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990A -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990A
KR20170052990A KR1020150155195A KR20150155195A KR20170052990A KR 20170052990 A KR20170052990 A KR 20170052990A KR 1020150155195 A KR1020150155195 A KR 1020150155195A KR 20150155195 A KR20150155195 A KR 20150155195A KR 20170052990 A KR20170052990 A KR 2017005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mperature sensor
battery module
battery ce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113B1 (ko
Inventor
이영호
박준규
성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13B1/ko
Priority to PL16862284T priority patent/PL3373359T3/pl
Priority to CN201680032108.6A priority patent/CN107683539B/zh
Priority to JP2018515997A priority patent/JP6578438B2/ja
Priority to US15/572,584 priority patent/US10629965B2/en
Priority to PCT/KR2016/010479 priority patent/WO2017078265A1/ko
Priority to EP16862284.3A priority patent/EP3373359B1/en
Publication of KR2017005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01M2/1083
    • H01M2/206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서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커넥션 보드, 인터커넥션 보드에 구비되며,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온도 센서 장착홈 및 온도 센서 장착홈의 저부에 구비되며, 온도 센서 관통 시 온도 센서와 마주 하는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2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여 고출력 대용량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등의 경우, 충방전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발화 또는 폭발 등이 문제될 수 있는 바,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에는 배터리 모듈 내부의 배터리 셀들의 온도를 파악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장착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는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배터리 모듈 내부의 배터리 셀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게 배터리 모듈 내부에 관통 삽입 장착된다.
이하,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온도 센서 장착을 위한 조립 공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 본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의 조립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 모듈(1)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3)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2),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2)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션 보드(5),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 장착홈(6) 및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6)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1) 내의 상기 배터리 셀(3)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7)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배터리 모듈(1)에서는 상기 온도 센서(7) 장착 시, 상기 배터리 셀(3)의 단부(4)가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6)의 저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온도 센서(7)의 단부(8)와 상기 배터리 셀(3)의 단부(4)와의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1) 내부로 상기 온도 센서(7)의 장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간섭 발생 시, 상기 온도 센서(7)를 억지로 밀어 넣는 등 상기 온도 센서(7)의 장착을 위한 조립을 지속할 경우, 상기 온도 센서(7)가 오조립되거나 상기 배터리 셀(3)의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 장착 시 온도 센서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로서, 서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커넥션 보드;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온도 센서 장착홈; 및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의 저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 센서 관통 시 상기 온도 센서와 마주 하는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의 저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될 수 있게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과 연통되는 센서 관통홀을 구비하는 방지부 본체; 및 상기 방지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 장착 시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을 상기 센서 관통홀 외측으로 밀어내는 센서 조립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는, 상기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를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은,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 장착 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와 접촉되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의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는, 상기 방지부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 본체의 외경은,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 장착 시 온도 센서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 장착 시 간섭으로 인한 배터리 셀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온도 센서 장착 구조를 통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의 조립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 인터커넥션 보드(200), 온도 센서 장착홈(300), 온도 센서(400) 및 오조립 방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주요한 각종 부품들의 조립체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는, 배터리 셀(110), 셀 카트리지(120) 및 엔드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은 서로 전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은, 각각, 전극 조립체(112), 파우치 케이스(114) 및 전극 리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2)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2)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파우치 케이스(114)는 상기 전극 조립체(112)를 패키징하며,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파우치 케이스(114)는, 파우치 본체(115) 및 파우치 테라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본체(115)는 상기 전극 조립체(11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는 상기 전극 조립체(112)를 수용하는 파우치 본체(115) 내부를 밀봉할 수 있게 상기 파우치 본체(115)로부터 돌출되어 열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118)는 상기 전극 조립체(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114)의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극 리드(118)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들(118)은 각각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셀 카트리지(12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0)을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셀 카트리지(12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적층을 가이드할 수 있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복수 개의 셀 카트리지들(120)에 장착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셀 카트리지들(120)의 전후 방향에서 최외곽에 구비된 셀 카트리지들(12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는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측,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는 커넥터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250)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외부의 제어 장치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등의 단자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은,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에는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의 온도,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후술하는 온도 센서(40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400)는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셀(110)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 