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022A -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022A
KR20170057022A KR1020150160616A KR20150160616A KR20170057022A KR 20170057022 A KR20170057022 A KR 20170057022A KR 1020150160616 A KR1020150160616 A KR 1020150160616A KR 20150160616 A KR20150160616 A KR 20150160616A KR 20170057022 A KR20170057022 A KR 2017005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rame
variable
drive shaft
fram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536B1 (ko
Inventor
임홍수
Original Assignee
임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수 filed Critical 임홍수
Priority to KR102015016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lding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단으로 폴딩되는 가변프레임(10), 상기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랫(20), 상기 가변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랫(20)을 회동하게 하는 회동수단(30), 창틀(W)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프레임(10)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변프레임(10)을 일정위치에 가이드시키고 고정시키는 상하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는 폴딩각도 및 폴딩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상하 배치위치가 조절가능함으로써 각 실내 조건에 맞추어 주광을 조절할 수 있는 광선반 역할이 가능하여 조명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달일사를 차단하여 실내에 발생할 수 있는 일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파장 적외선을 줄여 냉방부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겨울철 태양의 고도가 낮을 때 일사가 유입되는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양을 돌출시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망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The Multipurpose External Shading Device having Hinge Joint and Slat}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와 일체화되고 일반적인 블라인드 형태와 거주자의 요구나 태양의 고도에 따라 수평광선반 형태로 변화될 수 있어 채광, 주광조절, 냉방에너지 부하감소, 조명에너지 절감, 조망권 확보가 가능한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창문에는 실내로 들어오는 태양빛을 가리거나 차단하기 위해 차양을 설치하거나 실내에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빛을 가리기 위해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내리게 되면 창문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없어 조망권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고, 실내에 들어오는 태양빛이 차단되므로 실내가 어두컴컴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라인드는 통상 실내 개구부에 창틀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하여 거주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외부에 슬랫의 폭이 넓은 루버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의 슬랫을 조절하여 주광을 실내로 유입시켜 직달일사를 확산광으로 바꾸는 기술이 효율적이긴 하나 넓은 슬랫각이 변화함에 따라 창문의 조망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블라인드를 내린 상태에서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고, 그중 공고번호 특1991-0000329호에는 접는 블라인드가 소개되어 반으로 접혀진 블라인드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여 블라인드의 상단과 서로 인접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접힌 상태의 블라인드가 항상 상부쪽에만 위치하게 되므로, 시간 및 계절에 따라 변하는 태양의 고도나 조도에 맞출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차양장치의 경우 건물에 부착되어 창호와 분리된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대량생산이 어렵고 단가가 고가이며, 루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고번호 특1991-00003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망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거주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차양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별도의 프레임없이 창호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 형태와 광선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슬랫을 조절할 수 있고 광선반의 높이를 거주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는,
적어도 2단으로 폴딩되는 가변프레임(10),
상기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랫(20),
상기 가변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랫(20)을 회동하게 하는 회동수단(30),
창틀(W)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프레임(10)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변프레임(10)을 일정위치에 가이드시키고 고정시키는 상하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가변프레임(10)은 2단으로 폴딩되는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은 연결되는 조인트부분에 힌지(18)가 구비되어 힌지를 중심회전축으로하여 접혔다 펴졌다 하며,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측면에는 각각 롤러(14,16)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각 롤러(14,16)는 체인(58a)과 체인(58b)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편(14a,16a)에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슬랫(20)은 상기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내로 침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며,
