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999B1 -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99B1
KR101004999B1 KR1020080083844A KR20080083844A KR101004999B1 KR 101004999 B1 KR101004999 B1 KR 101004999B1 KR 1020080083844 A KR1020080083844 A KR 1020080083844A KR 20080083844 A KR20080083844 A KR 20080083844A KR 101004999 B1 KR101004999 B1 KR 10100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ipple
scrap
content providing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183A (ko
Inventor
조희정
강장묵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에 연결된 장치가 웹상의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타 콘텐츠와 식별이 가능한 식별 태그를 콘텐츠에 설정하는 단계;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식별 태그를 추적하여 상기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랩 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및 그 경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파급력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텐츠, 파급력, 스크랩, 신디케이션, 조회, 피드백, 매쉬업

Description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ropagation of contents and site of offering the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신망 상에서 콘텐츠가 퍼져나가는 수를 이용하여 콘텐츠와 그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파급력(영향 및 효과)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인터넷이 발달하여 뉴스, 기사 등의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오프라인 신문보다는 인터넷 신문이 더 많은 이용자들에 의해 구독되고 있다.특히, 기사 등의 단순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콘텐츠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직접 제작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로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가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방대한 양의 수많은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선택함에 있어 도움이 되기 위한 방편으로 각 콘텐츠의 인기도 및 신뢰를 측정하거 나 높이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콘텐츠의 인기 및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콘텐츠를 확인한 이용자들의 숫자인 조회수를 이용한 방법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조회수는 동일한 사람이 여러 번 조회하는 경우(물론 IP를 확인하여 동일 IP에서 여러 번 조회가 안되도록 할지라도 완벽하게 신뢰와 인기도를 측정하는데는 무리가 있음)이를 통해서만은 보다 신뢰성 있는 콘텐츠의 인기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콘텐츠를 조회한 타 이용자들의 추천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추천수는 이용자들이 직접 추천이라는 행동을 취해야 하는 것으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추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실제 웹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를 보면 콘텐츠의 뷰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나 적은 양의 추천 횟수가 기록된다.
또한, 네이버, 야후 등의 포털 사이트뿐만 아니라, UCC 전문 사이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다루는 사이트들이 많이 나타나고 추세이다. UCC 유저 등 콘텐츠를 생성 및 보급하는 사용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많은 수의 사이트 중 보다 파급력(영향력, 효과 및 신뢰성 등)이 높은 사이트에 자신의 콘텐츠를 게재하고자 한다. 따라서, 콘텐츠를 다루는 다양한 사이트들에 대한 콘텐츠 파급력의 측정이 요구될 것이다.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은 의식하지 않는 조용한 기술(calm technology)로 측정되어야 그 신뢰성과 효과성이 높아지는데, 추천 등의 방식은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클릭을 하게하는 방식을 취함으로 자발적 참여의 수가 낮고 그에 따라 정확한 측정이 안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함에도 지금까지의 방식 중 자발적인 참여의 수고가 없으면서도 콘텐츠의 신뢰와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친밀한(friendly) 기술로 조회수 방식만이 사용되어 왔다. 즉 조회수 방식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기록하는 유일한 방식이라는 다양하지 못한 측정방법의 문제뿐만 아니라 발전 중인 콘텐츠의 진화로 정확한 파급력을 측량할 수 없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조회수 방식은 고정된 콘텐츠의 정적 신뢰와 영향력을 보여주지만 이동하는 콘텐츠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과 파급효과를 알려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콘텐츠는 인터넷과 현실을 가로지르며 IP가 동적으로 변화하며 특정 노드에서 컨텐츠의 확산과 영향력이 증가하는 허브의 출현 등을 기존의 방식으로는 추척하거나 분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텐츠의 스크랩 되는 경로 및 그 회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에 연결된 장치가 웹상의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타 콘텐츠와 식별이 가능한 식별 태그를 콘텐츠에 설정하는 단계; (b)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식별 태그를 추적하여 상기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크랩 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식별 태그가 위치한 웹페이지 주소의 개수로 상기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상기 콘텐츠의 태그 정보 중 제목 태그에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식별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는, 추적된 각 콘텐츠에 포함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랩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경로는 상기 콘텐츠의 파급 력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에 연결된 메인 측정 서버가 웹상의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급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를 운영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스크랩되었음을 통보 받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상기 스크랩 