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379A -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379A
KR20170050379A KR1020150151849A KR20150151849A KR20170050379A KR 20170050379 A KR20170050379 A KR 20170050379A KR 1020150151849 A KR1020150151849 A KR 1020150151849A KR 20150151849 A KR20150151849 A KR 20150151849A KR 20170050379 A KR20170050379 A KR 2017005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deck
thruster
unit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수
조성균
신대철
서태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0379A/ko
Publication of KR2017005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러스터의 수리의 목적이 아닌 선박의 항해시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선내로 위치시켜 얕은 수심을 통과 가능함으로써 선박의 운용 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는 선박의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에 관한 것으로,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고, 캐니스터의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CANISTER TYPE THRUSTER FOR TRANSIT AND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THRUSTER}
본 발명은 선박의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여 캐니스터의 길이를 대폭 단축함으로써, 선박 운항 모드시 갑판 위로 돌출 없이 선체 내에서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운용이 가능하며, 추가로 선내의 장비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용 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는 선박의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세계적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선박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 선박은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할 수 있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특정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 십(drill 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 십 등과 같은 선박은,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 때문에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기존의 계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험한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위치를 일정 시추 지점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위치 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의 메인 추진과 자기위치 제어에 사용되는 핵심적인 장비가 추진장치의 일종인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 이하 "스러스터"라고 함)이다. 스러스터는 주로 선체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되고, 360도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어 선박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추진 및 위치제어 겸용의 추진기이다.
스러스터는 조류 및 파도 등에 대해 선박을 목적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자기위치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때, 그리고 선박을 항구 및 해상 구조물에 접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인 스러스터와 러더에 의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다수의 스러스터를 이용하여 선박을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선체의 바닥면 하부에 배치한 스러스터의 위치를 자기위치 제어모드(dynamic positioning mode, 이하 "DP 모드"라 함)라 한다.
스러스터는 DP 모드에서 선박의 위치제어를 위해 유용하나, 선박 운항 중에는 선체의 바닥면 하부로 돌출되어 위치되므로 저항체가 되어 선박의 운항효율을 떨어뜨린다.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은 DP 모드 시 선체 외부로 돌출되고, 운항 모드(transit mode)시 선체 내부로 스러스터를 인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스러스터 자체를 선체 내부, 즉 트렁크 내부로 인입하는 방법은, 스러스터의 언더워터 유닛(underwater unit)의 상부에 캐니스터(canister)가 설치되고, 트렁크 내부에 선박의 운항 흘수선의 상부까지 언더워터 유닛과 캐니스터를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도 1은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설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는 프로펠러(11)를 포함하는 언더워터 유닛(10)과, 프로펠러(11)를 구동하기 위하여 언더워터 유닛(10)의 상부에 결합하며 선체(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2)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20)와, 캐니스터(20)를 승강시키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30)으로 구성된다.
메인 데크(3)에는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20)의 인입시, 캐니스터(20)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3) 상부로 돌출되므로, 메인 데크(3)와 캐니스터(20)의 상단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메인 데크(3)에는 대형 사이즈의 캐니스터 해치(4)가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 데크(3)에는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20)의 상승시 캐니스터(2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빔(5)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캐니스터(20)는 내부에 스러스터 모터(M)와 보기장치, 예를 들어 HPU(hydrolic power unit: H), LO 유닛(L)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장비 설치공간)를 갖는 하우징(21)을 구비한다.
하우징(21)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버텀 데크(22)와 탑 데크(26)가 수평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1) 내부에는 버텀 데크(22)로부터 탑 데크(26) 방향으로 A 데크(23), B 데크(24), C 데크(25)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A 데크(23)에는 스러스터 모터(M)가 설치되고, 스러스터 모터(M)의 샤프트(S)는 언더워터 유닛(10)의 프로펠러(11)에 연결된다.
B 데크(24)에는 보기장치인 HPU(H)가 설치되고, C 데크(25)에는 보기장치인 LO 유닛(L)이 설치된다.
