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650A - Harvester - Google Patents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650A
KR20170053650A KR1020177008556A KR20177008556A KR20170053650A KR 20170053650 A KR20170053650 A KR 20170053650A KR 1020177008556 A KR1020177008556 A KR 1020177008556A KR 20177008556 A KR20177008556 A KR 20177008556A KR 20170053650 A KR20170053650 A KR 2017005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perating
steering
operation lever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2584B1 (en
Inventor
준이치 히라카와
마사유키 호리우치
다쿠야 오토무네
도모야 마츠바야시
준이치 마루야마
슈조 오카모토
다카후미 모리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78269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084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78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084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782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80845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5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6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조작 레버(13)의 요동 조작을 조향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구비한 수확기가 개시된다. 조작 연계 기구는, 조작 레버(13)와 조향 구동부를 연계하는 조향 유닛과, 조작 레버(13)와 승강 구동부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각 승강 유닛은, 조작 레버(13)의 요동 작동을 조향 구동부/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71)를 구비한다. 조향 구동부/승강 구동부의 미리 설정된 작동 가능 범위 내에서는, 출력 조작체(71)가 조작 레버(13)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조향 구동부/승강 구동부가 작동 가능 범위의 작동 한계에 도달한 후, 그 작동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측으로 조향 구동부/승강 구동부를 이행시키는 방향에서 조작 레버(13)에 의한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조작 레버(13)에 대하여 출력 조작체(71)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조작 레버(13)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이 허용된다.A harvester provided with an operation linkage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an operation lever (13) to a steering drive section and a lift driving sectio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es a steering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steering drive unit and an elevation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To the steering driver / elevator driver.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moves integrally follow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within a predetermined operable range of the steering driver / 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o shift the steering driver / elevator driver to the side deviated from the operable range after the steering driver / elevator driver reaches the operation limit of the operable range, the operation lever 13 , The output operation body 71 does not follow up integrally, and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alone is allowed.

Figure P1020177008556
Figure P1020177008556

Description

수확기{HARVESTER}Harvester {HARVESTER}

본 발명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여, 주행 기체의 조향, 및 예취부의 승강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vester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steer the traveling gas and to perform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portion.

[1]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수확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 및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있다.[1] The harvester having the operation lev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has, for example,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1) and (2).

(1)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과 함께, 그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 및 전후 방향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포텐시오미터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1)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ave. Then,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in each potentiometer, the steering driving section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ga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operated, or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capable of driving and cutting the cutting section is operat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2)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과 함께, 그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을 조향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 및 전후 방향의 조작을 승강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지고,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부의 승강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2) a mechanical link mechanism that includes an operation lever that can be pivo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valve, and Respectively. Then, the gas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por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2]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수확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있다.[2] The harvester having the operation lev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has, for example,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1).

(1)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과 함께, 그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을 조향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 및 전후 방향의 조작을 승강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지고,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부의 승강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1) a mechanical link mechanism that has an operation lever that can be swi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valve, And a mechanical coupling mechanism. Then, the gas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por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3]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수확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1) 및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있다.[3] As the harvester having the operation lev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re is one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1) and (2).

(1)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과 함께, 그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 및 전후 방향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포텐시오미터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1)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ave. Then,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in each potentiometer, the steering driving section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ga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operated, or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capable of driving and cutting the cutting section is operat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2)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과 함께, 그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을 조향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 및 전후 방향의 조작을 승강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계 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지고,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부의 승강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2) a mechanical link mechanism that includes an operation lever that can be pivo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valve, and Respectively. Then, the gas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loading por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일본 특허공개 제2003-095116호 공보(JP 2003-095116 A)(단락 「0022」, 「0025」, 「0037」 및 도면의 「도 4」, 「도 5」 참조)(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95116 (JP 2003-095116 A) (see paragraphs 0022, 0025, and 0037 and FIG. 4 and FIG. 5) 일본 특허공개 (평)09-205852호 공보(JP H09-205852 A)(단락 「0020」, 「0021」, 「0023」, 및 도면의 「도 5」, 「도 8」, 「도 10」 참조)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9-205852 (JP H09-205852 A) (see paragraphs 0020, 0021, 0023, and FIG. 5, FIG. 8, and FIG. 10) )

[1] 배경기술 [1]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1]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background art [1] are as follows.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의 것에서는,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조작량을, 각 포텐시오미터로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그 조작량을 포텐시오미터에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anipulated variabl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re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s, the manipulated variables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in the potentiometer have.

그러나, 이 구조의 것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와 포텐시오미터의 검출 작동 범위가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정밀도가 좋은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그 조립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립 위치 규제 구조 등, 특별한 구조를 요해서 비용 증가가 쉽게 초래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if the range of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detection operation range of the potentiometer do not correspond exactly,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detection result with high accuracy. Therefor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at a special structure such as a neutral position regulating structure is required and the cost increase is easily caused.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에서는, 포텐시오미터를 사용해서 조작 레버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나 로드 등의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간소한 구조로 정밀도 좋게 연계 작동시키기 쉬운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nstead of using the potentiometer to detec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may be detected through a mechanical link mechanism such as a link or a rod linked to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t is useful in that it is easy to operate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high precision.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의 제한이, 조종탑의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 등, 조작 레버의 기계적 연계 기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와 연계한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가,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에 의한 조작 범위와 합치해서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고, 그 위치 정렬을 위한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limitation of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s made by contact with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a mechanical link mechanism of the operation lever, such as a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lift-up drive section through the mechanical linkage mechanism so as to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in conformity with the operation range of the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spect.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는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작동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하는 데 있어서, 그 조작 레버의 지지 구조를 유효 이용하여, 조작 레버의 작동 범위의 규제를 비교적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utilize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in order to precise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part or the elevation drive part based on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 want to be able to do it.

[2] 배경기술 [2]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2]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art [2] are as follows.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조의 것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나 로드 등의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간소한 구조로 정밀도 좋게 연계 작동시키기 쉬운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In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steering driving portion and the elevation driving portion are operated through a mechanical coupling mechanism such as a link or a rod linked to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t is useful from an easy point of view.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의 제한이, 조종탑의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 등, 조작 레버의 기계적 연계 기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와 연계한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가,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에 의한 조작 범위와 합치해서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고, 그 위치 정렬을 위한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limitation of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s made by contact with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a mechanical link mechanism of the operation lever, such as a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lift-up drive section through the mechanical linkage mechanism so as to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in conformity with the operation range of the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spect.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는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작동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하는 데 있어서, 그 조작 레버와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조작 연계 기구 자체를 유효 이용하여, 조작 레버와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조립 가공도 용이하게 행하기 쉬운 구조의 수확기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utilize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tself of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to operate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based on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with high precision, It is intended to obtain a harvester having such a structure that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drive portion and the elevation drive por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3] 배경기술 [3]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3]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background art [3] are as follows.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의 것에서는,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조작량을, 각 포텐시오미터로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그 조작량을 포텐시오미터에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anipulated variabl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re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s, the manipulated variables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in the potentiometer have.

그러나, 이 구조의 것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와 포텐시오미터의 검출 작동 범위가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정밀도가 좋은 검출 결과를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그 조립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립 위치 규제 구조 등, 특별한 구조를 요해서 비용 증가를 쉽게 초래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if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detection operation range of the potentiometer do not correspond exactly, the detection result with high precision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at a special structure, such as a neutral position regulating structure, is required to easily increase the cost.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에서는, 포텐시오미터를 사용해서 조작 레버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는 링크나 로드 등의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간소한 구조로 정밀도 좋게 연계 작동시키기 쉬운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nstead of using the potentiometer to detec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may be detected through a mechanical link mechanism such as a link or a rod linked to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t is useful in that it is easy to operate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high precision.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의 제한이, 조종탑의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 등, 조작 레버의 기계적 연계 기구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계적 연계 기구를 통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와 연계한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가, 패널면에 구비한 가이드 홈에 의한 조작 범위와 합치해서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고, 그 위치 정렬을 위한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limitation of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s made by contact with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a mechanical link mechanism of the operation lever, such as a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n conjunction with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lift-up drive section through the mechanical linkage mechanism so as to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in conformity with the operation range of the guide groove provided on the panel surfac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spect.

본 발명은,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기초하는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작동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도록 하는 데 있어서, 그 조작 레버의 지지 구조를 유효 이용하여, 조작 레버의 작동 범위의 규제를 비교적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utilize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lever in order to precise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part or the elevation drive part based on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 want to be able to do it.

[1] 과제 [1]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1] The solution to the problem [1]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수확기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조향 구동부를 연계하는 조향 유닛과,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 유닛 및 상기 승강 유닛에는, 각각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미리 설정된 작동 가능 범위 내에서 작동할 때에는,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상기 작동 가능 범위의 작동 한계에 도달한 후에, 그 작동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측으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를 이행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그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lev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 steering driver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lift driving part capable of driving the cutting- And an operation linkage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drive section and the elevation drive section, wherei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es: a steering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eering drive section; The stee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Unit or both, the steering driver or the elevation When the drive section is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operable range, the output operating body moves integrally following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lift driving section is shifted to the operating limit of the operable range When the operation by the operation lever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o shift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to a side deviated from the operable range, the output operation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on lever integrally, So that the lever can be swung in its own stat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가 작동 가능 범위의 작동 한계에 도달한 후에는, 그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의 조작 위치는 그 위치에 유지한 채로, 조작 레버만의 단독 작동이 행해지도록 하여, 조작 레버측에서의 작동 가능 범위의 전체를,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의 작동 가능 범위의 전체와 정밀도 좋게 합치시킬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reaches the operation limit of the operable range,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is kept at the position, so that only the operation lever alone is operated , It is not necessary to accurately match the entire operable range on the operation lever side with the entire operable range of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따라서,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가 작동 가능 범위의 작동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서,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대응시켜서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until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reaches the operation limit of the operable range.

이에 의해, 조작 레버측과, 조향 구동부 또는 승강 구동부측에서, 그 작동 가능 범위의 전체를 정밀도 좋게 합치시키는 고정밀도에서의 제작 가공이나 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tructure easily, without requiring fabrication or assembly at a high precision that accurately matches the entire operable range at the operation lever side, the steering drive portion, or the elevation drive portion side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출력 조작체의 사이에 융통 연계 기구가 구비되고, 그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flexible linkage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on body on either or both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and by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integrally moved following the pivot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on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on lever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wing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ver alone is permitted ha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의 사이에 구비한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출력 조작체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y the flexible link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the output operating body moves integrally with the operating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lowing the state to be allowed.

따라서, 융통 연계 기구를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 사이의 조작계에 내장한 상태에서 어셈블리화해서 다루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can be easily assembled and handled in a state where it is built in an operating system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출력 조작체에 전달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that transmits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로서 탄성체를 사용해서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figured by using the elastic body as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향 유닛이 상기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한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by an operating limit, or when the elevation unit operates the elevation drive unit by an operating limit,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permi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o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rating direction by the operating limit.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의 탄성체는, 조향 유닛이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승강 유닛이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작용하므로, 각각의 작동 한계 외에서의 조작인 것을 인지시키는 데 적합한 탄성 계수를 선택하거나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astic body of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allows the swinging operation in the single operation lever to be permitted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with the operation limit or when the lift unit operates the operation unit with the operation limi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conveniently by selecting an elastic modulus suitable for recognizing that it is an operation outside each operation limit.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설치된 조작 브래킷과, 그 조작 브래킷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하는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a coaxial axis with the swing axis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on both sides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or both, And an output operating body pivoting around the coaxial shaft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bracket via the elastic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로서는,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동작 범위도 동축심 주위에서 중복되는 위치 관계에 있는 부분의,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에 걸쳐 설치하면 되므로,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의 것을 채용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flexible link mechanism can be provided over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t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and in which the operating range overlaps around the coaxial shaft, a relatively compact structure is employ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축지지 부재에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상대 요동 가능하게 상기 출력 조작체가 지지되고, 상기 조작 브래킷은 상기 축지지 부재에 대하여 일체 요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작 브래킷에 구비한 걸림체와 상기 출력 조작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supported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swingable around the coaxial axis with the swing axis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Wherein the operation bracket is provided so as to swing integrally with the shaft support member, and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across the stopper provided on the operation bracket and the output operation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에 의해 조작 브래킷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탄성체를 통해 출력 조작체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조작을 출력 조작체에 전달하는 구조를, 중간에 융통 연계 기구를 개재시키면서도 간소화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output operating body can be operated through the elastic body by directly operating the operating bracket b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he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can be replaced by a flexi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implify while interposing the mechanism.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는, 상기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피벗 축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우는 통축부와, 그 통축부에 일체로 장착된 판 형상의 요동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판 부분에 스프링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축부의 외주측에, 상기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권회되고, 이 코일 스프링의 양단측의 각 단부가, 상기 걸림체 및 상기 스프링 걸림부의 요동 이동 방향의 양측에 할당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or both, the output operating body includes a barrel shaft portion that is fitted outside from a pivot shaft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and a barrel shaft portion integrally mounted on the barrel shaft portion Wherein a coil spring is provided on the swing plate portion and a coil spring as the elastic body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arrel shaft portion, And both of the latching body and the spring latching portion are allocated to both sides in the swinging movement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벗 축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우는 통축부 외에, 코일 스프링 외에도, 요동판 부분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 및 걸림체를 사용하여, 조작 레버로부터 융통 연계 기구를 포함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거쳐서 조작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조를, 구조 간단히 구성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barrel shaft portion sandwiched outside from the pivot shaft, a spr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on the swing plate portion, and a stopper, in addition to the coil spr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force can be easily configured easil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요동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n operating wire for transmitting operating force to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wing plate section on the side where the spring engagement section is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출력 조작체의 요동판 부분 중,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공간을 이용해서 조작 와이어를 배치할 수 있어, 각 부품끼리의 착종을 피하여, 조립 분해 작업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mong the swing plate portions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the operation wires can be disposed using the sp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pring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peration is easy to avoid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고정부에 레버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축지지 부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 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 중, 어느 한쪽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허용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1 규제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lever supporting frame is provided on the gas fixing part, and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ing frame such that the swinging central axis of the operation lever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a pivotable shaft which is pivotable around either one of the pivotal shafts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which limits the pivotable range of the pivotal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either one of the pivotal shafts 1 regul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가,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 또는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구비하는 축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프레임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s provided with the lever for supporting the shaft supporting member having the swing axis center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itself.

따라서,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량과 조작 연계 기구에 의한 조작량을 정밀도 좋게 대응시키기 쉽고, 규제부를 레버 지지 프레임과는 다른 개소에 설치한 경우와 같은, 위치 정렬 작업에 막대한 수고를 요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연계 기구 자신인 부분의, 레버 지지 프레임이나 제2 회동부 등을 유용하게 이용해서 구조 간단히 구성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pe with the pivoting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amount by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avoiding the problem of requiring a great deal of time in the alignment operation, such as when the regulation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lever support frame .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construct the structure by using the lever supporting frame, the second turning portion, or the like, which is the operation link mechanism itself.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조작 레버 또는 그 조작 레버와 일체로 요동 작동하는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를 규제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n abutment portion which abuts on the operation lever or a member that swings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lever, and regulates a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 또는 그 조작 레버와 일체로 요동 작동하는 부재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를 규제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한층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operation lever can be limited in the range of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by the member that swings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lever or the operation lever and the abutment portion that limits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limiting the operation range can be further simplified in structure.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 회동부 또는 상기 제2 회동부를 통해 상기 축지지 부재가 피벗 지지되고,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지 않은 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동부 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허용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2 규제부가 상기 축지지 부재에 구비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first pivot portion having a pivot axis in one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second pivot portion having a pivot axis in the other direction Wherei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ing frame via the first turning portion or the second turning portion and the second tur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lever supporting frame is not pivoted And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ing allowable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the swinging central axis of the second swinging portion or the first swing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규제부가 축지지 부재 자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지 않은 측에 있어서의 제2 회동부 또는 제1 회동부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 범위의 규제 구조를, 축지지 부재 자체를 이용해서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tself,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vicinity of the pivotal supporting portion of the second pivoting portion or the first pivo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structured using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tself.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지 않은 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동부 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상기 조작 레버의 몸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한 걸림 조작체의 요동 작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오목 홈 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이 오목 홈 부분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에 수반하는 상기 걸림 조작체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에서 상기 걸림 조작체에 접촉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pivotal axial center of the second pivotal portion or the first pivote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operation lever at the side not pivoted to the lever supporting frame Wherei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engaging operation bod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operation body due to the swinging of the operation lever And an abutting portion that abuts against the engaging operation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규제부가, 제1 회동부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조작 레버의 몸체 방향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한 걸림 조작체와, 그 걸림 조작체의 요동 작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오목 홈 부분에 설치한 맞닿음부에 의해 구조 간단히 구성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operation body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of the first turn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concave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engaging operatio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y constituted by the abu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groove portion.

[2] 과제 [2]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2] The solution to the problem [2]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확기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조향 구동부를 연계하는 조향 유닛과,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 유닛 및 상기 승강 유닛에는, 각각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이거나, 또는 상기 출력 조작체에 작용하는 조작 저항이 소정의 범위 내이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가 상기 소정의 영역을 넘거나, 또는 상기 조작 저항이 상기 소정의 범위를 넘으면,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lever capable of pivo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steering driver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operation linkage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erei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es: a steering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eering drive unit; Wherein the stee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ing unit or the elevation driving unit, In the elevation unit or both,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The output operating body moves integrally follow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when the operating resistanc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r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operating resistance acting on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in the predetermined range, Or when the operating res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the output operating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ng lever in unis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perating lever is allowed to swing independently in the operating lever ha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이거나, 또는 출력 조작체에 작용하는 조작 저항이 소정의 범위 내이면, 출력 조작체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출력 조작체의 움직임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과 연계한 움직임으로 되고,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이 그대로 조향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에 정밀도 좋게 전달된다.When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r the operating resistance applied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both sides of the steering unit or both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output lever, So as to move integrally. Within this range, the movement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becomes a movement associated wit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steering driving portion and the elevating driving portion as it is.

그리고, 조향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가 스트로크 한계에 도달하거나 하여, 조작 위치가 소정의 영역을 넘거나, 또는 조작 저항이 소정의 범위를 넘으면, 조작 레버에 대하여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는 추종하지 않고,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된다.If the steering operation section and the elevation drive section reach the stroke limit and the operation posi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or the operation res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the output operation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on lever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lever, So tha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lone is permitted.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과 출력 조작체의 움직임은 연계되지 않게 되지만, 조향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의 조작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과 출력 조작체의 움직임이 연계되는 범위에서 행하고, 그 범위 밖에서의 조작 레버의 움직임을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조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조향 유닛 또는 승강 유닛의 조립을 간소화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is state,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movement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are not linked. However, the operations of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or driver are performed in a range in which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motion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are linke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outside the range can be prevented from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즉,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와,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동작 범위가 완전히 합치하도록, 조향 유닛 또는 승강 유닛을 구성하는 것은, 각 유닛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재의 제작 가공 오차나, 그것들의 조립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되어, 매우 곤란하다.In other words, configuring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so that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range of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are in perfect agreement with each other means that manufacturing errors of all members used in each unit,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따라서, 조작 레버측의 요동 작동 범위에는 정밀도가 높은 제한을 걸지 않고,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동작 범위를 우선시켜서,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 중에서,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동작 범위와 중복되는 범위 내만으로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가 연동되고, 그 범위로부터 벗어난 조작 레버의 움직임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operating range of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or driver is prioritized without imposing a high degree of precision on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n the operating lever side, and the range of overlapp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or driver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are interlocked only with each other, and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lever out of the range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이에 의해, 조작 레버에 의한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의 조작을 정밀도 좋게 행하면서, 그 조작 레버나 조향 구동부 및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향 유닛 또는 승강 유닛의 조립을 간소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including the operation lever,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ile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by the operation lever with high precision.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출력 조작체의 사이에 융통 연계 기구가 구비되고, 그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flexible linkage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on body on either or both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and by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integrally moved following the pivot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on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on lever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wing operation in the operation lever alone is permitted ha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의 사이에 구비한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출력 조작체가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y the flexible link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the output operating body moves integrally with the operating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lowing the state to be allowed.

따라서, 융통 연계 기구를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 사이의 조작계에 내장한 상태에서 어셈블리화해서 다루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can be easily assembled and handled in a state where it is built in an operating system between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출력 조작체에 전달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that transmits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로서 탄성체를 사용해서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figured by using the elastic body as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향 유닛이 상기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by an operating limit, or when the elevation unit operates the elevation driving unit by the operating limit,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allow opera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의 탄성체는, 조향 유닛이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승강 유닛이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작용하므로, 각각의 작동 한계 외에서의 조작인 것을 인지시키는 데 적합한 탄성 계수를 선택하거나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astic body of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allows the swinging operation in the single operation lever to be permitted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with the operation limit or when the lift unit operates the operation unit with the operation limi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conveniently by selecting an elastic modulus suitable for recognizing that it is an operation outside each operation limit.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력 조작체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설치된 조작 브래킷이 상기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provided so as to be pivotable about a coaxial center with the pivotal axis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ng unit or both,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nd an operation bracket provided so as to swing integrally with the lever is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융통 연계 기구로서는,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동작 범위도 동축심 주위에서 중복되는 위치 관계에 있는 부분의, 조작 레버와 출력 조작체에 걸쳐 설치하면 되므로, 비교적 콤팩트한 구조의 것을 채용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flexible link mechanism can be provided over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t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and in which the operating range overlaps around the coaxial shaft, a relatively compact structure is employ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출력 조작체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와, 그 조작용 개구에 삽입 관통되도록 상기 조작 브래킷에 형성한 걸림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용 개구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 걸림체의 상대 이동량에 의해,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상기 출력 조작체의 작동 위치의 위치 어긋남량이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opening formed in the output operating body and an engaging body formed on the manipulating bracke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manipulating opening, and the range of the manipulating open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relative movement of the stopper within the housing.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용 개구 내에서 걸림체를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융통의 크기로서 적합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융통 자체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무제한으로 크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조작용 개구나 걸림체의 크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융통의 범위를 적합한 범위에서 설정하기 쉬운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ange in which the stopper can be moved within the operation opening can be set within a rang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flexible portion. That is, the flexibility itself can be effectively used, bu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it to an unlimited number. By using the sizes of the operation opening and the stopper, it is easy to set the range of the flexibility within a suitable range.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전 궤적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조작용 개구의 폭은,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걸림체의 최대 이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width of the operation opening in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locus around the swing axis of the operation lever is set to be narrower than the maximum movement range of the stop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에서의 조작 저항이 커서 융통 연계 기구가 작용한 경우에, 걸림체를 출력 조작체의 조작용 개구 에지에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조작 레버의 조작력을 부여시킨 강제적인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의 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s operated due to the large operating resistance of the steering driver and the elevation drive portion, the stopper is sur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ng opening edge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for inserting the wrist strap,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는, 상기 조작 레버를 피벗하는 피벗 축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우는 통축부와, 그 통축부에 일체로 장착된 판 형상의 요동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판 부분에 상기 조작용 개구 및 스프링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축부의 외주측에, 상기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권회되고,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측의 각 단부가, 상기 조작용 개구에 삽입 관통된 상기 걸림체 및 상기 스프링 걸림부의 요동 이동 방향의 양측에 할당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or both of them, the output operating body includes a barrel shaft portion which is fitted outside from the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operating lever, and a barrel shaft portion integrally mounted Wherein a coil spring as an elastic body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barrel shaft portion and the coil spring of the coil spring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barrel shaft portion,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n both end sides are mounted so as to be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allocated to both sides of the engaging member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and the swing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pring engaging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 외에도, 요동판 부분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와 스프링 걸림부 및 걸림체를 사용하여, 조작 레버로부터 융통 연계 기구를 포함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거쳐서 조작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조를, 구조 간단히 구성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addition to the coil spring, a structure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force from the operation lever via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ing the flexible linkage mechanism using the operation opening,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stopper formed in the swing plat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figur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요동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n operating wire for transmitting operating force to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wing plate section on the side where the spring engagement section is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출력 조작체의 요동판 부분 중,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공간을 이용해서 조작 와이어를 배치할 수 있어, 각 부품끼리의 착종을 피하여, 조립 분해 작업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mong the swing plate portions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the operation wires can be disposed using the spac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pring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peration is easy to avoid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를 피벗 지지하는 피벗 축이, 그 피벗 축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체와, 상기 조작 레버가 구비하는 상기 조작 브래킷과, 상기 출력 조작체는, 이 순서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조작 브래킷의 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조작 브래킷에, 상기 걸림체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돌출 부재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규제하도록, 그 돌출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규제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operation lever is formed integrally with a holding frame for holding the pivot shaft, and the holding frame and the operating bracket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topper protrudes toward the manipulating bracket, and the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nipulating bracket from the side where the stopper is present, And the holding frame has a regulat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member is inserted so as to regulate the swing range of the protruding memb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형성한 규제용 개구와 조작 브래킷에 설치한 돌출 부재에 의해, 조작 레버의 피벗 축 주위에서의 요동 범위의 규제 구조를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tricting structure of the swing range around the pivot axis of the operating lever can be easily structured by the regulating opening formed in the holding frame and the protruding member provided on the operating bracket.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예취부에, 식립 작물을 긁어들이기 위한 긁어들임용 릴과, 그 긁어들임용 릴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릴 승강 장치가 구비되고, 이 릴 승강 장치를 조작해서 상기 긁어들임용 릴을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입력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install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aper placement reel for scraping a crop to be planted, and a reel elevating device for vertically positioning the scraper placement reel, An operation input por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aking reel i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취부에 구비한 긁어들임용 릴의 상하 위치 조절을,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된 조작 입력부를 이용해서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어, 예취부에 긁어들임용 릴을 구비한 수확기로서 적합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rake reels provided in the preloading portion can be adjusted with good operability by using the operation input portion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harvester having the reel for scraping A suitable structure can be obtained.