회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랩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됨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콘텐츠의 스크립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스크립 기능에는 상기 콘텐츠가 스크립된 웹 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리턴하는 기능이 포함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리턴된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메인 측정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에 연결된 장치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개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식별 태그를 임의의 콘텐츠에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각 식별 태그를 추적하여 각각의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스크랩 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됨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컨텐츠의 스크랩 회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컨텐츠의 스크랩됨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통보 받거나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식별 태를 이용하여 추적하기 위해 상기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가 스크랩되는 경우 상기 스크랩 회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스크랩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 측정 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스크랩되는 경우 스크랩된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가 기록되는 로그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스크랩 경로를 인식하며, 상기 스크랩 경로를 상기 파급력의 측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및 그 경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파급력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자체뿐 아니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트에 대한 파급력도 측정할 수 있어, 사이트의 인기도 조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이트, 사이트 안에 특정 웹 페이지, 검색어 등의 인기어 등에서 단순한 정량적인 스크랩 및 뷰(view)에 대한 조회수에서 네트 워크 분석을 통한 정성적인 커넥터(connector), 허브(hub), 노드(node)의 출현 시점 및 분류를 가능하게 함으로 웹 페이지 및 사이트에 광고를 내는 온라인 광고주에게 측정가능한 신뢰할 수 있는 파급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스크랩 회수 및 스크랩 경로 분석을 통한 파급력(영향 및 효과)을 측정하는 기술과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는다. 신디케이션(Syndication) 기술인 RSS, ATOM, 매쉬업(Mash-Up)기술인 위젯(widget), 오픈 API(open-API), 피드백(Feedback), 즐겨찾기(Favorite), 태그를 통한 폭소노미(folksonomy), 개작 및 수정을 통한 위키피디아의 콘텐츠 변형 추적을 통한 관심도 측정, 현실 세계에 일상화된 단말기의 IP에 다운로드되거나 연결되어 파급된 기기 분석 등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크랩은, 어느 하나의 물리적/논리적 공간(웹페이지 또는 특정 장치 등)에 위치한 콘텐츠가 타 공간으로 복사 또는 이동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파급력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태그를 포함한 태그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10),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서버(30-1, 30-2, ..., 30-n, 이하 30으로 통칭) 및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30)와 연결된 메인 측정 서버(5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신문기사, 동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30)가 신문사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신문기사, 카툰 등의 콘텐츠를 사이트에 게재하여 접속한 이용자들이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네이버, 야후 등의 포털 사이트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를 활용하는 사이트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사이트를 운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자신의 이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에 접속하여 원하는 콘텐츠 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30)는 제공되는 콘텐츠를 이용자들이 스크랩(참조번호 210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가 운영하는 사이트(이하, "콘텐츠 제공 사이트"라 칭함)에 접속하여 임의의 콘텐츠를 조회한 이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자신의 홈페이지, 블로그 등 주소 정보가 다른 웹페이지 또는 다른 사이트 등에 스크랩할 수 있다.
메인 측정 서버(50)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되는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인 측정 서버(50)는 상기한 콘텐츠가 얼마나 많은 이용자들에 의해 스크랩되는지를 측정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최초 게재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서만 스크랩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랩되어 옮겨진 임의의 사이트로부터 재 스크랩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에도 메인 측정 서버(50)는 재스크랩됨을 인식하여 해당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메인 측정 서버(50)는 콘텐츠가 스크랩되는 경로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콘텐츠 A가 게재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 a가 자신의 홈페이지에 콘텐츠 A를 스크랩하고, 유저 b가 유저 a의 홈페이지에서 콘텐츠 A를 스크랩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에 게재한 경우를 가정하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콘텐츠 A가 두 번 스크랩됨을 인식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랩된 경로를 함께 인식한다. 스크랩 경로는 로그(log)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자 단말기(10)의 아이피를 추적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콘텐츠를 스크랩해간 단말기들의 IP를 추적함으로써, 그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로그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 기로 한다.
