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366A -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366A
KR20170053366A KR1020150155781A KR20150155781A KR20170053366A KR 20170053366 A KR20170053366 A KR 20170053366A KR 1020150155781 A KR1020150155781 A KR 1020150155781A KR 20150155781 A KR20150155781 A KR 20150155781A KR 20170053366 A KR20170053366 A KR 2017005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um
media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946B1 (ko
Inventor
명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앳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앳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앳스퀘어
Priority to KR102015015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46B1/ko
Priority to PCT/KR2016/011718 priority patent/WO2017078295A1/ko
Publication of KR2017005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861
    • G06F17/3089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에 손쉽게 발행할 수 있으며, 각 매체에 발행된 서로 다른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은 콘텐츠 관리 서버가 콘텐츠 등록 및 콘텐츠 발행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데 필요한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에 손쉽게 발행할 수 있으며, 각 매체에 발행된 서로 다른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인터넷이 발달하여 개인적으로 게시판을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와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블로그의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블로그(blog)는 웹(web)과 로그(log)를 합친 낱말로, 자신의 느낌, 생각,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을 웹에다 기록하여 다른 사람도 보고 읽을 수 있도록한 글들의 모음이다. 여러 사람이 글을 쓸 수 있는 게시판(BBS)과는 달리 블로그에는 한 사람 혹은 몇몇 소수의 사람만이 글을 올릴 수 있다. 블로그는 대형 매체 못지 않은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1인 매체(1인 미디어)라고도 불린다.
포털, 신문사, 인터넷 서점, 블로그 전문 웹사이트 등과 같이 다양한 매체들이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들은 원하는 매체를 통해 블로그를 개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매체가 별도로 블로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각 매체의 블로그별로 콘텐츠를 등록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여러 매체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즉, 각 매체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가 어떤 매체로 얼만큼 확산되었는지 등을 한 눈에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126913(발명의 명칭: 콘텐츠 및 통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문서들의 생성, 공유 및 수정, 공개일: 2013년 11월 21일)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에 손쉽게 발행할 수 있으며, 각 매체에 발행된 서로 다른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은 콘텐츠 관리 서버가 콘텐츠 등록 및 콘텐츠 발행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데 필요한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메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매체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매체 관리 메뉴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회원 관리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세부 정보가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되어 표시되며, 상기 항목은 카테고리, 형식, 제목, 작성자, 작성일, 포스팅 및 관리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목의 하단에는 상기 콘텐츠의 키워드,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 상기 콘텐츠가 상기 매체에 발행된 시각, 상기 콘텐츠를 상기 매체에 발행한 사람 및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로부터 수집된 소비자 행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다.
상기 소비자 행동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조회된 횟수인 조회수, 상기 콘텐츠가 다른 매체로 공유된 횟수인 공유수, 상기 콘텐츠에 남겨진 댓글의 수인 댓글수 및 상기 콘텐츠가 추천된 횟수인 추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팅 항목에는 상기 콘텐츠를 매체로 발행할 수 있는 매체로 발행 아이콘이 배치되고, 상기 관리 항목에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삭제하는 삭제 아이콘이 배치된다.