[3] 과제 [3]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3] The solution to the problem [3]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확기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와, 상기 조작 레버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고정부에 피벗 지지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일체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에 수반되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제2 회동부의 회동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Th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lever capable of pivo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steering driver capable of ste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operating link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ing unit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and a shaft supporting member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lever in such a manner as to pivot about the swing axis in the front- , The shaf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al center in one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al center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ront- And the first pivot portion is pivotally mounted on the base body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one- And the second pivot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first pivot portion around the one-way pivot axis, and the second pivot portion is pivoted about the pivot axis in one direction, which is accompanied by the pivot of the first pivot portion,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amshaft to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축지지 부재에 구비한 제1 회동부가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고정부에 피벗 지지되고, 그 제1 회동부의 회동에 수반되는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제2 회동부의 회동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ivotally supporting member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in such a manner as to pivot around the pivot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first pivot portion provided on the pivot support member is rotatable around one- And a restricting portion which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gas fixing portion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around the one-directional swing axial center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따라서, 조작 레버의 제1 회동부에 있어서의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 범위를, 축지지 부재를 통해 일체 회동하는 제2 회동부나 규제부에 의해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Therefore, the swing range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irst swing unit can be limited t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second rotating unit and the restricting unit that rotate integrally through the shaft supporting member.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가이드 홈과의 접촉에 의해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경우 등에 비하여, 조작 레버를 피벗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나 규제부에 의해 정해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비교적 정밀도 좋게 규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b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wing range is regulated by the contact of the operation lever with the guide groove,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lever can be regulated relatively accuratel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defined by the shaft supporting member and the regulating portion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2 회동부의 상기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로는 규제 작용이 미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restrict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stricting function can not be applied to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vicinity of the swing central axis of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규제부는, 제2 회동부의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로는 규제 작용이 미치지 못한 것이기 때문에, 제2 회동부의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와는 관계없이 규제부를 구성할 수 있어, 규제부 자체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regulating portion does not have a regulating function in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around the swing axi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econd swinging portion, The restricting portion can be formed irrespective of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of the control lever, and the compl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restricting portion itself is easily avoid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조작 레버가 피벗 지지되는 피벗 축 부분과, 그 피벗 축 부분으로부터 상기 조작 레버가 피벗 지지되지 않은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연장축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축 부분이 상기 규제부에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pivoting portion includes a pivot shaft portion o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pivoted, and an extending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vot shaft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not pivoted, And the extension shaf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portion.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회동부에 연장축 부분을 구비시켜서, 이 연장축 부분이 규제부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shaft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shaft portion, and by joining the extension shaft portion to the restric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can be easily structured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피벗 축 부분에는, 상기 연장축 부분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대하여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ivot shaf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winging operation around the swing axi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extending shaft portion is provided to the steering drive portion or the lift driving portion And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perating body.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회동부의 피벗 축 부분에는, 연장축 부분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출력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장축 부분과 규제부의 걸림 결합 구조에 관계없이, 출력 조작체를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어, 전체로서 구조의 복잡화를 피하면서, 그 조립 분해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since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provided on the pivot shaft portion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xtended shaft portion is provided, irrespective of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extended shaft portion and the regulating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wing around the pivot axis of the lever so a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such as assembly and disassembly while avoiding the complication of the structure as a whole.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체 고정부에 대하여 설치된 레버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됨과 함께, 상기 규제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lever supporting frame provided to the gas fix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first rotating portion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ing frame,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가,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1 회동부와,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는 축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프레임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es the first turning portion having the one-way swing axis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second pivot portion having a pivot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axis.

그리고, 그 규제부에 의해 회동 각도 범위를 제한하는 제2 회동부가,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구성하기 위한 부재이며, 또한, 그 제2 회동부의 제한되는 회동 방향은, 제1 회동부의 축심인 부분의,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의 회동 방향이다.The second rota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range by the restricting portion is a member for constituting the swing ax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other direction,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around the one-directional swinging central axis of the portion that is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swinging portion.

즉, 조작 레버의 작동 범위의 규제를 행하기 위한 구성 부재는, 그 조작 레버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을 조향 구동부나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조작 연계 기구 자신인 부분의, 레버 지지 프레임이나 제2 회동부 등을 이용해서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constituent member for regula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is a lever supporting frame or a portion of the operating link mechanism itself for transmitt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steering- And a second rotary unit.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가, 그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조작 연계 기구의 일부인 부분의 레버 지지 프레임에 설치한 규제부와 제2 회동부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량과 조작 연계 기구에 의한 조작량을 정밀도 좋게 대응시키기 쉽고, 규제부를 레버 지지 프레임과는 다른 개소에 설치한 경우와 같은, 위치 정렬 작업에 막대한 수고를 요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연계 기구 자신인 부분의, 레버 지지 프레임이나 제2 회동부 등을 유용하게 이용해서 구조 간단히 구성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As a result,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wivel portion provid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which is a part of the operation link mechanism that supports the operation lev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pe with the pivoting operation amount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amount by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avoiding the problem of requiring a great deal of time in the alignment operation, such as when the regulation por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lever support frame .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construct the structure by using the lever supporting frame, the second turning portion, or the like, which is the operation link mechanism itself.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규제부는,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형성한 개구에 의해 형성되고, 이 개구에 삽입된 상기 제2 회동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회동부의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동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by an opening formed in the lever supporting frame, an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tur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by the one- And is configured so as to limit the rotation around i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버 지지 프레임에 형성한 개구에 의해 규제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에 연장축 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한층 구조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restriction portion is formed by the opening formed in the lever supporting frame and the extension shaf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can be limi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further simplified in structure.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에 대향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에 구비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축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에 상기 베어링부에 대하여 삽입 인발되는 피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에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부에 대한 삽입 인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축지지 부재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lever suppor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opposed to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wivel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wivel portion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that is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bearing portion at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A connection member detachable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aring portion is provi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lever support frame from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portion And is detachabl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축지지 부재가,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한 축지지 부재의 탈착 조작을 간편하게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shaft support member is detachable from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wiv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upport frame, it is easy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haft support member to the lever support frame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회동부와 상기 제1 회동부와는, 상측과 하측로 서로 교차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공통의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rotary portion and the first rotary portion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re fixed to the common holding fram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에 위치하는 제2 회동부와 상기 제1 회동부는, 공통의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의해 고정되고, 전체의 대형화를 피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turning portion and the first turning portion, which are located in a state of intersecting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fixed by the common holding frame and advantageously can be configured compactly, .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2 회동부에 피벗 지지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부분을 구비하고, 그 몸체 부분이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 당해 제1 회동부의 축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operating lever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second turning portion and has a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turning portion, And is disposed o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axis of the first rotary part.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는, 직접적으로 축지지되는 제2 회동부의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뿐만 아니라, 그 제2 회동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동부의 축심 주위에서도, 조작 레버의 파지부 조작 궤적의 정점 위치가 거의 일정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not only the operation lever swings about the axis of the second pivot portion directly supported by the shaft, but also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pivo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pivot portion,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vertex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manipulation locus of the grip portion is at a substantially constant position.

따라서, 제1 회동부와 제2 회동부가, 축심끼리가 한 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된 구조로 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축으로 구성되고, 상하에서 교차한 상태에 배치되는 부분의, 구조적으로는 간소한 것이면서, 조작 레버를 조작성 좋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ortions need not be structured such that their axial centers intersect each other at one point, but ar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structurally simple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lever can be configured with good operability.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은, 그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로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is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a potentiometer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first swinging portion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의한 제1 회동부의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동을 포텐시오미터로 검출할 때, 그 제1 회동부의 회동에 수반하는 제2 회동부의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동이 규제부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에서 제2 회동부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제1 회동부의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동 범위도 규제됨으로써, 그 결과,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 범위와 포텐시오미터에 의한 검출 범위를 적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어, 이들 대응 관계의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tentiometer detects the rotation about the one-way swing axis of the first pivot portion by the operation lever, the one-way pivot of the second pivot portion accompanying the pivot of the first pivot portion The rotation of the shaft around the axis is restricted by the restricting portion. In this wa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part is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art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rotary part about the one-directional rotation axis is also regulated. As a result, the range of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detection by the potentiometer The range can be precisely matched,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can be easily adjust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예취부에, 식립 작물을 긁어들이기 위한 긁어들임용 릴과, 그 긁어들임용 릴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릴 승강 장치가 구비되고, 이 릴 승강 장치를 조작해서 상기 긁어들임용 릴을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입력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install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aper placement reel for scraping a crop to be planted, and a reel elevating device for vertically positioning the scraper placement reel, An operation input por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aking reel i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취부에 구비한 긁어들임용 릴의 상하 위치 조절을,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된 조작 입력부를 이용해서 조작성 좋게 행할 수 있어, 예취부에 긁어들임용 릴을 구비한 수확기로서 적합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rake reels provided in the preloading portion can be adjusted with good operability by using the operation input portion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harvester having the reel for scraping A suitable structure can be obtained.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이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이하, 도 15까지 동일함),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보통형 콤바인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방향에서 볼 때의 화살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 방향에서 볼 때의 화살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VI-V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VII-V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후방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IX-IX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있어서의 X-X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있어서의 XI-X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조작 연계 기구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주차 브레이크와 시프트 조작구의 연계 구조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주차 브레이크와 시프트 조작구의 연계 구조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이하, 도 28까지 동일함),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보통형 콤바인의, 전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보통형 콤바인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XX-XX선 방향에서 볼 때의 화살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XXI-XX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있어서의 XXII-XX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후방면도이다.
도 24는, 조작 레버와 조작 연계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조작 연계 기구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조작 입력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연계 기구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n ordinary combine harvester as an example of a harves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as in FIG. 15).
Fig. 2 is a plan view of the general combin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Fig. 4 is an arrow view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line IV-IV in Fig. 3. Fig.
5 is an arrow view when viewed in the VV line directio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5. Fig.
8 is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in Fig. 5.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5. Fig.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Fig. 5.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1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1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interlock structure of the parking brake and the shift operating member.
1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interlock structure of the parking brake and the shift operating member.
Fig. 16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n ordinary combine harvester as an example of a harves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s applied to Fig. 28).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ordinary combine.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1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20 is an arrow view when viewed in the XX-XX direction in Fig. 19. Fig.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XXI in Fig. 19. Fig.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I-XXII in Fig. 19. Fig.
23 is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lever and an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Fig. 2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Fig.
2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put section;
FIG. 2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put s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2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in another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 및 도 2에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보통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n ordinary combine harvester as an example of a harvester.

이 보통형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비해서 주행 기체 A를 구성하고 있다. 이 주행 기체 A에 대하여, 그 전방부 위치에 운전부 B와, 예취 전처리 장치 C(예취부에 상당함)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기체 A의 후부 위치에는, 예취 전처리 장치 C에서 예취된 곡간이 보내지는 전간 투입형의 탈곡 장치 D와, 탈곡 장치 D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 E(곡립 저류부에 상당함)와, 그레인 탱크 E에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언로더 F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 A의 후단부에서 그레인 탱크 E와 탈곡 장치 D의 사이에 상당하는 개소의 차체 프레임(10) 위에 연료 탱크(23)가 구비되어 있다.This ordinary combine combines the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1 to constitute a traveling vehicle A. The running body A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ortion B and a cut-off pretreatment device C (corresponding to a pre-installation portion) at a front position thereof. In the rear position of the running vehicle A, there are provided a full-thrown-in type threshing device D to which the cuts cut in the cut-off pretreatment device C are sent, and a grain tank E (equivalent to a curled-up storage portion) And an unloader F for discharging the grains stored in the grain tank E to the outside of the atmosphere. A fuel tank 23 is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frame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between the grain tank E and the threshing device D at the rear end of the running vehicle A.

운전부 B의 운전 좌석(2)의 하방 위치에는, 차체 프레임(10) 위에 탑재된 엔진(3)이 배치되고, 주행 기체 A의 전방부의 중앙 위치에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미션 케이스(4)가, 차체 프레임(10)의 상하에 걸쳐 구비되어 있다. 이 미션 케이스(4)에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도시생략)가 구비됨과 함께,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조향 클러치(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있다.An engine 3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1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driving seat 2 of the driving section B and a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is transmitted to the right and left crawler A transmission case (4) is provided in the traveling device (1) over the body frame (10). The transmission case 4 is provided with a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not shown) for steplessly shift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and a steering clutch (not shown) for interrupt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1 (Not shown).

예취 전처리 장치 C는, 식립 곡간의 이삭끝측을 긁어들임 릴(5)의 회전 작동에 의해 긁어올리고, 그 곡간의 밑동을 커터(6)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된 곡간(예취 곡간)은, 가로 이송 오거(7)에 의해 가로 이송되어서 피더(8)의 입구 근처에 긁어모아진다. 그 전간이 피더(8)에 의해 후방 이송되어 탈곡 장치 D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utting pretreatment device C is configured to scrape up the end of the gap between the grooves by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scraping reel 5 and cut the base of the grooves with the cutter 6. The cut slices (cut slices) are transversely conveyed by the transverse conveying auger 7 and scraped near the entrance of the feeder 8. The entire time is fed back by the feeder 8 to be sent to the threshing device D.

또한, 예취 전처리 장치 C는, 피더(8)의 후단부측의 횡축심(도면 밖)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피더(8)의 상하 요동은, 차체 프레임(10)과 피더(8)의 하부에 걸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18)에 의해 행해진다. 이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한 요동량의 설정에 의해 곡간의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cut pretreatment device C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swingable around the horizontal axis (outside the drawing)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eeder 8. [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eeder 8 is performed by an actuator 18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over the vehicle body frame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er 8. [ And the height of the cutting height between the curves can be adjusted by setting the amount of mot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8. [

피더(8)의 전단부측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긁어들임 릴(5)은, 후단부측의 요동 지지점(도시생략) 주위로 상하 요동함으로써, 피더(8)에 대한 높이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긁어들임 릴(5)의 피더(8)에 대한 상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예취 높이를 바꾸지 않고 식립 곡간 등의 예취 대상 작물에 대한 긁어들임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긁어들임 릴(5)의 높이 위치의 변경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더(8)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한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릴 승강 장치의 신축 작동에 의해 행해진다.The scraping reel 5 disposed at the upper position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eeder 8 swings up and down about a swing support point (not shown) on the rear end side so that the heigh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eeder 8 can be changed . By chang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scraping reel 5 with respect to the feeder 8,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craping height with respect to crops to be cut, such as the grooves, without changing the cutting height. The change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scraping reel 5 is performed by a stretching operation of a reel lifting device composed of, for example, a hydraulic cylinder interposed between the feeder 8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탈곡 장치 D는,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의 ?f기 처리를 행하도록 주행 기체 A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하는 축류형의 급동(도시생략), 및 ?f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 처리 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The threshing device D is equipped with an axial-flow-type skid (not shown) which is driven and rotated around the axial center of the attitud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A so as to perform? F- And a sorting processor (not shown) for sorting the grains out of the processed material obtained by the process.

이 선별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선별된 곡립 중, 1번물은 양곡 장치(9)에 의해 그레인 탱크 E에 공급하고, 2번물은 2번 환원 장치(19)에 의해 급동이 선회하는 급실(도시생략)로 되돌아가서, 곡립 이외의 곡간 부스러기 등은, 선별 처리 장치의 후부로부터 주행 기체 A의 후방으로 낙하 방출된다.In this sorting apparatus, the selected one of the grains is supplied to the grain tank E by the grain machine 9, and the second grain is fed into the feed room (not shown) rotated by the second No. 2 reduction device 19, The intergranular debris and the like other than the curvature are dropped and discharg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orting apparatus to the rear of the traveling body A. [

그레인 탱크 E는, 양곡 장치(9)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탱크 본체(20)는, 주행 기체 A의 후부 위치의 종방향 자세의 상하 축심 Y 주위에서의 선회에 의해 주행 기체 A에 수납되는 작업 자세(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와, 주행 기체 A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 자세(도 2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지는 자세)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grain tank E is provided with a tank main body 20 for storing the curved grain fed from the grain machine 9. The tank main body 20 has a working posture (a posture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Fig. 2) housed in the running vehicle A by turning around the vertical axis 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position of the running vehicle A, (A posture indicated by an imaginary line in Fig. 2)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posture A in Fig.

이 그레인 탱크 E의 선회 중심으로 되는 상기 상하 축심 Y는, 탱크 본체(20)의 후방면측에 설치한 언로더 F가 구비하는 세로 반송 통(31)의 통 축심과 합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vertical axis Y, which is the turning center of the grain tank E, is configured to coincide with the cylinder axis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provided in the unloader F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tank body 20.

언로더 F는, 상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직관 형상의 세로 반송 통(31)과, 그 세로 반송 통(31)의 상단부에서 세로 반송 통(31)과 함께 상기 상하 축심 Y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또한, 수평 횡축심 X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장비된 가로 반송 통(3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로 반송 통(31) 및 가로 반송 통(32)은 각각이 내부에 반송 스크루를 내장한 주지의 스크루식 반송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unloader F includes a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having an upwardly extending rectangular shape and a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so as to be swingable left and right around the vertical axis Y, And a transverse conveying cylinder (32) provided so as to be freely revolvable around the horizontal horizontal shaft (X). Each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cylinder 32 is constituted by a known screw-type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a conveying screw is incorporated.

그리고, 탱크 본체(20)의 후방면측에는, 탱크 본체(20) 내의 바닥 스크루(21)의 배출 측단부를 지지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배출용 통부(22)가 설치되고, 이 배출용 통부(22)의 상부에 상기 언로더 F가 설치되어 있다. 즉, 배출용 통부(22)의 상부에는, 상기 세로 반송 통(31)이 기립 설치되어 상방향의 세로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그 세로 반송 통(31)의 상단부에 연속 설치된 가로 반송 통(32)이 횡방향의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A discharge tube 22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ank body 20 so as to support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bottom screw 21 in the tank body 20. The discharge tube 22 The unloader F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loader. That i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cylinder 22, 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s 31 stand up to constitute a vertical vertical transfer path, and the horizontal transfer cylinders 32 ) Constitute a lateral transport path.

세로 반송 통(31)은, 배출용 통부(22)에 대하여, 선회 구동 기구(33)를 통해 상하 축심 Y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선회 구동 기구(33)는, 세로 반송 통(31)의 하단부 외주에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기어부나, 그 기어부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 3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ylinder 22 so as to be pivo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Y via a swing drive mechanism 33. [ The swing drive mechanism 33 is constituted by a gear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 31,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gear portion, and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pinion gear.

가로 반송 통(32)은, 세로 반송 통(31)의 상부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유압 실린더(34)의 신축 작동에 수반되어, 상기 수평 횡축심 X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horizontal conveying cylinder 32 is provided so as to freely pivot around the horizontal horizontal shaft X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34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31. [

〔탑승 운전부〕[Boarding section]

상기 운전부 B에는, 상기 엔진(3)의 상방측을 덮는 상자 형상의 엔진 커버(11)가 구비되고, 엔진 커버(11)의 상면에 운전 좌석(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엔진 커버(11)의 외측부에는 흡기 케이스(11A)가 형성되고, 흡기 케이스(11A)의 외면측에는 냉각풍의 흡기하기 위해 방진망이 걸쳐 설치된 흡기부(11B)가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section B is provided with a box-like engine cover 11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3 and a driver's seat 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cover 11. [ An intake case 11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ine cover 11 and an intake unit 11B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take case 11A.

운전 좌석(2)의 전방측에는 조종탑(12)이 기립 설치되고, 조종탑(12)의 상면측에, 주행 기체 A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와,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를 겸하는 조작 레버(13)가, 전후 및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 control tower 1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2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ontrol tower 12 with an operation opening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of the traveling vehicle A and an operation opening / And an operation lever 13 that also serves as a control lever.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2)의 좌측부에는, 조종탑(12)의 좌측 가로 단부 위치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사이드 패널(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패널(14)의 전단부 상면(14A)에는, 주행 기체 A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조작구(15)로서, 주변속 레버(15A)와 부변속 레버(15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side panel 14 is provided at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2, extending from the left lateral end position of the steering column 12 to the rear side. A peripheral speed lever 15A and a speed change lever 15B are provided as a speed change operating member 15 for controlling the running speed of the running vehicle A on the front end upper surface 14A of the side panel 14. [

그리고, 사이드 패널(14)의 상면(14A) 측에서, 변속 조작구(15)보다도 후방측 위치에, 작업 클러치 레버(16)로서, 탈곡 클러치 레버(16A)와 예취 클러치 레버(16B)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탈곡 클러치 레버(16A)와 예취 클러치 레버(16B)는, 탈곡 클러치 레버(16A)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탈곡 장치 D에 있어서의 탈곡 클러치(도시생략)를 입력 및 단절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16B)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에 있어서의 예취 클러치(도시생략)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hifting clutch lever 16A and the leaning clutch lever 16B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4A side of the side panel 14 on the rear side of the shift operating element 15 as the work clutch lever 16, As shown in FIG. The descending clutch lever 16A and the trailing clutch lever 16B both input and disconnect the threshing clutch (not shown) in the threshing device 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winging operation of the threshing clutch lever 16A, (Not shown) in the cut-sheet pretreatment apparatus C by the forward and backward rocking operation of the cutter 16B.

