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022A -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 Google Patents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022A
KR20170051022A KR1020150153322A KR20150153322A KR20170051022A KR 20170051022 A KR20170051022 A KR 20170051022A KR 1020150153322 A KR1020150153322 A KR 1020150153322A KR 20150153322 A KR20150153322 A KR 20150153322A KR 20170051022 A KR20170051022 A KR 2017005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cket
hinge pin
pres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044B1 (ko
Inventor
김용희
나명열
권민근
이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60K2023/025Adjusting of clutch pedal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4Clutch 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페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일측면으로부터 힌지핀이 연장되어 페달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페달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며 힌지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홀이 타공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핀의 중심은 제1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사양에 따라 원하는 페달비를 가진 클러치 페달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이 현저하게 저감되고 설비 투자비가 절감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STRUCTURE OF PEDAL HAVING INTEGRAL HINGE BRACKE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페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 배기량에 따라 적합한 페달비를 기질 수 있도록 다수의 페달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출 금형 제작수를 감소시켜 투자비를 줄이고 안정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clutch)는 수동변속기가 탑재된 차량에서 엔진과 변속기의 동력전달을 끊거나 이어주는 장치로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았을 때는 엔진으로부터 변속기로의 동력을 전달을 차단하고,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뗐을 때는 동력 전달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대표적인 클러치 시스템은 기계식과 유압식으로 구분되되, 이중 유압식은 클러치 페달의 회전력으로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클러치를 조작하므로 보다 작은 힘으로 페달을 밟을 수 있으며 조작이 신속하게 이뤄져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차량 판매 전략은 많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한 차종에 다양한 엔진 배기량으로 제품 라인업을 구성한다. 차량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준준형 차량은 4 ~ 6 종의 제품 라인업이 구성되되, 동일 모델의 차량이라도 엔진 배기량이 달라지면 변속을 위해 클러치를 단속하는 힘이 커지게 되고 클러치를 밟는 힘도 증가하게 된다.
동일한 모델의 차종이라면 엔진 배기량이 달라지더라도 클러치 페달의 답력(pedal effort, 페달을 밟는데 요구되는 힘)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해야 하므로 페달비의 변경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페달비의 변경은 페달하우징에 장착되는 페달의 회동 위치(즉, 클러치 페달과 결합되는 힌지핀의 장착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 1 은 종래의 플라스틱재 페달하우징(a) 및 스틸재 페달하우징(b) 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페달하우징은 플라스틱재(a) 또는 스틸재(b)로 제조된다. 스틸재 페달하우징(b)의 경우, 피어싱 공법 등을 통해 힌지핀이 장착되는 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홀의 타공 위치를 변경하여 엔진 배기량에 따른 사양 대응을 한다. 플라스틱재 페달하우징(a)의 경우, 힌지핀이 장착되는 홀은 사출하는 금형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홀의 위치가 변경되면 사출 금형 자체가 수정되거나 새롭게 제작하여야 한다.
즉, 종래 페달하우징은 엔진 배기량에 따른 사양 대응을 위해 힌지핀이 장착되는 홀을 새로이 타공하거나 사양 별로 사출 금형을 수정 또는 신작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거나 투자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사양 별로 페달하우징이 제조되면 재고관리 및 안정된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해소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페달비 변경이 가능하되 부품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페달이 요구되었다.
