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127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127A
KR20170050127A KR1020150151256A KR20150151256A KR20170050127A KR 20170050127 A KR20170050127 A KR 20170050127A KR 1020150151256 A KR1020150151256 A KR 1020150151256A KR 20150151256 A KR20150151256 A KR 20150151256A KR 20170050127 A KR20170050127 A KR 2017005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space
vacuum
las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7068B1 (en
Inventor
정원영
기형선
윤덕현
이장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5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68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10818443.7A priority patent/CN111947389B/en
Priority to CN202010817800.8A priority patent/CN111964345B/en
Priority to CN202010818415.5A priority patent/CN111895715B/en
Priority to PCT/KR2016/008525 priority patent/WO2017073891A1/en
Priority to EP16860075.7A priority patent/EP3368842B1/en
Priority to CN201680064926.4A priority patent/CN108291765B/en
Priority to EP20153039.1A priority patent/EP3660430B1/en
Priority to US15/771,186 priority patent/US10987757B2/en
Priority to EP22183568.9A priority patent/EP4089352A3/en
Priority to ES16860075T priority patent/ES2784909T3/en
Publication of KR2017005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127A/en
Priority to US17/209,776 priority patent/US11926000B2/en
Priority to KR1020230001879A priority patent/KR20230008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68B1/en
Priority to US18/409,466 priority patent/US202401398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 Y02B4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to which a vacuum insulator is applied, while being reliably operat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spatial part having a temperature between the temperature of an internal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an external temperature and formed in a vacuum state is provided. A conduction resistant sheet capable of resisting thermal conduction between a first plate member and a second plate member is included. The conduction resistant sheet and at least one of the plate members are welded to provide a welding part, and a plurality of regular beads are provided onto the surface of the welding part. Each of the beads comprises: a parabola-shaped knee curve region provided to a central part; a linear region provided to both outer sides of the knee curve region; and an edge region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linear region.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진공단열체가 사용되는 냉장고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vacuum insulator is used.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It has been a common practice to provide a foamed polyurethane insulating wall having a thickness of more than about 30 centimeters, although the insulation method applied to conventional refrigerators differs depending on refrigeration and freez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is reduced.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내부가 진공인 진공공간부로 제공되어 열전달량이 줄어들도록 한 구조체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5-0109624호에는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에는 진공단열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내외 공간에 접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제 2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부에 전도저항쉬트가 개입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두께가 얇아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간의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 is an attempt to apply a vacuum insulator to the refrigerator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The vacuum heat insulator is provided with a vacuum space portion having a vacuum inside to reduce the heat transfer amount.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9624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frigerator to which a vacuum insulator is applied. The above citation document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refrigerator to provide a vacuum insulation bod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thin to resist therm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열전도에 저항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비하여 수십 배 얇게 제공된다. 상기 진공공간부를 진공상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체결부는 밀봉상태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두께가 상당히 작은 전도저항쉬트가, 서로 밀봉상태가 되도록 체결되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체결부를 서로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provided several ten times thinner than the plate to resist heat conduction. In order to provide the vacuum space part in a vacuum state, the coupling parts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ember must be sealed. In other words, the plate member and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having a significantly smaller thickness than the plate member must be tightly sealed with each other. As a method of satisfying this condition, it is preferable to weld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plate to each other.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전도저항쉬트 간의 용접은 상호 간의 두께차이로 인하여 상당히 어렵다. 예를 들어, 두 부재 사이의 간격이 아주 조금 떨어져 있는 경우라도, 얇은 전도저항쉬트가 용융되더라도, 플레이트 부재(이하, 플레이트라고 이름하는 경우도 있다)가 용융하지 않거나 용융액이 두 부재 사이를 채우지 못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전도저항쉬트가 접하는 모든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고, 용접부의 어느 특정 지점에서 밀봉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전체로서 진공단열체는 불량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Welding between the plate and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considerably difficult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plates. For exampl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embers is very small, even if the thin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melted, the plate memb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late) does not melt or the melt can not fill the gap between the two memb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are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uch a problem may occur at all points where the plate and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ven if a sealing failure occurs at a certain point in the welded portion, the vacuum heat insulator as a whole can not be used as a defect.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5-0109624호의 용접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weld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9624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발명자는 전도저항쉬트와 플레이트 간의 용접밀봉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와 노력을 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더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와 전도저항쉬트의 모든 융착지점에 대하여 상호 완벽한 융착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어느 특정 지점에서도 누설이 없도록 밀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under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nd the inventors have made various attempts and efforts to accomplish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welding sealing betwee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frigerator which can secure mutual perfect fusion performance with respect to all fusing points of a plate and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can stably maintain a seal so that leakage does not occur at any particular point, do.