또한, 사이드 패널(14) 위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도시생략)도 설치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 E의 바닥 스크루(21)에 대하여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 G(도 1 참조)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여, 언로더 F에 의한 곡립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이다.Further, an exhaust clutch lever (not shown) is also provided on the side panel 14. The discharge clutch lever performs input and disconnection operations of the discharge clutch G (see Fig. 1) for interlock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with the bottom screw 21 of the grain tank E, And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grainy particles.

조종탑(12)의 상면측에 설치된 조작 레버(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조작 상태에서 직립 자세로 되는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된다. 이 중립 위치 N을 기준으로 해서 좌 선회 위치 L 및 우 선회 위치 R로 조작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The operation lever 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12 is maintained at the neutral position N in the upright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So as to be operable in the left-turn position L and the right-turn position R with reference to the neutral position N as a reference.

조작 레버(13)가 좌우 방향에서 요동 조작됨으로써, 후술하는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해 조향 제어 밸브 V1(조향 구동부에 상당한다. 도 4 참조)의 조작 아암을 밀고 당김 조작하고, 조향 제어 밸브 V1의 전환 조작에 수반하여 미션 케이스(4)에 내장되어 있는 조향 클러치를 입력 및 단절 제어하여 주행 기체 A의 조향(선회)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작 레버(13)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액추에이터(18)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밸브 V2(승강 구동부에 상당한다. 도 3 참조)를 조작하여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The operation lever 13 is pivo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push and pull the operation arm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drive unit, see Fig. 4) via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Turning) of the traveling vehicle A by inputting and disconnecting the steering clutch incorporated in the transmission case 4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peration.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drive unit, see Fig. 3)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18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operated to realize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pretreatment pretreatment apparatus C .

〔조작 연계 기구에 대하여〕[About operation linkage mechanism]

도 3 내지 도 12에,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와, 주행 기체 A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를 겸하는 조작 레버(13)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13)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하여,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와,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에 전달되어 있다.Figs. 3 to 12 show an operating lever for performing lift control of the cut-off pretreatment device C and an operating lever 13 serving also as an operating lever for steering control of the traveling vehicle A. Fi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s the steering driving section via the operation connecting mechanism H configured as follows.

조종탑(12)의 상면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는 조작 레버(13)는, 그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을, 조종탑(12)의 내부에 배치된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해 승강 구동부나 조향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lever 13 standing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teering column 12 is mov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elevation drive section and the steering column via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disposed inside the steering column 12, To the driving unit.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연계 기구 H는, 조종탑(12)의 내부에 고정된 레버 지지 프레임(50)과, 그 레버 지지 프레임(50)에 지지된 축지지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축지지 부재(60)는, 조작 레버(13)를 좌우 방향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방향의 요동 축심 x1을 갖는 제1 회동부(60A)와, 상기 조작 레버(13)를 타방향의 요동 축심 y1 주위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동부(60B)를 구비하고 있다.3 to 9,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includes a lever support frame 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tower 12, a shaft support member 60 (not shown) support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50, . The shaft support member 60 includes a first pivotal portion 60A having a pivotal axis x1 in one direction that pivotally supports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turning portion 60B for swingably supporting the workpiece W in the front-rear direction about the axis y1.

상기의 양쪽 요동 축심 x1, y1 중, 주행 기체 A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의 요동 축심 x1이,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으로서의 요동 작동의 축심으로 되고, 주행 기체 A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타방향의 요동 축심 y1이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작동의 축심으로 된다.A one-directional swing axis center x1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A among the two swing axis centers x1 and y1 is the axis of the swinging operation a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Axis direction y1 of the operation lever 13 becomes the axis of the swinging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레버 지지 프레임〕[Lever Support Frame]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탑(12)의 상면(12a)보다도 하방측에서, 조종탑(12)의 전후의 벽부끼리에 걸쳐 좌우 한 쌍의 단면 L자 형상의 설치 브래킷(12b, 12b)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설치 브래킷(12b, 12b)에,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좌우에 구비한 상벽 부분(50U, 50U)이 볼트 연결되고, 레버 지지 프레임(50)이 조종탑(12)에 고정되어 있다.A pair of left and right L-shaped mounting brackets (as shown in Figs. 3 to 6)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2a of the steering column 12 and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 portions of the steering column 12 12b, 12b are welded and fixed. Upper wall portions 50U and 50U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are bolted to the mounting brackets 12b and 12b and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is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12 have.

레버 지지 프레임(50)은,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벽 부분(50F)과, 그 전방벽 부분(50F)의 좌우 양측 개소에서 상단부측에 이어지도록 위치하는 상기 상벽 부분(50U, 50U)을 구비한 것이다. 즉, 레버 지지 프레임(50)은 판금제의 일체 재료로 구성되고 있어서, 전방벽 부분(50F)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서 상벽 부분(50U, 50U)으로 되는 부분을 후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전방벽 부분(50F)의 상단부측에 상방향의 면을 갖는 상벽 부분(50U, 50U)이 연결되어, 측면에서 볼 때 거의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것이다.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includes a front wall portion 50F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upper wall portions 50U, 50F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50U. That is, the lever support frame 50 is made of a sheet metal material, and by bending the portion that becomes the upper wall portions 50U, 50U from the upper portions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backward, The upper wall portions 50U and 50U having upper faces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upper wall 50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ent in a substantially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전방벽 부분(50F)에는, 그 전방벽 부분(50F)을 관통해서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베어링 보스부(51)가 일체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베어링 보스부(51)는, 축지지 부재(60)가 구비하는 축부(61)[조작 레버(13)를 지지하는 피벗 축에 상당함]를 안에서 끼운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x1을 갖는 제1 회동부(60A)를 구성하는 것이다.In the front wall portion 50F, a bearing boss portion 51 protruding forward and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is integrally welded. The bearing boss portion 51 supports the shaft portion 61 (corresponding to the pivot shaft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13) provided i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in a state sandwiched therebetween so that the one- x1, as shown in Fig.

전방벽 부분(50F)의 상단부에서, 상기 베어링 보스부(51)의 상부 개소에는, 전방벽 부분(50F)보다도 전방측을 향하여, 베어링 보스부(51)와 동일 정도 이상 전방측으로 돌출된 고정 걸림 핀(52)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걸림 핀(52)은, 후술하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의 단부를 걸림 지지하여, 좌우 어느 한쪽으로 조향 조작된 조작 레버(13)를 중립 위치 N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is provided with a fixing stopper 50B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and at least the front side of the bearing boss portion 51, And the pin 52 is welded and fixed. The fixed engaging pin 52 is for engaging the end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to be described later and returning the operating lever 13 which has been operated to the left or right to the neutral position N. [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상부에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범위로 하고, 좌우 방향에서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1 규제부(55)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 to 8 and Fig. 12,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support frame 50 is provided with a swing range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 제1 규제부(55)는,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에서의 요동 범위의 한계를 소정 각도 범위로 설정하도록, 좌우에 구비한 상벽 부분(50U, 50U)끼리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에 구비한 중간 돌기(50C)의 단부 에지 중, 축지지 부재(60)에 대향하는 개소의 일단부 에지(53)(맞닿음부에 상당함)와, 상기 좌우의 상벽 부분(50U, 50U)의 내외의 단부 에지 중, 상기 일단부 에지(53)에 대향하는 개소의 단부 에지(54)(맞닿음부에 상당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55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wall portions 50U and 50U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o as to set the limit of the swing rang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to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ne end edge 53 (corresponding to the abutting portion) of the portion opposed to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among the end edge of the intermediate projection 50C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rojection 50C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wall portions 50U, And an end edge 54 (corresponding to the abutting portion) of the portion opposed to the one-end edge 53 out of the inner and outer end edges of the end portion.

이 제1 규제부(55)가 존재함으로써, 도 8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의 우방향으로의 요동에 수반되어 축지지 부재(60)가 우방향으로 조작되면, 그 상단부 근처에 형성된 맞닿음부(60a)가 중간 돌기(50C)의 일단부 에지(53)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우 선회 방향으로의 조작이 규제된다.As a result of the presence of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55, whe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is operated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ightward pivotal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13, as indicated by a virtual line in Fig. 8, The abutting portion 60a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ne end edge 53 of the intermediate projection 50C so that the operation in the further rightward turning direction is restricted.

조작 레버(13)가 좌방향으로 요동 조작되어 축지지 부재(60)가 좌방향으로 기울어지면, 그 상단부 근처가 좌측의 상벽 부분(50U) 중, 축지지 부재(60)가 구비하는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에 대향하는 개소의 단부 에지(54)가 접촉하여, 그 이상의 좌 선회 방향으로의 조작이 규제된다.When the operation lever 13 is pivoted counterclockwise and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is tilted to the left,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The end edge 54 of the portion opposed to the left side 63L of the pin 6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inion 63 and the operation in the leftward turning direction is regulated further.

이와 같이 하여, 제1 회동부(60A)에 피벗된 축부(61)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의 조작 레버(13)의 요동 범위의 한계를, 제1 규제부(55)에서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mit of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13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shaft portion 61 pivoted to the first swinging portion 60A is limited to the mechanical contact at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55 As shown in FIG.

〔축지지 부재〕[Shaft Supporting Member]

레버 지지 프레임(50)에 지지되는 축지지 부재(60)는,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 x1을 갖는 제1 회동부(60A)와, 상기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 y1을 갖는 제2 회동부(60B)를 구비하고 있다. The shaft support member 60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 frame 50 includes a first pivotal portion 60A having a pivotal axis x1 in one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13 and a second rotary portion 60B having a swing axial center y1 in the other of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제1 회동부(60A)와 제2 회동부(60B)를 구비하는 축지지 부재(60)는, 평면에서 볼 때 후방 개방의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핵심 프레임체(63)와, 그 핵심 프레임체(63)의 전방면(63F)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서 연장된 축부(61)와,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으로부터 좌측 횡방향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통축부(62)를 구비하고 있다.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having the first turning portion 60A and the second turning portion 60B includes a core frame 63 formed in a rear opening channel shape in plan view, A shaft portion 61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63F of the core frame 63 and a cylindrical shaft portion 62 projecting from the left side surface 63L of the core frame 63 toward the left lateral direction .

핵심 프레임체(63)의 우측면(63R)에는, 조작 레버(13)의 기단부에 구비한 조작 축(13A)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포텐시오미터(80)의 설치부가 설치되어 있다.A mounting portion of a potentiometer 80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shaft 13A provided 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surface 63R of the core frame member 63. [

제1 회동부(60A)와 제2 회동부(60B)는, 각각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rotary part 60A and the second rotary part 60B are constructed as follows.

우선 제1 회동부(60A)에서는, 축지지 부재(60)의 핵심 프레임체(63)의 전방면(63F)을 전후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축부(61)를 용접 고정하고, 축부(61)가 핵심 프레임체(63)로부터 전방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축부(61)를,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전방벽 부분(50F)을 관통해서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베어링 보스부(51)에 삽입해 끼워서, 핵심 프레임체(63)를 통해 조작 레버(13)를 축부(61)의 일방향 요동 축심 x1 주위로 요동 작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작 레버(13)를 좌우 방향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동부(60A)가 구성된 것이다.The shaft 61 is welded and fix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ront face 63F of the core frame 63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forward and backward, Extends from the frame body (63) toward the front side. The shaft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boss portion 51 protruding forward and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wall portion 50F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and inserted into the bearing boss portion 51, 13 is swingably operable around the unidirectional swinging central axis x1 of the shaft portion 61 to thereby pivotally support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그리고 제2 회동부(60B)에서는,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에는, 좌측 횡방향을 향해서 통축부(62)가 일체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통축부(62)에, 조작 레버(13)의 기단부에 구비한 조작 축(13A)을 내측에서 끼우게 하여, 조작 레버(13)를 통축부(62)의 통 축심인 타방향의 요동 축심 y1 주위로 요동 작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작 레버(13)를 전후 방향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동부(60B)가 구성되어 있다.In the second rotary portion 60B, the tubular shaft portion 62 is integrally welded and fixed to the left side surface 63L of the core frame 63 in the left lateral direction. The operating lever 13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block 62 from the inside so that the operating lever 13 is fitted in the base end of the operating lever 13, y1 so as to constitute a second rotary portion 60B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13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조작 레버(13)에는, 그 기단부에 구비한 조작 축(13)A의 축심인 상기 타방향의 요동 축심 y1로부터, 조작 레버(13)의 몸체 방향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개소에, 요동 축심 y1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서 걸림 조작체(13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조작체(13B)는, 조작 레버(13)의 상기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전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후술하는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76)에 걸림 지지되고, 그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76)에 의한 중립 위치 N으로의 복귀 작용이 조작 레버(13)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operation lever 13 is provided with a swing axis center y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center y1 in the other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body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The engagement operation body 13B is engaged with a lift-up neutral return spring 7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operation in either one of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bout the swing axis center y1 of the operation lever 13, So that the action of returning the neutral position N to the neutral position N by the lift neutral return spring 76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lever 13.

그리고,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의 상단부측에는, 걸림 조작체(13B)와 접촉하여, 조작 레버(13)의 상기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요동 허용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2 규제부(65)가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end side of the left side surface 63L of the core frame 63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to restrict the swinging allowable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13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y1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 second regulating portion 65 is provided.

이 제2 규제부(65)는,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의 상단부 에지가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오목 홈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규제부(65)에 있어서의 오목 홈 부분의 양단부에는, 도 9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조작체(13B)가 예취 전처리 장치 C를 하강시키도록 전방측의 요동 한계로 조작되었을 때 접촉하는 전방측의 맞닿음부(65a)와, 걸림 조작체(13B)가 예취 전처리 장치 C를 상승시키도록 후방측의 요동 한계로 조작되었을 때 접촉하는 후방측의 맞닿음부(65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and 9,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65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edge of the left side surface 63L of the core frame 63 is partially recessed Groove portion. At both end portions of the concave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65,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9,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is operated to the front side rocking limit so as to lower the cut pre- Side abutting portion 65a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hen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is operated to the swing limit of the rear side so as to raise the cut waste pretreatment device C, Respectively.

핵심 프레임체(63)의 좌측면(63L)에는, 중립 위치 N에 있는 걸림 조작체(13B)와 통축부(62)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중립 규제 핀(64)이 좌측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중립 규제 핀(64)은, 통축부(62)의 외주면에 권회된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76)의 양단부 중 일단부측이 걸림 지지된다. 타단부측이 걸림 조작체(13B)가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 조작체(13B)에 걸림 지지된 측의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76)의 단부가 도 9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한다.The neutral restricting pin 64 is located on the left side 63L of the core frame 63 in the middle of the engaging operation member 13B and the barrel supporting portion 62 at the neutral position N, Respectively. The neutral restricting pin (64) is hooked on one end side of both ends of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76)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shaft portion (62). When the latching operation body 13B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fting neutral restoring spring 76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이때, 중립 규제 핀(64)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76)의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걸림 조작체(13B)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손을 떼면 조작 레버(13)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osition of the neutral restricting pin 64 does not chang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76 acts in the direction to return the engaging body 13B to the neutral position N side. Thus, when the hand is released, the operation lever 13 i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즉 제2 회동부(60B)의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은, 조작 축(13A)에 입력축(81)을 연결한 포텐시오미터(80)로 검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포텐시오미터(80)에서의 검출 결과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장치(83)로 보내지고, 제어 장치(83)가 전동 모터(84)를 작동시켜서 승강용의 액추에이터(18)로의 압유를 급배하도록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를 작동시키고, 승강용의 액추에이터(18)를 신축 작동시켜서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in the vicinity of the swing axis y1 of the second swinging portion 60B is performed by the potentiometer 80 connected to the operating shaft 13A with the input shaft 81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potentiometer 80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83 constituted by a microcomputer as shown in Fig. 4 and the control device 83 operates the electric motor 84 to drive the lift-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is operated so that the pressure oil is suddenly delivered to the actuator 18 and the elevation actuator 18 is operated to expand and contract to perform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pretreatment pretreatment device C.

이와 같이,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즉 제2 회동부(60B)의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을 포텐시오미터(80)에 전달하는 조작 축(13A)(출력 조작체에 상당함)이나, 포텐시오미터(80)나, 제어 장치(83)나, 전동 모터(84) 등에 의해,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와 조작 레버(13)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 U2가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on shaft 13A (which corresponds to the output operation body)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that is, around the swing axis y1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60B, to the potentiometer 80 An elevating unit U2 that connects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elevation driving unit with the operation lever 13 is constructed by the potentiometer 80, the control unit 83, the electric motor 84, and the like .

이 승강 유닛 U2에는, 후술하는 융통 연계 기구 I는 장비되어 있지 않다.The elevating unit U2 is not provided wit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described later.

제1 회동부(60A)에 구비한 축부(6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전방벽 부분(50F)을 관통하는 베어링 보스부(51)에 삽입해 끼워진 개소보다도 더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보스부(51)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축부(61)의 축단에 판 형상의 조작 브래킷(70)이 고정되고, 이 조작 브래킷(70)과 베어링 보스부(51)의 단부 사이의 축 부분에 출력 조작체(71)의 보스부(71A)(통축부에 상당함)가 밖에서 끼워져 있다.5 and 6, the shaft portion 61 provided in the first rotary portion 60A has a bearing boss portion 51 penetrating the front wall portion 50F of the lever support frame 50 And extends further forward than the inserted portion. A plate-like operation bracket 70 is fixed to the shaft end of the shaft portion 6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earing boss portion 51 and the shaft portion 61 between the operation bracket 70 and the end portion of the bearing boss portion 51 The boss portion 71A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shaft portion)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s fitted outside.

축부(61)의 선단부에서는, 축부(61)의 선단측 외주부가 타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가공되고, 또한 축 단부에 나사 구멍(61a)이 나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브래킷(70)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타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축부(61)의 선단측 외주부를 끼워 넣기 가능한 타원형의 걸림 결합 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축부(61)의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축 단부에 조작 브래킷(70)의 걸림 결합 구멍(70a)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멈춤 볼트(77)를 나사 구멍(61a)에 나사 결합시켜서 연결 고정하고, 축부(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조작 브래킷(70)도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portion 61, the distal end sid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61 is machined into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a screw hole 61a is screwed to the axial end portion. An elliptical engaging hole 70a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operating bracket 70 so as to engag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side end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61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With this structure, the detent bolt 77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61a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hole 70a of the operation bracket 70 is fitted in the shaft end portion formed in the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portion 61 And the operating bracket 70 is integrally rotated as the shaft portion 61 rotates.

조작 브래킷(70)의 하단부에는, 도 5 및 도 11,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브래킷(70)의 판면에 교차하는 후방측에 절곡된 걸림 훅부(70b)(걸림체에 상당함)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5 and 11 and 12, a latching hook portion 70b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member) bent to the rear side crossing the plate surface of the operation bracket 7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bracket 70 It is installed continuously.

그리고, 출력 조작체(71)의 보스부(71A)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74)(융통 연계 기구 I의 탄성체에 상당함)의 양단부가 걸림 훅부(70b)와 그 하방측에 위치하는 출력 조작체(71)에 설치한 걸림 핀(73)(스프링 걸림부에 상당함)과의 양자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coil spring 74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body of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 wound on the boss portion 71A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ok portion 70b and the output operation And a retaining pin 73 (corresponding to the spring retain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71 are fitted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이때, 코일 스프링(74)의 양단부는, 걸림 훅부(70b)나 걸림 핀(73)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즉, 도 12의 도면 중에서, 우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74)의 단부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하고, 도 12의 도면 중에서, 좌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74)의 단부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하도록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된다.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coil spring 74 are attached to the engaging hook portion 70b and the engaging pin 73 as follows. 12, the end of the coil spring 74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11, and the end of the coil spring 74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figure of Fig. 12 is located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And is mounted as shown in the drawing to the right as shown.

이에 의해, 조작 브래킷(70)의 요동에 수반되어 걸림 훅부(70b)가 출력 조작체(71)의 걸림 핀(73)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할 때, 출력 조작체(71)의 보스부(71A)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74)을 권체하는 측으로 조작하는 상태로 된다.The boss portion 71A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when the engaging hook portion 70b is moved to the side away from the engaging pin 73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n association with the swinging of the operating bracket 70, To the side on which the coil spring 74 is wound.

조작 브래킷(70)의 상부에는,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핀(70c)이 구비되어 있다. 이 조작 핀(70c)은,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베어링 보스부(51)에 권회된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에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13)를 축부(61)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켜서 우 선회 위치 R 또는 좌 선회 위치 L로 선회 조작했을 때, 그 조작 레버(13)를 중립 위치 N측으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의 작용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bracket 70, there is provided an operation pin 70c protrud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operating pin 70c is provided so as to act on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wound on the bearing boss portion 51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When the operating lever 13 is pivoted about the shaft portion 61 When the tur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the right turning position R or the left turning position L by pivoting about the axis x1, the operation lever 13 i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N side.

즉,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베어링 보스부(51)에 권회된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은, 레버 지지 프레임(50)에 설치된 고정 걸림 핀(52)과 조작 핀(70c)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이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도, 조작 레버(13)의 선회 방향으로의 조작에 수반되는 조작 핀(70c)이 고정 걸림 핀(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베어링 보스부(51)에 권회된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을 권체하는 상태로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That is,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wound on the bearing boss portion 51 of the lever support frame 50 has the fixing pin 52 and the operation pin 70c provid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50 as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This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is also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in 70c is moved away from the fixing pin 5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in the turning direction, And the steering neutral restoring spring 75 wound on the bearing boss portion 51 of the stator 50 is wound.

축부(61)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출력 조작체(71)에는, 상기 보스부(71A)와 일체로 설치한 요동판 부분(71B)에 대하여, 상기 걸림 핀(73)이 조작 브래킷(70)과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걸림 핀(73)이 돌출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조향 제어 밸브 V1을 조작하는 수단으로서의 연계 와이어(82)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핀(7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The engaging pin 73 is engaged with the operating bracket 71B with respect to the swing plate portion 71B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oss portion 71A in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mount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haft portion 61 70, respectively. A fixing pin 72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wire 82 as a means for operating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engaging pin 73 protrudes.

이 고정 핀(72)은, 상기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보다도 축부(61)의 요동 축심 x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중심 축심 x4를 갖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지만, 축부(61)의 요동 축심 x1로부터 중심 축심 x4까지의 거리는, 조향 제어 밸브 V1의 조작 스트로크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지면 된다. 따라서, 고정 핀(72)의 중심 축심 x4가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과 동등한 위치, 혹은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보다도 축부(61)의 요동 축심 x1에 가까운 개소에 설치될 가능성도 있다.The fixing pin 72 is provided so as to have a central axis x4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ivot axis x1 of the shaft 61 more than the central axis x3 of the latch pin 73. However, The distance from x1 to the central axis x4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roke or the like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he central axis x4 of the fixing pin 72 is provided at a position equivalent to the central axis x3 of the latching pin 73 or at a position closer to the swinging central axis x1 of the shaft 61 than the central axis x3 of the latching pin 73 There is also a possibility.

