한, 실행시에 상술한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를 수행하는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62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반드시 운영 체제의 요소일 필요는 없음)로서 실행되어서, 그 결과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를 사용할 때 컴퓨팅 장치의 실행 정황을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앱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확장으로 보여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캡쳐 프로세스(104)는 캡쳐된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108)에 저장 혹은 유지한다. 다양한 비포괄적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츠 저장부는 인덱싱된 컨텐츠 저장부로, 하나 이상의 키(키 용어 및 정보에 대응함)가 컨텐츠 저장부의 컨텐츠의 위치를 찾아서 이를 취득하는 컨텐츠 인덱스에서의 인덱스의 역할을 하게 된다. 컨텐츠 저장부(108)는 도 6에서 컴퓨팅 장치(600) 내에 있는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개시된 청구 대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장부(108)는 컴퓨팅 장치(600)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및/또는 네트워크(120) 상의 인덱스된 저장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700)의 다양한 컴포넌트와 관련해서, 당업자라면, 이들 컴포넌트가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하드웨어 모듈로서(시스템 온 칩(SoC)을 포함함),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컴포넌트 각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컴퓨팅 장치에서 동작하거나 혹은 이와 함께 동작하는, 독립되어 있는 협업 프로세스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700)와 관련해서 상기 설명한 다양한 컴포넌트는 다양하게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논리적인 컴포넌트로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논리적인 컴포넌트 및/또는 서브시스템은 실제의 개별 컴포넌트에 직접,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실제 실시예에서, 각각의 컴퓨터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다수의 실제 컴포넌트 사이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및/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협업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개시된 청구 대상의 다양한 신규한 측면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이들 측면이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측면의 변형예 및 대안의 예도 개시된 청구 대상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2)

  1. 컴퓨팅 장치 상의 컨텐츠를 캡쳐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를 동작시키는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려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컴퓨팅 장치 상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하도록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도록,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지를 받은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될 컨텐츠로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컨텐츠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컨텐츠를 상기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에, 사용자의 인터렉션없이 자동으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이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는,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캡쳐 서비스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현재 실행 정황(execution context)을 변경하지 않고 실행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획득된 컨텐츠와 함께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검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터치-감응형 표면 상에서의 제스쳐 및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의 키-눌림 조합 중 하나 혹은 모두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검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은, 소리를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소리-감응형 장치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커맨드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검출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광학적으로 검지되는 액션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센서는 상기 광학적으로 검지되는 액션을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것인
    컴퓨터-구현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캡쳐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하고자 하는 소망의 컨텐츠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망의 컨텐츠 포맷의 상기 식별된 컨텐츠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식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개시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10.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 컴포넌트의 일부로서 혹은 상기 추가 컴포넌트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해서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캡쳐하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는 실행 가능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가능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는,
    상기 컴퓨팅 장치를 동작시키는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로 컨텐츠를 캡쳐하고자 하는 컴퓨터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검출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도록, 통지하며,
    상기 통지를 받은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로 캡쳐될 컨텐츠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를,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뷰로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통지하고,
    상기 획득한 컨텐츠를 상기 컴퓨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 저장부에, 사용자의 인터렉션없이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터치-감응형 표면 상에서의 제스쳐와,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의 키-눌림 조합과,
    소리를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소리-감응형 장치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커맨드와,
    광학적으로 검지되는 액션을 하나 이상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광학적으로 검지되는 액션
    을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 컨텐츠 캡쳐 컴포넌트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현재 실행 정황(execution context)을 변경하지 않고 실행되도록, 상기 컴퓨팅 장치 상에서 운영 체제-레벨 서비스로서 실행되는
    컴퓨팅 장치.
KR1020177007743A 2014-09-22 2015-09-17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KR102390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92,635 2014-09-22
US14/492,635 US20160085840A1 (en) 2014-09-22 2014-09-22 Universal Interaction for Capturing Content to Persistent Storage
PCT/US2015/050542 WO2016048763A1 (en) 2014-09-22 2015-09-17 Universal interaction for capturing content to persistent sto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288A true KR20170057288A (ko) 2017-05-24
KR102390688B1 KR102390688B1 (ko) 2022-04-25

