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97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975A
KR20170051975A KR1020150153757A KR20150153757A KR20170051975A KR 20170051975 A KR20170051975 A KR 20170051975A KR 1020150153757 A KR1020150153757 A KR 1020150153757A KR 20150153757 A KR20150153757 A KR 20150153757A KR 20170051975 A KR20170051975 A KR 20170051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obbin
damper portion
hold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2348B1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348B1/ko
Priority to CN201610537166.6A priority patent/CN106647111B/zh
Publication of KR20170051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0Soundproof 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3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부 충격 시 3축 방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낙하 충격 시 내부 부품의 간섭 발생으로 인하여 이물이 발생되는 경우, 낙하 충격에 의한 내충격성, 진동 발생 등과 같은 기계적 신뢰성이 문제되는 경우 불량으로 판정된다.
이에 따라, 낙하 신뢰성 품질 확보를 위한 내부 충격 분산/흡수 적용 가능 구조를 반영하여 카메라 모듈를 설계하여 신뢰성 확보 및 이물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카메라 모듈의 홀더와 보빈의 충돌에 의해 신뢰성 확보 및 이물 발생 위험이 발생되고 있어 3축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홀더와 보빈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12-0138281호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부 충격 시 3축 방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부를 구비한다.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상단부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 상단부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의 상단부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일예로서, 홀더(120), 보빈(140) 및 렌즈 배럴(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120)는 보빈(140)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홀더(120)는 보빈(140)이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며, 홀더(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관통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홀더(120)에는 단차부(124)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관통홀(122)은 단차부(124)를 구비하여 내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124)는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벽면(124a)과, 제1 벽면(124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벽면(124b)을 구비할 수 있다.
보빈(140)은 제2 벽면(124b)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서, 홀더(120)는 관통홀(122)이 구비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홀더(120)의 내부면에는 지지돌기(1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돌기(126)의 저면에는 IR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보빈(140)은 홀더(12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일예로서, 보빈(140)은 홀더(120)의 관통홀(1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렌즈 배럴(16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142)이 보빈(14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4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40)은 외부 충격 시 3축 방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부(150)를 구비한다.
댐퍼부(150)는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부(152)와, 제1 댐퍼부(15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댐퍼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댐퍼부(152)는 홀더(120)의 두 모서리에 대향 배치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152a)와, 보빈(140)의 바디(151)와 제1 댐퍼(152a)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부(152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댐퍼부(152)의 외부면은 제1 벽면(124a)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댐퍼(152a)와 제1 벽면(124a)의 경사부 및 제1 연결부(152b)와 제1 벽면(124a)의 직선부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14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제1 댐퍼부(152)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보빈(150)의 바디(151) 외주면으로부터 제1 댐퍼(152a)의 끝단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댐퍼부(152)와 스토퍼부(144)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댐퍼부(152)의 제1 댐퍼(152a)와 스토퍼부(144)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홀더(120)의 제1 벽면(124a) 또는 스토퍼부(144)가 먼저 접촉되면서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외부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즉,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홀더(120)의 제1 벽면(124a)과 스토퍼부(144)에 접촉되면서 X,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댐퍼부(152)는 홀더(120)의 두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어느 한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일예로서, X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나머지 한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일예로서,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댐퍼부(152)가 제1 벽면(124a) 및 스토퍼부(144)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있어 외부 충격 시 가해지는 충격을 제1 댐퍼부(152)가 완화시켜 X, Y축 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140)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댐퍼부(154)는 제1 댐퍼부(152)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댐퍼부(154)는 제1 댐퍼(15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댐퍼(152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댐퍼(154a)와, 제2 댐퍼(154a)와 바디(141)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154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댐퍼(154a)가 제2 벽면(124b)에 안착된 상태로 보빈(140)이 홀더(1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댐퍼부(154)와 제1 댐퍼부(152)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므로, 외부 충격 시 제1,2 댐퍼부(152,154)가 접촉되면서 일예로서, 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140)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댐퍼부(154)가 제2 벽면(124b)에 안착 설치되므로, 보빈(140)의 저면은 홀더(12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26)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140)과 홀더(120) 및 IR 필터(미도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보빈(140)의 내부면에 접합 설치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60)이 보빈(140)이 결합되어 외부 충격이 렌즈 배럴(16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댐퍼부(152,154)를 통해 3축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X, Y축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제1,2 댐퍼부(152,154)가 Z축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외부 충격 시 사출 성형에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하여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보빈 상단부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홀더(120), 보빈(140), 렌즈 배럴(160) 및 탄성부재(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120)는 보빈(140)이 삽입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홀더(120)는 보빈(140)이 내부에 배치되어 승강되며, 홀더(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관통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홀더(120)에는 단차부(124)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관통홀(122)은 단차부(124)를 구비하여 내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124)는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벽면(124a)과, 제1 벽면(124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벽면(124b)을 구비할 수 있다.