또한, 고정 핀(72)은, 걸림 핀(73)이 돌출된 측과 동일한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어도 되고, 걸림 핀(73) 자체를 조작 브래킷(70)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도 돌출시켜서, 그 걸림 핀(73)을 고정 핀(72)으로서 겸용하도록 해도 된다.The fixing pin 72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the same side as the side where the engaging pin 73 protrudes o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ngaging pin 73 itself faces the operating bracket 70 And the engaging pin 73 may be used as the fixing pin 72 as well.

고정 핀(7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계 와이어(8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제어 밸브 V1에 연계되고,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 즉 제1 회동부(60A)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을 전환 조작하고, 도시하지 않은 주행 장치의 조향 클러치를 좌우에서 각각 별도로 입력 및 단절 조작하고, 기체의 선회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wire 8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72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that is,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serving as the steering drive section is switched so that the steering clutches of the traveling apparatus, which are not shown, are separately input and disconnected from the left and right, .

이와 같이,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과 조작 레버(13)를 연계하도록 설치된 상기 연계 와이어(82)와, 조작 연계 기구 H에 있어서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 즉 제1 회동부(60A)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을 연계 와이어(82)에 전달하는 부분의, 핵심 프레임체(63)나 축부(61)나 출력 조작체(71) 등에 의해, 조향 유닛 U1이 구성되어 있다.In this manner, the linkage wire 82 provided so as to link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operation lever 13 as the steering drive section and the connecting wire 82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The steering unit U1 is constituted by the core frame 63, the shaft portion 61, the output operation body 71, or the like, at a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linkage wire 82 to the linkage wire 82 .

〔융통 연계 기구〕[Flexible linkage mechanism]

조향 유닛 U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3)와 출력 조작체(71)의 사이에는, 출력 조작체(71)가 조작 레버(13)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조작 레버(13)에 대하여 출력 조작체(71)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조작 레버(13)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융통 연계 기구 I가 구비되어 있다.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follows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and integrally moves is form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13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n the steering unit U1, (I) is provided so that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does not follow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ntegrally and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lever (13) is allowed to swing in the independent position is developed.

이 융통 연계 기구 I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flexible interconnection mechanism I is constructed as follows.

즉, 융통 연계 기구 I는, 출력 조작체(71)의 요동판 부분(71B)보다도 전방측의 보스부(71A)에 권회한 코일 스프링(74)과, 요동판 부분(71B)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핀(73)과, 조작 레버(13)의 요동 작동에 수반하여 축부(61)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요동 작동하는 조작 브래킷(70)의 하단부로부터 출력 조작체(71)측을 향해서 굴곡 형성된 걸림 훅부(70b)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That is, the flexible link mechanism I includes a coil spring 74 wound on the boss 71A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71B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and a coil spring 74 projecting forward from the swing plate portion 71B The engagement pin 73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racket 70 that oscillates about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shaft portion 61 along wit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toward the output side of the output operation body 71 And a hooking hook portion 70b formed thereon.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가 중립 위치 N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회동부(60A) 주위에서의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과, 걸림 훅부(70b)의 중심 축심 x2와,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이,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고 몸체를 따르는 연직선 L1 위에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13A,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lever 13 is located at the neutral position N,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operating lever 13 around the first turning portion 60A, The central axis x2 of the engaging pin 70 and the central axis x3 of the engaging pin 73 are arranged on a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ng lever 13 and along the body.

즉,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과 걸림 훅부(70b)의 중심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와, 요동 축심 x1과 출력 조작체(71)의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이,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고 몸체를 따르는 연직선 L1과 합치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That is, a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central axis x2 of the engagement hook portion 70b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x3 of the engagement pin 73 of the output operation body 71 Is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13 and coinciding with the vertical line L1 along the body.

이때, 보스부(71A)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74)의 양단부는, 걸림 훅부(70b)의 후방측으로 굴곡 형성된 걸림 훅부(70b)와 출력 조작체(71)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걸림 핀(73)을 끼워 넣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직선 L1의 양측에 할당된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coil spring 74 wound on the boss portion 71A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hook portion 70b ben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engaging hook portion 70b and the engaging pin 73b projected forward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And is located in a state of being allocated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line L1.

또한, 도 13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동부(60A)의 축부(61)를 감합 지지하는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베어링 보스부(51)에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이 권회되어 있어, 이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의 양단부가, 레버 지지 프레임(50)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고정 걸림 핀(52)과, 조작 브래킷(70)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된 조작 핀(70c)을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에서 배치되고 있다.6 and 8, the bearing boss portion 51 of the lever support frame 50 which supports and supports the shaft portion 61 of the first rotary portion 60A Both ends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are engaged with the fixed engaging pin 52 protruding from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perating pin 70c extending in the rearward direction from both sides.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가 좌방향(또는 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요동 조작되면, 걸림 훅부(70b)가 제1 회동부(60A)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74)을 통해 걸림 핀(73)도 동일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 걸림 핀(73)의 요동에 수반하여 연계 와이어(82)가 인장되고,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측으로 전환 조작된다(도 4 참조).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에 대하여, 요동 축심 x1과 걸림 훅부(70b)의 중심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와,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이 모두 동일 각도만큼 요동 조작되어 있다.13B, when the operation lever 13 is pivo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ward direction (or rightward direction), the hooking hook portion 70b is rotated about the pivotal axial center x1 of the first rotary portion 60A And the engagement pin 73 is also pivo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coil spring 74 in accordance therewith. The connecting wire 82 is pulled by the swinging of the engaging pin 73,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switched to the left turn side (refer to Fig. 4). In this state, a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central axis x2 of the latching hook portion 70b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engagement pin 73, And the line segment L3 connecting the central axis x3 of the center axis L3 are swung by the same angle.

이때, 도 13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은, 일단부측이 고정 걸림 핀(52)에 걸림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걸림 훅부(70b)에 걸림 지지되어 있어서, 조작 핀(70c)의 요동에 의해 고정 걸림 핀(52)과 조작 핀(70c)의 간격이 상기 요동 축심 x1의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확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은 조작 레버(13)를 중립측으로 복귀 가압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74)은, 걸림 훅부(70b)와 걸림 핀(73)을 끼움 지지한 상태 그대로에서 요동 축심 x1의 주위를 요동하므로, 이 상태의 코일 스프링(74)은 조작 레버(13)의 요동 저항으로서는 작용하지 않았다.Though not shown in FIG. 13,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is held at one end side by the fixing pin 52 and the other end side is hooked by the hooking hook portion 70b,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engaging pin 52 and the operating pin 70c is elastically enlarged and opened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Thereby, the steering neutral neutral return spring 75 is in the state of returning and pushing the operation lever 13 to the neutral side. However, since the coil spring 74 swings around the pivot shaft center x1 while holding the engagement hook portion 70b and the engagement pin 73 therebetween, the coil spring 74 in this state is pushed by the operation lever 13, As the shaking resistance.

고정 핀(72)에 연결된 연계 와이어(82)로 인장되어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 위치 L(도면 중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에 도달하면, 조향 제어 밸브 V1에 의해 전환된 유로를 통해 조향 클러치(도시생략)가 좌 선회 상태로 전환되고, 주행 기체 A가 좌 선회한다. 주행 기체 A를 우 선회시킬 때에는, 조작 레버(13)를 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요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걸림 훅부(70b)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푸시 풀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는 연계 와이어(82)로 눌린 조향 제어 밸브 V1이 우 선회 위치 R로 전환 조작되고, 주행 기체 A가 우 선회한다.When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reaches the left-turn position L (the stroke end position in the figure) by being pulled by the connecting wire 82 connected to the fixing pin 72, the steering clutch Is shifted to the left-turning state, and the traveling vehicle A is turned left. When turning the traveling vehicle A, the operating lever 13 is pivoted to the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s a result, the hooking hook portion 70b swing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which is pushed by the connecting wire 82 constituted by the push-pull wire, is switched to the rightward turning position R, do.

도 13의 (c)는, 고정 핀(72)에 연결된 연계 와이어(82)로 인장된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 위치 L(도면 중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에 도달하고, 또한 조작 레버(13)가 다시 좌방향(도 13 중에서는 우방향)으로 요동 조작되어, 걸림 훅부(70b)가 제1 회동부(60A)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조작 레버(13)는 축지지 부재(60)가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제1 규제부(55)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13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ensioned by the connecting wire 82 connected to the fixing pin 72 reaches the left-turn position L (the stroke end position in the figure) and the operating lever 13 The lock hook portion 70b is pivoted backwar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about the pivot axis x1 of the first pivot portion 60A so that the center of the pivot pin 73 And is moved to the side away from the axial center x3. At this time, the operation lever 13 is restricted from further swinging by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55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에 대하여, 요동 축심 x1과 걸림 훅부(70b)의 중심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가,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73)의 중심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보다도 크게 요동 조작되어 있다.In this state, the line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central axis x2 of the hooking pawl 70b to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13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pivot axis x1 and the engagement pin 73, The center axis x3 of the center axis L3.

이것은 도 13의 (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다시 조작 레버(13)가 좌방향(도 13 중에서는 우방향)으로 요동 조작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 훅부(70b)는 제1 회동부(60A)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스트로크 엔드 위치를 넘고 있지만, 이미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고 있는 조향 제어 밸브 V1과 연계 와이어(82)로 연결된 고정 핀(72)은, 원래의 도 13의 (b)에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This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13 is again pivoted in the left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in FIG. 13)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3 (b). In this state, the hooking hook portion 70b swing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pivot axis x1 of the first pivoting portion 60A to exceed the stroke end position. However, the engagement hook portion 70b is linked wit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lready reaching the stroke end The fixing pin 72 connected to the wire 82 maintains the original state shown in Fig. 13 (b).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 레버(13)의 요동 조작량이 레버 가이드 홈으로 설정되거나 하여, 조향 제어 밸브 V1의 스트로크 엔드의 위치와 조작 레버(13)의 요동 조작 한계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조작 레버(13)이 조향 제어 밸브 V1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를 넘어서 오버런 상태에 여분으로 조작되어버렸다고 해도, 그 조작 레버(13)에 의한 조작력이 조향 제어 밸브 V1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is set to the lever guide groove, the position of the stroke end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pivoting operation limit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13 is excessively moved over the stroke end position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o the overrun state, the operation force by the operation lever 13 is not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u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이 오버런 상태에서는, 걸림 훅부(70b)와 걸림 핀(73)의 간격이, 코일 스프링(74)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 축심 x1의 주위에서 확대 개방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13)를 중립측으로 복귀 가압하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75)의 가압력 외에도, 코일 스프링(74)의 탄성 가압력도 조작 레버(13)의 요동 조작에 대한 조작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3)가 여분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쉽게 의식시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In this overrun state, the gap between the engaging hook portion 70b and the engaging pin 73 is expanded ope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against the resilient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74. [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74 also acts as an operating resistance agains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addition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75 returning the operation lever 13 to the neutral side. This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operation lever 13 is performing an extra operation.

〔기타(주차 브레이크 구조)〕[Others (parking brake structure)]

도 14 및 도 15는, 변속 조작구(15)와 주차 브레이크 조작 기구(40)의 연계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Figs. 14 and 15 show a linkage structure of the shift operating element 15 and the parking brake operating mechanism 40. Fig.

변속 조작구(15) 중, 미션 케이스(4) 내의 도시하지 않은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주행 기체 A의 무단계에서의 전후진 변속을 행하는 주변속 레버(15A)는, 주차 브레이크 조작 기구(40)와, 중립 복귀 기구(100)에 연계되어 있다. 즉, 주변속 레버(15A)가 어느 것의 변속 조작 위치에 조작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이 답입 조작됨에 수반하여,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which operates the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in the transmission case 15 in the transmission case 15 to perform the forward-rearward shift in the stepless mode of the traveling vehicle A is operated by the parking brake operating mechanism 40 And the neutral return mechanism 1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forcibly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as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depressed regardless of the shift operation posi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이 주차 브레이크 조작 기구(40)와 중립 복귀 기구(100)의 연계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linkage structure of the parking brake operating mechanism (40) and the neutral return mechanism (100) is configured as follows.

주차 브레이크 조작 기구(40)는, 운전부 B의 스텝(17)의 상면측에서 답입 조작 가능한 답면(41A)을 구비하고, 스텝(17)의 하면측에 요동 아암부(41B)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41)과, 요동 아암부(41B)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횡방향의 지지점 축(42)과, 요동 아암부(41B)의 요동 작동을 주차 브레이크(45)의 조작 아암(44)에 전달하는 조작 로드(43)를 구비하고 있다.The parking brake operating mechanism 40 is provided with a tilting operation surface 41A which can be depressed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tep 17 of the operation section B and a parking space provided with a pivotal arm portion 41B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tep 17 The pivotal movement of the pivotal arm portion 41B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arm 44 of the parking brake 45 by the pivotal support shaft 42 which supports the brake pedal 41 and the pivotable arm portion 41B so as to be swingable, And an operating rod 43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rod 43 to the outside.

요동 아암부(41B)에는, 주차 브레이크(45)를 단절측으로 가압하고,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을 답입 해제측으로 되돌리도록 인장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아암부(41B)와 조작 로드(43)의 연결 개소에는, 복귀 스프링(46)보다도 스프링 상수가 큰 압축 스프링(47)이 개재되어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의 답입 조작을, 압축 스프링(47)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45)에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wing arm portion 41B is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46 for pressing the parking brake 45 toward the disconnection side and for pressing the parking brake pedal 41 back to the depressed release side. A compression spring 47 having a spring constant larger than that of the return spring 46 is interpos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oscillating arm portion 41B and the operating rod 43 so that the depressing operation of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stopped, To the parking brake (45) through the parking brake (47).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의 답면(41A)의 근처에는, 답면(41A)으로부터 벗어난 횡방향을 향해서 걸림 핀(41C)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의 전방부 근처에는, 답면(41A)의 요동 궤적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벗어난 개소에 로크 장치(90)가 설치되어 있고, 답입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을, 답입 자세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제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A latching pin 41C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orsal face 41A of the parking brake pedal 41 so as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away from the dorsal face 41A. A lock device 90 is provided at a position deviating laterally from the swing locus of the tilted face 41A near the front portion of the parking brake pedal 41. The parking brake pedal 41 So that the braking state is maintained.

로크 장치(90)는, 스텝(17)의 하면측에 설치한 횡축(91) 주위로 록 플레이트(92)가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그 록 플레이트(92)의 자유 단부측에 구비한 훅부(92a)가,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의 답면(41A)으로부터 횡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걸림 핀(41C)의 이동 궤적에 대하여, 이동 궤적에 교차하는 위치와 이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나는 전방측 위치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lock device 90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ock plate 92 about a horizontal axis 9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tep 17. The hook portion 92a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lock plate 92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locus of the engaging pin 41C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abutment surface 41A of the parking brake pedal 41, And a front side position deviating from the movement locus.

록 플레이트(92)는, 횡축(91) 주위로 걸림 핀(41C)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나는 측으로 헬리컬 스프링(93)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록 플레이트(92)에 일체로 용접 고정된 조작 레버(94)로 횡축(91) 주위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lock plate 92 is pressed by the helical spring 93 to the side deviating from the movement locus of the engagement pin 41C around the horizontal shaft 91. [ The operation lever 94 is integrally welded and fixed to the lock plate 92 so as to be changeable around the horizontal axis 91.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을 답입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94)에 의해 록 플레이트(92)를 걸림 핀(41C)의 이동 궤적과 교차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걸림시킴으로써,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이 답입된 제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15, when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depressed, the lock plate 92 is moved by the operation lever 94 to a position intersecting the movement locus of the engagement pin 41C The parking brake pedal 41 can be kept in the braked state in which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depressed.

제동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을 가볍게 답입하면, 헬리컬 스프링(93)의 가압력으로 록 플레이트(92)의 훅부(92a)가 걸림 핀(41C)과의 걸림 결합 상태를 풀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동 해제 상태로 복원한다.When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slightly depressed to release the braking state, the hook portion 92a of the lock plate 92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in 41C by the urging force of the helical spring 93, And restored to the braking release state as shown in Fig.

상기의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의 답입 조작에 수반하여, 주변속 레버(15A)가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 N으로 복귀된다. 이 주변속 레버(15A)의 중립 위치 N으로의 복귀는 중립 복귀 기구(100)에 의해 행해진다.With the depression of the parking brake pedal 41,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is forcibly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N. [ The returning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to the neutral position N is performed by the neutral return mechanism 100. [

즉, 주변속 레버(15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01)가, 변속 조작부와 연계하는 요동 축(102)에 피벗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01)의 양단부에는, 각각 동일 사양의 연계 로드(103, 103)가 연결되어 있다. 각 연계 로드(103, 103)의 하단부에는 긴 구멍(103a, 103a)이 형성되어 있다. 그 긴 구멍(103a, 103a)은, 요동 아암부(41B)와 일체로 요동 작동하도록 횡방향의 지지점 축(42)에 지지된 조작 아암(104)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의 걸림 핀(105)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101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swing shaft 102 connected to the speed change operating portion, and is swingable. Connection rods 103 and 103 of the same specification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101, respectively. Long holes 103a and 103a are formed in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ods 103 and 103, respectively. The elongated holes 103a and 103a are connected to a common engaging pin 105 provided on the operating arm 104 supported by the transverse fulcrum shaft 42 so as to swing integrally with the swinging arm portion 41B Respectively.

이들 지지 부재(101), 연계 로드(103, 103), 긴 구멍(103a, 103a), 조작 아암(104) 및 걸림 핀(105)이 중립 복귀 기구(100)를 구성하고 있다.These supporting members 101, the connecting rods 103 and 103, the long holes 103a and 103a, the operating arm 104 and the engaging pin 105 constitute the neutral return mechanism 100.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주차 브레이크(45)의 비제동 상태에서는, 주변속 레버(15A)를 긴 구멍(103a, 103a)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진 변속측, 후진 변속측의 어느 것의 측에도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non-braking state of the parking brake 45 shown in Fig. 14,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is free to the side of the forward speed change side or the reverse speed side within the length of the long holes 103a and 103a Can be operated with material.

그리고, 이 비제동 상태로부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이 답입되면, 걸림 핀(105)이 긴 구멍(103a, 103a)의 단부를 하방향으로 인장하고, 지지 부재(101)가 거의 수평한 자세로 복원되어, 주변속 레버(15A)가 중립 위치 N으로 되돌려진 상태로 된다.When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depressed from the non-braking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engagement pin 105 pulls the end portions of the long holes 103a and 103a downward, 101 are restored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attitude, and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i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N.

이 중립 복귀 기구(100)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41)을 답입 조작한 경우에, 주차 브레이크(45)가 제동 상태에 도달하는 타이밍 이전에 주변속 레버(15A)가 중립 위치 N으로 복귀하도록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eutral return mechanism 100, when the parking brake pedal 41 is depressed, the timing at which the peripheral speed lever 15A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N before the timing at which the parking brake 45 reaches the braking state .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다른 실시 형태의 1〕[1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조작을 행하고,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주행 기체 A의 조향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erform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cutting pretreatment device C,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A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in the le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조작을 행하고,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주행 기체 A의 조향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이어도 지장은 없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cut sheet pretreatment device C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A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n the forward- There is no obstacl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2〕[2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에서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향 유닛 U1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eering interlock mechanism I is incorporated in the steering unit U1 for performing the steering contro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but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승강 유닛 U2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 혹은, 조향 유닛 U1과 승강 유닛 U2의 양쪽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is built in the elevation unit U2 for performing elevation control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or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is provided on both the steering unit U1 and the elevation unit U2 It may be a built-in structur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3〕[3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좌우 방향에서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향 유닛 U1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융통 연계 기구 I를 구비하지 않은 구조의 것이어도 지장은 없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eering interlock mechanism I is incorporated in the steering unit U1 for performing the steering contro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but the structure having no such flexible interconnection mechanism I There is no obstacl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4〕[4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13)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의 조작을, 조향 제어 밸브 V1 혹은 승강 제어 밸브 V2에 전달하여, 유압에 의한 제어를 행하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13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to control by the hydraulic pressure is exemplif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향 조작용의 조향 클러치나 승강 조작용의 승강 클러치를 설치하여, 그 조향 클러치나 승강 작동 클러치와, 조작 레버(13)의 조작 연계 기구 H를 연계 와이어(82)로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조작 레버(13)를 조작하는 인위 조작력으로 전환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clutch-operated steering clutch or a lifting and lowering-type lift clutch. The steering clutch and the up-and-down operation clutch and the operation- So as to switch the operation lever 13 to an artificial operation forc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13. [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5〕[5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조작체(71)에 대한 연계 와이어(82)의 연결 개소를, 전용의 고정 핀(72)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point of the connecting wire 82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is constituted by the dedicated fixing pin 7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걸림 핀(73)을 요동판 부분(71B)의 반대측으로도 연장하여, 그 걸림 핀(73)을 고정 핀(72)으로서 겸용하거나, 혹은 핀이 아니라 구멍 등의 걸림 결합 개소를 설치해서 연계 와이어(82)를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계 와이어(82)의 연결 개소를 걸림 핀(73)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한정하지 않고, 걸림 핀(73)이 존재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연결 개소를 설치해도 된다.For example, the engaging pin 73 may be exten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71B, and the engaging pin 73 may serve also as the engaging pin 72.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wire 82 may be connected. The connecting point of the connecting wire 82 may not be limi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latching pin 73 is present and the connecting point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ide as the side where the latching pin 73 is present.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6〕[6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조작체(71)에 설치하는 스프링 걸림부로서, 조작 브래킷(70)측으로 돌출된 걸림 핀(73)을 구비한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latching pin 73 protruded toward the operation bracket 70 is exemplified as the spring latching portion provided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력 조작체(71)의 일부를 조작 브래킷(70)측으로 돌출시키거나, 반대로, 코일 스프링(74)의 단부를 출력 조작체(71)측으로 돌곡시켜서, 출력 조작체(71)와 결합하도록 구성하거나 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part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may be projected toward the operation bracket 70, or conversely, the end of the coil spring 74 may be projected toward the output operating body 71, (71).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7〕[7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브래킷(70)에 설치하는 걸림체로서, 조작 브래킷(70)측으로부터 출력 조작체(71)측으로 굴곡시킨 걸림 훅부(70b)를 구비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structure having the engagement hook portion 70b bent from the operation bracket 70 side to the output operation body 71 side is exemplified as the stopper provided on the operation bracket 70. However, It is not.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코일 스프링(74)의 단부에, 조작 브래킷(70)의 일부와 좌우 방향에서 걸림 결합하는 부분을 설치하고, 조작 브래킷(70)의 요동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74)의 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74 which engages with a part of the operation bracket 7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coil spring 74 May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8〕[8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규제부(55)로서, 레버 지지 프레임(50) 측에 축지지 부재(60)와 접촉하는 일단부 에지(53) 및 단부 에지(54)를 설치해서 조작 레버(13)의 조작 한계를 설정하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e end edge 53 and the end edge 54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as the first regulating portion 55 and the operation lever 13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 지지 프레임(50)의 전방벽 부분(50F) 등에 개구를 형성하여, 축지지 부재(60)에, 그 개구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 부분을 설치하거나, 반대로 레버 지지 프레임(50)측으로 막대 형상의 부재를 돌출 설치하고, 축지지 부재(60)의 제1 회동부(60A) 측으로 막대 형상의 부재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를 갖는 부재를 설치하여, 축지지 부재(60)측의 좌우 요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front wall portion 50F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50 to provide a bar-shaped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60, A rod-like member is projected from the frame 50 side and a membe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d-shaped member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pivotal portion 60A of the pivotal support member 60, May be regulated.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9〕[9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규제부(65)로서, 조작 레버(13)측에 구비한 걸림 조작체(13B)와 핵심 프레임체(63)의 상단부에 구비한 오목 홈 부분의 맞닿음부(65a)에 의해, 조작 레버(13)의 전후 요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ngagement portion 13B of the operation lever 13 and the abutment portion 65a of the concave groove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re frame 63 are formed as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65, ) Of the operating lever 13 is restricted by the front-rear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1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핵심 프레임체(63)측의 우측면(63R) 혹은 좌측면(63L)에 개구를 형성하고, 걸림 조작체(13B)가 그 개구에 삽입되도록 구성하거나, 반대로 핵심 프레임체(63)측의 우측면(63R) 혹은 좌측면(63L)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기 부분을 설치하고, 그 돌기 부분의 사이에 걸림 조작체(13B), 혹은 조작 레버(13)의 몸체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전후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등, 적당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right side surface 63R or the left side surface 63L on the side of the core frame 63 so that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surface 63R or the left side surface 63L of the body 6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ngaging operation body 13B or the body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13 is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So that a suitable structure can be employed, such as regulating the back and forth swing rang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이하, 도 1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8. Fig.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도 16 및 도 17에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보통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16 and 17 show an ordinary combine harvester as an example of the harvester.