센서(400)는 써미스터(Thermistor)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온도 센서(400)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온도 센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는 상기 온도 센서(40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온도 센서(400)의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 관통 시 상기 온도 센서(400)와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저부(202)로부터 하방(-Z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과 연통될 수 있게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의 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는, 방지부 본체(510) 및 센서 조립 가이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부 본체(510)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저부(202)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을 향해 하방(-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지부 본체(510)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로부터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지부 본체(510)는 센서 관통홀(5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관통홀(515)는 상기 온도 센서(400)를 관통시킬 수 있게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관통홀(515)은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과 함께 상기 온도 센서(400)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는 상기 방지부 본체(510)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 장착 시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의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를 상기 센서 관통홀(515)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는 상기 방지부 본체(510)의 외측면에 상기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을 향해 하방(-Z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는 대략 사선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지부 본체(510)의 외경을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상기 온도 센서(400)의 구체적인 조립 공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 센서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조자 등은,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게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100)에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는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200)의 상측에서 하방(-Z축 방향)으로 이동된 후 결합부재 등을 통해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의 저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셀(110)은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의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를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를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의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하방(-Z축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와 접촉하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의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520)를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의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는, 상기 센서 관통홀(515)을 벗어나면서 상기 센서 관통홀(515) 밖의 양측 중 어느 일측,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관통홀(515)의 좌측으로 밀려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는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의 저부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조자 등은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 및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의 상기 센서 관통홀(515)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400)를 관통시켜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200)의 하측(-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 장착홈(300)의 저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 셀(110)에서, 상기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는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300) 및 상기 센서 관통홀(515)을 벗어난 지점에 배치되는 바, 상기 온도 센서(400)의 관통 삽입 시, 상기 온도 센서(400)의 단부(405)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400)는 그 장착 시,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를 통해 마주 하는 배터리 셀(110)의 단부(117), 즉, 파우치 테라스(116)의 단부(117)에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110)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상기 오조립 방지부(500)를 통해 상기 온도 센서(4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온도 센서(400) 장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10)에서는 이러한 상기 온도 센서(400) 장착 구조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10)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P)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0)을 패키징하기 위한 팩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P)은 자동차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배터리 팩(P)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P)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P)은 상기 자동차 이외에도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P)과 상기 자동차와 같은 상기 배터리 팩(P)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상기 배터리 모듈(10)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P) 및 상기 배터리 팩(P)을 구비하는 상기 자동차와 같은 장치나 기구 및 설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P: 배터리 팩 50: 팩 케이스
10: 배터리 모듈 100: 배터리 셀 어셈블리
110: 배터리 셀 112: 전극 조립체
114: 파우치 케이스 115: 파우치 본체
116: 파우치 테라스 118: 전극 리드
120: 셀 카트리지 130: 엔드 플레이트
200: 인터커넥션 보드 250: 커넥터 장착부
300: 온도 센서 장착홈 400: 온도 센서
500: 오조립 방지부 510: 방지부 본체
515: 센서 관통홀 520: 센서 조립 가이더

Claims (9)

  1. 서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커넥션 보드;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관통되는 온도 센서 장착홈; 및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의 저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 센서 관통 시 상기 온도 센서와 마주 하는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의 저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온도 센서가 관통될 수 있게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홈과 연통되는 센서 관통홀을 구비하는 방지부 본체; 및
    상기 방지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 장착 시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을 상기 센서 관통홀 외측으로 밀어내는 센서 조립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는,
    상기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를 마주 하는 배터리 셀은,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 장착 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와 접촉되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의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 가이더는,
    상기 방지부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 본체의 외경은,
    상기 배터리 셀 어셈블리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립 방지부는,
    상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패키징하기 위한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50155195A 2015-11-05 2015-11-05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95A KR102011113B1 (ko) 2015-11-05 2015-11-05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L16862284T PL3373359T3 (pl) 2015-11-05 2016-09-20 Moduł akumulatorowy, pakiet akumulatorów zawierający taki moduł akumulatorowy i pojazd zawierający taki pakiet akumulatorów