A 데크(23), B 데크(24), C 데크(25) 및 탑 데크(26)에는 스러스터 모터(M)의 취외를 위하여 스러스터 모터 해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취외란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된 장비, 예를 들어 스러스터 모터를 유지보수 및 교체 등을 위하여 선체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30)은 랙 기어(31)와 피니언 기어(32)를 사용하여서, 언더워터 유닛(10)과 캐니스터(20)를 트렁크(2)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昇降)하여 인입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30)은 하우징(21) 외측에 랙 기어(31)가 설치되고, 그 랙 기어(31)에 결합하도록 캐니스터(20)의 외부 선체에는 피니언 기어(32) 및 피니언 기어 구동부(33)가 설치된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19335호
드릴 십은 시추공사를 위해 세계 전역으로 이동/운항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운하와 같이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의 운항이 요구되고 있다.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는 선박의 운항 모드(transit mode)시에 선체의 내부에 스러스터가 인입(retraction)된 상태로 운항하도록 하는 구성이 필연적으로 구비된다.
종래에는 스러스터(thruster)의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30)이 선체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캐니스터의 길이를 단축하는 데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운항 모드에서 스러스터를 인입(retraction)시킬 때에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3)의 상부로 돌출될 수밖에 없다. 캐니스터(20)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대형 사이즈의 캐니스터 해치(4)가 메인 데크에 설치된다. 하지만, 드릴 십의 구조적 특성상 협소한 공간에 많은 장비를 배치해야 하는 제약 사항을 고려해 볼 때, 많은 공간을 캐니스터(20)에 할애하고 캐니스터의 상부 공간을 데드 존(dead zone)으로 설정하는 것은 선체 내 장비 배치 측면에서 커다란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또한 캐니스터 해치(4)가 위치하는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여 캐니스터의 전체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니스터 내부에서 C 데크를 삭제하고 스러스터 모터를 보기장비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캐니스터의 전체 구성을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캐니스터의 전체 길이를 단축함으로써,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언더워터 유닛; 및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언더워터 유닛의 상부에 결합하며, 선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를 구비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로서, 운항 모드시에 상기 캐니스터의 트렁크 내부로 인입(retraction) 할 때에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위하여 캐니스터를 승강시키기 위한 캐니스터 잭킹 유닛이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는 내부에 스러스터 모터와 보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버텀 데크; 상기 보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텀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A 데크;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A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B 데크; 및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B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탑 데크를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터 모터와 상기 언더워터 유닛을 연결하는 위치에 스러스터 샤프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샤프트는 일체형 샤프트, 텔레스코픽형 샤프트, 또는 2단 분리형 샤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은 상기 트렁크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래크 기어에 치합(결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은 운항 흘수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터워터 유닛 및 상기 캐니스터가 상기 트렁크 안으로 인입(retraction)되는 경우,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는 선체의 메인 데크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여 캐니스터의 전체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트렁크 및 캐니스터에 정밀하게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증가하고 제작기간이 길어지며, 스러스터 모터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취외하는 경우에 보기장치 모두를 선행하여 취외시켜야 하므로, 유지보수 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러스터 모터가 보기 장비 위쪽에 위치함에 따라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설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DP 모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인입 모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캐니스터의 A 데크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캐니스터의 B 데크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캐니스터의 탑 데크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DP 모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인입 모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캐니스터의 A 데크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캐니스터의 B 데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캐니스터의 탑 데크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은 선체(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2) 내부에서 캐니스터(120)를 승강시키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이 캐니스터(120) 내부에 설치된 캐니스터형 스러스터(1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드릴 십의 선종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라, 운하와 같이 수심이 낮은 해역을 운항하기 위해서 스러스터를 선내(트렁크 내)로 인입(retraction)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선종에 적용 가능하다.