제 1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용접되어 용접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접부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규칙적인 비드가 제공되고, 상기 비드에는, 중앙부에 제공되는 포물선 형상의 변곡영역; 상기 변곡영역의 양측 바깥쪽에 제공되는 직선영역; 및 상기 직선영역의 바깥쪽에 제공되는 에지영역이 포함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a stored product; And at least one of the body and the door includes a vacuum insulation body, and the vacuum insulation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wall for the interior space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 first plate member;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said outer space; And a vacuum space part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pace and is a vacuum space, and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apable of resisting therm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ember is weld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weld, wherein a surface of the wel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gular beads, and the bead is provided with a parabolic- ; A linear reg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nt region; And an edge area provided outside the linear area.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영역이 용접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9 ~ 4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 with the welding direction is 9 to 43 degrees.

바람직하게, 상기 비드의 개수는 용접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20~100개/1mm이고, 상기 비드는 규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number of the beads is 20 to 100/1 mm based on the welding direction, and the beads may be regularly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용접부에 제공되도록 용융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두께는 박판의 0.1~3배이다.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to be melted to be provided to the welded portion is 0.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수행되고, 여기서, 상기 레이저 용접의 제어 조건은, 빔사이즈는 200~375㎛이고, 레이저 이동속도는 7~15m/min이고, 출력은 200~800W이다. Preferably, the welding is performed by laser welding, wherein the control conditions of the laser welding are a beam size of 200 to 375 占 퐉, a laser moving speed of 7 to 15 m / min, and an output of 200 to 800 W.

제 2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용접되어 용접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접부는 열전도 모드의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되고, 상기 용접부에서 용융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0.1~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a stored product; And at least one of the body and the door includes a vacuum insulation body, and the vacuum insulation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wall for the interior space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 first plate member;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said outer space; And a vacuum space part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pace and is a vacuum space, and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apable of resisting therm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ember is weld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weld, wherein the weld is performed by laser welding in a thermal conduction mode, and the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which is melted in the weld, To about 3 times as large as that of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 상기 용접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이저 이동속도는 7~15m/min이고, 출력은 200~800W이다. Preferably, in order to provide the weld, the laser movement speed is 7 to 15 m / min and the output is 200 to 800 W.

바람직하게, 상기 용접부의 표면에 제공되는 비드에는 적어도 직선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ead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welded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a linear region.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10~200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500~2000마이크로미터이고,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에 비하여 10~100배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10 to 200 micrometers, and the plate member is 500 to 2000 micrometers, wherein the plate member may be provided at a thickness of 10 to 100 times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면서 신뢰성 있는 동작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erforming a reliable operation while a vacuum insulator is appli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냉장고의 제조에 사용되는 냉장고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홈의 주변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용접공정이 수행되는 중에 용접부를 관찰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Ⅰ-Ⅰ'의 단면도.
도 8은 용접을 수행한 후에 얻어진 시편에 대한 누설실험과 파단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테이블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용융부의 폭과 두께가 큰 경우에 고화부의 형상을 관찰한 도면.
도 11은 200㎛의 레이저 빔사이즈로 레이저 출력과 레이저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면서 실험한 결과 고화부의 형상을 표시한 도면.
도 12는 상기 단위면적당에너지와 용접부의 깊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용접부의 깊이와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insulator used in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nd a door.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a refrigerat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iphery of a groove enlargedly displayed.
6 is a plan view for observing a welded portion while a welding process is being perform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6;
8 is a table showing results of leakage tests and fracture tests performed on the specimens obtained after welding.
9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olidified portion whe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used portion are large.
11 is a diagram showing a shape of a solidified portion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while changing the laser output and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with a laser beam size of 200 mu m.
12 is a graph showing the energy per unit area and the depth of a weld.
13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testing depth and tensile strength of a welded por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r the like, but it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삭제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The drawings shown below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product or exaggerated or simple or detailed parts may be deleted, but this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structure and shap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1 includes a main body 2 provided with a cavity 9 capable of storing a stored product, and a door 3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2. The door 3 is rotatably disposed or slidably movable so that the cavity 9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assette 9 may provide at least one of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component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cavity. A condenser 5 fo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 expander 6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d an evaporator 7 for evaporating the expanded refrigerant to depressurize the refrigerant. ). As a typical structure, a fan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vaporator 7, and the fluid blown from the fan may be blown to the cavity 9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7.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frigerating space or the freezing space by adjusting the blowing amount and the blowing direction by the fan,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irculating refrigerant, or adjusting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compressor to adjust the refrigerating load.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였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acuum insulator used in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nd a door, in which a vacuum insulator of a main body side is shown with its top and side walls removed, Fig.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are provided is schematically show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용접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vacuum insulation comprises a first plate member 10 providing a wall of a low temperature space, a second plate member 20 providing a wall of a hot space, And a vacuum space part 50 defined by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2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10 and 20 are included. There is provided a weld portion 61 for sealing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in order to bring the vacuum space portion 50 into a closed state. When the vacuum insulator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or a hot plate, the first plate member 10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case,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be referred to as an outer case. A machine room (8) in which a component for providing a refrigeration cycle is placed is locat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vacuum insulator on the main body side, and a vacuum state is created by evacuating the air in the vacuum space part (50) An exhaust port 40 is provided. In addition, a duct 64 may be further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vacuum space part 50 for installation of the demolition water and the electric wire.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을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plate member 10 may define at least a part of the wall for the first space provided on the first plate member side.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define at least a part of the wall for the second space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member side.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may be defined as space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Here, the wall for each space may function not only as a wall directly contacting the space but also as a wall not contacting the space. For example, a vacuum insulator of th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n article having a separate wall adjacent to each space.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이 중에서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는 전도저항쉬트(60)(63)에 의해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용접부(61)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10)(20) 또는 사이드 프레임(70)에 체결되고, 상기 용접부(61)는 완벽하게 밀봉되도록 함으로서 진공공간부(50)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 및 사이드 프레임(70)은, 얇은 금속판으로 제공되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용접되는 베이스 부재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모재라고 이름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박판이라고 이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판은 10~200㎛로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모재는 500~2000㎛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재는 상기 박판에 비하여 배에서 10배에서 100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열전도저항에 대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The thermal insula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may be caused by heat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And the gas conduction of the vacuum space portion 50. [ The heat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 can be blocked by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are fastened to the plate member 10 or 20 or the side frame 70 by the welding portion 61 so that the welding portion 61 is completely sealed, The vacuum state of the portion 50 can be maintained. The plate members 10 and 20 and the side frame 70 function as a base member to which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provided as thin metal plates are welded, . Likewise,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may be called thin plates. For example, the thin plate may be 10 to 200 mu m, and the base material may be 500 to 2000 mu m. Preferably, the base material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100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This is to obtain an effect on the thermal conduction resistance.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접부(61)에 의해서 진공공간부(50)의 내부가 안정적이고 완벽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접부(61)는 밀봉상태를 유지하여 누설(leakage)이 있어서는 안되고, 상기 진공공간부(50)의 진공압에 의한 스트레스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In the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vacuum space part 50 can be stably and completely sealed by the welded part 61. For this, the welded portion 61 should be kept sealed so that there is no leakage, and it should have a strength enough to withstand the stress caus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space portion 50.

