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190A -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190A
KR20170055190A KR1020150158062A KR20150158062A KR20170055190A KR 20170055190 A KR20170055190 A KR 20170055190A KR 1020150158062 A KR1020150158062 A KR 1020150158062A KR 20150158062 A KR20150158062 A KR 20150158062A KR 20170055190 A KR20170055190 A KR 2017005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supply pipe
cooling tower
water suppl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916B1 (ko
Inventor
박승균
Original Assignee
(주)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공조 filed Critical (주)새한공조
Priority to KR102015015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0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24F2011/0054
    • F24F2011/005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수행하며 응축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공기 조화기는, 제어부; 실내에 설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냉난방 모듈; 일단은 상기 냉난방 모듈과 연결되고, 냉방이나 난방에 따라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 실외에 설비되고,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급받은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탑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탑에서 생성되는 습공기를 상기 하우징에 공급하는 습공기 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습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상기 습공기를 배기하는 습공기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HYBRI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수행하며 응축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주어진 실내의 온도, 습도, 환기, 기류 및 청정 등을 함께 조절하여 실내의 사용목적에 알맞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흡입하여 이것을 공기 조화해서 내보내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 조화기는 공기 정화, 공기 냉각 및 감퇴, 공기 가열 및 가습의 기능을 가지며, 공기 여과기, 공기 예열기, 공기 예냉기, 공기 냉각 감습기, 공기 가습기, 공기 재열기, 송풍기 등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거주자의 쾌적성 증대, 외부오염의 방지, 작업능률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그리고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이 냉매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됨으로써 이루어지는 흡열작용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주위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냉매 팽창밸브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구성된 분리형 타입과, 상기의 요소들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체형 타입으로 구분된다.
또한, 분리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작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나, 설계나 경제성 문제로 인하여 실제 시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기조화기는 최적의 효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588533호 미국 등록특허 US5,076,34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81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6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수행하며 응축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감지하며 그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공기 조화기는, 제어부; 실내에 설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냉난방 모듈; 일단은 상기 냉난방 모듈과 연결되고, 냉방이나 난방에 따라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 실외에 설비되고,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급받은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탑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탑에서 생성되는 습공기를 상기 하우징에 공급하는 습공기 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습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상기 습공기를 배기하는 습공기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은, 상기 냉각탑의 외부에 설치되고, 강설을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강설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선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강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설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탑에 설치된 실외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은, 강설에 따른 상기 냉각탑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강설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소화유닛 및 상기 경보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가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출부가 상면에 설치된 본체; 상기 응축수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살수부가 설치된 제 1 필러와 제 2 필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러 및 상기 제 2 필러에서 냉각된 응축수가 저수되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조를 좌측부의 제 1 집수공간과 우측부의 제 2 집수공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필러에 설치된 살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탑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에서 분지되고, 단부는 상기 제 1 필러의 상부에 설치된 살수부에 연결된 분지관; 하단은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회귀관;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귀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을 흐르는 응축수 중 적어도 일부인 제 1 응축수는 상기 분지관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러의 살수부에 공급되어 하부로 살수되고, 상기 살수된 제 1 응축수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저수되며,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제 1 응축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귀 펌프에서 발생된 동력에 따라 상기 회귀관을 통하여 상기 응축수 공급관으로 공급되고,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타단에서 상기 제 2 필러의 살수부로 공급되는 제 2 응축수는 상기 제 2 필러의 살수부에 의하여 하부로 살수되고, 상기 살수된 제 2 응축수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상기 제 2 집수공간에 저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분지관의 연결 부분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분지관으로 흐르는 상기 제 1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제 2 집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 3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3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지관으로 흐르는 상기 제 1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분지관의 연결 부분을 폐쇄하여 상기 분지관으로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을 흐르는 응축수에 포함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방열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수행하며 응축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감지하며 그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와 냉각탑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공기 조화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부의 광모듈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각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응축수 공급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습기 흡입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공기 조화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와 냉각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200)는 실내에 설비되는 본체와 실외에 설비되는 냉각탑(100)으로 구성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200)의 하우징에는 여과기(110), 냉방 모듈(112), 난방 모듈(114), 송풍기(116)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냉각탑(100)은 본체(10), 공기 유입부(20), 필러(22, 24), 공기 유출부(30), 집수조(40), 응축수 공급관(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을 갖는 공기 조화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여과기(110)는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한다. 여과기(110)는 충돌 점착식, 건성 여과식, 전기식, 활성탄 흡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냉난방 모듈(112, 114)은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며, 송풍기(116)는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냉난방 모듈(112, 114)에서는 냉방이나 난방을 수행함에 따라 응축수를 배출하게 되며, 상기 응축수는 냉난방 모듈(112, 114)과 연결된 응축수 공급관(50)을 통하여 냉각탑(100)으로 공급된다.