나아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사출 방식으로 힌지핀이 장착되는 브라켓을 제작하는 경우, 뜨거운 사출 금형에 사출물을 회전하여 넣어야 하므로 사람이 하기 어렵고,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여도 설비 투자비가 과도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핀이 연장된 제1브라켓과 힌지홀이 타공된 제2브라켓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양에 따라 원하는 페달비를 가진 클러치 페달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이 현저하게 저감되고 설비 투자비가 절감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의 고장이나 교체 시, 클러치 페달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페달암과 힌지핀이 형성된 브라켓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애프터서비스(AS)가 가능하거나 페달비의 설정이 가능한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페달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일측면으로부터 힌지핀이 연장되어 페달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페달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며 힌지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홀이 타공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핀의 중심은 제1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스크류를 매개로 페달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체결홀이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기 체결홀은 제1브라켓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가 제1브라켓은,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안착홀에 삽입되며 내측면으로부터 힌지핀이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안착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최외곽부; 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기 안착부에는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유동방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기 돌기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1브라켓의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에서 상기 돌기의 축방향 높이는 안착부의 축방향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최외곽부, 돌기 및 안착부가 축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힌지핀이 연장된 제1브라켓과 힌지홀이 형성된 제2브라켓을 조립하여 차량에 따라 요구되는 페달비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금형 제작이나 자동화 설비를 위한 투자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페달비에 따라 각각의 페달하우징의 사출금형을 수정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하나의 사출금형만 제작하고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조립되는 각도만 조절하면 페달비가 다르게 셋팅되는 다수 개의 페달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페달하우징에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제1브라켓에 단차 구조를 적용하여 조립 시 브라켓의 회전 또는 축방향 유격을 견고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브라켓에 힌지핀을 일체로 통합하여 사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교체만으로도 클러치 페달의 교체 또는 페달비의 튜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플라스틱재 페달하우징(a) 및 스틸재 페달하우징(b) 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의 분해 조립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 일부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달하우징의 안착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가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힌지핀까지의 거리(A)와 페달판의 중심으로부터 힌지핀까지의 거리(B)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라켓 일부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달하우징의 안착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가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힌지핀까지의 거리(A)와 페달판의 중심으로부터 힌지핀까지의 거리(B)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는 페달하우징(100), 제1브라켓(200) 및 제2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하우징(100)에는 링크(120)를 통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는 페달암(110)이 장착되며, 상기 페달암(110)은 페달판(112)에 하중이 가해지면 연결된 링크(120)를 활주시켜 마스터실린더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120)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힌지핀(210)까지의 거리(A) 대비 페달판(112)의 중심으로부터 힌지핀(210)까지의 거리(B) 비율로 페달비(B/A)가 결정되며, 이러한 페달비는 차량의 엔진 배기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하우징(100)의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에는 제1브라켓(200)이 장착되고, 상기 페달하우징(10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에는 제2브라켓(300)이 장착된다.
상기 제1브라켓(200)의 일측면에는 힌지핀(210)이 연장되어 페달암(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며, 상기 제2브라켓(300)에는 힌지핀(21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홀(310)이 타공된다.
즉, 작업자는 사출된 페달하우징(100)의 사이에 페달암(110)을 둔 상태에서 힌지핀(210)이 연장된 제1브라켓(200)을 일측에서 삽입하여 힌지핀(210)이 페달암(110)을 관통하도록 하고 타측에 제2브라켓(300)을 장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핀(210)의 중심은 제1브라켓(20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편심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홀(310)의 중심 역시 제2브라켓(30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힌지핀(210)과 힌지홀(310)이 편심을 가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작업자는 제1브라켓(200)과 제2브라켓(300)의 조립 과정에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링크(120)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힌지핀(210)까지의 거리(A)와 페달판(112)의 중심으로부터 힌지핀(210)까지의 거리(B)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페달비(B/A)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200)에는 스크류(206)를 매개로 페달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체결홀(204)이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204)은 3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로 하는 구조, 강성 또는 생산원가를 위해 더 많이 형성되거나 더 적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204)은 제1브라켓(2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홀(204)은 3개가 12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체결홀(204)을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은 페달비를 변경하기 위해 제1브라켓(200)의 회전시 체결홀(204)과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홀(108) 사이에 매칭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견디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200)은 페달하우징(100)에 형성된 안착홀(102)에 삽입되며 내측면으로부터 힌지핀(210)이 연장되는 안착부(220) 및 상기 안착부(220)의 외측에 형성되며 안착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최외곽부(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브라켓(200)은 전체적으로 안착부(220), 최외곽부(230) 및 힌지핀(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안착부(220)와 최외곽부(230)는 2개의 원판을 겹쳐놓은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부터 원통형의 힌지핀(210)이 연장된다.
상기 제1브라켓(200)이 페달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안착부(220)는 도 4에 도시된 안착홀(102)에 삽입되고 최외곽부(230)는 안착홀(102)의 둘레를 따라 안착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부(104)에 놓이게 된다.
도 3a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20)에는 페달하우징(10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0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202)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202)는 3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로 하는 구조, 강성 또는 생산원가를 위해 더 많이 형성되거나 더 적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기(202)의 크기(또는 폭)는 유동방지홈(106)의 크기(또는 폭)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크게 형성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브라켓(200)의 장착 시 돌기(202)가 유동방지홈(106)에 억지끼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체결홀(204)과 마찬가지로 상기 돌기(202)는 제1브라켓(2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202)는 3개가 12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돌기(202)와 체결홀(204)은 제1브라켓(200)에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돌기(202)와 3개의 체결홀(204)은 60°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02)의 축방향 높이는 안착부(220)의 축방향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최외곽부(230), 돌기(202) 및 안착부(220)가 축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최외곽부(230), 돌기(202) 및 안착부(220)는 3단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최외곽부(230)는 평탄부(104)에 삽입되고 돌기(202)는 유동방지홈(106)에 삽입되며 안착부(220)는 안착홀(10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202)와 유동방지홈(10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브라켓(200)의 회전 유격을 잡아줄 수 있으며, 상기 최외곽부(230), 돌기(202) 및 안착부(220)가 단차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축방향 유격을 잡아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일체형 브라켓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상기 페달하우징(100)의 공간(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장착되는 사이 공간)에 페달암(110)을 포함한 조립체를 삽입하여 정렬시킨다.