CN201680032108.6A CN107683539B (zh) 2015-11-05 2016-09-20 电池模块、包括这种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这种电池组的车辆
JP2018515997A JP6578438B2 (ja) 2015-11-05 2016-09-20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15/572,584 US10629965B2 (en) 2015-11-05 2016-09-2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uch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such battery pack
PCT/KR2016/010479 WO2017078265A1 (ko) 2015-11-05 2016-09-20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16862284.3A EP3373359B1 (en) 2015-11-05 2016-09-20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uch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such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95A KR102011113B1 (ko) 2015-11-05 2015-11-05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90A true KR20170052990A (ko) 2017-05-15
KR102011113B1 KR102011113B1 (ko) 2019-08-14

Family

ID=5866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95A KR102011113B1 (ko) 2015-11-05 2015-11-05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29965B2 (ko)
EP (1) EP3373359B1 (ko)
JP (1) JP6578438B2 (ko)
KR (1) KR102011113B1 (ko)
CN (1) CN107683539B (ko)
PL (1) PL3373359T3 (ko)
WO (1) WO20170782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46A (ko) * 2018-08-03 2020-0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088465B1 (ko) * 2019-08-01 2020-03-12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각형 배터리 셀의 외측 표면 온도 측정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156A (ko) *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조립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5051097B (zh) * 2021-03-09 2024-04-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用电装置、制造方法及制造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5190B1 (en) * 1999-09-21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ells in the battery module
US20100136392A1 (en) * 2009-10-01 2010-06-03 Delphi Technologies, Inc. Cell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for a batttery module
JP2011060675A (ja) * 2009-09-14 2011-03-24 Yazaki Corp 電源装置のカバー構造
US20110104533A1 (en) * 2009-10-29 2011-05-05 Hitachi, Ltd. Battery Power Source
WO2013084942A1 (ja) * 2011-12-09 2013-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パック
KR20140083985A (ko) * 2011-10-05 2014-07-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배터리용 온도 센서의 장착용 클립
KR20150065280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9662B2 (ja) * 1999-09-22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DE102007042404A1 (de) 2007-09-06 2009-03-12 Robert Bosch Gmbh Akkupack
JP5360951B2 (ja) * 2008-01-25 2013-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取付構造
JP5455454B2 (ja) * 2009-06-08 2014-03-26 矢崎総業株式会社 簡便固定機能付き温度センサとそれの搭載された電池パック送風用エアダクト
JP5663579B2 (ja) * 2009-09-15 2015-02-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その上に設けられた温度センサー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US8574740B2 (en) * 2010-08-10 2013-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lded frame with corrugated cooling fin for air-cooled battery
US9142462B2 (en) 2010-10-21 2015-09-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 having a contact etch stop lay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5484403B2 (ja) 2011-06-08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005794B2 (en) * 2011-10-21 2015-04-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CN202372264U (zh) 2011-11-24 2012-08-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圆形电池温测系统及其温度传感器的固定装置
JP5939007B2 (ja) * 2012-04-13 2016-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KR102045528B1 (ko) 2013-02-14 2019-11-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6370145B2 (ja) * 2014-07-25 2018-08-08 Jm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2016072181A (ja) 2014-10-01 2016-05-09 愛三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
WO2016158395A1 (ja) * 2015-03-31 2016-10-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二次電池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5190B1 (en) * 1999-09-21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ells in the battery module
JP2011060675A (ja) * 2009-09-14 2011-03-24 Yazaki Corp 電源装置のカバー構造
US20100136392A1 (en) * 2009-10-01 2010-06-03 Delphi Technologies, Inc. Cell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for a batttery module
US20110104533A1 (en) * 2009-10-29 2011-05-05 Hitachi, Ltd. Battery Power Source
KR20140083985A (ko) * 2011-10-05 2014-07-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배터리용 온도 센서의 장착용 클립
WO2013084942A1 (ja) * 2011-12-09 2013-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パック
KR20150065280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46A (ko) * 2018-08-03 2020-0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088465B1 (ko) * 2019-08-01 2020-03-12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각형 배터리 셀의 외측 표면 온도 측정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3359A4 (en) 2018-10-31
EP3373359A1 (en) 2018-09-12
US20180159186A1 (en) 2018-06-07
US10629965B2 (en) 2020-04-21
PL3373359T3 (pl) 2020-01-31
KR102011113B1 (ko) 2019-08-14
WO2017078265A1 (ko) 2017-05-11
JP6578438B2 (ja) 2019-09-18
JP2018528592A (ja) 2018-09-27
CN107683539B (zh) 2020-05-15
EP3373359B1 (en) 2019-08-07
CN107683539A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01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647206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N107210404B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EP3336928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2101429B1 (ko) 리드 용접 장치, 이러한 리드 용접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979888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7683539B (zh) 电池模块、包括这种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这种电池组的车辆
US11456502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US20200168879A1 (en) Electrical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electrical assembly
US9356326B2 (en) Top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20200049123A (ko) 온도측정부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101953759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5630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573224B1 (ko) 삽입형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70090263A (ko)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KR2022006711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220384923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070370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4424391A (zh) 具有提高的抗振性的电池组
KR20180032120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036255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80076163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43306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