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107B1 -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107B1
KR101097107B1 KR1020090074821A KR20090074821A KR101097107B1 KR 101097107 B1 KR101097107 B1 KR 101097107B1 KR 1020090074821 A KR1020090074821 A KR 1020090074821A KR 20090074821 A KR20090074821 A KR 20090074821A KR 101097107 B1 KR101097107 B1 KR 10109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rest
auxiliary desk
sea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251A (ko
Inventor
배춘선
Original Assignee
배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춘선 filed Critical 배춘선
Priority to KR10200900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1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이 등받이측으로 접혀지도록 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의식 의자는 등받이(111)와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110)과,
시트(121)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프레임(110)과 접철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프레임(120)과,
시트프레임(12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110)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1연결프레임(14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2연결프레임(150)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연결프레임(140)과 제2연결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이식, 의자, 접철, 보조책상,

Description

접이식 의자{Folding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이 등받이측으로 접혀지도록 한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를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의자는 그 사용의 간편함으로 인해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이식의자는 등받이(10)와, 상기 등받이(10)와 접철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시트(20)와, 상기 등받이(10)와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며 시트(20)가 등받이(10)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시트(20)의 양측과 힌지 결합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 상태에 따라 등받이프레임(30)을 선택적으로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4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과 지지 프레임(40)을 연결하면서 일단은 등받이프레임(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커(50)로 구성된다.
아울러, 뒷좌석에 위치한 사람이 책을 올려놓거나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접철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책상(60)이 등받이(10) 배면에 설치되고, 등 받이프레임(30)의 측부에는 팔걸이(7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이식의자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기위해서는 먼저 시트(20)를 들어올려야 하는데, 시트(20)를 들어올리게 되면 시트(20) 양측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시트(20)가 등받이(10)측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등받이프레임(30)이 링커(50)에 의해 지지프레임(40)측으로 접철된다. 그 결과 시트(20)와 등받이(10) 그리고 등받이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40)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철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의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등받이(10) 배면에 설치된 보조책상(60)을 통하여 뒷자리에 앉은 사람이 필기도구를 올려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접철시 등받이(10)의 각도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보조책상(60)을 사용하고 있는 뒷자리에 앉은 사람이 곤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뒷자리에 앉은 사람이 보조책상(6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만 접철이 가능하다는 제약이 뒤따른다.
아울러, 종래에는 팔걸이(70)의 접철되지 않아 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접철 보관시 정리감이 떨어지고 의자끼리 밀착이 되지 않아 보관면적을 크게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설령 팔걸이(70)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하더라도 의자의 접철동작과는 별도로 등받이(10)측으로 밀착되게 회동시켜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의자를 접을 수 있게 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를 회동시키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의자의 접철시 팔걸이도 같이 접철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등받이와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시트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접철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2연결프레임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제2연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팔걸이와, 양단이 각각 상기 팔걸이의 자유단과 시트프레임의 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팔걸이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팔걸이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힌지브라켓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하부에는 시트프레임이 관통하는 개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이 힌지브라켓의 개방홈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핀부재가 시트프레임를 관통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된다.
한편, 등받이 배면에는 수평상태로 접철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책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책상은 상기 등받이 배면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양단부를 갖는 보조책상프레임과, 상기 보조책상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보조책상 본체와, 보조책상프레임이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단부가 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조책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책상 지지프레임과, 상기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단부가 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될 때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보조책상프레임에 돌출된 지지부재와, 상기 보조책상프레임이 등받이 배면측으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책상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보조책상본체에 고정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도록 등받이 배면에 고정된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의자가 접철된 상태에서 지면의 수직선상을 대하여 시트의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에 의하면, 시트는 물론 팔걸이까지 모두 등받이쪽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교회나 강당에서와 같이 횡으로 좌석이 배치되는 장소에 프레임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켜 설치될 경우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서 발현되기 힘든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시트가 등받이쪽으로 접철되므로 앞좌석과의 매우 넓은 좌석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접이식 의자에 비해 열과 열사이의 통로이동성 및 출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의자를 접거나 펼칠 때 종래의 접이식 의자와는 달리 등받이가 회동되거나 유동되지 않으므로 의자를 접철시킨 상태에서도 뒤에 앉은 사람이 보조책상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팔걸이를 회동시키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 지 않고도 의자의 접철시 팔걸이도 같이 접철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111)와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110)과, 시트(121)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프레임(110)과 접철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시트프레임(120)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시트프레임(120)의 양측에는 지지프레임(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마주하는 시트프레임(120)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단부(131)에 대응되도록 삽입관통공(120a)을 형성시키고. 