습공기 공급관(118)은 일단이 공기 조화기(200)의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냉각탑(100)에 연결된다. 냉각탑(100)의 공기 유출부(30)에서 배출되는 습공기는 습공기 공급관(118)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200)로 공급되며, 상기 공급된 습공기는 공기 조화기(200)의 습공기 토출부에서 배기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공기 조화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200)는 제어부(120), 화재감지센서(122), 소화유닛(124), 경보유닛(126), 디스플레이부(128), 통신모듈(130), 조명부(132), 전원공급부(13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조명부(132)의 동작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제어하고, 조명부(132)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도나 빛이 향하는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강설센서, 화재감지센서(122), 온도센서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냉각탑(100)의 외부에 설치된 강설센서에서 제 1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 1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강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설을 제거하기 위하여 냉각탑(100)에 설치된 실외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강설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냉각탑(100)의 히터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히터모듈은 열을 발생시켜 강설에 따른 냉각탑(100)의 성능저하를 방지한다.
제어부(120)는 공기 조화기(200)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22)에서 제 2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제 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재의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20)는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유닛(124)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유닛(126)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는 조명부(132)에서 출력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드라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디밍 드라이버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는 방식,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 DC-A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 발광소자와 병렬 연결된 저항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8)는 공기 조화기(200)의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200)나 냉각탑(100)의 작동상태나 강설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강설 여부, 화재감지센서(122)에서 감지되는 화재 발생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송/수신된 영상, UI, GUI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8)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공기 조화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공기 조화기(200)와 공기 조화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예를 들어,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외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로 공기 조화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에 위치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공기 조화기(200)의 작동에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명부(132)는 공기 조화기(200)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실내에 빛을 제공한다. 조명부(132)는 레이저 다이오드(LD)나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조명부(132)는 전원공급부(134)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광학적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유도방출에 의한 빛을 증폭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은 단색성이 뛰어나고, 위상이 고르며, 진행시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집광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LED보다 높은 출력을 갖는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각종 레이저들 중에서도 가장 소형·경량이며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저가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부의 광모듈을 나타낸다. 조명부(13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모듈을 포함하며, 광모듈은 5개 내지 7개 장착된다.
조명부(132)의 프레임에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광모듈을 상기 체결구에 착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모듈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광모듈의 수량에 따라 조명부(132)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모듈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와 집속렌즈(141), 형광체(142)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 각각은 청색광을 발생시킨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빛은 집속렌즈(141)에서 집속되며, 집속렌즈(141)에서 집속된 빛은 형광체(142)에 입사된다. 형광체(142)는 입사된 빛에 의하여 발광(發光)하며 백색광에 가까운 빛을 방출한다. 형광체(142)에서 방출된 빛은 프레임(14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광모듈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모듈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와 집속렌즈(141), 형광체(142), 미러(144)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 각각은 청색광을 발생시키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45)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빛은 집속렌즈(141)에서 집속된다. 집속렌즈(141)에서 집속된 빛은 형광체(142)에 입사된다. 형광체(142)는 입사된 빛에 의하여 발광(發光)하며 백색광에 가까운 빛을 방출한다. 형광체(142)에서 방출된 빛은 미러(144)로 진행하며, 미러(144)에 도달된 빛은 반사되어 프레임(143)의 전면 쪽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미러(144)에서 반사된 빛은 프레임(14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광모듈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상기 도 3b의 실시예에서 미러(144)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미세 컨트롤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20)는 미러(144)를 조절하여 미러(144)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모듈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절된다. 형광체(142)는 프레임(143)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미러(144)를 이용한 구조에 의하면, 광모듈의 바디를 조절하지 않아도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모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각탑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냉각탑(100)의 프레임 구조로서, 본체(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공기 유입부(20)가 설치되며, 본체(10)의 상면에는 공기 유출부(30)가 설치된다. 공기 유입부(20)는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며, 공기 유출부(30)는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공기 유출부(30)의 하측에는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토출팬(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제 1 필러(22)와 제 2 필러(24)가 설치된다. 제 1 필러(22)와 제 2 필러(24)의 상부에는 응축수를 하부를 향하여 살수하는 살수부(12)가 설치된다.