상기 슬랫(20)은 각각 별개로 또는 일체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슬랫(20)의 회동각도(θ)는 슬랫간의 설치간격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상기 롤러(14,16)와 가이드편(14a,16a)이 레일을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되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홈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상하이동수단(50)은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축(51)과 모터, 및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양 측부 내측에 구비되는 체인(5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구동축(51)은 원통형상의 제1 구동축(51a)과 상기 제1 구동축(51a)에 삽입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동축을 갖는 제2 구동축(51b)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에는 각각 구동 웜휠(52a,52b)이 고정되어 있고, 각 구동 웜휠(52a,52b)에는 웜기어(53a,53b)가 이맞물림되어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웜기어(53a,53b)는 회동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형성된 스퍼어기어(54a,54b)로부터 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스퍼어기어(54a,54b)는 모터의 출력부에 위치한 스퍼어기어(55)와 선택적으로 이맞물려 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의 양 단부쪽에는 체인 웜휠(57a,57b)이 고정되어 각각 체인(58a,58b)이 감겨지며, 상기 각 체인(58a,58b)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40)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체인 웜휠(57a,57b)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소정위치에서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부 가변프레임과 하부 가변프레임으로 폴딩되며, 각각의 가변프레임은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에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부 가변프레임과 하부 가변프레임으로 폴딩되며, 폴딩된 가변프레임은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일체형 상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는 폴딩각도 및 폴딩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상하 배치위치가 조절가능함으로써 각 실내 조건에 맞추어 주광을 조절할 수 있는 광선반 역할이 가능하여 조명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달일사를 차단하여 실내에 발생할 수 있는 일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파장 적외선을 줄여 냉방부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겨울철 태양의 고도가 낮을 때 일사가 유입되는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양을 돌출시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망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개략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가변프레임의 폴딩형태,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가 폴딩된 일체상태로 위치조절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b)는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개략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가변프레임의 폴딩형태,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가 폴딩된 일체상태로 위치조절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b)는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1)는 적어도 2단 이상으로 폴딩되는 가변프레임(10),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랫(20), 가변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랫(20)을 회동하게 하는 회동수단(30), 창틀(W)에 고정되어 가변프레임(10)의 롤러(14,16)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변프레임(10)의 롤러(14,16)를 일정위치에 가이드시키고 고정시키는 상하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변프레임(10)은 2단 또는 3단 이상으로 폴딩되도록 다수개의 가변프레임(10a,1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2단으로 폴딩되는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으로 설명한다.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이 연결되는 조인트부분은 힌지(18)로 연결되어 힌지를 회전축으로하여 접혔다 펴졌다 하는 동작이 부드럽게 적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 가변프레임(10a,10b)의 내측에는 등록특허 제10-0943523와 같은 슬랫(20)을 회동시키는 공지된 회동수단(30)이 구비되고,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 측면에는 각각 롤러(14,16)가 구비되어 가이드레일(40)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각 롤러(14,16)는 각각 가이드편(14a,16a)에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편(14a)의 타단은 체인(58b)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가이드편(16a)의 타단은 체인(58a)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이때, 체인(58a)과 체인(58b)은 각 체인 웜휠(57a,57b)의 회동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체인의 회전에 따라 폴딩되는 상부 및 하부 가변프레임(10a,10b)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원하는 일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슬랫(20)은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내로 침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에 장착된 슬랫(20)은 각각 별개로 회동될수도 있고 또한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슬랫의 회동각도(θ)는 슬랫간의 설치간격에 따라 변동가능하다. 즉, 인접한 슬랫간의 이격거리가 슬랫의 폭과 같거나 클때에는 회동각도가 0~360°범위일 수 있으며, 인접한 슬랫간의 이격거리가 슬랫의 폭보다 작을때에는 회동각도가 0~90°범위가 바람직하다.
회동수단(30)은 가변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슬랫(20)을 회동하게 하는 것으로, 슬랫 각각을 회동가능하도록 하거나 슬랫 전체를 일체로 회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수단은 공지된 것을 이용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도면을 생략하였다.