이 보통형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01)에 의해 주행하는 자주 기체 A(주행 기체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주 기체 A에 대하여, 그 전방부 위치에 운전부 B와, 예취 전처리 장치 C(예취부에 상당함)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자주 기체 A의 후부 위치에는, 예취 전처리 장치 C에서 예취된 곡간이 보내지는 전간 투입형의 탈곡 장치 D와, 탈곡 장치 D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 E(곡립 저류부에 상당함)와, 그레인 탱크 E에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언로더 F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자주 기체 A의 후단부에서 그레인 탱크 E와 탈곡 장치 D의 사이에 상당하는 개소의 차체 프레임(210) 위에 연료 탱크(223)가 구비되어 있다.This ordinary combine harvester has a self-propelled body A (corresponding to a traveling airframe) which travels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rawler traveling devices 201. The operation portion B and the cutting pretreatment device C (corresponding to the pre-loading portion) are provided at the forward position of the substrate A frequently. The back position of the base A is provided with a pre-feeding type threshing device D in which the cuts cut in the pre-cutting pretreatment device C are fed, and a grain tank E (corresponding to the grain storage) And an unloader F for discharging the grains stored in the grain tank E to the outside of the atmosphere. A fuel tank 223 is provided on a body frame 210 at a position between the grain tank E and the trolley 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body A frequently.

운전부 B의 운전 좌석(202)의 하방 위치에는, 차체 프레임(210) 위에 탑재된 엔진(203)이 배치되고, 자주 기체 A의 전방부의 중앙 위치에는 엔진(2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01)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204)가, 차체 프레임(210)의 상하에 걸쳐 구비되어 있다. 이 미션 케이스(204)에는 엔진(2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도시생략)가 구비됨과 함께,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01)에 전달하는 구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조향 클러치(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있다.An engine 203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21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driving seat 202 of the operation section B. A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203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rawler And a transmission case 204 to be delivered to the traveling device 201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210. [ The transmission case 204 is provided with a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not shown) for steplessly chang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203 and a steering clutch (not shown) for interrupt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rawler traveling devices 201 (Not shown).

예취 전처리 장치 C는, 식립 곡간의 이삭끝측을 긁어들임 릴(205)의 회전 작동에 의해 긁어 올리고, 그 곡간의 밑동을 커터(206)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된 곡간(예취 곡간)은, 가로 이송 오거(207)에 의해 가로 이송되어 피더(208)의 입구 근처에 긁어모아진다. 그 전간이 피더(208)에 의해 후방 이송되어 탈곡 장치 D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ut pretreatment device C is configured to scrape up the end of the gap between the grooves by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scraping reel 205 and cut the base of the gap with the cutter 206. [ The cut slices (cut slices) are transversely conveyed by the transverse conveying auger 207 and scraped near the entrance of the feeder 208. The entire time is fed back by the feeder 208 and is sent to the threshing device D.

또한, 예취 전처리 장치 C는, 피더(208)의 후단부측의 횡축심(도면 밖)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피더(208)의 상하 요동은, 차체 프레임(210)와 피더(208)의 하부에 걸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218)에 의해 행해진다. 이 액추에이터(218)의 작동에 의한 요동량의 설정에 의해 곡간의 예취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cut pretreatment device C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swingable around the horizontal axis (outside the drawing) of the rear end side of the feeder 208.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eeder 208 is performed by an actuator 218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over the body frame 2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er 208. [ And the height of the cutting height between the curves can be adjusted by setting the amount of the shaking mo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18.

피더(208)의 전단부측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긁어들임 릴(205)은, 후단부측의 요동 지지점(205B) 주위로 상하 요동함으로써, 피더(208)에 대한 높이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긁어들임 릴(205)의 피더(208)에 대한 상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예취 높이를 바꾸지 않고 식립 곡간 등의 예취 대상 작물에 대한 긁어들임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긁어들임 릴(205)의 높이 위치의 변경은, 피더(208)의 상부의 사이에 개재 장착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릴 승강 장치(205A)의 신축 작동에 의해 행해진다.The scraping reel 205 disposed at the position above the front end side of the feeder 208 pivots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support point 205B at the rear end side so that the height position relative to the feeder 208 can be changed have. Thus, by chang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raking reel 205 with respect to the feeder 208,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aking height with respect to crops to be cut, such as the grooves, without changing the cutting height. The change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scraping reel 205 is perform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reel lifting device 205A constituted by the hydraulic cylind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feeders 208. [

이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승강 조작은,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에 설치한 후술하는 조작 입력부(29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행해진다.The elevating operation for the reel elevating device 205A is performed by a command from the operation inputting section 290 provided on the gripping sec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탈곡 장치 D는,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의 ?f기 처리를 행하도록 자주 기체 A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하는 축류형의 급동(도시생략), 및 ?f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 처리 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The threshing device D is provided with an axial flow type (not shown) which is driven and rotated around the axial center of the postur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machine A to perform the? F-based treatment between the cut- And a sorting apparatus (not shown) for sorting the grains with the processed material obtained by the process.

이 선별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선별된 곡립 중, 1번물은 양곡 장치(209)에 의해 그레인 탱크 E에 공급하고, 2번물은 2번 환원 장치(219)에 의해 급동이 선회하는 급실(도시생략)로 되돌려져서, 곡립 이외의 곡간 부스러기 등은, 선별 처리 장치의 후부로부터 자주 기체 A의 후방으로 낙하 방출된다.In the sorting apparatus, the first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to the grain tank E by the grain machine 209, and the second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to the feed room (not shown) rotated by the second reducing device 219, So that the intergranular debris and the like other than the curvature are dropped and discharged to the rear side of the substrate A frequently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orting apparatus.

그레인 탱크 E는, 양곡 장치(209)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 본체(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탱크 본체(220)는, 자주 기체 A의 후부 위치의 종방향 자세의 상하 축심 Y 주위에서의 선회에 의해 자주 기체 A에 수납되는 작업 자세(도 1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와, 자주 기체 A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 자세(도 17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지는 자세)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grain tank E has a tank body 220 for storing the curved grain fed from the grain machine 209. The tank main body 220 is often provided with a working posture (a posture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Fig. 17) that is often stored in the base body A by turning around a vertical axis 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position of the base body A, (A posture indicated by an imaginary line in Fig. 17)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posture A in Fig.

이 그레인 탱크 E의 선회 중심이 되는 상기 상하 축심 Y는, 탱크 본체(220)의 후방면측에 설치한 언로더 F가 구비하는 세로 반송 통(231)의 통 축심과 합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vertical axis Y which is the turning center of the grain tank E is configured to coincide with the cylinder axis of 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 231 provided in the unloader F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ank body 220. [

언로더 F는, 상방향으로 기립 설치된 직관 형상의 세로 반송 통(231)과, 그 세로 반송 통(231)의 상단부에서 세로 반송 통(231)과 함께 상기 상하 축심 Y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또한, 수평 횡축심 X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장비된 가로 반송 통(23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로 반송 통(231) 및 가로 반송 통(232)은 각각이 내부에 반송 스크루를 내장한 주지의 스크루식 반송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unloader F includes a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having an upright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so as to be swingable left and right around the vertical axis Y, And a transverse conveying cylinder 232 which is provided so as to freely pivot around the horizontal horizontal axis X. Each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cylinder 232 is constituted by a known screw-type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a conveying screw is incorporated.

그리고, 탱크 본체(220)의 후방면측에는, 탱크 본체(220) 내의 바닥 스크루(221)의 배출 측단부를 지지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배출용 통부(222)가 설치되고, 이 배출용 통부(222)의 상부에 상기 언로더 F가 설치되어 있다. 즉, 배출용 통부(222)의 상부에는, 상기 세로 반송 통(231)이 기립 설치되어 상방향의 세로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그 세로 반송 통(231)의 상단부에 연속 설치된 가로 반송 통(232)이 횡방향의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A discharge tube 222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ank body 220 to support the discharge side end of the bottom screw 221 in the tank body 220. The discharge tube 222 The unloader F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loader. That is, on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cylinder 222,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stands up to constitute a vertical conveying path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cylinder 232 ) Constitute a lateral transport path.

세로 반송 통(231)은, 배출용 통부(222)에 대하여, 선회 구동 기구(233)를 통해 상하 축심 Y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선회 구동 기구(233)는, 세로 반송 통(231)의 하단부 외주에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기어부나, 그 기어부에 교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 23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cylinder 222 around the vertical axis Y via a swing drive mechanism 233. [ The turning drive mechanism 233 is constituted by a not-shown gear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cylinder 231, a pinion gear meshing with the gear portion, and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pinion gear.

가로 반송 통(232)은, 세로 반송 통(231)의 상부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 유압 실린더(234)의 신축 작동에 수반하여, 상기 수평 횡축심 Y 주위로 기복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horizontal conveying cylinder 232 is provided so as to freely pivot around the horizontal transverse shaft Y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234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cylinder 231. [

〔탑승 운전부〕[Boarding section]

상기 운전부 B에는, 상기 엔진(203)의 상방측을 덮는 상자 형상의 엔진 커버(211)가 구비되고, 엔진 커버(211)의 상면에 운전 좌석(20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엔진 커버(211)의 외측부에는 흡기 케이스(211A)가 형성되고, 흡기 케이스(211A)의 외면측에는 냉각풍을 흡기하기 위해 방진망이 걸쳐 설치된 흡기부(211B)가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section B is provided with a box-like engine cover 211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203 and a driver's seat 20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cover 211. An intake case 211A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ine cover 211 and an intake unit 211B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intake case 211A with a vibration damping net to intake cooling air.

운전 좌석(202)의 전방측에는 조종탑(212)이 기립 설치되고, 조종탑(212)의 상면측에, 자주 기체 A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와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를 겸하는 조작 레버(213)가, 전후 및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n operation console for performing the steering control of the vehicle body A and an operation port for performing the elevation control of the pretreatment preprocessing apparatus C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tower 212 on the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202, And an operation lever 213 which is also operable to swing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도 16 및 도 1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202)의 좌측부에는, 조종탑 (212)의 좌측 가로 단부 위치에서 후방측에 향해서 연장 설치된 사이드 패널(2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패널(214)의 전단부 상면(214A)에는, 자주 기체 A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변속 조작구(215)로서, 주변속 레버(215A)와 부변속 레버(215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a side panel 214 is provided at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202, extending from the left lateral end position of the control tower 212 toward the rear side. A peripheral speed lever 215A and an auxiliary speed change lever 215B are provided as the speed change operation tool 215 for frequently controlling the running speed of the base body A in the front end upper surface 214A of the side panel 214. [

그리고, 사이드 패널(214)의 상면(214A) 측에서, 변속 조작구(215)보다도 후방측 위치에, 작업 클러치 레버(216)로서, 탈곡 클러치 레버(216A)와 예취 클러치 레버(216B)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탈곡 클러치 레버(216A)와 예취 클러치 레버(216B)는, 탈곡 클러치 레버(216A)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탈곡 장치 D에 있어서의 탈곡 클러치(도시생략)를 입력 및 단절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레버(216B)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에 있어서의 예취 클러치(도시생략)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hrust clutch lever 216A and the left clutch lever 216B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14A side of the side panel 214 on the rear side of the shift operating element 215 as the work clutch lever 216, As shown in FIG. The shifting clutch lever 216A and the cutaway clutch lever 216B are used to input and disconnect the shifting clutch (not shown) in the shifting device 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winging operation of the shifting clutch lever 216A, (Not shown) in the cut-sheet pretreatment device C by the forward and backward oscillation operation of the cutter 216B.

또한, 그 탈곡 클러치 레버(216A)와 예취 클러치 레버(216B)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사이드 패널(214) 위에 배출 클러치 레버(217)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217)는, 엔진(20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 E의 바닥 스크루(221)에 대하여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 G(도 16 참조)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고, 언로더 F에 의한 곡립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이다.An exhaust clutch lever 217 is provided on the side panel 214 on the rear side of the descending clutch lever 216A and the cutting clutch lever 216B. The discharge clutch lever 217 performs input and disconnection operations of the discharge clutch G (see Fig. 16) for interlock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203 with the bottom screw 221 of the grain tank E, And is a manipulation unit for switching the state of enabling the discharge of the curled discharge and the state of stopping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 of the curled discharge.

조종탑(212)의 상면측에 설치된 조작 레버(213)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조작 상태에서 직립 자세로 되는 중립 위치 N으로 유지된다. 이 중립 위치 N을 기준으로 해서 좌 선회 위치 L 및 우 선회 위치 R로 조작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lever 2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ontrol tower 212 is maintained at the neutral position N in the upright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So as to be operable in the left-turn position L and the right-turn position R with reference to the neutral position N as a reference.

조작 레버(213)가 좌우 방향으로서 요동 조작됨으로써, 후술하는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해 조향 제어 밸브 V1(조향 구동부에 상당한다. 도 19 참조)의 조작 아암을 밀고 당김 조작하고, 조향 제어 밸브 V1의 전환 조작에 수반하여 미션 케이스(204)에 내장되어 있는 조향 클러치를 입력 및 단절 제어하여 자주 기체 A의 조향(선회)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작 레버(213)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액추에이터(218)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밸브 V2(승강 구동부에 상당한다. 도 18 참조)를 조작하여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The operation lever 213 is roc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push and pull the operation arm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drive unit, see Fig. 19) via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Turning) of the airframe A is realized by inputting and disconnection control of the steering clutch built in the mission case 204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peration.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drive unit, see Fig. 18) for controlling the actuator 218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operated to realize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pretreatment pretreatment device C .

변속 조작구(215)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여 주행 속도의 변경을 실현한다. 탈곡 클러치 레버(216A)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탈곡 장치 D에 대한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탈곡 클러치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216B)는,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에 대한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예취 클러치의 입력 및 단절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hifting operation member 215 shifts the continuously-variable shifting device by the ope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realize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The threshing clutch lever 216A is configured to perform input and disconnection operations of a thresher clutch that performs power intermittence to the threshing device D by an ope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cut-off clutch lever 216B is configured to perform an input and a disconnect operation of a cut-off clutch for interrupting the power to the cut-sheet pretreatment apparatus C by the oper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조작 연계 기구에 대하여〕[About operation linkage mechanism]

도 18 내지 도 24에,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와, 자주 기체 A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작구를 겸하는 조작 레버(213)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하여,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와,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로 전달되어 있다.Figs. 18 to 24 show an operation lever 213 for performing lift control of the cut pre-treatment device C, and an operation lever 213 serving also as an operation lever for performing steering control of the body A frequentl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s the steering driving section via the operation connection mechanism H configured as follows.

이 조작 연계 기구 H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is constructed as follows.

조종탑(212)의 상면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는 조작 레버(213)는, 그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을, 조종탑(212)의 내부에 배치된 조작 연계 기구 H를 통해 승강 구동부나 조향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lever 213 standing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ontrol tower 212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operation link mechanism H disposed inside the control tower 212, To the driving unit.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연계 기구 H는, 조종탑(212)의 내부에 고정된 레버 지지 프레임(250)과, 그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지지된 축지지 부재(260)를 구비하고 있다. 축지지 부재(260)는, 조작 레버(213)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방향의 요동 축심 y1을 갖는 제1 축부(261)와, 상기 조작 레버(213)를 타방향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축부(262)를 구비하고 있다.18 to 24,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includes a lever support frame 2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tower 212, a shaft support member 260 (not shown) support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250, . The shaft support member 260 includes a first shaft portion 261 having a one-way swing shaft axis y1 for swingab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213 and a second shaft portion 262 for swinging the operation lever 213 around the swing shaft center x1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second shaft portion 262 for supporting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s much as possible.

상기의 양쪽 요동 축심 x1, y1 중, 자주 기체 A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의 요동 축심 y1이,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작동의 축심으로 되고, 자주 기체 A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타방향의 요동 축심 x1이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으로서의 요동 작동의 축심으로 된다.Of the two pivotal shafts x1 and y1, the one-way pivotal axis y1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A is the axis of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The pivotal axis x1 in the other direction is the axis of the swinging operation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

〔레버 지지 프레임〕[Lever Support Frame]

도 18 및 도 1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탑(212)의 상면(212a)보다도 하방측에서, 조종탑(212)의 전후의 벽부끼리에 걸쳐 좌우 한 쌍의 단면 L자 형상의 설치 브래킷(212b, 212b)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설치 브래킷(212b, 212b)에,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좌우로 구비한 상벽 부분(250U)이 볼트 연결되고, 레버 지지 프레임(250)이 조종탑(212)에 고정되어 있다.18 and 19, a pair of right and left L-shaped cross-section mounting bracket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212a of the steered tower 212 and across the front and rear wall portions of the steered tower 212 212b, and 212b are welded and fixed. The upper wall portion 250U provided to the right and left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is bolted to the mounting brackets 212b and 212b and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is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212. [

레버 지지 프레임(250)은,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벽 (250B)과, 좌우 방향으로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벽(250R)과,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벽(250L)을 구비하고, 평면에서 볼 때는 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벽(250R)과 좌측벽(250L)은, 각각이 후벽(250B)과 상벽 부분(250U)에 걸쳐 용접 고정되고, 레버 지지 프레임(250) 전체의 보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레버 지지 프레임(250)은 판금제 재료로 구성되고, 상벽 부분(250U)은 후벽(250B)을 구성하는 부분과 일체 재료로 구성되고 있어서, 후벽(250B)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벽 부분(250U)이 상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ever support frame 250 includes a rear wall 250B positioned on the rear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right side wall 250R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left side wall 250L positioned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plane, it is formed as a door. The right side wall 250R and the left side wall 250L are welded and fixed to the rear wall 250B and the upper wall part 250U respectively to enhance the overall shape strength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is made of a sheet metal material and the upper wall portion 250U is made of a one piece material with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rear wall 250B so that it is bent forward at the upper portions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wall 250B , And the upper wall portion 250U is upward.

우측벽(250R)에는, 제1 축부(261)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에 대향하고, 그 제1 축부(261)의 축 단부를 피벗 지지하는 통 보스 형상의 베어링부(251)가, 우측벽(250R)의 우측의 횡외측(도 19 중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우측벽(250R)의 횡외측에 베어링부(251)와 마찬가지로 고정 걸림 핀(252)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걸림 핀(252)은, 후술하는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이 베어링부(251)에 장착되었을 때, 그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에 걸림 지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조작된 조작 레버(213)가 중립 위치 N으로 복귀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ight side wall 250R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251 in the form of a tube boss which opposes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pivotally supports the shaft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outward (left in FIG. 19) on the right side of the wall 250R. And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right side wall 250R with a fixing pin 252 similarly to the bearing portion 251. [ This fixed engaging pin 252 engages with the lift neutral return spring 276 when the lift neutral release return spring 276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bearing portion 251 and engages with the operation lever 213 i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N and pressed.

그리고, 좌측벽(250L)에는, 제1 축부(261)의 축심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을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2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253)는, 좌측벽(250L)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설치된 복수 개의 연결용의 둥근 구멍의 내단부측[도 19 중에서는 좌측벽(250L)의 좌측]에 고정용 너트(253a, 253a)가 용접 고정된 것이다. 이 연결부(253)에 대해서는, 축지지 부재(260)의 제1 축부(261)에 장착된 연결 부재(265)가, 좌측벽(250L)의 횡외측[도 19 중에서는 좌측벽(250L)의 우측]으로부터 압박된 상태에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 볼트(253b, 253b)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265)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The left side wall 250L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53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The connecting portion 253 is provided with fixing nuts 253a and 253a at the inner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circular holes provided in the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left side wall 250L (left side of the left side wall 250L in Fig. 19) ) Is welded and fixed. The connecting member 265 mounted on the first shaft portion 261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is positioned on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left side wall 250L The connecting member 265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connecting bolts 253b and 253b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265 can be connect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from the right side.

좌측벽(250L)의 하부에는, 그 좌측벽(250L)의 좌측의 횡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포텐시오미터(280)를 설치 가능한 설치부(25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설치부(254)는, 좌측벽(250L)을 관통하는 볼트 구멍(254a) 및 핀 구멍(254b)을 구비하고, 연결 볼트(254c)를 통해 포텐시오미터(280)를 연결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 mounting portion 254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side wall 250L so that the potentiometer 280 can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wall 250L. The mounting portion 254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254a and a pin hole 254b penetrating through the left side wall 250L so that the potentiometer 280 can be connected and fixed via the connecting bolt 254c .

이 설치부(254)에 설치되는 포텐시오미터(280)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조작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포텐시오미터(280)는, 축지지 부재(260)측의 제1 축부(261)의 축심 방향에서 상기 베어링부(251)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인 부분의 타단부측에 장착한 조작 아암(267)과의 접촉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potentiometer 280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254 i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tentiometer 280 has an operation arm (not shown) mount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or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bearing portion 251 is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side 267 in order to be able to detect it.

즉,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텐시오미터(280)의 검출 아암(281)이 회전 축심 p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또한, 그 검출 아암(281)이 조작 레버(213)의 전후 요동 방향에서의 일방향, 예를 들어 하강측을 향해서 약한 스프링(도시생략)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설치하고 있다.22 and 23, the detection arm 281 of the potentiometer 280 is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p1 and the detection arm 28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peration lever 213 (Not shown) toward one direction in the back and forth swing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descending side.

이 포텐시오미터(280)에 대하여, 제1 축부(261)에 장착한 조작 아암(267)이 검출 아암(281)의 가압되어 있는 측[검출 아암(281)의 하측]에 접촉하여, 검출 아암(281)을 그 스프링 가압력에 저항해서 전후 요동 방향에서의 타방향, 예를 들어 상승측으로 조작하여, 그 조작량이 검출되게 된다.The operation arm 267 mounted on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tentiometer 280 on the side where the detection arm 281 is pressed (the lower side of the detection arm 281) The manipulation amount is detected by operating the lever 281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swing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upward side, against the spring pressing force.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후벽(250B)에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범위로 하여,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255)가 설치되어 있다.The rear wall 250B of the lever support frame 250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255 which restricts the swing rang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the swinging range of on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s installed.