이하, 메인 측정 서버(50)가 콘텐츠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한가지 방법으로는, 스크랩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리턴하는 기능을 해당 스크랩 기능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콘텐츠를 임의의 이용자가 스크랩하는 경우, 해당 스크랩 기능에는 스크랩된 사이트(또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URL 등)를 메인 측정 서버(50)로 전송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따라서, 콘텐츠가 타 서버 또는 사이트에 스크랩되더라도 메인 측정 서버(5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모든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기 위해 콘텐츠가 존재하는 모든 사이트에서 상기한 리턴 기능이 구비된 스크랩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최초 콘텐츠가 게재된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서는 스크랩 기능이 구비되더라도, 스크랩해간 다른 사이트에서 스크랩 기능에 리턴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인 측정 서버(50)는 정확한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텐츠의 게재가 가능한 모든 사이트에서는 상기한 리턴 기능을 구비한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스크랩 기능에 포함되는 상기한 리턴 기능에는, 스크랩되는 경로도 함께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랩되는 콘텐츠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도 함께 메인 측정 서버(50)로 리턴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되는 경로가 기록되는 로그 정보를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콘텐츠의 태그 정보 등에 스크랩되는 웹페이지의 주소정보가 로그(log) 정보로써 기록될 수 있으며, 리턴 기능에 따라 로그 정보가 메인 측정 서버(5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측정 서버(50)는 로그 정보를 통해 스크랩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측정 서버(50)는 스크랩 경로를 이용하여 몇 단계에 걸쳐 해당 콘텐츠가 스크랩되는지를 인지함으로써, 그 파급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단계에 걸쳐 스크랩될수록 파급력이 높게 측정될 수 있다. 또는, 경험치 및 유사한 영역에서 주요 허브 및 포털의 상단 등 어느 곳에 콘텐츠가 스크랩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스크랩되는 위치 별 다양한 가중치로 파급력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분석을 통한 콘텐츠 분포 및 밀집도, 콘텐츠 이동 경로 파악, 콘텐츠 배포의 허브(hub) 분석, 콘텐츠의 커넥터(connector) 발생 시점 및 정성적 변화 시점 분석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콘텐츠에 식별이 가능한 식별태그를 삽입하고(도 3 참조), 일정 시간 주기로 메인 측정 서버(50)가 상기한 식별태그를 추적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통신망을 통해 식별태그를 추적하면, 식별태그가 존재하는 곳에 해당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추적된 식별태그에 의해 콘텐츠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의 접속 주소를 취득할 수 있어 스크랩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제목, 저작자, 저작일시 등 에 대한 정보를 갖는 태그 정보를 보유한다. 따라서, 본 실시에에 따르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수시로 해당 콘텐츠를 추적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태그 정보에 타 콘텐츠와 구별될 수 있는 고유(unique) 식별 태그(310)를 삽입한다.