상기 매체로 발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매체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매체 목록, 상기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상기 매체 목록에서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박스, 상기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상기 콘텐츠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에 계정을 연결하거나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계정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의 매체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본문, 상기 콘텐츠의 발행 정보 및 상기 소비자 행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의 파급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매체회원 정보 및 개인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인회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필명, 소개, 주소, 연락처,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등록된 매체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참여 매체, 상기 참여 매체에서 상기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참여 매체에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권한은 저작자 또는 관리자로 설정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에 일괄적으로 발행할 수 있으며, 각 매체에 발행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의 파급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번의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 저작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매체들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용이하게 수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장치(100), 콘텐츠 관리 서버(200) 및 매체 서버(300, 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101)가 사용하는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는 유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tablet), 스마트폰(smart phone) 및 모바일 게임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장치의 종류가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101)는 사용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콘텐츠 관리 서비스에 개인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로그인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비스란 콘텐츠 저작자가 콘텐츠(예를 들어, 기사, 글)를 다양한 매체에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매체에 발행된 콘텐츠의 유통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콘텐츠 관리 서비스에 로그인한 사용자(101)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자신의 콘텐츠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1)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들의 발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101)는 자신이 등록한 콘텐츠의 발행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등록한 콘텐츠의 발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1)는 다른 사용자들이 등록한 콘텐츠를 매체로 발행할 수도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장치(100)로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의 등록, 발행, 및 확인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텐츠의 발행 상태를 확인한다. 즉, 저장된 콘텐츠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매체들 중에서 어떤 매체에 발행되었으며, 어떤 매체에 미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를 사업자 장치로 전송한 후,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발행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각 매체에 발행한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매체의 파급력을 분석한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매체 서버(300, 400)는 언론매체(言論媒體)의 서버를 말한다. 각각의 언론매체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콘텐츠 관리 서비스에 매체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로그인 처리부(220), 매체회원 정보 저장부(230), 개인회원 정보 저장부(240),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250), 콘텐츠 저장부(260), 처리부(270), 수집부(280) 및 분석부(29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장치(100) 및 매체 서버(300, 4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한다. 일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로그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로그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의 발행 상태를 확인한 확인 결과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발행 정보를 수신하고,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각 매체 서버(300, 4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와이브로(W적외선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예로 들 수 있다.
로그인 처리부(220)는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접속하는 사용자(101)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로그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로그인 처리부(220)는 로그인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계정 정보와 개인회원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계정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101)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로그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된다.
매체회원 정보 저장부(230)는 매체회원 정보를 저장한다. 매체회원 정보로는 각 언론매체의 이름, 연락처, 주소 및 종류를 예로 들 수 있다. 매체회원 정보 저장부(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개인회원 정보 저장부(240)는 개인회원 정보를 저장한다. 개인회원 정보로는 사용자(101)의 이름, 필명, 소개, 주소, 연락처, 사용자(101)가 참여하고 있는 매체(이하 '참여 매체'라 한다), 각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의 권한, 및 각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가 사용하고 있는 계정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참여 매체에서의 사용자(101) 권한은 '저작자' 또는 '관리자'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의 권한이 '저작자'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101)는 자신이 창작한 콘텐츠를 제1 참여 매체에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제2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의 권한이 '관리자'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101)는 제2 참여 매체에 발행되어 있는 콘텐츠를 구매하거나, 콘텐츠의 저작자에게 콘텐츠 제작을 의뢰할 수 있으며, 제2 참여 매체에 발행되어 있는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콘텐츠를 제2 참여 매체로 발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회원 정보 저장부(2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250)는 사용자(101)가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콘텐츠 관리 메뉴, 매체 관리 메뉴 및 회원 관리 메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되며, 사용자 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101)는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콘텐츠의 발행 상태를 확인하거나, 콘텐츠를 발행하는데 필요한 발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콘텐츠 저장부(26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26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처리부(270)는 각 매체별로 콘텐츠의 발행 상태를 확인한다. 즉, 콘텐츠가 어떤 매체에 발행된 상태이고, 어떤 매체에 미발행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된 발행 상태 정보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부(270)는 콘텐츠의 발행 상태 정보와 함께 추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추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101)는 자신의 콘텐츠를 어떤 매체의 어떤 카테고리에 발행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처리부(270)가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처리부(270)는 콘텐츠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g)한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덩어리 안에서 단어들을 분해해 단어의 출현 빈도나 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의미 있는 정보(예를 들어, 확장 키워드)를 추출해내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로 확장 키워드가 획득되면, 처리부(270)는 획득된 확장 키워드와 콘텐츠에 설정되어 있는 키워드를 조합하여 키워드셋을 생성한다. 그 다음, 처리부(270)는 키워드셋과 각 매체 간의 매칭률, 키워드셋과 각 매체의 각 카테고리 간의 매칭률을 계산한다. 매체별 및 카테고리별로 매칭률이 계산되면, 처리부(270)는 계산된 매칭률에 기초하여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추천 정보 및 발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발행 정보가 수신되면, 처리부(270)는 수신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각 매체 서버(300, 400)로 전송한다.
