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533A -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533A
KR20170052533A KR1020170028047A KR20170028047A KR20170052533A KR 20170052533 A KR20170052533 A KR 20170052533A KR 1020170028047 A KR1020170028047 A KR 1020170028047A KR 20170028047 A KR20170028047 A KR 20170028047A KR 20170052533 A KR20170052533 A KR 2017005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folding table
receiving groove
chai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근
Original Assignee
이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근 filed Critical 이하근
Priority to KR102017002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533A/ko
Publication of KR2017005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에 일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위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테이블;과 테이블을 수납하도록 팔걸이의 외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수납홈;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Description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folding table typed hiding}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접이식 테이블이 팔걸이에 가공된 수납홈에서 인출되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만든 편의기구이다. 이러한 의자는 착석하기 위한 좌대, 지면과 닿는 바퀴가 일단부에 장착되면서 타단부에 좌대가 장착된 지지축, 좌대의 양측에 설치된 팔걸이,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착석한 이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걸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의자는 사용자의 편의를 좀 더 향상시키기 위해 책이나 잡지, 커피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여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는 일례로 강의실에 배치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이, 미용실에서 펌, 염색 등으로 장시간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동안 잡지나 전자기기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의자에 장착된 받침대는 다수의 축과 부재를 이용하여 복잡한 구조로 설치되고, 팔걸이보다 바깥쪽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설치되므로 의자에 앉기 위해 이동하거나 일어나서 이동하는 동안 신체나 옷에 걸려 불쾌감을 주는 등의 애로사항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305호(2013.08.0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061944호(1999.12.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543호(2012.10.0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7026호(1999.09.15.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95호(2011.02.17.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519호(2013.01.23. 공개)
상기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식 테이블을 단순한 구조로 팔걸이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수용시키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는,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에 일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위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테이블;과 테이블을 수납하도록 팔걸이의 외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테이블은 2개의 상판, 이들 상판을 연결하여 접히도록 장착된 경첩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이고, 상판들이 접혔을 때 대면하는 양면에 각각 자석 또는, 자석과 철부재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은 축회전시 수납홈이 마련된 일측 팔걸이의 상면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판들 중 팔걸이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일측 상판의 정면상 길이는 타측 상판보다 더 긴 형태이고, 펼쳐진 상태에서 평면상 등받이측인 후방 및 반대측인 전방 끝선이 전방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이루면서 후방측 끝선의 곡률이 전방측 끝선보다 더 큰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수납홈에서 인출된 테이블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위로 축회전하도록 팔걸이의 상부에 고정된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과, 접이식 테이블의 일측부에 설치된 장착구를 더 포함하고, 이때 회전축은 수납홈 내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수납홈의 대향된 양측 내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양측 내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착구에 회전축이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회전축을 따라 장착구가 등받이측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이동한 테이블이 축회전하여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반대측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이동한 테이블이 축회전하여 사용자의 무릎 위에 펼쳐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테이블이 전방에 위치하여 수납홈의 위치와 어긋난 상태에서 수납을 위한 축회전이 이루어지면 축회전 각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되도록 일측 팔걸이의 측면 또는 고정브라켓에 장착된 회전방지부재와, 테이블이 사용자 무릎 위에 펼쳐졌을 때 선단측 부위가 걸쳐지도록 반대측 팔걸이의 상면에 장착된 걸침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테이블을 팔걸이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시 받침대를 펼쳐 무릎 위에 위치시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을 축회전시켜 팔걸이의 옆면에 마련된 수납홈에 수용시키는 단순한 구조이면서 은폐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앉기 위해 이동하거나 일어서서 이동하는 동안 신체나 옷이 받침대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테이블이 축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테이블이 축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0), 등받이(110), 다리(120), 발받침대(130), 팔걸이(140), 회전축(150), 회전방지부재(160)와 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전방(前方)', '전부(前部)'는 발받침대(130)측 방향이고, '후방', '후부'는 등받이(110)측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테이블은 2개의 상판(171)이 접힐 수 있도록 제작된 접이식 테이블(170)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테이블은 1개의 상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대(100), 등받이(110), 다리(120), 발받침대(130)와 팔걸이(140)는 일반적인 의자에서 구비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축회전하는 접이식 테이블(170)과 이 접이식 테이블(170)을 수납하는 수납홈(141)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의자에서 좌대(100)와 팔걸이(140)를 제외한 등받이(110), 다리(120)와 발받침대(130) 중 적어도 하나는 배제될 수도 있고, 이들을 다른 형상 및 형태로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좌대(100)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다리(120)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등받이(110)는 이용자가 뒤로 젖혀 기댈 수 있도록 좌대(100)의 후부측에 장착된다.