통상 콘텐츠의 검색에 제목 태그가 이용되기도 한다. 즉, 제목 태그의 내용이 검색어에 상응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가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제목 태그에 "#12345" 와 같은 일련번호 형식의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제목 태그를 식별 태그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콘텐츠에는 스크랩에 따른 주소 정보가 기록되는 로그 정보가 포함되어 스크랩될 때마다 로그 정보가 갱신될 수 있으며, 메인 측정 서버(50)는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랩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로그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은 콘텐츠 자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측정 서버(50)는 콘텐츠 자체의 파급력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다수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 각각에 대해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메인 측정 서버(50)는 동일한 콘텐츠를 최초 복수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토록 하고, 각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콘텐츠 각각의 파급력을 측정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사이트 자체의 파급력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사이트 a, b, c가 존재하고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각각 파급력을 측정한 경우, 일정시간 경과 후 콘텐츠 제공 사이트 a, b, c 각각에 게재되었던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를 비교하여 각 사이트들의 파급력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측정 서버(50)는 단순히 스크랩 회수만을 가지고 파급력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해당 콘텐츠의 조회수 정보 또는 추천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파급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총 조회수 대비 스크랩 회수 비율이 파급력 측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조회수를 측정하는 것은 UCC 사이트 등 현재 많은 수의 사이트에서도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메인 측정 서버(50)가 인터넷 상에 게재되는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상에 게재되는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 측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파급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정하고, 해당 콘텐츠를 게재하고 있거나 게재할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이에 대한 정보를 통보한다(s410). 해당 콘텐츠 제공 사이트는 해당 콘텐츠가 스크랩될 시 스크랩되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리턴하는 리턴 기능을 스크랩 기능에 추가한다(s410). 전술한 바와 같이 리턴 기능에는 스크랩 경로를 인식하기 위해 스크랩되는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도 리턴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차후, 상기한 콘텐츠가 스크랩되는 경우, 메인 측정 서버(50)는 전송되는 리턴 정보를 수신한다(s420). 여기서, 리턴 정보로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콘텐츠 제목 등), 로그 정보 및 스크랩된 웹페이지에 대한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측정 서버(50)는 리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회수 정보를 갱신한다(s430).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그 파급력을 산출한다(s440). 상술한 바와 같이 파급력 산출 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정보 및 스크랩 경로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되고 있거나 게재될 임의의 콘텐츠에 태그 정보 등에 식별 태그를 삽입한다(s510).
차후, 메인 측정 서버(50)는 일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어, 1시간) 통신망을 통해 식별 태그를 추적한다(s520).
메인 측정 서버(50)는 추적된 식별 태그에 따른 콘텐츠가 위치한 사이트 각각의 주소 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그 파급력을 측정한다(s530).
여기서, 식별 태그의 추적은 일정 시간 주기(예를 들어, 10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간 대비 스크랩 회수를 통해 그 파급력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콘텐츠 자체가 아닌 콘텐츠의 파급력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한 두 가지 스크랩 인식 방법 중 식별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서로 상이한 식별 태그를 삽입한 복수의 콘텐츠를 생성하고(s610), 각 콘텐츠를 파급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하도록 한다(s620).
차후, 메인 측정 서버(50)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각각의 식별 태그를 추적하고(s630), 추적된 결과에 따른 각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정보를 갱신한다(s640).
메인 측정 서버(50)는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 각 콘텐츠의 파급력을 측정하여, 이를 해당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으로써 결과를 출력한다(s650).
따라서, 측정된 파급력을 이용하여 각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기도 등을 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측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측정 서버(50)는 통신부(710), 저장부(730), 제어부(750)를 포함하되, 제어부(750)는 콘텐츠 처리부(752), 스크랩 회수 갱신부(754) 및 파급력 측정부(7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구성부의 각 기능부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메인 측정 서버(50)의 각 구성부를 설명함에 있어, 그 기능에 따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710)는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통신망을 통해 식별 태그를 추적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통신부(71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730)는 파급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각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정보에는 파급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회수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750)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서버(30)의 사이트에 게재되는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회수를 카운팅하여 그 파급력을 측정하기 위해 통신부(710) 및 저장부(730)를 제어한다.