수집부(280)는 콘텐츠가 각 매체 서버(300, 400)로 전송된 후,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소비자 행동 데이터란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행동으로 인한 데이터를 말한다. 소비자 행동 데이터로는 해당 콘텐츠가 조회된 횟수(이하 '조회수'라 한다), 해당 콘텐츠가 다른 매체로 공유된 횟수(이하 '공유수'라 한다), 해당 콘텐츠에 남겨진 댓글의 수(이하 '댓글수'라 한다) 및 해당 콘텐츠가 추천된 횟수(이하 '추천수'라 한다)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예시된 것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석부(290)는 콘텐츠의 본문, 콘텐츠의 발행 정보 및 수집부(280)에 의해 수집된 소비자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매체의 파급력을 분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급력은 매체 단위로 분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를 제1 매체에 발행시켰을 때의 소비자 행동 데이터와 콘텐츠를 제2 매체에 발행시켰을 때의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콘텐츠를 제1 매체에 발행했을 때의 조회수, 공유수, 댓글수 및 추천수 등이 더 많다면, 제2 매체에 비하여 제1 매체의 파급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파급력은 매체의 카테고리 단위로 분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를 제1 매체의 제1 카테고리에 발행시켰을 때의 소비자 행동 데이터와 콘텐츠를 제1 매체의 제2 카테고리에 발행시켰을 때의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콘텐츠를 제1 매체의 제2 카테고리에 발행시켰을 때의 조회수, 공유수, 댓글수 및 추천수 등이 더 많다면, 제1 카테고리에 비하여 제2 카테고리의 파급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파급력은 매체 단위 및 카테고리 단위를 모두 고려하여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 단위 및 카테고리 단위 중에서 좀 더 영향력이 큰 기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종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각 매체의 파급력이 결정될 수 있다.
분석부(290)의 분석 결과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되거나, 처리부(270)에서 콘텐츠 발행과 관련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콘텐츠 관리 메뉴, 매체 관리 메뉴 및 회원 관리 메뉴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 메뉴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매체 관리 메뉴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매체회원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회원 관리 메뉴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회원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콘텐츠 목록 메뉴, 콘텐츠 등록 메뉴, 카테고리 관리 메뉴 및 형식 관리 메뉴를 포함한다. 콘텐츠 목록 메뉴는 사용자(101)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콘텐츠 등록 메뉴는 사용자(101)가 새로운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카테고리 관리 메뉴는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형식 관리 메뉴는 콘텐츠의 형식(?)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이다.
도 3은 콘텐츠 관리 메뉴의 하위 메뉴들 중에서 콘텐츠 목록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단에는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아이콘들이 수평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아이콘들로는 '목록 뷰', '퀵 뷰', '전체', '발행', '미발행', '5개씩 보기',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카테고리', '형식', '매체', '필터', '일괄작업', '적용' 등의 아이콘 및 콘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창이 수평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목록 뷰 아이콘 및 퀵 뷰 아이콘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모두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목록 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각 콘텐츠의 세부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며, 퀵 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각 콘텐츠의 요약 정보만이 화면에 표시된다.
전체 아이콘, 발행 아이콘 및 미발행 아이콘은 콘텐츠의 발행 상태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전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들이 화면에 표시된다. 발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저장된 콘텐츠들 중에서 매체에 발행된 상태의 콘텐츠들만이 화면에 표시된다. 미발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는 저장된 콘텐츠들 중에서 매체에 미발행된 상태의 콘텐츠들만이 화면에 표시된다.