삽입관통공(120a)의 외측방향에서 부시(122)를 끼워 삽입관통공(120a)의 내측방향으로 끼워지는 절곡단 부(131)과 부시(122)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절곡단부(131)에는 환형의 걸림돌기(132)를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부시(122)의 내주면에는 홈부(122a)를 형성시켜 삽입관통공(120a)을 통해 절곡단부(131)와 부시(122)가 서로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하단은 지면에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13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하단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등받이프레임(110) 사이에는 제1연결프레임(140)이 수평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시트프레임(120) 사이에는 제2연결프레임(150)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140)과 제2연결프레임(150)은 링커(16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링커(160)는 양단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140)과 제2연결프레임(15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프레임(130)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돕는 동시에 지지프레임(130)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30)의 회동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링커(160)는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를 접철시킬 때 함께 접철이 가능한 팔걸이(1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팔걸이(17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110)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170)의 자유단에는 하단이 시트프레임(120)의 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팔걸이지지프레임(180)의 상단이 힌지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팔걸이지지프레임(180)의 하단에는 힌지브라켓(190)이 끼 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힌지브라켓(190)은 하부에 시트프레임(120)이 관통하는 개방홈부(191)가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브라켓(190)의 개방홈부(191)를 시트프레임(120)이 관통한 상태에서 핀부재(192)가 시트프레임(120)를 관통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190)에 결합된다.
따라서, 팔걸이(170)는 의자가 접철될 때 상향회동하는 시트프레임(120)으로부터 회동력을 부여받아 등받이프레임(110)과의 힌지결합부 및 팔걸이지지프레임(180)의 양단의 힌지부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등받이(111)측에 밀착되도록 접철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1) 배면에는 수평상태로 접철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책상(2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책상(20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110)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등받이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양단부를 갖는 보조책상프레임(210)과, 상기 보조책상프레임(210) 상에 고정되는 보조책상 본체(22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보조책상 본체(22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보조책상프레임(210)은 보조책상 본체(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디귿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책상프레임(210)의 개방단은 등받이프레임(110)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책상프레임(210)의 개방단은 등받이프레임(110)측으로 외향 절곡되어 등받이프레임(110)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책상프레임(210)의 내측으로는 보조책상프레임(210)이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등받이(111)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지단을 가진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은 보조책상(200)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디귿자로 형성되며 보조책상프레임(210)이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개방단이 등받이프레임(110)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단이 보조책상프레임(210)을 가로지르는 수평바(2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은 수평바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의 개방단은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의 상기 개방단은 보조책상프레임(210)측으로 외향 절곡되어 보조책상프레임(210)에 끼움결합된다.
또한, 보조책상프레임(210)에는 상기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의 지지단이 등받이(111)의 배면에 밀착될 때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이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하도록 상기 보조책상프레임(210)이 등받이(111) 배면측으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242)가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242)는 보조책상프레임(210)을 내측으로 가로지르는 또 다른 수평바인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보조책상(200)은 보조책상프레임(210)이 등받이(111) 배면측으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책상프레임(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수단(25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250)은 보조책상 본체(220)에 고정된 자성체(252)와, 상기 자성체(252)에 대응되도록 등받이(111) 배면에 고정된 자석(25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프레임(110)은 의자가 접철된 상태에서 지면의 수직선상을 대하여 시트(121)의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등받이프레임(110)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인 경우, 시트의 접철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가 한손만으로도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121)를 들어올리는 단 한번의 동작만으로 의자를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손으로 시트(121) 또는 시트프레임(120)을 잡고 들어올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20)이 등받이프레임(110)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접철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30)과 팔걸이(170)가 함께 접철된다. 즉, 지지프레임(130)은 시트프레임(120)을 따라 상승하면서 시트프레임(120)과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하향회동하면서 접철되고, 팔걸이지지프레임(180)은 상단이 팔걸이(170)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하단이 힌지브라켓(190)을 통해 시트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21)의 회동각도에 따라 팔걸이(17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절히 각도를 변경해가면서 팔걸이(170)측에 시트프레임(120)으로부터의 상향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팔걸이(170)는 팔걸이지지프레임(180)으로부터 시트프레임(120)의 상향력을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등받이프레임(110)과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향회동하면서 접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시트(121)는 물론 팔걸이(170)까지 모두 등받이(111)쪽으로 동시에 접철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회나 강당에서와 같이 횡으로 좌석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장소에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시켜 설치하면, 시트(121)가 등받이(111)쪽으로 접철되므로 시트(121)가 등받이(111)쪽으로 접철되기 이전의 좌석간 거리(d)보다 훨씬 넓은 좌석간 거리(D)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책상은 평상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1) 배면에 고정된 자석(251)과 보조책상 본체(220)에 고정된 자성체(252)에 의해 접철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사용자가 보조책상을 아래로 당기면 하향회동하면서 펼쳐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책상(200)은 수평상태가 되면 보조책상 지지프레임(230)의 지지단이 등받이(111)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책상(200)은 의자를 접거나 펼칠 때 종래의 접이식 의자와는 달리 등받이(111)가 회동되거나 유동되지 않으므로 의자를 접철시킨 상태에서도 뒤에 앉은 사람이 보조책상(20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등받이부를 제외하고 시트 프레임류만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배면도로서, 보조책상이 설치된 상태의 등받이프레임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측면도로서, 보조책상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등받이부 요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측면도로서, 보조책상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등받이부 요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등받이프레임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강당이나 교회와 같이 횡으로 좌석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등받이프레임 111...등받이
120...시트프레임 121...시트
130...지지프레임 140...제1연결프레임
150...제2연결프레임 160...링커
170...팔걸이 180...팔걸이지지프레임
190...힌지브라켓 191...개방홈부
192...핀부재 200....보조책상
210...보조책상프레임 220...보조책상 본체
230...보조책상 지지프레임 242...지지부재
250...고정수단 251...자석
252...자성체