보빈(140)은 제2 벽면(124b)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서, 홀더(120)는 관통홀(122)이 구비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홀더(120)의 내부면에는 지지돌기(1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돌기(126)의 저면에는 IR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보빈(140)은 홀더(120)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일예로서, 보빈(140)은 홀더(120)의 관통홀(1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렌즈 배럴(16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142)이 보빈(14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4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40)은 외부 충격 시 3축 방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부(150)를 구비한다.
댐퍼부(150)는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부(152)와, 제1 댐퍼부(15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댐퍼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댐퍼부(152)는 홀더(120)의 두 모서리에 대향 배치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152a)와, 보빈(140)의 바디(141)와 제1 댐퍼(152a)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부(152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댐퍼부(152)의 외부면은 제1 벽면(124a)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댐퍼(152a)와 제1 벽면(124a)의 경사부 및 제1 연결부(152b)와 제1 벽면(124a)의 직선부는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14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제1 댐퍼부(152)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보빈(150)의 바디(141) 외주면으로부터 제1 댐퍼(152a)의 끝단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댐퍼부(152)와 스토퍼부(144)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댐퍼부(152)의 제1 댐퍼(152a)와 스토퍼부(144)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홀더(120)의 제1 벽면(124a) 또는 스토퍼부(144)가 먼저 접촉되면서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외부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즉,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홀더(120)의 제1 벽면(124a)과 스토퍼부(144)에 접촉되면서 X,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댐퍼부(152)는 홀더(120)의 두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어느 한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일예로서, X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나머지 한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152)에 의해 일예로서, 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댐퍼부(152)가 제1 벽면(124a) 및 스토퍼부(144)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있어 외부 충격 시 가해지는 충격을 제1 댐퍼부(152)가 완화시켜 X, Y축 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140)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댐퍼부(154)는 제1 댐퍼부(152)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댐퍼부(154)는 제1 댐퍼(15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댐퍼(152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댐퍼(154a)와, 제2 댐퍼(154a)와 바디(141)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154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댐퍼(154a)가 제2 벽면(124b)에 안착된 상태로 보빈(140)이 홀더(1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댐퍼부(154)와 제1 댐퍼부(152)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므로, 외부 충격 시 제1,2 댐퍼부(152,154)가 접촉되면서 일예로서, Z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빈(140)의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댐퍼부(154)가 제2 벽면(124b)에 안착 설치되므로, 보빈(140)의 저면은 홀더(120)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26)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140)과 홀더(120) 및 IR 필터(미도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보빈(140)의 내부면에 접합 설치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60)이 보빈(140)이 결합되어 외부 충격이 렌즈 배럴(16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탄성부재(280)는 보빈(140)의 외부면과 제1 댐퍼부(152)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및 제1,2 댐퍼부(152,15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탄성부재(280)는 일예로서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280)는 보빈(140)과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보빈(14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2 댐퍼부(152,154)에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부재(280)가 흡수하여 제1,2 댐퍼부(152,154)의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댐퍼부(152,154)를 통해 3축 방향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댐퍼부(152)가 X, Y축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제1,2 댐퍼부(152,154)가 Z축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외부 충격 시 사출 성형에 성형되는 보빈(140)의 파손을 방지하여 이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탄성부재(280)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1,2 댐퍼부(152,154)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제1,2 댐퍼부(152,15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 카메라 모듈
120 : 홀더
140 : 보빈
160 : 렌즈 배럴
280 : 탄성부재

Claims (16)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렌즈가 내부에 장착되는 렌즈 배럴;