콘텐츠 처리부(752)는 상기한 식별 태그를 삽입하도록 기능하며, 스크랩 회수 갱신부(754)는 콘텐츠가 스크랩됨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스크랩 회수 정보를 갱신하도록 기능한다. 스크랩 회수 갱신부(754)가 스크랩됨을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랩 기능의 리턴 기능을 이용하거나, 식별 태그를 추적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파급력 측정부(756)는 저장부(730)에 저장된 콘텐츠의 스크랩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파급력을 측정하도록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시간 대비 스크랩 회수, 조회수, 스크랩 경로 등을 이용하여 파급력이 측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 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파급력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태그를 포함한 태그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상에 게재되는 콘텐츠에 대한 파급력 측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측정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되는 경로가 기록되는 로그 정보를도시한 예시도.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는 메인 측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웹상에서의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에 있어서,
    (a) 통신망을 통한 검색의 편의를 위해, 타 콘텐츠와 식별이 가능한 일련번호 형식의 식별 태그를 콘텐츠에 설정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검색하여 추적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의 개수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회수로써 카운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한 이후 지나간 시간에 대비한 상기 스크랩 회수에 따른 시간당 스크랩 회수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파급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식별 태그를 삽입하여 복수개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시하고, 각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 게재된 콘텐츠의 각 식별 태그를 추적하여 스크랩 회수를 각각 카운팅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개별 콘텐츠 파급력을 산출하여 상기 각 콘텐츠 제공 사이트 자체의 파급력도 함께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콘텐츠의 태그 정보 중 제목 태그에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식별태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파급력 측정 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83844A 2008-08-27 2008-08-27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00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44A KR101004999B1 (ko) 2008-08-27 2008-08-27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44A KR101004999B1 (ko) 2008-08-27 2008-08-27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83A KR20100025183A (ko) 2010-03-09
KR101004999B1 true KR101004999B1 (ko) 2011-01-04

Family

ID=421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44A KR101004999B1 (ko) 2008-08-27 2008-08-27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95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벤처스퀘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35B1 (ko) * 2010-03-10 2012-03-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로그 월드에서의 주제별 정보 파급 분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349A (ja) 2005-09-20 2007-04-05 Mitsuhiro Ishizaka 情報共有システム
KR20080044915A (ko) * 2005-09-13 2008-05-2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블로그 문서의 순위 부여
KR100872305B1 (ko) 2007-04-12 2008-12-05 엔에이치엔(주) 블로그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0952391B1 (ko) * 2005-04-14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평가에 따른 가치 분석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91B1 (ko) * 2005-04-14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평가에 따른 가치 분석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 매체
KR20080044915A (ko) * 2005-09-13 2008-05-2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블로그 문서의 순위 부여
JP2007087349A (ja) 2005-09-20 2007-04-05 Mitsuhiro Ishizaka 情報共有システム
KR100872305B1 (ko) 2007-04-12 2008-12-05 엔에이치엔(주) 블로그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95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벤처스퀘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83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909B2 (en) Intelligent augmentation of media content
CN101534306B (zh) 一种钓鱼网站的检测方法及装置
US61699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bject (context) map and presenting Internet data according to the subject map
US20100094860A1 (en) Indexing online advertisements
CN101517967B (zh) 网站的流量预测
CN108090111B (zh) 用于搜索结果的动画摘录
CN101542516A (zh) 基于位置的、内容定向的信息
US20090313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ontextual sections of web page content for serving advertisements in online advertising
JP2008517373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内でのサーチのためのキーワードの生成
US201502543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Real-Time
CN102227744A (zh) 用于在社交网络中分发的可定制内容
CA2646656A1 (en) Targeted content delivery for networks
CN104731870A (zh) 一种用于提供推荐信息的方法与设备
CN103678325A (zh) 一种用于提供与初始页面相对应的浏览页面的方法和设备
Fenstermacher et al. Mining client-side activity for personalization
KR20080078930A (ko) 관심사를 반영하여 추출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ohail Search Engine Optimization Methods & Search Engine Indexing for CMS Applications
KR101004999B1 (ko)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파급력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483618B1 (ko) 웹페이지의 쿠키정보 및 리퍼러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akrydakis SEO mix 6 O’s model and categorization of search engine marketing factors for websites ranking on search engine result pages
CN104484415A (zh) 提供电子书的方法及装置
Bouras et al. Adaptation of RSS feeds based on the user profile and on the end device
KR101277300B1 (ko)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74025B1 (ko) 온라인 접속 통계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95129A (ko) 랜덤 검색 엔진을 포함한 검색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