제 1 필러(22)와 제 2 필러(24)는 본체(1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살수부(12)에서 살수된 응축수는 필러(22, 24)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가며, 공기 유입부(20)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필러(22, 24)에서는 응축수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즉, 살수부(12)에서 살수되는 응축수는 공기 유입부(20)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일으키며, 필러(22, 24)에서 응축수가 냉각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집수조(40)가 형성된다. 집수조(40)에는 제 1 필러 및 제 2 필러에서 냉각된 응축수가 저수된다.
집수조(40)에는 분할벽체(46)가 설치된다. 분할벽채(46)는 집수조(40)를 좌측부의 제 1 집수공간(42)과 우측부의 제 2 집수공간(44)으로 분할한다.
응축수 공급관(50)은 중공의 관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응축수가 흐른다. 응축수 공급관(50)의 일단으로 응축수가 유입되고, 공급관(50)의 타단은 제 2 필러(24)의 상부에 설치된 살수부(12)와 연결된다.
분지관(52)은 공급관(50)으로부터 분지되며, 분지관(52)의 단부는 제 1 필러(22)의 상부에 설치된 살수부(12)에 연결된다.
공급관(50)과 분지관(52)의 연결부분에는 밸브(54)가 설치된다. 밸브(54)는 공급관(50)과 분지관(52)의 연결 부분의 개폐 정도를 제어한다. 분지관(52)은 공급관(50)을 흐르는 응축수의 일부를 제 1 필러(22)로 공급하며, 밸브(54)는 분지관(52)으로 흐르는 제 1 응축수의 양을 조절한다.
회귀관(56)의 하단은 제 1 집수공간(42)에 연결되고, 회귀관(56)의 상단은 공급관(56)에 연결된다. 제 1 집수공간(42)에 저수된 응축수의 일부는 회귀관(56)을 통하여 공급관(56)으로 공급된다. 회귀 펌프는 회귀관(56)으로 응축수가 흐르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배출관(60)은 제 2 집수공간(44)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관(60)은 제 2 집수공간(44)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응축수 공급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응축수 공급관(50)의 외면에는 복수의 방열핀(68)이 형성되어 응축수 공급관(50) 내부에서 흐르는 응축수의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응축수 공급관(50)은 방열특성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특성이 있는 금속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방열핀(68) 각각은 배열을 이루며 응축수 공급관(5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방열핀(68)이 이루는 배열은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엇갈리는 배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열핀(68)은 표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의 방열핀(68) 각각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돌기(68a)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68)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8a)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응축수의 열 방출을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방열핀(68)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8a)는 서로 엇갈려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마주보는 방열핀(68)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8a)는 교호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복수의 돌기(68a)의 교호적인 배치구조는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는 공기가 방열핀(68) 사이를 통과하면서 요동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유입된 공기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신속하게 빠져나가게 되고, 위아래로 흔들리면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방열핀(68)의 전후면에 반복적으로 부딪쳐 열을 보다 많이 빼앗게 된다.
또한, 응축수 공급관(50)은 결정화 핵제와 PLA(Poly Lactic Acid)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복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화 핵제는 활성탄의 기공에 나노은을 침투시켜 건조하고, 건조된 활성탄에 에폭시수지를 침투시켜 표면 코팅하며, 코팅된 활성탄을 열경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율이 우수하고 절연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복합 플라스틱의 제조방법은 활성탄의 기공에 나노은을 침투시키고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활성탄에 에폭시수지를 침투시키고 표면을 코팅시키는 단계, 코팅된 활성탄을 열경화 시켜 결정화 핵제를 제조하는 단계, 결정화 핵제에 절연전도성 필러(filer)인 질화알루미늄(AlN), 질화붕소(BN), 산화마그네슘(MGO), 질화규소(SIN), 탄화규소(SIC) 및 산화알루미늄(AL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절연성 결정화 핵제를 생성하는 단계, 절연성 결정화 핵제와 식물성 PLA(Poly Lactic Acid) 소재를 컴파운딩하여 생분해성 복합플라스틱을 생성하는 단계, 생분해성 복합 플라스틱을 트윈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출 후 펠렛화 하는 단계 등 통해서 이루어진다.