이 규제부(255)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로 설정하도록, 후벽(250B)에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개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피벗 지지되어 있는 축지지 부재(260) 중,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에 수반되어, 제1 축부(261)의 요동 축심 y1 주위로 회동하는 제2 축부(262)의 일부가 상기 규제부(255)의 개구에 인입되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축부(261)의 요동 축심 y1 주위로 요동 작동하는 제2 축부(262)의 요동 범위가, 동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축부(262)와 규제부(255)의 개구 에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The restricting portion 255 is formed by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pening formed in the rear wall 250B so as to set the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at is, as shown in Fig. 21, among the shaft supporting members 260 pivotally supported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engaged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ront- A part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rotating around the pivot axis y1 of the regulating portion 255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regulating portion 255. [ The swing rang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swinging about the swing axis center y1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shifted from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to the restricting portion 255, Lt; RTI ID = 0.0 > of the < / RTI >

〔축지지 부재〕[Shaft Supporting Member]

축지지 부재(260)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 y1을 갖는 제1 축부(261)와, 상기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 x1을 갖는 제2 축부(262)를 구비하고 있다.The shaft support member 260 includes a first shaft portion 261 having a pivotal axis y1 in one dir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And a second shaft portion 262 having a swing axis center x1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제1 축부(261)와 제2 축부(262)는, 각각의 축끼리를 축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서 연결하도록, 공통의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축부(261)와 제2 축부(262)는,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의 상부측에서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제2 축부(262)가 고정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의 하부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축부(261)가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re fixed by a common holding frame member 263 so that their axes are connec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re locat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fac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frame body 263 is fixed And a first shaft portion 261 which is laterally dir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lding frame 263 is fixed.

제1 축부(261)는, 그 우측 단부측에,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우측벽 (250R)에 설치한 통 보스 형상의 베어링부(251)에 대하여 삽입 인발되는 피 베어링부(261a)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축부(261)의 우측 단부측이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된다.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provided at its right end side with a bearing portion 261a which is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bearing portion 251 of the barrel shape provided at the right side wall 250R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Respectively. The righ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pivotally pivotable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

제1 축부(261)의 좌측 단부측은, 제1 축부(261)의 좌측 단부측에 편파적인 개소에 설치한 한 쌍의 플랜지부(261b, 261b)에 끼워 넣어진 연결 부재(265)를 통하여,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좌측벽(250L)에 설치한 연결부(253)에 지지되어 있다.The lef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connected to the lef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via a connecting member 265 fitted in a pair of flange portions 261b and 261b provided at positions biased by the left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is supported by a connecting portion 253 provided on the left side wall 250L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

이때, 연결 부재(265) 중, 연결부(253)에 연결되는 측인 한쪽의 단부에서는, 연결 부재(265)가 연결부(253)에 대하여 볼트 연결되어 완전히 고정된다. 연결 부재(265) 중, 제1 축부(261)에 연결되는 측인 다른 쪽의 단부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부(261b, 261b)에 끼워 넣어진 연결 부재(265)와 제1 축부(261)는,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제1 축부(261)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축부(261)는, 그 축선 방향, 및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265)에 지지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65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53, the connecting member 265 is bol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53 to be completely fixed. The connecting member 265 and the first shaft portion 261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flange portions 261b and 261b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65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portion 261 , And supports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relatively rotatable. As a result,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member 265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restricted.

제1 축부(261)의 우측 단부측에서는,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우측벽 (250R)의 내방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제1 조작판(264)이 제1 축부(26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조작판(264)의 횡외측을 향하는 면보다도 더 횡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피 베어링부(261a)가 제1 축부(261)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피 베어링부(261a)를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베어링부(25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조작판(264)은 우측벽(250R)의 내방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t a posi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wall 250R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at the righ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 The bearing portion 261a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n a state where the bearing portion 261a protrudes further laterally outward than the surface facing the transverse outer side of 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Therefore, The first operation plate 264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wall 250R in a state where the first operation plate 264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251 of the lever support frame 250. [

이와 같이, 제1 축부(261)의 축 단부를 피벗 지지하는 통 보스 형상의 베어링부(251)가, 우측벽(250R)의 횡외측(도 19 중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되고, 제1 조작판(264)은 우측벽(250R)의 내방측에 위치하고, 연결 부재(265)는 좌측벽(250L)의 좌측의 횡외측[도 19 중에서는 좌측벽(250L)의 우측]으로부터 압박된 상태에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지지 부재(260)는,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압박되도록 하여, 연결 부재(265)와 연결부(253)를, 연결 볼트(253b, 253b)를 사용해서 볼트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aring portion 251 in the shape of a boss that pivots the shaft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projects to the lateral outer side (left side in FIG. 19) of the right side wall 250R, The connection member 265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ght side wall 250R and the connection member 264 is connected from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wall 250L to the lateral side (right side of the left side wall 250L in FIG. .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can be easily pushed from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265 and the connecting portion 253 are bolt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necting bolts 253b and 253b .

제1 조작판(264)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벽(250R)보다도 하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조작판(264)의 하부에는, 우측벽(250R)의 하단부 에지를 넘어서 제1 조작판(264)으로부터 우측벽(250R)의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동 걸림 핀(264a)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걸림 핀(264a)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251)에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이 장착되었을 때, 그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에 걸림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18 to 20, 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is elongated downward beyond the right side wall 250R. The lower end of 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extending downwardly extends from 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beyond the lower end edge of the right side wall 250R so as to protrude laterally outward of the right side wall 250R. 264a are installed upright. As shown in Figs. 18 to 20, the movable locking pin 264a is adapted to be hooked on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276 when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276 is mounted on the bearing portion 251 Is installed.

따라서, 베어링부(251)에 장착된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에 대해서는, 레버 지지 프레임(250)의 우측벽(250R)의 횡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 걸림 핀(252)과, 제1 축부(261)의 제1 조작판(264)으로부터 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립 설치된 가동 걸림 핀(264a)이 걸림 지지되어 있다.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276 mounted on the bearing portion 251 is provided with the fixing pin 252 formed protruding laterally outward of the right side wall 250R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261 are hooked so as to engage with the movable engagement pins 264a that are erectly provided so as to protrude transversely outward from the first operation plate 264. [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13)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면, 도 20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작판(264)의 요동에 수반되어 가동 걸림 핀(264a)이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의 일단부측을 고정 걸림 핀(252)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의 타단부측은 고정 걸림 핀(252)에 걸림 지지되어 있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조작 레버(213)에는, 가동 걸림 핀(264a)을 고정 걸림 핀(252)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서 탄성 가압하는 승강 중립 복귀 스프링(276)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13)는, 손을 떼면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When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is state,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20, the movable stop pin 264a is lifted by the lifting neutral return spring 276 is moved to the side away from the fixing pin 252. [ At this time, since the other end side of the lift-and-return neutral return spring 276 is hooked on the fixed engaging pin 252 and does not move, the movable engaging pin 264a is moved toward the fixed engaging pin 252 The force of the lift-and-return neutral return spring 276 which is urged elastically toward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action. Thereby, the operation lever 213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when the hand is released.

이때의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조작 범위의 한계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형성된 상기 규제부(255)와 그 규제부(255)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제2 축부(262)의 접촉에 의해 행해진다. 이 규제부(255)와 제2 축부(262)의 접촉에 요동 조작 범위의 한계는, 조작 레버(213)의 조작 방향의 전후 어느 측에서도 소정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The limit of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this time is limited by the limit of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art 255 formed in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and the restricting part 255 By the contact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which is in the engaged state. The limit of the swing operation range for the contact between the regulating portion 255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is set to a predetermined range on either side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operation direction.

또한, 조작 레버(213)와, 그 전후 방향에서의 요동 축심 y1로 되는 부분의 제1 축부(261)는, 상기 요동 축심 y1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 중립 자세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213)의 몸체 부분이 존재하도록 관련지어 배치되어 있다.The operating lever 213 and the first shaft portion 261 of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swing shaft center y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located o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swing shaft center y1, So that the body portion exists.

제1 축부(261)의 좌측 단부측에서는, 도 19 및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부(261b, 261b)에 끼워 넣어진 연결 부재(265)가 존재하는 개소보다도, 또한 좌측 단부측 위치에 제2 조작판(26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조작판(266)에는 포텐시오미터(280)의 검출 아암(28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아암(2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조작판(266)은, 조작 레버(213)의 몸체가 중립 위치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직립 자세에 있을 때, 제1 축부(261)에 대하여 앞 부분이 내려간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9 and 22 to 24, at the lef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265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flange portions 261b and 261b is present, And the second operating plate 266 is provided at the left end side position. The second operation plate 266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arm 267 for operating the detection arm 281 of the potentiometer 280. When the body of the operation lever 213 is in the upright position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t the neutral position, the second operation plate 266 is disposed in a tilted pos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descends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portion 261 .

도 18,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장비되는 포텐시오미터(280)는, 제1 축부(261)보다도 후방의 좌측벽(250L)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포텐시오미터(280)의 검출 아암(28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아암(267)은, 제1 축부(261)의 요동 축심 y1의 근처에서 하방의 제2 조작판(266)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텐시오미터(280)는, 검출 아암(281)의 회전 축심 p1이 후방측보다도 전방측에서 제1 축부(261)에 가까워지는 앞 부분이 올라간 경사 자세이도록 배치되고, 조작 아암(267)은, 전방측에서 제1 축부(261)에 가깝게, 후방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뒤로 내려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아암(267)은, 그 중심선 p2가 검출 아암(281)의 회전 축심 p1보다도 수평평에 대한 각도가 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22 참조).The potentiometer 280 mount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250 is installed below the left side wall 250L behind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s shown in Figs. 18, 22, have. The operation arm 267 for operating the detection arm 281 of the potentiometer 280 is provided on the second operation plate 266 located below the pivot axis y1 of the first axis portion 261 . The potentiometer 280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p1 of the detection arm 281 is inclined pos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closer to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raised from the front side than the rear side, Is disposed in the inclined posture so as to be closer to the first shaft portion 261 on the front side and to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as the rear side is lower. The manipulation arm 267 is provided such that the center line p2 of the manipulation arm 267 is angular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of the detection arm 281 (see Fig. 22).

이와 같이 하여, 포텐시오미터(280)에 있어서의 검출 아암(281)의 회전 축심 p1이 수평 방향인 경우나, 연직 방향인 경우보다도, 조작 아암(267)에서의 조작이 쉽게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manner, the operation arm 267 can be operated more easily than when the rotation axis p1 of the detection arm 281 in the potentiometer 280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

제2 조작판(266)의 하단부에는,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과 조작 레버(213)를 연계하도록 설치된 조작 와이어(282)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노치부(266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와이어(282)는, 아우터 와이어 부분의 내부에 이너 와이어 부분이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푸시 풀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 부분의 일단부측이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을 전달하는 부분의 후술하는 출력 조작체(271)에 연결되고, 아우터 와이어 부분이 노치부(266a)에 둘러싸이는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A notch portion 266a for holding an operating wire 282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s the steering driving portion and the operating lever 213 i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late 266. [ The operation wire 282 is constituted by a push-pull wire in which an inner wir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wire portion so as to be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one end side of the inner wire portion transmits a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And the outer wire portion is held in a state of being surrounded by the notch portion 266a.

이와 같이 제2 조작판(266)로 조작 와이어(282)의 도중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출력 조작체(271)에 의한 조작 와이어(282)의 조작을 쉽게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By thus supporting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peration wire 282 with the second operation plate 266,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282 by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can be performed smoothly easily.

제1 축부(261)의 제1 조작판(264)과 연결 부재(265)의 중간 위치에는, 평면에서 볼 때 전방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의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의 좌우 양측편 부분이 용접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축부(261)와는 교차하는 상태에서, 축심을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한 제2 축부(262)가, 상기 제1 축부(261)보다도 상부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를 전후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즉,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를 통하여, 상하의 제1 축부(261)와 제2 축부(262)가, 서로 직교하는 자세로 일체화되어 있다.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irst operating plate 264 and the connecting member 265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both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channel-shaped holding frame 263, Welded and integrate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having the shaft center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haft portion 261 passes through the holding frame member 263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above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upper and lower first shaft portions 261 and the second shaft portions 262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a posture orthogonal to each other via the holding frame 263.

제2 축부(262)는,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보다도 전방측에, 조작 레버(213)가 피벗 지지되는 피벗 축 부분(262A)을 위치시키고,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보다도 후방측으로 연장축 부분(262B)을 위치시킨 것이다.The second shaft portion 262 has a pivot shaft portion 262A on which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ally supported and which is further extended rearward than the retention frame body 263 on the front side of the retention frame body 263 Axis portion 262B.

그리고, 그 후방측으로의 연장축 부분(262B)이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형성된 규제부(255)에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축 부분(262B)에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이 권회되어 있다.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의 양단부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중립 규제 핀(263A)과, 후술하는 조작 브래킷(270)에 구비한 조작 축(272) 중, 조작 브래킷(270)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축(272) 부분이 걸림 지지되어 있다.The extension shaft portion 262B toward the rear side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portion 255 formed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A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is wound around the extension shaft portion 262B. A neutral restricting pin 263A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taining frame 263 and an operation shaft 272 provided in an operation bracket 270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teering neutral restoring spring 275, A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72 protruding from the operation bracket 270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hooked and supported.

도 21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피벗 축 부분(262A)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가까운 측에, 조작 레버(2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조작 브래킷(270)의 보스부(270A)가 밖에서 끼워져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로부터 먼 측에는, 조작 브래킷(270)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출력 조작체(271)의 보스부(271A)(통축부에 상당함)가 제2 축부(262)에 밖에서 끼워져 있어서, 이들 조작 브래킷(270) 및 출력 조작체(271)가 제2 축부(262)의 축심인 요동 축심 x1 주위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1 and 24, on the side of the pivot shaft portion 262A on the front side close to the holding frame body 263, a rectangular plate-like opera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on lever 213 The boss portion 270A of the bracket 270 is fitted outside. A boss portion 271A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shaft portion) of the rectangular-plate-shaped output operating body 271 located forward of the operation bracket 270 is provided on the side far from the holding frame 263, The operating bracket 270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are supported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bout the swing axis center x1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

조작 레버(213)와 일체의 조작 브래킷(270)에는, 제1 축부(261)의 하측에 위치시켜서,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과 평행한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한 축심 x2를 갖는 조작 축(272)이, 조작 브래킷(270)을 전후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용접되고 일체화되어 있다.The operation lever 213 and the operation bracket 270 integral with the operation lever 270 are positioned below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have an axis x2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xis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The shaft 272 is welded and integ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bracket 270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이 조작 축(272)은, 조작 브래킷(270)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축(272) 부분(걸림체에 상당함)과, 조작 브래킷(270)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축(272) 부분(돌출 부재에 상당함)을 구비하고 있다.The operation shaft 272 includes a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72 protruding from the operation bracket 270 in th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member), and an operation shaft 272 extending from the operation bracket 270 in the backward direction 272) portions (corresponding to protruding members).

그리고, 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축(272) 부분이, 후술하는 출력 조작체(271)의 조작용 개구(271C)에 삽입되고,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조작 축(272) 부분이,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형성된 후술하는 규제용 개구(263B)에 삽입되어 있다.The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72 protru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271C of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described later and the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72 protrud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is held And is inserted into a later-described restriction opening 263B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63. [

출력 조작체(271)는, 제2 축부(262)에 외측에서 끼우는 보스부(271A)와, 그 보스부(271A)에 일체로 장착된 판 형상의 요동판 부분(271B)을 구비하고, 또한, 요동판 부분(271B)에, 상기 조작 축(272)이 삽입되는 조작용 개구(271C)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요동판 부분(271B)의 하부에는, 조작용 개구(271C)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걸림 핀(273)(스프링 걸림부에 상당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핀(273)은, 제2 축부(262) 및 조작 축(272)과 마찬가지로 축심 x3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해지고, 출력 조작체(271)의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요동판 부분(271B)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s provided with a boss portion 271A which is fitted to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from the outside and a plate-shaped swing plate portion 271B which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boss portion 271A, And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ng opening 271C through which the operating shaft 272 is inserted. A latching pin 273 (corresponding to a spring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below the operation opening 271C. The engagement pin 273 is arranged such that the shaft center x3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nd the operation shaft 272, A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portion 271B.

그리고, 요동판 부분(271B)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의 보스부(271A)에,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274)이 권회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274)의 양단측의 각 단부가, 조작용 개구(271C)에 삽입 관통된 전방 방향의 조작 축(272) 부분 및 걸림 핀(273)의 좌우 양측에 할당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A coil spring 274 as an elastic body is wound on the boss portion 271A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and each end of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274 is wound around the boss portion 271A, Are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aging pin 273 and a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72 in the forward direction inserted through the engaging pin 271C.

요동판 부분(271B)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걸림 핀(273)에는, 도 19, 도 21,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와이어(28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 와이어(282)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제어 밸브 V1에 연계되고,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 즉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에 연동하여,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을 전환 조작하고, 도시하지 않은 주행 장치의 조향 클러치를 좌우에서 각각 별도로 입력 및 단절 조작하고, 기체의 선회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19, 21, and 24, an operation wire 28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gagement pin 273 proj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19, the operation wire 282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in the swing operation about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So that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s the steering drive unit is switched to operate the steering clutch of the traveling apparatus not shown separately from the left and right to input and cut off the steering clutch,

이와 같이, 조향 구동부로서의 조향 제어 밸브 V1과 조작 레버(213)를 연계하도록 설치된 상기 조작 와이어(282)와, 조작 연계 기구 H에 있어서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 즉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을 조작 와이어(282)에 전달하는 부분의, 제2 축부(262)나 출력 조작체(271) 등에 의해, 조향 유닛 U1이 구성되어 있다.The operating wire 282 provided so as to link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operating lever 213 as the steering driving section and the operating wire 28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213, The steering unit U1 is constituted by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or the like, at a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around the swing axis x1 of the steering shaft 28 to the operation wire 282. [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즉 제1 축부(261)의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은, 포텐시오미터(280)로 검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포텐시오미터(280)에서의 검출 결과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장치(283)로 보내지고, 제어 장치(283)가 전동 모터(284)를 작동시켜서 승강용의 액추에이터(218)로의 압유를 급배하도록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를 작동시키고, 승강용의 액추에이터(218)를 신축 작동시켜서 예취 전 처리 장치 C의 승강 작동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18,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y1 of the first shaft portion 261, is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the potentiometer 280. [ The result of detection by the potentiometer 280 is sent to a control device 283 composed of a microcomputer and the control device 283 operates the electric motor 284 to feed the pressure oil to the actuator 218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is operated and the elevating actuator 218 is operated to expand and contract to perform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shearing preprocessing apparatus C. [

이와 같이, 승강 구동부로서의 승강 제어 밸브 V2와 조작 레버(213)를 연계하는 것으로서의, 조작 연계 기구 H에 있어서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즉 제1 축부(261)의 요동 축심 y1 주위에서의 요동 조작을 포텐시오미터(280)로 전달하는 조작 아암(267)(출력 조작체에 상당함)이나, 포텐시오미터(280)나, 제어 장치(283)나, 전동 모터(284) 등에 의해, 승강 유닛 U2가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H in which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as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that is, around the pivot axis center y1 of the first shaft section 261 The potentiometer 280, the control device 283, the electric motor 284, or the like, which transmits the rocking operation of the potentiometer 280 to the potentiometer 280 , And a lifting unit U2.

이 승강 유닛 U2에는, 후술하는 융통 연계 기구 I는 장비되어 있지 않다.The elevating unit U2 is not provided wit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described later.

〔융통 연계 기구〕[Flexible linkage mechanism]

조향 유닛 U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213)와 출력 조작체(271)의 사이에는, 출력 조작체(271)가 조작 레버(213)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조작 레버(213)에 대하여 출력 조작체(271)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조작 레버(213)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융통 연계 기구 I가 구비되어 있다.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moves integrally following the oscillat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213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213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n the steering unit U1, The flexible link mechanism I is provided so that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does not follow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ntegrally but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213 alone permits the swing operation is achieved.

이 융통 연계 기구 I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flexible interconnection mechanism I is constructed as follows.

즉, 융통 연계 기구 I는, 출력 조작체(271)의 요동판 부분(271B)보다도 전방측의 보스부(271A)에 권회한 코일 스프링(274)과, 요동판 부분(271B)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271C)와, 그 조작용 개구(271C)의 내경과 조작 축(272)의 외경의 사이에 직경차가 존재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flexible link mechanism I includes a coil spring 274 wound on the boss portion 271A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and a coil spring 274 wound on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There is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opening 271C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shaft 272. [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축부(262) 주위에서의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과, 조작 축(272)의 축심 x2와, 걸림 핀(273)의 축심 x3이, 조작 레버(213)의 몸체 방향을 따르는 직선 L1 위에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25A, when the operating lever 213 is positioned at the neutral position,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operating lever 213 around the second axis portion 262 and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operating lever 272 And the central axis x3 of the engagement pin 273 ar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L1 along the body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

즉, 요동 축심 x1과 조작 레버(213)의 몸체 위에 위치하는 조작 축(272)의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와,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273)의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이,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과 합치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있다.That is, the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oscillation axis x1 and the axis x2 of the operation shaft 272 located on the body of the operation lever 213 and the segment L3 connecting the oscillation axis x1 and the axis x3 of the engagement pin 273, And coincides with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operation lever 213. [

이때, 보스부(271A)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274)의 양단부는, 출력 조작체(271)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조작 축(272)과 걸림 핀(273)을 끼워 넣도록 설치되고, 조작 축(272)은 출력 조작체(271)의 조작용 개구(271C)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coil spring 274 wound on the boss portion 271A are provided so as to sandwich the operation shaft 272 and the engagement pin 273 protruded forward of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27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또한, 도 25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도 21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축부(262)의 연장축 부분(262B)에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이 권회되어 있어서, 이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의 양단부가,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중립 규제 핀(263A)과, 조작 축(272)을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5, as shown in Figs. 21 and 23,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is wound on the extended shaft portion 262B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Both ends of the spring 275 are disposed in such a state that the neutral restricting pin 263A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taining frame 263 and the operation shaft 272 is fitted from both sides.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가 좌방향(또는 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요동 조작되면, 조작 축(272)이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수반해서 코일 스프링(274)을 통해 걸림 핀(273)도 동일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 걸림 핀(273)의 요동에 수반되어 조작 와이어(282)가 인장되고,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측으로 전환 조작된다(도 19 참조).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에 대하여, 요동 축심 x1과 조작 축(272)의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와,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273)의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이 모두 동일 각도만큼 요동 조작되어 있다.25B, when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ward direction (or rightward direction), the operation shaft 272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nd the engagement pin 273 is also pivo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coil spring 274 along with this. The operation wire 282 is pulled by the swinging of the engagement pin 273,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switched to the left turn side (refer to Fig. 19). In this state, a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axis x2 of the operation shaft 272 to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213 and a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engagement pin 273 And the line segment L3 connecting the axial center x3 are all swung by the same angle.