선체(1)의 메인 데크(3)에는 스러스터 모터(M)의 취외를 위한 소형의 스러스터 모터 해치(9)가 설치된다. 스러스터 모터 해치(9)를 통해서 스러스터 모터(M)의 유지보수시 스러스터 모터(M)를 취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운항 모드에서 스러스터를 인입(retraction)시킬 때에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3)의 상부로 돌출될 수밖에 없고, 캐니스터(20)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대형 사이즈의 캐니스터 해치(4)가 메인 데크에 설치되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여 캐니스터의 전체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러스터 모터 해치(9)는 소형 사이즈로 구성되므로 메인 데크(3)의 상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100)는 프로펠러(111)를 포함하는 언더워터 유닛(110)과, 프로펠러(111)를 구동하기 위하여 언더워터 유닛(110)의 상부에 결합하며 선체(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2)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120)와, 트렁크(2)의 내부에서 캐니스터(120)를 승강시키도록 캐니스터(120) 내부에 설치되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을 포함한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은 운항 흘수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다. 운항 모드시 언터워터 유닛(110) 및 캐니스터(120)가 트렁크(2) 안으로 인입(retraction)되는 경우, 캐니스터(120)의 상단부는 선체(1)의 메인 데크(3)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캐니스터(120)는 내부에 스러스터 모터(M)와 보기장치(H, L)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21)을 구비한다.
하우징(121)의 바닥에는 수평으로 버텀 데크(122)가 형성된다. 보기장치(H, L)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21) 내부에는 A 데크(123)가 형성된다. A 데크(123)는 버텀 데크(12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스러스터 모터(M)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21) 내부에 B 데크(124)가 형성된다. B 데크(124)는 A 데크(123)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을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21) 내부에 탑 데크(125)가 형성된다. 탑 데크(125)는 B 데크(124)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스러스터 모터(M)와 언더워터 유닛(110)을 연결하는 위치에는 스러스터 샤프트(S)가 설치되는데, 스러스터 샤프트(S)는 일체형 샤프트, 텔레스코픽형 샤프트, 또는 2단 분리형 샤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은 트렁크(2)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래크 기어(G)에 치합(결합)하는 피니언 기어(131)와, 상기 피니언 기어(131)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캐니스터형 스러스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니스터(120)가 하강하여 언더워터 유닛(110)이 선저 하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운항 모드 시, 캐니스터 잭업 유닛(130)이 구동하여 캐니스터(120)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130)을 캐니스터(120) 내부에 설치하여 캐니스터(120)의 전체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120)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120)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은 캐니스터(120) 내부의 탑 데크(125) 상에 위치하여 운항 흘수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바, 언터워터 유닛(110) 및 캐니스터(120)가 트렁크(2) 안으로 인입되는 경우, 캐니스터(120)의 상단부는 선체(1)의 메인 데크(3)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캐니스터 잭킹 유닛(130)이 운항 흘수선(transit draft)보다 상부에만 배치되어야 하는 제약사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캐니스터(120) 상부 데드 존을 배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선체 룸 바운더리(room boundary) 확장 및 장비 추가 배치 가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캐니스터 잭업 유닛(130)의 작동을 살펴보면, 피니언 기어 구동부(132)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131)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31)와 랙 기어(G)의 치합에 의해서 캐니스터(120)는 상승하게 된다. 캐니스터(120)는 종래 구성과는 달리 C 데크(도 2 참조)가 구비되지 않으며, A 데크(123) 위에 보기장치(H, L)가 설치되고, B 데크(124) 상에 스러스터 모터(M)가 설치된다.