5개씩 보기 아이콘, 10개씩 보기 아이콘 및 20개씩 보기 아이콘은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의 개수를 지정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카테고리 아이콘, 형식 아이콘 및 매체 아이콘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카테고리, 형식 및 매체별로 필터링하여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카테고리 아이콘을 통해 소정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콘텐츠들만 표시된다. 형식 아이콘을 통해 소정 형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형식에 해당하는 콘텐츠들만 표시된다. 매체 아이콘을 통해 소정 매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매체에 발행된 콘텐츠들만 표시된다.
한편, 카테고리로는 스타트업(start-up) 및 테크(tech)를 예로 들수 있으며, 형식으로는 기사, 시평(時評), 시, 소설, 수필, 감상문, 설명문, 광고문 및 생활문(일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카테고리 및 형식의 종류가 예시된 것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종류의 카테고리 및 더 많은 종류의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괄작업 아이콘은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콘텐츠들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것인지, 개별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적용 아이콘은 앞서 설명한 아이콘들을 통해 설정된 조건을 적용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적용 아이콘이 선택되면, 앞서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콘텐츠들이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하단에는 검색된 콘텐츠들의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각 콘텐츠의 세부 정보는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형식, 제목, 작성자, 작성일, 포스팅 및 관리 항목 등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예시된 항목들 중에서 제목은 강조 처리될 수 있다. 강조 처리는 글자 굵기, 글자 모양 및 글자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목의 하단에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스포카, 전국 그램그램 매장에 '도도 포인트 설치」라는 제목을 가지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스포카', '도도 포인트' 및 '그램그램'이라는 키워드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키워드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101)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101)는 콘텐츠의 본문 중에서 중심이 되는 단어, 이름 및 인물을 포함하도록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의 하단에는 해당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들, 각 매체에 콘텐츠가 발행된 시각, 각 매체에 콘텐츠를 발행한 사람, 그리고 각 매체로부터 수집된 소비자 행동 데이터가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 행동 데이터로서 View, Comments, Facebook 및 Twitter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View는 조회수에 대응되고, Comments는 댓글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Facebook 및 Twitter는 각각 공유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 항목에는 '삭제'라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삭제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콘텐츠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삭제된다.
포스팅 항목에는 '매체로 발행'이라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매체로 발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콘텐츠를 발행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중첩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레고 온라인 대여 서비스 레츠고, 크라우드 펀딩 목표액 179% 달성」이라는 콘텐츠에서 발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중첩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부 영역에는 콘텐츠의 제목, 카테고리, 형식, 작성일, 작성자, 키워드 및 본문 등이 표시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앙 영역에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매체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매체 목록 및 매체별 콘텐츠 발행 상태가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는 매체회원으로 테스트22, 벤처스퀘어, 매일경제, 태크G 및 GAME N COMPANY 등이 등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레고 온라인 대여 서비스 레츠고, 크라우드 펀딩 목표액 179% 달성」이라는 콘텐츠는 벤처스퀘어 및 매일경제라는 매체에 이미 발행된 상태임을 알 수 있으며, 테스트22라는 매체에는 발행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테크G 및 GAME N COMPANY 등의 매체에는 발행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매체 목록에서 각 매체의 이름 앞에는 각 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박스가 배치된다. 또한, 매체 목록 중에서 콘텐츠 발행이 가능한 매체에는 콘텐츠의 발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선택창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창, 콘텐츠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 선택창이 배치된다. 사용자(101)는 카테고리 선택창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스타트업, 테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태 선택창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상태(예를 들어, 공개, 비공개, 검토중, 임시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101)가 콘텐츠의 상태를 '공개'로 선택한 후 발행하면, 콘텐츠는 해당 매체에 바로 공개된다. 만약, 사용자(101)가 콘텐츠의 상태를 '비공개'로 선택한 후 발행하면, 콘텐츠는 해당 매채에 비공개로 발행된다.