응축수 공급관(50)의 경우 복사 열전도율이 좋고 전자의 이동이 원활한 그라파이트(Graphite), 탄소나노튜브(CNT),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일정함량 이상을 충전제로 사용하면 절연기능보다는 통전이 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복합 플라스틱 제조를 위해 식물베이스 PLA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PLA 소재의 복사열전도를 높이기 위해 활성탄을 사용하게 된다.
활성탄의 경우 기공이 많아 열전도에 방해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숯에 비해 비표면적이 많아 자연 대류에 면적을 증가시켜 열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 숯과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일반 숯이 50㎡/g이고 활성탄은 1,000㎡/g으로 자신의 무게보다 40%이상의 수분흡수력을 가지고 있으며 비중은 0.45이다.
그러나, 활성탄은 단단하지 못하고 내마모성이 약해서 표면경도가 약화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생분해성 소재인 PLA(Poly Lactic Acid)에 생분해성 소재인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소재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PBAT 소재 이외에 PBS(Polybutylene succinate), PBSA(Polybutylene succinate adipate), PCL(polycaprolactone), PVA(Polyvinyl alcohol) 등 다른 생분해성 소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LA 소재와 PBAT 소재의 혼합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충격 실험을 하였으며, 배율에 따른 충격강도는 PLA 90%와 PBAT 10%를 컴파운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높게 관찰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방사율을 증가시기고 PLA 소재에 결정격자 진동을 상승시키기 위해 활성탄의 입자 크기는 1~5㎛인 것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의 방사율은 0.93(93%)으로 0.3(30%)인 알루미늄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활성탄의 기공에 침투시키는 나노은은 에탄올베이스로 활성탄 비중대비 나노은의 입자 침투율은 400~500ppm으로 하였다. 에탄올베이스의 나노은은 활성탄 기공에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히트싱크(30) 제조의 첫 단계의 건조과정은 열풍건조(90~110℃)로 40~60분간 건조하게 된다. 활성탄 기공에 나노은을 침투시키면 활성탄 기공에 전자 이동을 유도하여 열전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나노은의 입자 침투율이 400ppm 이하는 전자이동이 약할 수 있고, 500ppm 이상은 전자 이동은 활발 하지만, 가격이 비싸져 비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서는 나노은의 입자 침투율을 400~500ppm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열풍건조시간은 나노은이 침투된 활성탄 중량 1000g을 기준으로 하였고, 건조시간 40분 이하는 활성탄 기공에 수분을 충분히 증발시키지 못하여 에폭시 침투 시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60분 이상은 접착력은 우수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응축수 공급관(50) 제조의 두번째 단계는 건조된 활성탄에 에폭시수지를 침투시키게 되는데, 에폭시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단단하지 못한 활성탄에 경도를 높이고, 활성탄의 기공속에 침투하여 결정격자 진동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나노은이 침투된 활성탄 무게비 45~50중량%와 에폭시수지 50~55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가압리더기로 반응시키게 된다. 이때, 혼합된 나노은이 침투된 활성탄에 에폭시수지를 혼합한 소재의 비중은 0.7~0.8이 되게 한다. 활성탄의 비중은 0.45이며 에폭시수지의 비중은 1.189~1.230이다. 혼합과정에서 에폭시수지의 중량%가 50중량% 미만이면 활성탄의 기공에 에폭시수지가 충분하게 침투되지 않고 활성탄표면에 코팅반응이 약하여 인젝션 몰딩시 활성탄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에폭시수지의 중량%가 55중량% 이상이면 활성탄 입자가 붙어 덩어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에폭시수지를 침투시킨 활성탄은 가온믹서기에서 온도 100~110℃, 60~100RPM의 속도로 30~40분간 프리 믹서(free mixer)를 수행한 후 150~170℃, 200~250RPM의 속도로 트윈가압리더기에서 경화시키게 된다. 이때 프리 믹서 수행은 활성탄 기공 및 표면에 에폭시 수지를 침투시키고 표면코팅이 진행되는 단계이다.
프리 믹서가 끝나고 코팅된 활성탄을 100중량%로 했을 때, 분산 및 이형제인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을 3~5중량% 추가 첨가한 후 가압리더기에서 20~30분 열경화시켜 결정화 핵제를 생성하게 된다. 프리 믹서시 온도를 110℃이상, 40분간 진행하면 표면코팅 및 기공침투가 충분하게 활성화 되지만, 온도와 시간이 높거나 길면 열경화가 가속화 되어 분산 및 이형제인 스테아린산 첨가전에 뭉칠 수 있다.