가이드레일(40)은 창틀(W)에 고정되어 상부 가변프레임(10a) 및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각 롤러(14,16)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각 롤러(14,16)와 각 가이드편(14a,16a)이 레일을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되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홈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롤러(14,16) 또는 가이드편(14a,16a)이 끼워져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하방향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롤러(14,16)의 말단을 후크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돌기형상을 가이드레일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이 창틀에 구속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과 창틀의 접합부위에는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는 수용부와 걸림턱이 구비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물론, 예시된 결합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하이동수단(50)은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부 가변프레임(10a) 및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각 롤러(14,16)를 일정위치에 가이드시키고 고정시키는 것으로, 가이드레일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축과 모터, 가이드레일의 양 측부 내측에 구비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축은 원통형상의 제1 구동축(51a)과 제1 구동축(51a)에 삽입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동축을 갖는 제2 구동축(51b)으로 구비된다.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에는 각각 구동 웜휠(52a,52b)이 고정되어 있으며, 각 구동 웜휠(52a,52b)에는 웜기어(53a,53b)가 이맞물림되어 모터(56)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웜기어(53a,53b)는 회동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형성된 스퍼어기어(54a,54b)로부터 모터(56)로부터 출력되는 회동력을 전달받으며,이격되게 배치된 스퍼어기어(54a)와 스퍼어기어(54b)는 모터(56)의 출력부에 위치한 스퍼어기어(55)와 선택적으로 이맞물려 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스퍼어기어(55)와 스퍼어기어(54a) 또는 스퍼어기어(54b)와의 이맞물림은 별도 구비된 제어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조절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모터에 스퍼어기어(55)를 2개 구비하고 각각 스퍼어기어(54a) 또는 스퍼어기어(54b)와 이맞물리게 구성한 다음, 제어스위치에 의해 회동력 전달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이 접합되는 제1 구동축의 내면과 제2 구동축의 외면 사이에는 이들의 상대적 회동이 부드럽게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의 양 단부쪽에는 체인 웜휠(57a,57b)이 고정되어 각각 체인(58a,58b)이 감겨지며, 상기 각 체인(58a,58b)의 하단부는 가이드레일(40)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체인 웜휠(57a,57b)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원하는 소정위치에서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체인(58a,58b)에는 가이드편(14a,16a)이 고정되어 각 체인의 상하 이동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즉, 체인(58a)에 고정된 가이드편(14a)과 체인(58b)에 고정된 가이드편(16a)은 각 웜휠(57a,57b)의 회동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는, 가변프레임을 상부 가변프레임과 하부 가변프레임으로 폴딩되도록 하고, 각각의 가변프레임은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며, 폴딩된 가변프레임은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일체형 상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상하이동수단(50)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56)를 구동시키면 모터로부터 출력된 회동력이 스퍼어기어(55)를 통해 스퍼어기어(54a,54b)에 전달되고, 스퍼어기어(54a,54b)에 전달된 회동력은 웜기어(53a,53b)를 거쳐 이에 맞물려있는 구동 웜휠(52a,52b)에 전달되어 제1 구동축(51a)이나 제2 구동축(51b)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1 구동축(51a)이나 제2 구동축(51b)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1 구동축(51a)이나 제2 구동축(51b)에 고정된 체인 웜휠(57a,57b)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체인 웜휠(57a,57b)에 감겨져 있는 각 체인(58a,58b)이 회전하게 된다.
각 체인(58a,58b)의 회전에 따라 체인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편(14a,16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각 가이드편에 롤러(14,16)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폴딩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소정각도로 폴딩된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은 폴딩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특히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이 완전히 폴딩되어 하나로 된 상태에서는 어느 하나의 구동축의 회동만으로 폴딩된 가변프레임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전히 폴딩된 상하부 가변프레임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 구동축(51b)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체인(58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편(14a)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편(14a)은 맞닿아있는 가이드편(16a)을 하방향으로 밀게되므로, 폴딩된 상하부 가변프레임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완전히 폴딩된 상하부 가변프레임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구동축(51a)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체인(58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편(16a)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편(16a)은 맞닿아있는 가이드편(14a)을 상방향으로 밀게되므로, 폴딩된 상하부 가변프레임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차양을 닫기 위해, 폴딩된 가변프레임(10)의 상부 가변프레임(10a)은 상방향으로 하부 가변프레임(10b)은 하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구동축(51b)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체인(58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편(14a)를 상단까지 이동시켜 상부 가변프레임(10a)은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또한, 제1 구동축(51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체인(58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편(16a)를 하단까지 이동시켜 하부 가변프레임(10b)은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폴딩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폴딩각도 및 폴딩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상하 배치위치가 조절가능한 가변 차양장치는 각 실내 조건에 맞추어 주광을 조절할 수 있는 광선반 역할이 가능하여 조명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직달일사를 차단하여 실내에 발생할 수 있는 일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파장 적외선을 줄여 냉방부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겨울철 태양의 고도가 낮을 때 일사가 유입되는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양을 돌출시켜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망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10:가변프레임