다리(120)는 하부가 지면과 접촉하고, 상부에 좌대(100)가 장착된다. 이 다리(120)는 의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바퀴가 부착될 수도 있고, 바퀴를 배제할 수도 있다.
발받침대(130)는 좌대(100)에 앉은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좌대(100)의 하부 또는 다리(120)로부터 전방으로 둘출되도록 설치된 연장부재()와, 연장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발올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장부재()는 양립된 한 쌍을 구비하고, 발올림부재()는 양측 연장부재()를 연결하여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들 연장부재()와 발올림부재()는 그 형태와 구조는 통상의 구조를 차용할 수도 있다.
팔걸이(140)는 좌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고, 축회전하는 접이식 테이블(170)을 수납하기 위해 외면의 일부위에 수납홈(141)을 마련하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해 팔걸이(140)는 일례로 평면상 양측부위보다 중앙부위가 오목하게 가공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다른 예로 평면상 등받이측 부위가 외부로 돌출된 대략 "ㄱ"자형 또는 반대측 부위가 외부로 돌출된 대략 "ㄴ"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측면상 "ㅁ"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수납홈(141)의 측면상 폭 및 높이는 접이식 테이블(170)의 폭 및 높이보다 더 크게 제작된다. 따라서, 수납홈(141)에는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접이식 테이블(170)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팔걸이에는 수납홈(141)이 마련되고, 타측 팔걸이(140)의 상면에는 펼쳐진 접이식 테이블의 선단측 부위가 걸쳐지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걸침부재(142)가 팔걸이(140)의 상면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걸침부재(142)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전축(150)은 접이식 테이블(170)의 일측부가 장착되면서 접이식 테이블(170)이 축회전하는 중심축으로, 수납홈(141)의 상부를 대략 수평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부가 수납홈(141)의 대향된 양측 내면에 각각 고정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측면상 회전축(150)의 설치 높이는 접이식 테이블(170)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축회전하여 펼쳐질 때, 접이식 테이블(170)의 하면이 팔걸이(140)의 상면에 간섭되어 축회전이 방해되지 않고 펼쳐질 수 있는 정도이다. 이때, 회전축(150)에는 접이식 테이블(170)에 구비된 장착구(175)가 결합되므로, 회전축(150)의 설치 높이는 팔걸이(140)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50)은 접이식 테이블(170)의 축회전이 용이하도록 봉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150)의 양단부는 수납홈(141)의 양측 내면 즉, 팔걸이(140)의 돌출된 부위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같이 더욱더 강하게 설치하기 위해 팔걸이(140)의 돌출된 부위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51)에 용접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51)은 팔걸이(140)의 돌출된 부위의 2측면에 걸쳐 고정될 수도 있고, 1측면에만 고정될 수도 있다.
회전방지부재(160)는 접이식 테이블(170)이 축회전되어 수납홈(141)에 수납될 때, 수납하는 위치가 어긋나면 축회전을 저지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회전방지부재(160)는 회전축(150)의 일측부가 고정된 팔걸이(140)의 전방측 돌출된 부위이면서 접이식 테이블(170)의 장착구(175)가 설치된 일측부위와 간섭하도록 외향 돌출되어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와 같이, 회전방지부재(160)는 고정브라켓(151) 위에 외향 돌출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도 2나 도 3에서와 같이 펼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축(150)의 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의 접이식 테이블(170)을 접기 위해 축회전하면 접이식 테이블(170)의 일측부위가 회전방지부재(160)에 간섭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접이식 테이블(170)을 축회전시켜 수납홈(141)에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접이식 테이블(170)이 회전방지부재(160)에 간섭되지 않는, 펼쳤을 때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위치시키도록 한다.
접이식 테이블(170)은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2개의 상판(171)을 일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체결하는 경첩(172), 2개의 상판(171)이 접힌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면하는 양면에 각각 고정된 자석(173)과, 일측 상판(171)의 측부에 장착되어 회전축(150)에 끼워지는 장착구(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2개의 상판(171)은 길이가 각각 다르고, 도 2에서와 같이 장착구(175)가 설치된 상판(171)의 길이가 다른 상판(171)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는 2개의 상판(171)을 접거나 펼 때 팔걸이(140)의 상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2개의 상판(171)은 펼쳤을 때의 형상은 도 3에서와 같이 등받이(110)측 끝선과 반대측 끝선은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등받이(110)측 끝선은 사용자의 신체와 닿을 수 있으므로 그 곡률을 반대측 끝선보다 더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자석(173)은 2개의 상판(171)에서 접었을 때 마주하는 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또한, 일측 상판(171)에는 자석이 장착되고, 타측 상판(171)에는 철부재(174),steel part)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착구(175)는 어느 하나의 상판(171) 일측부에 고정되고, 회전축(150)이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회전축(15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회전축(150)이 관통하여 장착구(175)가 체결됨으로써, 접이식 테이블(170)이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좌대
110:등받이
120:다리
130:발받침대
140:팔걸이
141:수납홈
142:걸침부재
150:회전축
151:고정브라켓
160:회전방지부재
170:접이식 테이블
171:상판
172:경첩
173:자석
174:철부재
175:장착구.