    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부 충격 시 3축 방향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부와, 상기 제1 댐퍼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댐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 댐퍼부의 끝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부와 상기 제2 댐퍼부는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2 댐퍼부가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1 댐퍼부의 외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벽면과, 제1 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댐퍼부의 외부면과 상기 제1 벽면은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부의 저면은 상기 제2 벽면에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저면은 상기 홀더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댐퍼부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제1,2 댐퍼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보빈과 일체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12. 내부 공간을 가지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렌즈가 내부에 장착되는 렌즈 배럴;
    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에는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댐퍼부와, 상기 제1 댐퍼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댐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빈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댐퍼부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제1,2 댐퍼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보빈과 일체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댐퍼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2 댐퍼부가 삽입 배치되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1 댐퍼부의 외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벽면과, 제1 벽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댐퍼부의 외부면과 상기 제1 벽면은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53757A 2015-11-03 2015-11-03 카메라 모듈 KR10179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57A KR101792348B1 (ko) 2015-11-03 2015-11-03 카메라 모듈
CN201610537166.6A CN106647111B (zh) 2015-11-03 2016-07-08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57A KR101792348B1 (ko) 2015-11-03 2015-11-0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75A true KR20170051975A (ko) 2017-05-12
KR101792348B1 KR101792348B1 (ko) 2017-11-01

Family

ID=5874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57A KR101792348B1 (ko) 2015-11-03 2015-11-0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2348B1 (ko)
CN (1) CN10664711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652A1 (ko) * 2019-07-17 2021-01-21 자화전자 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WO2022071691A1 (ko) * 2020-09-29 2022-04-07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30064235A (ko) * 2021-11-03 2023-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034B1 (ko) * 2019-07-30 2021-08-17 자화전자(주) 다방향 댐퍼가 구비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3669B2 (ja) * 2001-12-04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3944785B2 (ja) * 2003-10-3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沈胴式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WO2007010813A1 (ja) * 2005-07-1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4027962B1 (ja) * 2006-12-29 2007-12-26 株式会社小松ライト製作所 撮像装置
CN101808191B (zh) * 2009-02-16 2013-03-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防震相机模组
CN101860166B (zh) * 2009-04-08 2013-05-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致动器及防震相机模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652A1 (ko) * 2019-07-17 2021-01-21 자화전자 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10009495A (ko) * 2019-07-17 2021-01-27 자화전자(주)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US11630322B2 (en) 2019-07-17 2023-04-18 Jahwa Electronics Co., Ltd. Damper and actuator for camera including same
WO2022071691A1 (ko) * 2020-09-29 2022-04-07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30064235A (ko) * 2021-11-03 2023-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47111A (zh) 2017-05-10
CN106647111B (zh) 2019-06-04
KR101792348B1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348B1 (ko) 카메라 모듈
US10440248B2 (en) Camera module
TWI717682B (zh) 帶抖動修正功能的光學單元
KR101962807B1 (ko) 카메라 모듈
CN105467547A (zh) 透镜单元
TWI483056B (zh) 相機模組
KR102424363B1 (ko) 렌즈 구동 장치
KR20160034766A (ko) 렌즈 모듈
KR102221597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185688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59526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104584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US11586097B2 (en) Camera module
JP2020024390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6250479B2 (ja) カメラ用防振装置
TWI465789B (zh) Resonance Suppression Method and Structure of Anti - Shot Lens Focusing Module
KR20100009410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2520165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RU2759829C2 (ru) Амортизационная опора для колесной оси часов
KR2020013910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70003472A1 (en) Optical imaging lens with a fixing structure
JP726618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車両
KR10244844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5896462B2 (ja) 光学系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
JP6800534B2 (ja) ダストカバーの組み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