열경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결정화 핵제는 열전도와 복사효과가 있는 소재이다. 응축수 공급관(50)의 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절연기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절연전도성 필러(filer)인 질화알루미늄(AlN), 질화붕소(BN), 산화마그네슘(MGO), 질화규소(SIN), 탄화규소(SIC), 산화알루미늄(Al2O3)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혼합하게 된다.
또한, 혼합된 절연성 결정화 핵제와 식물성 PLA 소재를 컴파운딩 하게 되는데, 이때 절연성 결정화 핵제가 40중량% 이하이면 방사율이 떨어지고 50중량% 이상이면 충격강도가 약해져 제품 생산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LA 소재에 생분해성 소재인 PBAT를 혼합하여 물성을 극복하였다. 그리고 PLA 소재 60중량%와 만들어진 절연성 결정화 핵제 4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습기 흡입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습기 흡입부(70)는 공기 유출부(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공기 유출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습기 흡입부(70)는 다층으로 제공되어 통과하는 습공기의 난류를 발생시키면서 수분을 응결 제거하는 필터판(72)들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판(72)들은 공기 통과공간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만곡된 판들이 조합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판(72)들은 나비와 같은 형태로 단위 필터판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필터판(72)들은 습공기를 난류화하도록 하면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요홈(74)들이 형성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합 배치된 필터판(72)들을 통과는 습공기(A2)는 화살표와 같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화되고, 이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정압이 걸리지 않는 필터판 곡선부에 의하여 회오리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회오리 중심은 공기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습공기에 포함된 밀도가 높은 수분은 응결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A3)만이 최종적으로 외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호형으로 형성된 필터판(72)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74)들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충돌하여 난류화 구현을 통한 회오리 형성을 원활하게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200)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각탑(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축수 공급관(50)의 일단으로 공기 조화기(200)의 냉난방 모듈(112, 114)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유입되면, 응축수 공급관(50)을 흐르는 응축수 중 적어도 일부인 제 1 응축수는 분지관(52)을 통하여 제 1 필러(22)의 살수부(12)에 공급되며, 제 1 필러(22)의 살수부에 의하여 하부로 살수되는 제 1 응축수는 공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된 제 1 응축수는 집수조(40)의 제 1 집수공간(42)에 저수된다.
제 2 집수공간(44)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온도센서는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 제 2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20)는 온도센서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 제 2 응축수의 온도를 산출해낸다.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높다면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지관(52)으로 분지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지관(52)으로 흐르는 제 1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도록 밸브(54)를 제어한다.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 제 2 응축수가 충분히 냉각되었다고 판단된다면 분지관(52)으로 응축수를 분지시킬 필요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120)는 밸브(54)를 제어하여 공급관(50)과 분지관(52)의 연결 부분을 폐쇄하며, 분지관(52)으로 응축수가 흐르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집 수공간(42)에 저수된 제 1 응축수의 적어도 일부는 회귀 펌프에서 발생된 동력에 따라 회귀관(56)을 통하여 공급관(50)으로 공급된다. 제 2 필러(24)의 살수부(12)는 응축수 공급관(50)의 타단으로부터 제 2 응축수를 공급받아 하부로 살수하며, 살수된 제 2 응축수는 공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렇게 냉각된 제 2 응축수는 집수조(40)의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다.