한편, 상태 선택창의 옆에는 계정연결 아이콘이 배치된다. 계정연결 아이콘은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101)가 각 매체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각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계정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테크G라는 매체의 계정연결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5와 같이, 테크G라는 매체에 계정을 새로 연결하거나, 테크G라는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계정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하단에는 바이라인(by-line)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 아이콘 및 표시안함 아이콘이 배치된다.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면, 콘텐츠 발행 시 바이라인이 표시되고, 표시안함 아이콘이 선택되면, 콘텐츠 발행 시 바이라인이 표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바이라인으로는 작성자 이름, 필명 및 소개 중 적어도 하나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유저 인터이스 화면의 최하단에는 취소 아이콘 및 포스팅 아이콘이 배치된다. 취소 아이콘은 콘텐츠가 각 매체에 포스팅되는 것을 취소하는 아이콘이고, 포스팅 아이콘은 앞서 선택된 매체, 카테고리, 상태, 계정 및 바이라인 표시 여부에 기초하여 각 매체에 콘텐츠를 포스팅하는 아이콘이다.
도 6은 회원 관리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의 상단에는 개인회원 검색을 위한 검색창이 배치된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하단에는 개인회원들의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각 개인회원의 세부 정보는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ID, 회원정보, 상태 및 관리 항목 등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회원정보 항목에는 사용자(101)의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참여 매체, 각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의 권한, 및 각 참여 매체에서 사용자(101)가 사용하고 있는 계정 정보 등이 표시된다.
상태 항목에는 개인회원의 상태가 표시된다. 개인회원의 상태로는 승인 및 대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승인은 사용자(101)가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대기는 사용자(101)가 콘텐츠 관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콘텐츠 관리 서비스의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사용자(101)는 콘텐츠 관리 서비스의 개인회원으로 등록된 상태이고, 다수의 매체가 콘텐츠 관리 서비스의 매체회원으로 등록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로그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700).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로그인 처리부(220)는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로그인을 처리하고, 로그인 처리 결과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S705).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관리 메뉴, 매체 관리 메뉴 및 회원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고(S710),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S715).
사용자 장치(100)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 장치(100)는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작성하고, 작성된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한다(S720).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260)에 저장하고, 해당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를 확인한다(S725). 즉, 매체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매체들 중에서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와 미발행된 매체를 확인한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확인 결과 즉,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S730).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와 함께 추천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천 정보는 콘텐츠를 어떤 매체의 어떤 카테고리에 등록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사용자 장치(100)는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를 표시한 후, 사용자(101)로부터 콘텐츠의 발행 정보를 입력받는다(S735). 콘텐츠의 발행 정보로는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 콘텐츠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스타트업, 테크), 콘텐츠의 상태(예를 들어, 공개, 비공개, 검토중, 임시글),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계정, 그리고 바이라인(예를 들어, 이름, 필명, 소개)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발행 정보가 입력된 후 포스팅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장치(100)는 발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고, 사용자(101)로부터 입력받은 발행 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740).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발행 정보를 저장하고(S745), 저장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각 매체에 발행한다(S750). 즉, 콘텐츠를 발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매체의 매체 서버(300, 400)로 전송한다. 매체 서버(300, 400)로 전송된 콘텐츠는 매체 서버(300, 400)에서 제공되는 웹 사이트 등에 게재된다.