이때, 도 25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은, 일단부측이 중립 규제 핀(263A)에 걸림 지지되고, 타단부측이 조작 축(272)에 걸림 지지되어 있어서, 조작 축(272)의 요동에 의해 중립 규제 핀(263A)과 조작 축(272)의 간격이 상기 요동 축심 x1의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확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은 조작 레버(213)를 중립측으로 복귀 가압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274)은, 조작 축(272)과 걸림 핀(273)을 끼움 지지한 상태 그대로 요동 축심 x1의 주위를 요동하므로, 이 상태의 코일 스프링(274)은 조작 레버(213)의 요동 저항으로서는 작용하지 않았다.25, one end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is hooked on the neutral restricting pin 263A and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neutral restoring spring 275 is hooked on the operating shaft 272, 272, the gap between the neutral regulating pin 263A and the operating shaft 272 is elastically expanded in the vicinity of the swing axis center x1. Thereby,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is in the state of returning and pushing the operation lever 213 to the neutral side. However, since the coil spring 274 swings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haft 272 and the engaging pin 273 are sandwiched therebetween, the coil spring 274 in this state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ng lever 213 It did not work as a rocking resistance.

걸림 핀(273)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282)로 인장되어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 위치 L(도면 중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에 도달하면, 조향 제어 밸브 V1에 의해 전환된 유로를 통해 조향 클러치(도시생략)가 좌 선회 상태로 전환되고, 자주 기체 A가 좌 선회한다. 자주 기체 A를 우 선회시킬 때에는, 조작 레버(213)를 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요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걸림 핀(273)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푸시 풀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는 조작 와이어(282)로 눌린 조향 제어 밸브 V1이 우 선회 위치 R로 전환 조작되고, 자주 기체 A가 우 선회한다.When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reaches the left-turn position L (the stroke end position in the drawing) when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pulled by the operating wire 282 connected to the engaging pin 273, the steering clutch Is shifted to the left-turning state, and the gas A is left-turning frequently. In order to frequently turn the base A,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ed to the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s a result, the engagement pin 273 swings counterclockwise,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which is pushed by the operation wire 282 constituted by the push-pull wire, is switched to the rightward turning position R, do.

도 25의 (c)는, 걸림 핀(273)에 연결된 조작 와이어(282)로 인장된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 위치 L에 도달하고, 또한 조작 레버(213)가 좌방향(도 25 중에서는 우방향)으로 요동 조작되어서, 조작 축(272)이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형성되어 있는 규제용 개구(263B)의 개구 단부 에지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에 대하여, 요동 축심 x1과 조작 축(272)의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가,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273)의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보다도 크게 요동 조작되어 있다.25C shows that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ensioned by the operation wire 282 connected to the engagement pin 273 reaches the left turn position L and the operation lever 213 is moved leftward The operation shaft 272 swing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egulating opening 263B formed in the holding frame body 263 And is restricted in further swinging motion. In this state, the line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axis x2 of the operation shaft 272 to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213 is the same as the line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engagement pin 273 And is swung larger than the line segment L3 connecting the axial center x3.

이것은 도 25의 (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또한 조작 레버(213)가 좌방향으로 요동 조작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축(272)은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해서 규제용 개구(263B)의 개구 단부 에지에 접촉하지만, 이미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고 있는 조향 제어 밸브 V1과 조작 와이어(282)로 연결된 걸림 핀(273)은, 원래의 도 25의 (b)에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This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ed counterclockwis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5 (b). In this state, the operating shaft 272 oscill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to come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nd edge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However, when the operating shaft 272 reaches the stroke end The retaining pin 273 connec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operating wire 282 maintains the original state shown in Fig. 25 (b).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량이 레버 가이드 홈으로 설정되거나 하여, 조향 제어 밸브 V1의 스트로크 엔드의 위치와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 한계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조작 레버(213)가 조향 제어 밸브 V1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를 넘어서 오버런 상태로 여분으로 조작되어 버렸다고 해도, 그 조작 레버(213)에 의한 조작력이 조향 제어 밸브 V1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s set to the lever guide groove, the position of the stroke end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pivoting operation limit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213 is excessively moved over the stroke end position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o the overrun state, the operation force by the operation lever 213 is not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u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이 오버런 상태에서는, 조작 축(272)과 걸림 핀(273)의 간격이,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 축심 x1의 주위에서 확대 개방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213)를 중립측으로 복귀 가압하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의 가압력 외에도,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도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에 대한 조작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13)가 여분의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의식시키기 쉬운 점에서도 유리하다.In this overrun state, the gap between the operating shaft 272 and the engaging pin 273 is expanded ope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against the resilient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also acts as an operating resistance agains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addition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for returning the operation lever 213 to the neutral side. This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operation lever 213 is performing an extra operation.

도 25의 (d)는, 도 25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13)를 좌방향으로 어느 정도 조작하여도, 조향 제어 밸브 V1에 진흙이 부착되거나 하여,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으로는 걸림 핀(273)을 움직이게 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을 통과하는 연직선 L1에 대하여, 요동 축심 x1과 조작 축(272)의 축심 x2를 연결하는 선분 L2은 소정 각도만큼 요동 조작되어 있지만, 요동 축심 x1과 걸림 핀(273)의 축심 x3을 연결하는 선분 L3은 연직선 L1과 일치한 위치 그대로이다.25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clogged with the coil spring 274 (see FIG. 25 (a) The engaging pin 273 can not be mov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engaging pin 273. At this time, the line L2 connecting the pivot axis x1 and the axis x2 of the operation shaft 272 is pivo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L1 passing through the pivot axis x1 of the operation lever 213, The line segment L3 connecting the central axis x3 of the pin 273 remains at the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vertical line L1.

이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13)를 중립측으로 복귀 가압하는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의 가압력과,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이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에 대한 조작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이 걸림 핀(273)에 작용하고, 조작 와이어(282)를 통해 조향 제어 밸브 V1을 좌 선회측으로 전환 조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보다도 조향 제어 밸브 V1의 조작 저항이 크면, 조작 레버(213)를 좌방향으로도 요동시켜서 조작 축(272)을 출력 조작체(271)의 조작용 개구(271C)의 범위 내에서 요동시켜도, 걸림 핀(273)이 추종해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In this state, the pressing force of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for returning the operating lever 213 to the neutral side and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serve as the operating resistance against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213 have. Of these, an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acts on the engagement pin 273, and acts in a direction to swit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to the left turn side via the operation wire 282. [ However, if the operating resistance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larger than the resilient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the operating lever 213 is also pivoted to the left so that the operating shaft 272 is pressed against the operating opening 272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Even if the swing pin 273 swings within the range of the swing pin 271C, the swing pin 273 follows the swing pin 273 and does not move.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출력 조작체(271)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용 개구(271C)에 조작 축(272)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그 조작 축(272)을 조작용 개구(271C)의 내주연에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213)를 강제적으로 요동 축심 x1의 주위로 요동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13)에 대한 인위 조작력을, 조작 축(272) 및 출력 조작체(271)를 통해 직접적으로 걸림 핀(273)에 전달하고,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제어 밸브 V1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걸림 핀(273)을 조작할 수 있다.Since the operation shaft 272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271C formed in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ever 213 can be forcibly swung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Thereby, the artificial operation force on the operation lever 213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engagement pin 273 through the operation shaft 272 and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and as shown in Fig. 25 (c) , The latching pin 273 can be operat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reaches the stroke end.

또한, 이와 같이 출력 조작체(271)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용 개구(271C)에 조작 축(272)이 삽입되어 있어서, 조작 축(272)으로부터 출력 조작체(271)로 직접 조작 레버(213)의 조작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향 제어 밸브 V1에 대한 진흙의 부착이 강고해서 출력 조작체(271)가 움직이기 어려울 때 등에, 조작 축(272)을 조작용 개구(271C)의 내주연에 대하여 충격적으로 압박하거나 하여, 출력 조작체(271)가 조향 제어 밸브 V1에 대하여 충격적인 조작력을 부여하여, 조향 제어 밸브 V1을 쉽게 조작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shaft 272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271C formed in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and the operation lever 21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from the operation shaft 272. [ The following operation method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mud adheres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is difficult to move, the operation shaft 272 is struck agains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So that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gives a striking operation force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so that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an be easily operated.

조작 축(272)의 후단부측과 접촉하여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 범위의 한계를 설정하도록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형성된 규제용 개구(263B)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The regulating opening 263B formed in the holding frame 263 is formed as follows so as to set the limit of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213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side of the operating shaft 272. [

즉, 규제용 개구(263B)의 내주연 중, 조작 축(27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의 좌우 양측의 내주연은, 조작 축(272)의 요동 중심이기도 한 부분의 조작 레버(213)의 요동 축심 x1 주위의 원호에 직교, 또는 거의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이 좌우 양측의 내주연에 대하여 조작 축(272)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ner periphery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opposed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shaft 272 is a portion of the operating lever 213 , And the operating shaft 27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right and left sides.

그리고, 이 규제용 개구(263B)의 좌우 양측의 내주연의 위치는, 조작용 개구(271C)를 통해 조작 축(272)이 출력 조작체(27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핀(273)을 이동시키고, 조향 제어 밸브 V1을 스트로크 엔드까지 조작 가능한 위치이다.The positions of the inner peripheral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are set such that the operating shaft 272 moves the engaging pin 273 formed on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through the operating opening 271C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an be operated to the stroke end.

또한, 규제용 개구(263B)는, 조작 축(27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접촉하여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 범위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지만, 근소한 경사만 갖고 있는 동시에 또는 아래의 주연에 조작 축(272)을 접촉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 축(27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는 상태에서 접촉하는 좌우의 내주연을 접촉시키고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13)의 요동 조작 범위의 한계를 정밀도 좋게 설정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The regulating opening 263B conta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shaft 272 to set the limit of the swing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213. The regulating opening 263B has a slight inclination, The right and left inner circumferenc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shaft 272, not in contact with the shaft 272.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set the limit of the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213 with high precision.

〔조작 입력부〕[Operation input unit]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의 상면부에는 조작 입력부(29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조작 입력부(290)는, 피더(208)의 상부에 구비한 긁어들임 릴(205)의 긁어들임 높이를 고저 변경하기 위한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하여, 높이의 조절 신호를 제어 장치(283)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6, an operation input portion 29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input unit 290 controls the height of the reel elevator 205A for changing the rake height of the scraping reel 205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er 208 to the control device 283 ). ≪ / RTI >

조작 입력부(290)에는,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상승 지령을 입력하는 상승 버튼(291)과 하강 지령을 입력하는 하강 버튼(29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버튼(291, 292)은,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압입 가능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The operation input unit 290 is provided with a rising button 291 for inputting an up command to the reel elevator 205A and a down button 292 for inputting a down command. , And is provided at the press-fit position by finger manipulation of the hand holding the grip por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

제어 장치(283)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압유의 급배 경로에 구비한 제어 밸브를 조작하고, 각 버튼(291, 292)을 누름 조작되어 있는 사이에만,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압유의 급배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 device 283 operates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delivery path of the pressure oil to the reel elevating device 205A not shown and only when the buttons 291 and 292 are pressed, 205A to perform a pressure-raising operation.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다른 실시 형태의 1〕[1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부(290)를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의 상면부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의 근처에서, 또한 파지부(213a)의 가로 측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2 위치 전환 가능한 스위치 조작 레버(293)를 설치하여 구성해도 된다. 그 스위치 조작 레버(293)는, 예를 들어 전방으로 쓰러뜨리면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하강 지령을 입력하고,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상승 지령을 입력하도록 하여, 릴 승강 장치(205A)에 대한 승강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input unit 29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at a position near the grip por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side of the grip portion 213a, a switch operating lever 293 may be provided. The switch operation lever 293 inputs a downward command to the reel elevating device 205A when the switch lever 293 is tilted forward, So that control can be performed.

또한, 릴 승강 장치(205A)로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전동 실린더 등이 임의의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Further, as the reel elevating device 205A, a structure using a hydraulic cylinder is not limited, and any structure such as an electric cylinder can be employed.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2〕[2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부(290)를 조작 레버(213)의 파지부(213a) 부근에 설치한 구조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변속 레버(215A)의 파지부의 상면부에 누름 버튼식의 상승 버튼(291)과 하강 버튼(292)을 설치하거나, 파지부의 가로 측방에 2 위치 전환 가능한 스위치 조작 레버(293)를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해도 된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input section 290 is provided near the grip section 213a of the operation lever 21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push-button type up button 291 and a down button 29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of the peripheral speed lever 215A, And an operation lever 293 may be provided.

또한, 조작 입력부(290)를, 조작 레버(213)나 주변속 레버(215A) 등의 레버 부분이 아니라, 운전 좌석(202)의 전방 혹은 가로 측방의 조종 패널 부분에 설치하거나 해도 된다.The operation input portion 290 may be provided not on the lever portion such as the operation lever 213 or the peripheral speed lever 215A but on the steering panel portion on the front or the lateral side of the driver's seat 202. [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3〕[3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조작을 행하고,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자주 기체 A의 조향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cut sheet pretreatment device C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base body A is performed frequent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e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의 조작에 의해 예취 전처리 장치 C의 승강 조작을 행하고,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의 조작에 의해 자주 기체 A의 조향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구조의 것이어도 지장은 없다.For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take-up pretreatment device C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base body A is performed frequent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no obstacl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4〕[4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제어 밸브 V1에 진흙이 부착되거나 하여,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으로는 걸림 핀(273)을 움직이게 할 수 없는 경우에, 출력 조작체(271)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용 개구(271C)의 내주연에 조작 축(272)을 접촉하게 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213)를 강제적으로 요동 축심 x1의 주위로 요동 조작하고, 조향 제어 밸브 V1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걸림 핀(273)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mud is attach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engaging pin 273 can not be mov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The operating lever 213 is forcibly swung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x1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shaft 27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operating opening 271C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reaches the stroke end The engagement pin 273 can be operated up to this poi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도 28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8 (a) to 28 (d).

이 구조에서는, 도 28의 (b), 및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 부분(271B)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271C)의 내경과 조작 축(272)의 외경과의 직경차가, 전술한 도 25에 나타낸 구조의 것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28 (b) and 28 (c),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formed in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shaft 272 The difference in diameter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이로 인해,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13)가 좌방향(또는 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요동 조작되어 조향 제어 밸브 V1이 좌 선회 위치 L(도면 중의 스트로크 엔드 위치)에 도달한 후, 또한 조작 레버(213)가 동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축(272)은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규제용 개구(263B)의 개구 단부 에지에 접촉해도, 조작용 개구(271C)의 내측 에지에는 접촉하지 않는다.28 (b), the operation lever 213 is pivo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ward direction (or rightward direction) so that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in the left-turn position L (the stroke end position in the drawing) When the operation lever 213 is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28 (c), the operation shaft 272 is rotated about the pivot axis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opening end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it does not contact the inner edge of the regulating opening 271C.

따라서, 조향 제어 밸브 V1이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는 위치와, 조작 축(272)이 조작용 개구(271C)에 접촉하는 위치를 합치시킬 필요가 없어, 고정밀도에서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고 끝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match the position at which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reaches the stroke end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shaft 272 contacts the operating opening 271C, and an advantage that machining at a high accuracy is not required is ended have.

그리고, 도 2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제어 밸브 V1에 진흙이 부착되거나 하여, 코일 스프링(274)의 탄성 가압력으로는 걸림 핀(273)을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조작 축(272)을 조작용 개구(271C)의 내주연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조작 레버(213)를 강제적으로 요동 축심 x1의 주위로 요동 조작할 수 있다.28 (d), when mud sticks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and the engaging pin 273 can not be mov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27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operating opening 271C, the operating lever 213 can be forcibly swung around the swinging central axis x1.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조작용 개구(271C)의 내경과 조작 축(272)의 외경과의 직경차가 크므로, 조작 레버(213)가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규제용 개구(263B)의 개구 단부 에지에 접촉하는 위치로까지 조작되어도, 도 28의 (c)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즉, 조작용 개구(271C)는 부호 271C'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고, 걸림 핀(273)은 부호 273'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어, 조향 제어 밸브 V1이 완전히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는 위치로까지는 강제 조작할 수 없다.However, in this structure, since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shaft 272 is large, the operation lever 213 pivots clockwise in the figure, Even if the actuator is operated up to a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edge, the state shown by a virtual line in (c) of Fig. 28 is obtained. That is, the operation opening 271C is in the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71C ', the engagement pin 273 is in the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73', and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is forcibly operated until reaching the position where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ompletely reaches the stroke end I can not.

이와 같이, 진흙이 부착되거나 하여 저항이 큰 경우에는, 조향 제어 밸브 V1이 완전히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는 위치까지는 강제 조작할 수 없지만, 스트로크 엔드 근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진흙의 부착 등에 의한 저항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 진흙의 부착에 의한 저항이 도중부터 소실하여, 지장없이 스트로크 엔드까지 조작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mud is attached and the resistance is large,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an not be forcedly opera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completely reaches the stroke end, but can be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stroke end. Generally, in the case of resistance due to adhesion of clay, resistance to adhesion of clay is lost from the middle if the force is forcibly moved to some extent, and there is a tendency to be able to operate until the stroke end without hindranc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판 부분(271B)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271C)의 내경과 조작 축(272)의 외경과의 직경차를 크게 하는 구조가 아니라, 규제용 개구(263B)의 좌우의 개구 단부 에지 간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not a structure to increase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formed in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shaft 272, May be changed.

즉, 조작 축(272)이 제2 축부(262)의 요동 축심 x1 주위로 도 28의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규제용 개구(263B)의 개구 단부 에지에 접촉해도, 조작 축(272)이 조작용 개구(271C)의 내측 에지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규제용 개구(263B)의 좌우의 개구 단부 에지 간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요동판 부분(271B)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271C)의 내경과 조작 축(272)의 외경과의 직경차가, 전술한 도 25에 도시한 구조의 것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진다.Even if the operation shaft 272 swings around the pivot axis x1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28 and touches the opening end edge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the operation shaft 272 It is also conceivable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s of the opening ends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s of the regulating opening 263B so as not to touch the inner edge of the operating opening 271C. This also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on opening 271C formed in the swing plate portion 271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shaft 272 to a value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Action is obtained.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5〕[5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에서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향 유닛 U1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eering interlock mechanism I is incorporated in the steering unit U1 for performing the steering contro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에서의 승강 제어를 행하는 승강 유닛 U2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 혹은, 조향 유닛 U1과 승강 유닛 U2의 양쪽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is incorporated in the elevation unit U2 for performing elevation control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or a structure in which a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is provided on both the steering unit U1 and the elevation unit U2 It may be a built-in structur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6〕[6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융통 연계 기구 I로서, 출력 조작체(271)에 조작 축(272)보다도 대직경의 조작용 개구(271C)를 형성하고, 또한, 코일 스프링(274)이나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를 사용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ng opening 271C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rating shaft 272 and a coil spring 274 or a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is us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조작 축(272)과 조작용 개구(271C)의 직경차에 의한 융통을, 걸림 핀(273)과 조작 와이어(282)의 연결 개소나 그 밖의 부위에 설치하거나, 혹은, 그와 같은 직경차에 의한 융통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체인 코일 스프링(274)이나 조향 중립 복귀 스프링(275)의 탄성 가압력에 의한 융통으로 구성해도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lexibility by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operation shaft 272 and the operation opening 271C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engagement pin 273 and the operation wire 282 or other portions, It may be constitut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274 or the steering neutral return spring 275 which is an elastic body without using the same diameter difference.

또한, 탄성체로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를 사용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The elastic body is not limited to a coil spring but may be a structure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leaf spring or rubber.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7〕[7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좌우 방향에서의 조향 제어를 행하는 조향 유닛 U1에 융통 연계 기구 I를 내장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융통 연계 기구 I를 구비하지 않은 구조의 것으로 해도 지장없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eering interlock mechanism I is incorporated in the steering unit U1 for performing the steering contro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However, even if the structure is not provided with such a flexible interlock mechanism I No problem.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8〕[8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13)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의 조작을, 조향 제어 밸브 V1 혹은 승강 제어 밸브 V2에 전달하여, 유압에 의한 제어를 행하도록 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213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to control by the hydraulic pressure is exemplif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지만, 조향 조작용의 조향 클러치나 승강 조작용의 승강 클러치를 설치하여, 그 조향 클러치나 승강 작동 클러치와, 조작 레버(213)의 조작 연계 기구 H를 조작 와이어(282)로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조작 레버(213)를 조작하는 인위 조작력으로 전환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clutch-operated steering clutch or a lifting and lowering-type lift clutch. The steering clutch and the up-and-down operation clutch and the operating link mechanism H of the operating lever 213 are connected to the operating wire 282, So that the operation lever 213 is switched to the artificial operation forc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9〕[9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조작체(271)에 대한 조작 와이어(282)의 연결 개소를, 걸림 핀(273)에 의해 겸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operation wire 282 to the output operation body 271 is configured to be also used by the engagement pin 27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걸림 핀(273)과는 다른 개소에 연결용의 핀, 혹은 구멍 등의 걸림 결합 개소를 설치해서 조작 와이어(282)를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작 와이어(282)의 연결 개소를 걸림 핀(273)이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걸림 핀(273)이 존재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연결 개소를 설치해도 된다.For example, the operating wire 282 may be connected by attaching a connecting pin or a hole or the like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holding pin 273. Alth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operating wire 282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ngaging pin 273 is present,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provided on the same side as the side where the engaging pin 273 is present .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10〕[10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축(272)이 조작 브래킷(270)을 전후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설치함으로써, 출력 조작체(271)의 조작용 개구(271C)에 삽입되는 걸림체와, 보유 지지 프레임체(263)에 형성된 규제용 개구(263B)에 삽입되는 돌출 부재를 겸하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shaft 27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bracket 270 is passed throug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engaging body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271C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26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출력 조작체(271)의 조작용 개구(271C)에 삽입되는 걸림체와, 규제용 개구(263B)에 삽입되는 돌출 부재를 각각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부위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용 개구(271C) 및 규제용 개구(263B)의 위치도, 걸림체나 돌출 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각각의 개소에 설치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 stopper member inserted into the operation opening 271C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and the projec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regulating opening 263B are constituted by respective members, do.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actuating opening 271C and the regulating opening 263B may be provided at respective posi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stopper and the protruding member.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11〕[11 in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255)로서, 레버 지지 프레임(250)에 형성한 개구를 구비하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stricting portion 255 has the structure hav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 지지 프레임(250)측에, 상하 2 위치로 이격된 개소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제2 축부(262)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반대로 레버 지지 프레임(250)측에 막대 형상의 부재를 돌출 설치하고, 제2 축부(262)측에 막대 형상의 부재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개구를 갖는 부재를 설치하여, 제2 축부(262)의 상하 요동 범위를 규제하게 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stopp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n the side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so as to regulate the swing rang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On the other hand, a bar-shaped member is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lever support frame 250 and a membe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d-like member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The upper and lower swing range may be regulated.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12〕[12 of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지지 부재(260)측에 제1 축부(261) 및 제 2축부(262)를 구비하고, 레버 지지 프레임(250)측 및 조작 레버(213)측에는, 그 제1 축부(261) 및 제 2축부(262)의 베어링을 행하는 베어링부(251)나 보스부(270A)를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and on the lever support frame 250 side and the operation lever 213 side, The bearing portion 251 and the boss portion 270A for bearing the first shaft portion 261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262 are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버 지지 프레임(250)측에 축부를 설치하고, 축지지 부재(260)측에, 그 축부에 외측에서 끼우는 통 보스를 설치하거나, 조작 레버(213)측에 피벗 축을 설치하고, 축지지 부재(260)측에 통 보스를 설치하는 등, 적당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shaft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ever supporting frame 250, and a communication boss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side to sandwich the shaft portion from the outside, or a pivot shaft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suitable structure, such as providing a communication boss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260 side.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른 실시 형태의 13〕[13 in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융통 연계 기구 I를 통해 출력 조작체(271)에 전달하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출력 조작체(271)의 요동 조작을, 조향 제어 밸브 V1 또는 승강 제어 밸브 V2에 전달하는 조작계의 도중에 적절히 융통 연계 기구 I를 개재시켜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through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flexible coupling mechanism I may be interposed appropriately in the middle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to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이 구조에 의해, 출력 조작체(271)에 작용하는 조작 저항이 소정의 범위를 넘으면, 출력 조작체(271)에 대하여 조향 제어 밸브 V1 또는 승강 제어 밸브 V2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조작 레버(213) 및 출력 조작체(271)의, 조향 제어 밸브 V1 또는 승강 제어 밸브 V2와는 다른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operating resistance acting on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does not follow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integrally,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213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271 may be configured to be in a state of allowing a swinging ope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eering control valve V1 or the elevation control valve V2.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Other configurations may adopt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은, 보통형의 콤바인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탈형의 콤바인, 대두 등의 두류 수확기, 혹은 옥수수 수확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inary type combine, but can also be applied to harvesting machines such as harvesting combine, soybean and so on, or corn harvester.