20:슬랫 30:회동수단
40:가이드레일 ` 50:상하이동수단
W:창틀

Claims (12)

  1. 적어도 2단으로 폴딩되는 가변프레임(10),
    상기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랫(20),
    상기 가변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랫(20)을 회동하게 하는 회동수단(30),
    창틀(W)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프레임(10)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변프레임(10)을 일정위치에 가이드시키고 고정시키는 상하이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0)은 2단으로 폴딩되는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은 연결되는 조인트부분에 힌지(18)가 구비되어 힌지를 중심회전축으로하여 접혔다 펴졌다 하며,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측면에는 각각 롤러(14,16)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변프레임(10a)과 하부 가변프레임(10b)의 각 롤러(14,16)는 체인(58a)과 체인(58b)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편(14a,16a)에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20)은 상기 가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내로 침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의 조사량을 조절하며,
    상기 슬랫(20)은 각각 별개로 또는 일체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20)의 회동각도(θ)는 슬랫간의 설치간격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상기 롤러(14,16)와 가이드편(14a,16a)이 레일을 이탈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되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홈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50)은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축(51)과 모터, 및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양 측부 내측에 구비되는 체인(5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1)은 원통형상의 제1 구동축(51a)과 상기 제1 구동축(51a)에 삽입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동축을 갖는 제2 구동축(51b)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에는 각각 구동 웜휠(52a,52b)이 고정되어 있고, 각 구동 웜휠(52a,52b)에는 웜기어(53a,53b)가 이맞물림되어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웜기어(53a,53b)는 회동축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형성된 스퍼어기어(54a,54b)로부터 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스퍼어기어(54a,54b)는 모터의 출력부에 위치한 스퍼어기어(55)와 선택적으로 이맞물려 모터의 회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51a)과 제2 구동축(51b)의 양 단부쪽에는 체인 웜휠(57a,57b)이 고정되어 각각 체인(58a,58b)이 감겨지며, 상기 각 체인(58a,58b)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40)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체인 웜휠(57a,57b)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소정위치에서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부 가변프레임과 하부 가변프레임으로 폴딩되며, 각각의 가변프레임은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부 가변프레임과 하부 가변프레임으로 폴딩되며, 폴딩된 가변프레임은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일체형 상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위치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KR1020150160616A 2015-11-16 2015-11-16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KR10180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16A KR101803536B1 (ko) 2015-11-16 2015-11-16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16A KR101803536B1 (ko) 2015-11-16 2015-11-16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22A true KR20170057022A (ko) 2017-05-24
KR101803536B1 KR101803536B1 (ko) 2017-11-30

Family

ID=5905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16A KR101803536B1 (ko) 2015-11-16 2015-11-16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486A (zh) * 2018-06-14 2018-11-23 常州大学 波纹折叠式节能安全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901B1 (ko) 2018-11-08 2019-08-01 주식회사 한국건설환경 차양영역 자율 조절형 전동 차양시스템
CN112247744A (zh) * 2020-10-20 2021-01-22 中国能源建设集团东北电力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便携式磁力铣磨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84B1 (ko) * 2007-07-13 2008-08-08 이지섭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KR100943523B1 (ko) * 2009-10-27 2010-02-22 (주)미소차양시스템 전동식 루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8486A (zh) * 2018-06-14 2018-11-23 常州大学 波纹折叠式节能安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36B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61B2 (en)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US8413705B2 (en) Orientable panel of a roofing devic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EP3024997B1 (en) Sunshade
US9359768B2 (en) Adjustable all-season window awning/light shelf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
KR101803536B1 (ko)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US20160168905A1 (en)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2055581B1 (ko)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KR101136112B1 (ko) 블라인드 하이브리드 난간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101170061B1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2592046B1 (ko) 개폐식 어닝 조립체
BE1018083A5 (nl) Zonnewering.
CN108252639A (zh) 自动化遮阳窗
KR101093106B1 (ko) 가동형 격자 루버시스템
KR200481172Y1 (ko) 가변설치수단을 갖는 전동블라인드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CN215369575U (zh) 一种基于风、光、雨控制系统的智能窗帘
TWI611091B (zh) 天窗式百葉窗簾
CN204457380U (zh) 一种轨道运行的电动铝合金卷帘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