Claims (7)

  1. 등받이와 결합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시트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접철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제2연결프레임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제2연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팔걸이와,
    양단이 각각 상기 팔걸이의 자유단과 시트프레임의 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팔걸이지지프레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힌지브라켓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의 하부에는 시트프레임이 관통하는 개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이 힌지브라켓의 개방홈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핀부재가 시트 프레임를 관통하도록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상태로 접철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등받이 배면에 설치된 보조책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책상은
    상기 등받이 배면측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등받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양단부를 갖는 보조책상프레임과,
    상기 보조책상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보조책상 본체와,
    보조책상프레임이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단부가 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조책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책상 지지프레임과,
    상기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단부가 등받이의 배면에 밀착될 때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조책상 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보조책상프레임에 돌출된 지지부재와,
    상기 보조책상프레임이 등받이 배면측으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책상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조책상 본체에 고정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도록 등받이 배면에 고정된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의자가 접철된 상태에서 지면의 수직선상을 대하여 시트의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KR1020090074821A 2009-08-13 2009-08-13 접이식 의자 KR10109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21A KR101097107B1 (ko) 2009-08-13 2009-08-13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821A KR101097107B1 (ko) 2009-08-13 2009-08-13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51A KR20110017251A (ko) 2011-02-21
KR101097107B1 true KR101097107B1 (ko) 2011-12-22

Family

ID=4377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821A KR101097107B1 (ko) 2009-08-13 2009-08-13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73U (ko) 2015-01-06 2016-07-14 정기수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20200086948A (ko) 2019-01-10 2020-07-20 이재오 접이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371B1 (ko) * 2011-12-29 2014-05-13 배춘선 자립형 접이식 의자
US20210153656A1 (en) * 2019-11-27 2021-05-27 Wyldly, LLC Folding 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98Y1 (ko) 2006-01-19 2006-04-24 주식회사 대성기업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25352Y1 (ko) 2006-05-26 2006-09-13 김영기 접이식 의자
KR200427740Y1 (ko) 2006-06-30 2006-09-29 주식회사 대성기업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98Y1 (ko) 2006-01-19 2006-04-24 주식회사 대성기업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25352Y1 (ko) 2006-05-26 2006-09-13 김영기 접이식 의자
KR200427740Y1 (ko) 2006-06-30 2006-09-29 주식회사 대성기업 접이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473U (ko) 2015-01-06 2016-07-14 정기수 테이블을 구비한 의자
KR20200086948A (ko) 2019-01-10 2020-07-20 이재오 접이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51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107B1 (ko) 접이식 의자
CN104905594B (zh) 课桌椅双层床两用家具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KR200425352Y1 (ko) 접이식 의자
CN106551541B (zh) 一种休闲折叠椅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CN204670756U (zh) 课桌椅双层床两用家具
KR101138348B1 (ko) 예배용 접이식 장의자
KR100700114B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KR101138349B1 (ko) 예배용 접이식 장의자
KR100650083B1 (ko) 메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394371B1 (ko) 자립형 접이식 의자
KR200347622Y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KR200475702Y1 (ko) 접이식 의자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CN218279091U (zh) 一种折叠休闲椅
CN220157904U (zh) 一种节省包装空间的折叠椅支架及折叠椅
KR101303245B1 (ko) 의자 메모대
CN207055238U (zh) 一种坐具
CN207055242U (zh) 设有腿靠的坐具
KR101466721B1 (ko) 절첩식 의자
KR20210074119A (ko) 절첩식 양문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의자
JP2009100818A (ja) 椅子
KR101048101B1 (ko) 다기능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