제 2 집수공간(44)에 저수된 제 2 응축수는 배출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본체
12: 살수부
20: 공기 유입부
22: 제 1 필러
24: 제 2 필러
30: 공기 유출부
32: 토출팬
40: 집수조
42: 제 1 집수공간
44: 제 2 집수공간
46: 분할벽체
50: 응축수 공급관
52: 분지관
54: 밸브
56: 회귀관
70: 습기 흡입부
100: 냉각탑
110: 여과기
112: 냉방 모듈
114: 난방 모듈
116: 송풍기
118: 습공기 공급관
120: 제어부
200: 공기 조화기

Claims (12)

  1. 제어부;
    실내에 설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냉난방 모듈;
    일단은 상기 냉난방 모듈과 연결되고, 냉방이나 난방에 따라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
    실외에 설비되고,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급받은 응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탑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탑에서 생성되는 습공기를 상기 하우징에 공급하는 습공기 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습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공급된 상기 습공기를 배기하는 습공기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냉각탑의 외부에 설치되고, 강설을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강설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선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강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강설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탑에 설치된 실외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강설에 따른 상기 냉각탑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강설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2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소화유닛 및 상기 경보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가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출부가 상면에 설치된 본체;
    상기 응축수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살수부가 설치된 제 1 필러와 제 2 필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필러 및 상기 제 2 필러에서 냉각된 응축수가 저수되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조를 좌측부의 제 1 집수공간과 우측부의 제 2 집수공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필러에 설치된 살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탑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에서 분지되고, 단부는 상기 제 1 필러의 상부에 설치된 살수부에 연결된 분지관;
    하단은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회귀관;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귀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을 흐르는 응축수 중 적어도 일부인 제 1 응축수는 상기 분지관을 통하여 상기 제 1 필러의 살수부에 공급되어 하부로 살수되고, 상기 살수된 제 1 응축수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저수되며,
    상기 제 1 집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제 1 응축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귀 펌프에서 발생된 동력에 따라 상기 회귀관을 통하여 상기 응축수 공급관으로 공급되고,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타단에서 상기 제 2 필러의 살수부로 공급되는 제 2 응축수는 상기 제 2 필러의 살수부에 의하여 하부로 살수되고, 상기 살수된 제 2 응축수는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면서 상기 제 2 집수공간에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분지관의 연결 부분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분지관으로 흐르는 상기 제 1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제 2 집수공간에 저수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 3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제 3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분지관으로 흐르는 상기 제 1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2 응축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수 공급관과 상기 분지관의 연결 부분을 폐쇄하여 상기 분지관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공급관을 흐르는 응축수에 포함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 공급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50158062A 2015-11-11 2015-11-11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KR10177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62A KR101774916B1 (ko) 2015-11-11 2015-11-11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62A KR101774916B1 (ko) 2015-11-11 2015-11-11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90A true KR20170055190A (ko) 2017-05-19
KR101774916B1 KR101774916B1 (ko) 2017-09-05

Family

ID=5904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062A KR101774916B1 (ko) 2015-11-11 2015-11-11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434A (zh) * 2018-08-30 2019-05-17 新疆绿色使者空气环境技术有限公司 半压入式蒸发冷却多温冷水机组及其空调装置
CN112696751A (zh) * 2021-01-22 2021-04-23 东莞市万维热传导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3d均温板模组的空调装置
KR102604443B1 (ko) * 2022-12-06 2023-11-22 주식회사 성지테크 냉동기 냉각탑 공조기 일체형 공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980A (ja) * 2003-04-14 2004-11-1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空気調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434A (zh) * 2018-08-30 2019-05-17 新疆绿色使者空气环境技术有限公司 半压入式蒸发冷却多温冷水机组及其空调装置
CN112696751A (zh) * 2021-01-22 2021-04-23 东莞市万维热传导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3d均温板模组的空调装置
KR102604443B1 (ko) * 2022-12-06 2023-11-22 주식회사 성지테크 냉동기 냉각탑 공조기 일체형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16B1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3660B (zh) 热交换装置及mr-16灯及洗墙灯及车灯及散热方法
KR101774916B1 (ko) 하이브리드형 공기 조화기
JP4027063B2 (ja) 照明装置
CN101310382A (zh) 热交换增强
WO2010091531A1 (zh) 半导体水雾式空调装置
KR101522185B1 (ko) 열전 소자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냉각장치와 그 동작제어방법
KR100512040B1 (ko) 제습 겸용 냉난방기
KR20180060080A (ko) 스마트형 실내조명장치
KR20170009386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이디조명장치
TW201213721A (en) A lighting device
US8269403B2 (en) Cooling system of LED light using heat of vaporization and LED light including the same
JP2008284202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WO2014077122A1 (ja) 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710519B1 (ko) 냉각탑 및 그 냉각방법
JP2018100011A (ja) 車両用前照灯の凍結防止装置
KR101631809B1 (ko) 메시 네트워크 기반의 조명시스템 및 조명장치
JP2008064448A (ja) 空気調和装置
JPH10325570A (ja) 冷暖房装置
CN209246027U (zh) 一种基于半导体制冷器的led灯具散热结构
CN207648487U (zh) 一种基于超声波散热型led灯具
TWM369431U (en) Vehicle lamp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s
TW201024636A (en) Semiconductor mis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CN111964020A (zh) 一种热塑料散热灯杯
KR101433319B1 (ko) Led 실내 조명등
CN207907025U (zh) 一种高效散热的led聚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