종래에서는 메인 데크(3) 상에 캐니스터 해치(4)를 구비하며, 보기장치(H, L)보다 낮은 데크에 스러스터 모터(M)의 데크가 위치하고, 스러스터 모터 취외를 위해 제거 가능한 장비 파운데이션의 적용이 필요함에 따라 파운데이션의 추가 구성에 따른 공간적인 측면, 스러스터 모터 취외용 해치의 적용에 따른 파운데이션 서포트 강도 측면에서 보기장치인 HPU(H) 및 LO(L)가 동일 데크 상에 배치될 수 없는 구조이며, 스러스터 모터(M)의 유지보수시 보기장치(H, L) 모두를 선행하여 취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러스터 모터(M)를 보기장치의 데크 레벨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보기장치인 HPU(H) 및 LO(L)를 고정구조로 동일 데크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캐니스터(120) 내부의 C 데크를 삭제하고 캐니스터(120) 높이를 기존에 대비해서 약 5m 줄일 수 있어 콤팩트 사이즈의 캐니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120)의 인입시 캐니스터(120)가 메인 데크(3)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메인 데크(3) 상에서 캐니스터 해치 삭제가 가능하고, 메인 데크(3) 상에 스러스터 취외용의 소형의 스러스터 해치(9)만을 설치함으로써, 메인 데크(3) 상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니스터 잭킹 유닛(canister jacking system)을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하고, 캐니스터의 길이를 대폭 단축하여 운항 모드에서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 상부의 데드 존(dead zone)을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선체 내의 장비 설치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트렁크 및 캐니스터에 정밀하게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증가하고 제작기간이 길어지며, 스러스터 모터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취외하는 경우에 보기장치 모두를 선행하여 취외시켜야 하므로, 유지보수 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러스터 모터가 보기 장비 위쪽에 위치함에 따라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선체 추가 공간확보에 따른 선적 가능 물량을 증가하고, 선박 속도 향상 및 수주 경쟁력 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
1: 선체
2: 트렁크
3: 메인 데크
9: 스러스터 모터 해치
100: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110: 언더워터 유닛
111: 프로펠러
120: 캐니스터
121: 하우징
122: 버텀 데크
123: A 데크
122: 버텀 데크
124: B 데크
125: 탑 데크
130: 캐니스터 잭킹 유닛
131: 피니언 기어
132: 피니언 기어 구동부
H, L: 보기장치:
G: 랙 기어
M: 스러스터 모터
S: 스러스터 샤프트

Claims (11)

  1.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언더워터 유닛; 및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언더워터 유닛의 상부에 결합하며, 선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를 구비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로서,
    운항 모드시에 상기 캐니스터의 트렁크 내부로 인입(retraction) 할 때에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가 메인 데크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위하여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기 위한 캐니스터 잭킹 유닛이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내부에 스러스터 모터와 보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버텀 데크;
    상기 보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버텀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A 데크;
    상기 스러스터 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A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B 데크; 및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B 데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탑 데크;를 포함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샤프트는 일체형 샤프트, 텔레스코픽형 샤프트, 또는 2단 분리형 샤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은
    상기 트렁크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래크 기어에 치합(결합)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잭킹 유닛은 운항 흘수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터워터 유닛 및 상기 캐니스터가 상기 트렁크 안으로 인입(retraction)되는 경우, 상기 캐니스터의 상단부는 선체의 메인 데크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8. 언더워터 유닛의 상부에 캐니스터가 결합하며, 선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트렁크 내부에서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캐니스터 잭킹 유닛이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는 스러스터 모터와 보기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스러스터 모터는 상기 보기장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10.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니스터형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메인 데크에는 상기 스러스터 모터의 취외를 위한 스러스터 모터 해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KR1020150151849A 2015-10-30 2015-10-30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20170050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49A KR20170050379A (ko) 2015-10-30 2015-10-30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49A KR20170050379A (ko) 2015-10-30 2015-10-30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79A true KR20170050379A (ko) 2017-05-11

Family

ID=5874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49A KR20170050379A (ko) 2015-10-30 2015-10-30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0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3749B1 (en) Service space for a retractable propulsion device or corresponding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20003161A (ko) 드릴쉽의 스러스터와 캐니스터의 일괄 탑재방법
KR101346174B1 (ko)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6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605B1 (ko) 스러스터 승강장치
KR20200105484A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KR20170050379A (ko) 선박 항해용 콤팩트 캐니스터형 스러스터 및 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44150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9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20002981U (ko) 반잠수선이 되는 쌍동선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788745B1 (ko) 문풀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KR10144414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17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8767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140143523A (ko)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44414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