그 다음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브라켓(200)에 형성된 힌지핀(210)이 페달암(110) 조립체를 관통하도록 페달하우징(100)의 일측에서 제1브라켓(200)을 삽입한 후,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페달하우징(100)의 타측에서 제2브라켓(300)을 삽입하여 제1브라켓(200)과 제2브라켓(30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킨다.
작업자는 도 6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된 제1브라켓(200)을 스크류(206)를 매개로 페달하우징(100)과 완전히 고정시키고, 그 후 도 6의 (e)에 도시된 것처럼 제2브라켓(300)의 외부로 돌출된 힌지핀(210)의 끝단에 클립(320)을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도 6의 (e)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브라켓(300)과 페달하우징(100)을 체결하는 스크류(206)는 제2브라켓(300)의 상부 한 곳에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클립(320) 체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 구조는 힌지핀이 연장된 제1브라켓과 힌지홀이 타공된 제2브라켓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양에 따라 원하는 페달비를 가진 클러치 페달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이 현저하게 저감되고 설비 투자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페달하우징
102 : 안착홀
104 : 평탄부
106 : 유동방지홈
108 :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홀
110 : 페달암
112 : 페달판
120 : 링크
200 : 제1브라켓
202 : 돌기
204 : 체결홀
206 : 스크류
210 : 힌지핀
220 : 안착부
230 : 최외곽부
300 : 제2브라켓
310 : 힌지홀
320 : 클립

Claims (7)

  1. 페달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일측면으로부터 힌지핀이 연장되어 페달암이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페달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며 힌지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홀이 타공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핀의 중심은 제1브라켓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스크류를 매개로 페달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체결홀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제1브라켓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가 제1브라켓은,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안착홀에 삽입되며 내측면으로부터 힌지핀이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안착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최외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페달하우징에 형성된 유동방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1브라켓의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축방향 높이는 안착부의 축방향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최외곽부, 돌기 및 안착부가 축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KR1020150153322A 2015-11-02 2015-11-02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KR10173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22A KR101738044B1 (ko) 2015-11-02 2015-11-02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22A KR101738044B1 (ko) 2015-11-02 2015-11-02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22A true KR20170051022A (ko) 2017-05-11
KR101738044B1 KR101738044B1 (ko) 2017-05-29

Family

ID=5874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322A KR101738044B1 (ko) 2015-11-02 2015-11-02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495A (ko) *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조립체 및 클러치 작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694B1 (ko) * 2017-12-07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 멤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4193B1 (en) 1999-03-25 2002-11-05 Sinties Scientific, Inc. Pedal crank
US8931794B2 (en) * 2012-02-03 2015-01-13 Industries Rad Inc. Bicycle frame with adjustable geomet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495A (ko) *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조립체 및 클러치 작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044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8182B (zh) 散热风扇
US20140041185A1 (en) Elastic tube alignment an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locating and attaching components
US9027912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0453290C (zh) 用于制造热塑性容器的模制装置
US4795288A (en) Yoke member connecting device in windshield wiper
US20090136318A1 (en)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Screw and a Captively Arranged Bush
JPH11270568A (ja) 軸受ブラケット
US8025037B2 (en) Valve gear and rocker ARM unit
KR101738044B1 (ko) 힌지 일체형 브라켓을 구비한 페달의 구조
US20160223058A1 (en) Ball returning circulator of ball screw
US8388295B2 (en) Mounting structure
US20060011624A1 (en) Tool box assembly
US20160160913A1 (en) Radially deflectable bushing and steering gear assembly using the same
US8376617B2 (en) Snap-in bearing insert
CN1630571B (zh) 具有一个固定单元的插接式刀具
US4788736A (en) Yoke member connecting device in windshield wiper
JP2007162790A (ja) ナット
US7793952B2 (en) Knuckle with integrated ball joint and method of assembly
KR101738053B1 (ko) 복수 개의 페달비 셋팅이 가능한 페달의 구조
CN204928436U (zh) 用于电机的端盖组件和具有其的电机
US10281947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control pedal of a vehicle
KR20120001742A (ko) 자동차 미러용 회전 미러 홀더 및 미러 홀더를 구비한 미러 조립체
CN101680495A (zh) 用于将离合器分离轴承连接到调整杆上的连接结构
US20140321940A1 (en) Clip
CN217258019U (zh) 一种镶嵌组合式型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