이후,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발행된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매체 서버(300, 400)로부터 수집한다(S755). 발행된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로는 조회수, 공유수, 댓글수 및 추천수를 예로 들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의 본문, 콘텐츠의 발행 정보 및 매체 서버(300, 400)로부터 수집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매체의 파급력을 분석한다(S760). 실시 예에 따르면, 매체의 파급력은 매체 단위로 분석될 수도 있고, 매체의 카테고리 단위로 분석될 수도 있다. 분석 결과는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되거나, 콘텐츠 발행과 관련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콘텐츠 관리 시스템
100: 사용자 장치
200: 콘텐츠 관리 서버
300, 400: 매체 서버

Claims (10)

  1. 콘텐츠 관리 서버가 콘텐츠 등록 및 콘텐츠 발행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데 필요한 발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발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에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메뉴,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매체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매체 관리 메뉴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회원들을 관리할 수 있는 회원 관리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세부 정보가 다수의 항목으로 분류되어 표시되며,
    상기 항목은 카테고리, 형식, 제목, 작성자, 작성일, 포스팅 및 관리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목의 하단에는 상기 콘텐츠의 키워드,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 상기 콘텐츠가 상기 매체에 발행된 시각, 상기 콘텐츠를 상기 매체에 발행한 사람 및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로부터 수집된 소비자 행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행동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조회된 횟수인 조회수, 상기 콘텐츠가 다른 매체로 공유된 횟수인 공유수, 상기 콘텐츠에 남겨진 댓글의 수인 댓글수 및 상기 콘텐츠가 추천된 횟수인 추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항목에는 상기 콘텐츠를 매체로 발행할 수 있는 매체로 발행 아이콘이 배치되고,
    상기 관리 항목에는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삭제하는 삭제 아이콘이 배치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로 발행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매체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매체 목록, 상기 콘텐츠의 매체별 발행 상태, 상기 매체 목록에서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박스, 상기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상기 콘텐츠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에 계정을 연결하거나 상기 콘텐츠를 발행할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계정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의 매체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본문, 상기 콘텐츠의 발행 정보 및 상기 소비자 행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가 발행된 매체의 파급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매체회원 정보 및 개인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인회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필명, 소개, 주소, 연락처,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등록된 매체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참여 매체, 상기 참여 매체에서 상기 사용자의 권한 및 상기 참여 매체에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권한은 저작자 또는 관리자로 설정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55781A 2015-11-06 2015-11-06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81A KR101767946B1 (ko) 2015-11-06 2015-11-06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11718 WO2017078295A1 (ko) 2015-11-06 2016-10-25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81A KR101767946B1 (ko) 2015-11-06 2015-11-06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366A true KR20170053366A (ko) 2017-05-16
KR101767946B1 KR101767946B1 (ko) 2017-08-23

Family

ID=5866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81A KR101767946B1 (ko) 2015-11-06 2015-11-06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7946B1 (ko)
WO (1) WO2017078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2896B (zh) * 2018-10-11 2021-04-06 北京风行在线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发布内容信息的方法、装置、网络设备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59B1 (ko) * 2007-07-09 2010-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제작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04999B1 (ko) * 2008-08-27 2011-01-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10224700A (ja) * 2009-03-20 2010-10-07 Tms Kk Webサイト管理システム及びwebサイト管理方法
KR20130087959A (ko) * 2012-01-30 2013-08-07 주식회사 더블업커뮤니케이션 멀티 포스팅이 가능한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507B1 (ko) * 2013-02-06 2019-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sns 채널을 위한 sns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8295A1 (ko) 2017-05-11
KR101767946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8763B1 (en) Methods for providing a profile completion recommendation module
US9552433B2 (en) Generic content collection systems
US9582156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US201803419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ed sales associate services
US20140289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 users to comment on webpage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CN102902786A (zh) 管理并查看所跟踪的内容的技术
US20170134467A1 (en) Data stream monitoring
KR20180072222A (ko) 도서 추천 장치
US9621678B1 (en) Delivering and displaying content feeds on smartwatch devices
US20140188742A1 (en) System to integrate real-world objects into social networks
O’Regan et al. Smartphone adoption amongst Chinese youth during leisure-based tourism: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581333B1 (ko) 향상된 온라인 리서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783004B1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67946B1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218399B2 (en) Global value networks
Kumar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for redesigning library services at Kurukshetra university
US10572539B2 (en) Ecosystem-patterned user-centric information and interaction network
KR20190097346A (ko) 콘텐츠 추천 기능을 가지는 일정 관리 장치
Feroz et al. Digital Analytics for Marketing
TWM601392U (zh) 支付方式建議系統
JP7355395B2 (ja) ソーシャルアーカイビ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TWM507010U (zh) 情資媒合系統
KHASAWNEH SCHOOL OF APPLIED SCIENCES OF NEAR EAST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