Claims (6)

  1. 팔걸이(140)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40)에 일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무릎 위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테이블;과
    상기 접이식 테이블(170)을 수납하도록 팔걸이(140)의 외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수납홈(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2개의 상판(171), 이들 상판(171)을 연결하여 접히도록 장착된 경첩(172)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170)이고,
    상기 상판(171)들이 접혔을 때 대면하는 양면에 각각 자석(173) 또는, 자석(173)과 철부재(174))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170)은 축회전시 수납홈()이 마련된 일측 팔걸이()의 상면과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판(171)들 중 팔걸이(140)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일측 상판(171)의 정면상 길이는 타측 상판(171)보다 더 긴 형태이고, 펼쳐진 상태에서 평면상 등받이(110)측인 후방 및 반대측인 전방 끝선이 전방측으로 볼록한 곡률을 이루면서 후방측 끝선의 곡률이 전방측 끝선보다 더 큰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41)에서 인출된 테이블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위로 축회전하도록 팔걸이(140)의 상부에 고정된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150)과, 접이식 테이블(170)의 일측부에 설치된 장착구(17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50)은 수납홈(141) 내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수납홈(141)의 대향된 양측 내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양측 내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51)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175)에 회전축(150)이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회전축(150)을 따라 장착구(175)가 등받이(110)측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이동한 테이블이 축회전하여 수납홈(141)에 수납되거나, 반대측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이동한 테이블이 축회전하여 사용자의 무릎 위에 펼쳐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이 전방에 위치하여 수납홈(141)의 위치와 어긋난 상태에서 수납을 위한 축회전이 이루어지면 축회전 각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되도록 일측 팔걸이(140)의 측면 또는 고정브라켓(151)에 장착된 회전방지부재(160)와, 상기 접이식 테이블(170)이 사용자 무릎 위에 펼쳐졌을 때 선단측 부위가 걸쳐지도록 반대측 팔걸이(140)의 상면에 장착된 걸침부재(14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1020170028047A 2017-03-06 2017-03-06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20170052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47A KR20170052533A (ko) 2017-03-06 2017-03-06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47A KR20170052533A (ko) 2017-03-06 2017-03-06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662A Division KR20170051564A (ko) 2015-10-29 2015-10-29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33A true KR20170052533A (ko) 2017-05-12

Family

ID=5874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47A KR20170052533A (ko) 2017-03-06 2017-03-06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569A (zh) * 2019-04-01 2019-08-16 温州医科大学 一种便于调节的产科医疗护理用注射输液座椅
KR20190132843A (ko) * 2018-05-21 2019-11-29 (주)가구랜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다기능 베드쇼파
KR20220160719A (ko) 2021-05-28 2022-12-06 백소민 은폐형 접이식 팔걸이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43A (ko) * 2018-05-21 2019-11-29 (주)가구랜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다기능 베드쇼파
CN110123569A (zh) * 2019-04-01 2019-08-16 温州医科大学 一种便于调节的产科医疗护理用注射输液座椅
KR20220160719A (ko) 2021-05-28 2022-12-06 백소민 은폐형 접이식 팔걸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2533A (ko)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850005767A (ko) 철첩식 유아용 높은 의자
KR20170051564A (ko) 은폐형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20150046490A (ko) 의자
US5160183A (en) Combination table and leg rest for reclining chair
KR101097107B1 (ko) 접이식 의자
KR100650083B1 (ko) 메모대가 구비된 의자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JP2002223884A (ja) 椅 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CN220053608U (zh) 一种带折叠桌的后排座椅扶手
CN114521757B (zh) 折叠脚撑及柜子
JP3926210B2 (ja) 連結椅子
JP2605311Y2 (ja) 折りたたみ式テーブル
CN216961953U (zh) 一种两用折叠坐具
JP3229881U (ja) 折り畳み椅子
CN212574535U (zh) 一种椅子
JPH0418423Y2 (ko)
JP2013154043A (ja) 折畳み椅子
KR200165621Y1 (ko) 연결식 의자
KR200390432Y1 (ko) 접이식의자용 보조책상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