Family

ID=5426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743A KR102390688B1 (ko) 2014-09-22 2015-09-17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60085840A1 (ko)
EP (1) EP3198408A1 (ko)
KR (1) KR102390688B1 (ko)
CN (1) CN107111491A (ko)
WO (1) WO2016048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325B2 (en) 2014-12-11 2018-10-23 Rdi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alyzing, displaying, organizing and responding to vital signals
US10990757B2 (en) * 2016-05-13 2021-04-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 windows for application programs
JP6750486B2 (ja) * 2016-12-02 2020-09-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403509B2 (en) 2018-10-08 2022-08-02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edback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mage capture devices
US10977800B1 (en) 2019-01-22 2021-04-13 Rdi Technologies, Inc. Image acquisition and detailed visual inspection of component in periodic motion
US10762639B1 (en) 2019-01-22 2020-09-01 Rdi Technologies, Inc. Detailed visual inspection of component in periodic mo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748A (ko) * 1998-02-06 2001-05-15 피터 엔. 데트킨 연결형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스트리밍 동작 동안에 정지화상 캡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30169296A1 (en) * 2000-06-19 2003-09-11 Chitoshi Ito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146629A (ja) * 2004-11-22 2006-06-08 Hitachi Ltd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10264709A1 (en) * 2006-04-20 2011-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Image Data
US20120311490A1 (en) * 2011-06-03 2012-12-06 Apple Inc. Methods for launching applications with efficient user impression
US20140022269A1 (en) * 2012-07-18 2014-01-2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screenshots from mobile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0479B2 (en) * 1999-07-29 2011-01-11 Electronic Arts Inc. Electronic in-application postcards
US7734724B2 (en) * 2000-09-06 2010-06-08 Xanboo Inc. Automated upload of content based on captured event
US7707039B2 (en) * 2004-02-15 2010-04-27 Exbiblio B.V. Automatic modification of web pages
TW200735662A (en) * 2006-03-08 2007-09-16 Benq Corp Image capture systems and methods
US20080282160A1 (en) * 2007-04-06 2008-11-13 James Ian Tonnison Designated screen capturing and automatic image exporting
US20120010995A1 (en) * 2008-10-23 2012-01-12 Savnor Technologies Web content capturing, packaging, distribution
US20120044137A1 (en) * 2009-04-01 2012-02-23 Chandar Kumar Oddiraju Screen capture
KR101613931B1 (ko) * 2009-09-10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104468B2 (en) * 2010-02-17 2015-08-11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apparatus with multi-tasking features
CN101815199B (zh) * 2010-04-07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终端
US10631246B2 (en) * 2011-02-14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sk switching on mobile devices
CN102307156B (zh) * 2011-05-16 2015-07-2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图片分享并返回播放的方法及装置
US8997171B2 (en) * 2011-08-19 2015-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licy based application suspension and termination
KR20130085146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파일 재개와 그를 위한 스크린 캡처 방법 및 장치
CN102799383B (zh) * 2012-07-18 2014-05-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截图方法、屏幕截图装置
US20140040035A1 (en) * 2012-08-03 2014-02-06 Elijah Cusack Method and system of using smartphone lockscreens as personal advertising billboards
US20140198054A1 (en) * 2013-01-15 2014-07-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creen freez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445154B2 (en) * 2013-07-08 2016-09-13 Glance Networks, Inc. Method for demonstrating interaction with a touch sensitive screen via video
CN103927178A (zh) * 2014-04-18 2014-07-16 长沙裕邦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截图方法及截图装置
GB2526263B (en) * 2014-05-08 2019-02-0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Europe Ltd Image capture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748A (ko) * 1998-02-06 2001-05-15 피터 엔. 데트킨 연결형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스트리밍 동작 동안에 정지화상 캡처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30169296A1 (en) * 2000-06-19 2003-09-11 Chitoshi Ito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146629A (ja) * 2004-11-22 2006-06-08 Hitachi Ltd 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10264709A1 (en) * 2006-04-20 2011-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Image Data
US20120311490A1 (en) * 2011-06-03 2012-12-06 Apple Inc. Methods for launching applications with efficient user impression
US20140022269A1 (en) * 2012-07-18 2014-01-2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screenshots from mobile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1491A (zh) 2017-08-29
US20200327148A1 (en) 2020-10-15
KR102390688B1 (ko) 2022-04-25
EP3198408A1 (en) 2017-08-02
WO2016048763A1 (en) 2016-03-31
US20160085840A1 (en)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7148A1 (en) Universal Interaction for Capturing Content to Persistent Storage
US10275050B2 (en) Ink for a shared interactive space
US9098183B2 (en) Drag and drop application launches of user interface objects
US944869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JP6033226B2 (ja) タッチデバイスでホームスクリーン編集方法及び装置
AU2014288039B2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US9310962B2 (en) User interface in which object is assigned to data file and application
US10551998B2 (en) Method of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40025552A (ko)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통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6200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b previews via an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BRPI0920057B1 (pt) sistema e método para isolar em quarentena dados recebidos enquanto uma tela de um dispositivo de computação móvel está bloqueada
EP2992420B1 (en) Content-based directional placement application launch
KR101798697B1 (ko) 상이한 파일 호스트를 이용한 파일 액세스 기법
CN103823813A (zh) 电子终端历史操作记录处理方法及装置
US20160077673A1 (en) Intelligent Canvas
TW201617839A (zh) 光解離管理器
US9804774B1 (en) Managing gesture input information
US10824306B2 (en) Presenting captured data
KR20130085146A (ko) 애플리케이션 파일 재개와 그를 위한 스크린 캡처 방법 및 장치
US201602672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102150961B1 (ko) 작업 그룹을 이용하는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4093242A1 (en) Modification of file graphic appearance within a collection canvas
US20120278515A1 (e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directory path thereof
JP63662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568511A (zh) 数字硬盘录像机中功能收藏定制和调用的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