(제1 실시 형태)
13: 조작 레버
13B: 걸림 조작체
50: 레버 지지 프레임
51: 베어링부
53, 54: 맞닿음부
55: 제1 규제부
53: 연결부
55: 규제부
60: 축지지 부재
60A: 제1 회동부
60B: 제2 회동부
61: 축부
65: 제2 규제부
65a: 맞닿음부
70: 조작 브래킷
70b: 걸림체(걸림 훅부)
71: 출력 조작체
71A: 통축부
71B: 요동판 부분
73: 스프링 걸림부
74: 탄성체(코일 스프링)
82: 조작 와이어
H: 조작 연계 기구
I: 융통 연계 기구
U1: 조향 유닛
U2: 승강 유닛
V1: 조향 구동부
V2: 승강 구동부
x1: 일방향의 요동 축심
y1: 타방향의 요동 축심
(제2 실시 형태)
205: 긁어들임용 릴
205A: 릴 승강 장치
213: 조작 레버
213a: 파지부
250: 레버 지지 프레임
260: 축지지 부재
261: 제1 축부
262 피벗 축(제2 축부)
263: 보유 지지 프레임체
270: 조작 브래킷
271: 출력 조작체
271A: 통축부
271B: 요동판 부분
271C: 조작용 개구
272: 걸림체(조작 축)
272: 돌출 부재(조작 축)
273: 스프링 걸림부
274: 탄성체
282: 조작 와이어
290: 조작 입력부
C: 예취부
H: 조작 연계 기구
I: 융통 연계 기구
U1: 조향 유닛
U2: 승강 유닛
V1: 조향 구동부
V2: 승강 구동부
x1: 요동 축심
(First Embodiment)
13: Operation lever
13B:
50: lever supporting frame
51: bearing part
53, 54:
55:
53: Connection
55: Regulatory Department
60: Shaft support member
60A: first east portion
60B: the second east portion
61:
65:
65a:
70: Operation bracket
70b: Stopper (hooking hook)
71: Output operating body
71A:
71B: swing plate portion
73: Spring catch
74: Elastic body (coil spring)
82: Operation wire
H: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 Flexible linkage mechanism
U1: steering unit
U2: Lift unit
V1: steering driver
V2:
x1: One-way pivot axis
y1: Shaking axis in the other direction
(Second Embodiment)
205: Scratching reel
205A: Reel lifting device
213: Operation lever
213a:
250: lever supporting frame
260: Shaft support member
261:
262 Pivot shaft (second shaft portion)
263: Holding frame
270: Operation bracket
271: Output operating body
271A:
271B: swing plate portion
271C:
272: Stopper (operation shaft)
272: projecting member (operating shaft)
273:
274: Elastomer
282: Operation wire
290: Operation input section
C: Example
H: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 Flexible linkage mechanism
U1: steering unit
U2: Lift unit
V1: steering driver
V2:
x1: Shaking axis

Claims (34)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조향 구동부를 연계하는 조향 유닛과,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 유닛 및 상기 승강 유닛에는, 각각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미리 설정된 작동 가능 범위 내에서 작동할 때에는,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가 상기 작동 가능 범위의 작동 한계에 도달한 후에, 그 작동 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측으로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를 이행시키는 방향에서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이 행해질 때에는, 그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An operation lever which can be pivo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
A steering driver operable to ste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lifting drive part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cut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vehicle;
And an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erei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es a steering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eering drive unit,
And an elevation unit connect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erein the stee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When the steering driver or the elevation drive unit is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operable range o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on unit or both of them, the output operating body moves integrally following the oscill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 And the operation by the operation lever is performed in a direction to shift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to a side deviated from the operable range after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reaches the operation limit of the operable range , The output operating body does not follow the operation lever integrally but is in a state of allowing the operation lever to swing independ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출력 조작체의 사이에 융통 연계 기구가 구비되고, 그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t either or both of the steering unit and the elevating or lowering unit, And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ng body does not integrally follow the operating lever and permits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one is develop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출력 조작체에 전달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인, 수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said operation lever to said output oper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향 유닛이 상기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한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driving unit or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operated to an operating limit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by an operating limit or when the elevation unit operates the elevation driving unit by an operation limit,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allow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lone in the same direction.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설치된 조작 브래킷과, 그 조작 브래킷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하는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a coaxial shaft with the swing axial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i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ng unit or both,
An operation bracket provided so as to swing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manipulating body pivotally moved about the coaxial shaft with the manipulation bracket are connected via the elastic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축지지 부재에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상대 요동 가능하게 상기 출력 조작체가 지지되고,
상기 조작 브래킷은 상기 축지지 부재에 대하여 일체 요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작 브래킷에 구비한 걸림체와 상기 출력 조작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수확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haft supporting member for pivotab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supported 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relatively swingable about the coaxial center of the swing axis of the operating lever,
Wherein the operating bracket is provided so as to swing integrally with the shaft supporting member,
Wherein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over an engaging member provided on the operating bracket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는, 상기 조작 레버를 지지하는 피벗 축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우는 통축부와, 그 통축부에 일체로 장착된 판 형상의 요동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판 부분에 스프링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축부의 외주측에, 상기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권회되고,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측의 각 단부가, 상기 걸림체 및 상기 스프링 걸림부의 요동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utput operating body includes a barrel shaft portion which is fitted outside from the pivot shaft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and a plate-like swing plate portion integrally mounted on the barrel shaft portion, And,
A spring hook portion is provided on the swing plate portion,
The coil spring as the elastic body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barrel shafts and each end of each end of the coil spring is positioned so as to be pressed on both sides in the swing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engaging body and the spring engaging portion Equipped, harves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operating wire for transmitting operation force to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is provided.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 고정부에 레버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축지지 부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 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 중, 어느 한쪽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허용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1 규제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lever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the gas fixing part, and the shaf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 frame in such a manner that the pivotal axis of the operation lever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 Of the pivotal axis, the pivotal shaft being pivotally supported about one of the pivotal shafts,
Wherein the lever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ing allowable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either one of the swing axis cent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조작 레버 또는 그 조작 레버와 일체로 요동 작동하는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 범위를 규제하는 맞닿음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regulat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n abutting portion that abuts on the operation lever or a member that swings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lever and regulates a swing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lever.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 회동부 또는 상기 제2 회동부를 통해 상기 축지지 부재가 피벗 지지되고,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지 않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동부 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허용 범위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2 규제부가 상기 축지지 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shaf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s center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second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ront- Respectively,
The shaft support member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lever support frame through the first rotation por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rtion,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swinging allowable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the swinging central axis of the second swinging portion or the first swinging portion on the side not pivoted to the lever supporting frame, Wherein the shaft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the harves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지 않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동부 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상기 조작 레버의 몸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한 걸림 조작체의 요동 작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오목 홈 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이 오목 홈 부분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에 수반하는 상기 걸림 조작체의 이동 방향의 양단부에서 상기 걸림 조작체에 접촉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인, 수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ing operation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ivotal axis of the second pivotal portion or the first pivote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concave groove portion for restricting the oscillating operation range of the sieve t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rein the concave groove portion includes an abutting portion which abuts on the engaging operation body at both end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operation body accompani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operation lever.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조향 구동부를 연계하는 조향 유닛과,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연계하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향 유닛 및 상기 승강 유닛에는, 각각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이거나, 또는 상기 출력 조작체에 작용하는 조작 저항이 소정의 범위 내이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가 상기 소정의 영역을 넘거나, 또는 상기 조작 저항이 상기 소정의 범위를 넘으면,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An operation lever which can be pivo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
A steering driver operable to ste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lifting drive part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cut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vehicle;
And an operation coupl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a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erein the operation linkage mechanism includes a steering unit that links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teering drive unit,
And an elevation unit connect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Wherein the stee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When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r the operating resistance applied to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ng unit or both, When the operating posi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or when the operating res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the output operating body integr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lever And is configured to be in a state of allow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lone without follow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출력 조작체와의 사이에 융통 연계 기구가 구비되고, 그 융통 연계 기구에 의해,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에 추종해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상기 출력 조작체가 일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on either or both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ng unit or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And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perating body does not integrally follow the operating lever and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one is allowed to occu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작동을 상기 출력 조작체에 전달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인, 수확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has an elastic body for transmitting a swinging operation of said operation lever to said output operating bod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향 유닛이 상기 조향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또는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 한계로 조작했을 때, 상기 조작 레버의 단독에서의 요동 작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lastic body is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allow the swing motion of the operating lever alone when the steering unit operates the steering drive unit with the operating limit or when the elevating unit operates the operating unit with the operating limit The harvester, which is made up of.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과 동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력 조작체와, 상기 조작 레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설치된 조작 브래킷이 상기 탄성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output operating body is provided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a coaxial center with the swing axis of the operating lever on either or both of the steering unit or the elevating unit or both of the output operating body and the operating lever, Wherein an operation bracket provided to the main body is connected through the elastic bod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융통 연계 기구는, 상기 출력 조작체에 형성된 조작용 개구와, 그 조작용 개구에 삽입 관통되도록 상기 조작 브래킷에 형성한 걸림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용 개구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 걸림체의 상대 이동량에 의해,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상기 출력 조작체의 작동 위치와의 위치 어긋남량이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lexible connection mechanism includes a manipulation opening formed in the output operating body and an engaging body formed on the manipulating bracke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manipulating opening, Wherein the positional shift amount between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utput operation body is determined by the relative movement amoun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전 궤적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조작용 개구의 폭은,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걸림체의 최대 이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수확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width of the operation opening in a direction along a rotational locus around the pivot axis of the operation lever is set to be narrower than a maximum movement range of the stop in the same direction.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닛 또는 상기 승강 유닛 혹은 그 양쪽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작체는, 상기 조작 레버를 피벗 지지하는 피벗 축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우는 통축부와, 그 통축부에 일체로 장착된 판 형상의 요동판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판 부분에 상기 조작용 개구 및 스프링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축부의 외주측에, 상기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권회되고,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측의 각 단부가, 상기 조작용 개구에 삽입 관통된 상기 걸림체 및 상기 스프링 걸림부의 요동 이동 방향의 양측에 할당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수확기.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The output operating body includes a barrel shaft portion which is fitted outside from the pivot shaft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and a plate-like swing plate integrally mounted on the barrel shaft portion, , ≪ / RTI >
Wherein the swing plat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opening and the spring latching portion,
Wherein a coil spring as the elastic body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barrel shaft portion and each end of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body inserted through the actuating opening and a spring- The harvester is moun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판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걸림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an operating wire for transmitting operation force to the steering drive unit or the elevation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wing plate por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pring engagement portion is provided.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피벗 지지하는 피벗 축이, 그 피벗 축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체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체와, 상기 조작 레버가 구비하는 상기 조작 브래킷과, 상기 출력 조작체는, 이 순서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조작 브래킷의 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조작 브래킷에, 상기 걸림체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상기 돌출 부재의 요동 범위를 소정 범위 내로 규제하도록, 그 돌출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규제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1,
Wherein the pivot shaft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le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lding frame for holding the pivot shaft,
The holding frame, the operating bracket provided on the operating lever, and the output operating bod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is order,
Wherein the engaging member protrudes toward the operating bracket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a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engaging member is provided is provided on the operating bracket, Wherein a regulat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regulate the swing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식립 작물을 긁어들이기 위한 긁어들임용 릴과, 그 긁어들임용 릴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릴 승강 장치가 구비되고, 이 릴 승강 장치를 조작해서 상기 긁어들임용 릴을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입력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2,
And a raising and lower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reel. The railing raising and lowering device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raising and lowering reel Wherein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o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와,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향 조작 가능한 조향 구동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하여 예취부를 구동 승강 조작 가능한 승강 구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을 상기 조향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전달하는 조작 연계 기구와,
상기 조작 레버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일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조작 레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타방향의 요동 축심을 갖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체 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일체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제2 회동부의 회동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확기.
An operation lever which can be pivo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
A steering driver operable to ste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lifting drive part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cut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vehicle;
An operating link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to the steering drive unit and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a pivot support member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operation lever around the pivot ax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shaft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s center in on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and a second rotary portion having a swing axi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front-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rot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base fix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first rotating portion around the one-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portion around the one-directional swing axial center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2 회동부의 상기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로는 규제 작용이 미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regulating action can not be achieved in a swing range of the operating lever about the swinging central axis of the second turning portion in the other direction.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조작 레버가 지지되는 피벗 축 부분과, 그 피벗 축 부분으로부터 상기 조작 레버가 지지되지 않은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연장축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축 부분이 상기 규제부에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2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or 25,
Wherein the second pivot portion includes a pivot shaft portion o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supported and an extension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vot shaft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not supported, The harvester is configured to engag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축 부분에는, 상기 연장축 부분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타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 작동을, 상기 조향 구동부 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대하여 전달하는 출력 조작체가 설치되어 있는, 수확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And an output operating body for transmitt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about the pivot axis in the other direction to the steering drive section or the elevation drive section is installed on the pivot shaft sec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extension shaft section is provided, The harvester.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고정부에 대하여 설치된 레버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규제부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And a lever supporting fram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gas fix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rotating portion is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ing frame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ever supporting fram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형성한 개구에 의해 형성되고, 이 개구에 삽입된 상기 제2 회동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회동부의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회동을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is formed by an opening formed in the lever supporting frame,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ning portion about the one-way swing axis of the first turning portion is made to be a predetermined angle A harvester configured to limit within a range.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에 대향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에 구비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축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단부측에 상기 베어링부에 대하여 삽입 인발되는 피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타단부측에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베어링부에 대한 삽입 인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축지지 부재가, 상기 레버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30. The method of claim 28 or 29,
Wherein the lever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facing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The shaft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bear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and withdrawn with respect to the bearing portion on one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and a bearing portion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portion, about,
A connection member detachable from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aring portion is provided,
Wherein the shaft support member is detachable from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pivot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upport frame.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와 상기 제1 회동부는, 상측과 하측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공통의 보유 지지 프레임체에 고정되어 있는, 수확기.
3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0,
Wherein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nd the first rotating portion are located in a state of intersecting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fixed to the common holding frame.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2 회동부에 지지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부분을 구비하고, 그 몸체 부분이 상기 제1 회동부의 축심 방향에서 볼 때, 당해 제1 회동부의 축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3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1,
Wherein the operating lever is supported by the second turning portion and has a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when the body portion is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turning portion, The harvester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on a passing vertical line.
제24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조작은, 그 일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에서의 상기 제1 회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로 검출되도록 구성된 것인, 수확기.
3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2,
Wherein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is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a potentiometer that detects a rotation of the first swinging portion around the one-way swing axis.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식립 작물을 긁어들이기 위한 긁어들임용 릴과, 그 긁어들임용 릴을 상하로 위치 조절하는 릴 승강 장치가 구비되고, 이 릴 승강 장치를 조작해서 상기 긁어들임용 릴을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입력부가, 상기 조작 레버의 파지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33,
And a raising and lower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reel. The railing raising and lowering device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raising and lowering reel Wherein the operation lever is provided on the grip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KR1020177008556A 2014-09-02 2015-08-25 Harvester KR1024225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8269A JP6280844B2 (en) 2014-09-02 2014-09-02 Harvesting machine
JPJP-P-2014-178281 2014-09-02
JPJP-P-2014-178269 2014-09-02
JP2014178268A JP6280843B2 (en) 2014-09-02 2014-09-02 Harvesting machine
JPJP-P-2014-178268 2014-09-02
JP2014178281A JP6280845B2 (en) 2014-09-02 2014-09-02 Harvesting machine
PCT/JP2015/073852 WO2016035612A1 (en) 2014-09-02 2015-08-25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650A true KR20170053650A (en) 2017-05-16
KR102422584B1 KR102422584B1 (en) 2022-07-20

Family

ID=5543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556A KR102422584B1 (en) 2014-09-02 2015-08-25 Harvest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22584B1 (en)
CN (4) CN110432006B (en)
PH (1) PH12017500362A1 (en)
WO (1) WO20160356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4113B (en) * 2018-06-27 2022-10-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Steering mechanism and wheelchair provided with sam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61Y2 (en) * 1989-09-04 1996-06-19 株式会社クボタ Operating device for all culm-type combine harvesters
JPH09205852A (en) 1996-02-02 1997-08-12 Kubota Corp Maneuvering tower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2001161110A (en) * 1999-12-03 2001-06-1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rawler traveling car
JP2003095116A (en) 2001-09-19 2003-04-03 Kubota Corp Operating part structure of working machine
JP2005324791A (en) * 2005-06-08 2005-11-24 Kubota Corp Steering device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JP2006042609A (en) * 2004-07-30 2006-02-16 Iseki & Co Ltd Combine harvester
KR20080022484A (en) * 2006-09-06 2008-03-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harvester
JP2012147744A (en) * 2011-01-20 2012-08-09 Yanmar Co Ltd Combine harvester
JP2012223094A (en) * 2011-04-15 2012-11-15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37U (en) * 1986-07-09 1988-01-25
CN1055268C (en) * 1994-06-14 2000-08-09 布林克斯韦斯特马斯公司 Self-stabilising directionally controllable vehicle with at least three wheels
DE69738924D1 (en) * 1997-01-23 2008-10-02 Yanmar Agricult Equip MOBILE LANDING MACHINE
JP3831531B2 (en) * 1998-09-11 2006-10-1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Combine traveling device
JP2001245521A (en) * 2000-03-06 2001-09-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General-purpose combine harvester
US7182691B1 (en) * 2000-09-28 2007-02-27 Immersion Corporation Directional inertial tactile feedback using rotating masses
JP3717457B2 (en) * 2002-03-29 2005-11-16 株式会社クボタ Steering lever support structure
JP3870879B2 (en) * 2002-08-30 2007-01-24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JP4101139B2 (en) * 2003-09-10 2008-06-18 株式会社クボタ Harvesting machine
JP4390072B2 (en) * 2005-02-28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GB0507929D0 (en) * 2005-04-20 2005-06-01 Cnh Belgium Nv Agricultural vehicle with reconfigurable control
JP2007082450A (en) * 2005-09-21 2007-04-05 Kubota Corp Operation apparatus for working vehicle
JP2007094825A (en) * 2005-09-29 2007-04-12 Kubota Corp Operation device for work vehicle
JP4746416B2 (en) * 2005-12-01 2011-08-10 株式会社クボタ Crawler tensioning device for crawler traveling device
CN101933432B (en) * 2005-12-01 2014-04-09 株式会社久保田 Combine harvester
CN201001287Y (en) * 2006-09-12 2008-01-09 许明远 Self-walking low-stalk crop combined harvester
KR101475522B1 (en) * 2007-06-25 2014-12-2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JP2009001233A (en) * 2007-06-25 2009-01-08 Kubota Corp Crawler travelling device for working machine
CN201156885Y (en) * 2008-01-18 2008-12-03 王辉 Caterpillar band ambulation type miniature rice combine
KR101131818B1 (en) * 2010-03-12 2012-03-3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Combine
JP2012064152A (en)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Work vehicle
WO2012099006A1 (en) * 2011-01-20 2012-07-26 ヤンマー株式会社 Combine
JP2013252071A (en) * 2012-06-05 2013-12-19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General-purpose combine harvest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61Y2 (en) * 1989-09-04 1996-06-19 株式会社クボタ Operating device for all culm-type combine harvesters
JPH09205852A (en) 1996-02-02 1997-08-12 Kubota Corp Maneuvering tower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2001161110A (en) * 1999-12-03 2001-06-1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rawler traveling car
JP2003095116A (en) 2001-09-19 2003-04-03 Kubota Corp Operating part structure of working machine
JP2006042609A (en) * 2004-07-30 2006-02-16 Iseki & Co Ltd Combine harvester
JP2005324791A (en) * 2005-06-08 2005-11-24 Kubota Corp Steering device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KR20080022484A (en) * 2006-09-06 2008-03-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harvester
JP2012147744A (en) * 2011-01-20 2012-08-09 Yanmar Co Ltd Combine harvester
JP2012223094A (en) * 2011-04-15 2012-11-15 Yanmar Co Ltd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584B1 (en) 2022-07-20
CN110432004A (en) 2019-11-12
CN110432004B (en) 2022-06-14
CN110432005B (en) 2022-04-08
CN110432005A (en) 2019-11-12
CN110432006A (en) 2019-11-12
CN106793755B (en) 2019-09-27
PH12017500362B1 (en) 2017-07-17
PH12017500362A1 (en) 2017-07-17
CN106793755A (en) 2017-05-31
CN110432006B (en) 2022-05-24
WO2016035612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314B2 (en) Farm work vehicle
EP2002703B1 (en) Neutral adjustment mechanism
US10328798B2 (en) Work vehicle
KR20170053650A (en) Harvester
JP2015029456A (en) Combine harvester
JP6731886B2 (en) Harvester
JP3734782B2 (en) Combine front column
JP2020065472A (en) Combine-harvester
JP6280843B2 (en) Harvesting machine
JP6280844B2 (en) Harvesting machine
JP2016049098A (en) Harvester
JP2015029455A (en) Combine harvester
JP7109358B2 (en) riding lawn mower
JP4888514B2 (en) Working vehicle operating device
KR102529944B1 (en) Control lever assembly of combine
JP2000316359A (en) Combine harvester
JP2545253Y2 (en) Working structure of working equipment
JP3597138B2 (en) Work machine attitude control device
JP4989255B2 (en) Passenger work vehicle
JP2003000034A (en) Combine
JP2023131331A (en) Combine harvester
JP2624379B2 (en) Sensor support structure of reaper and harvester
JP4897319B2 (en) Combine
JP2010022282A (en) Combined harvester
JPH0837893A (en) Reaper-sliding type combine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