이러한 용접부(61)의 특성은 용접부를 제공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를 견고하고 안정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로 되는 것은 이하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박판과 모재가 밀착되도록 하는 지그가 그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그의 편평도가 고르지 못하여 박판과 모재의 간격부를 전체적으로 눌러서 완벽하게 밀착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밀착되지 못하는 부분은 레이저에 의해서 박판만이 용융되고 모재는 용융되지 못하거나 용융액이 사이 간격부를 채우지 못하여 리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박판과 모재의 표면이 거칠거나 스크래치가 있는 경우에 레이저의 조사가 불량하여 국소적으로 용융되지 못하거나 용융액이 사이 간격부를 채우지 못하여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박판과 모재의 융착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에 의해서 이물질이 연소하고 그 연소가스에 의해서 용융액이 끓거나 불완전 연소된 재 등이 융융액에 섞여서 용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ded portion 61 can be achieved by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welded portion. In order to stably and stably provide the welded portion, the following three problems can be cited. First, the jig that makes the laminate and the base material com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oes not function properly. For example, when the flatness of the jig is uneven and the gap between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is not entirely presse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adhere the thin plate to the base material. In this case, only the thin plate is melted by the laser and the base material is not melted, It can cause leakage. Second, when the surface of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is rough or scratchy, the laser irradiation is poor, so that it can not be fused locally, or the melt can not fill the gap, resulting in welding failure. Third, in the case wher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present on the fused surface of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the foreign matter is burned by the laser, and the melting liquid is boiled or the incompletely combusted material is mixed with the molten liquid.

상기 용접부와 함께 상기 헤드(10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특성에 의해서 상기 용접부(61)의 성능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량이 크면 박판 및 모재가 다량으로 녹아서 융착부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레이저의 이동 속도가 크면 용융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고, 레이저의 출력이 낮으면 융착되지 않고 레이저의 출력이 높으면 융착부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The performance of the welded portion 61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head 104 together with the welded portion. For example, if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laser is large,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may melt in a large amount to weaken the strength of the fused portion, and if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is high, Is high, the volume of the fused portion becomes large, which is not preferable.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냉장고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도 3은 냉장고의 제조에 사용되는 냉장고 제조장치의 구성도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기 용접부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the welding section.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 제조장치에는, 전도저항쉬트(60)(63), 플레이트부재(10)(20) 및 사이드 프레임(70)이 지지되는 지그(100)와, 상기 지그(100) 측으로 가하여지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레이저 소스(101), 상기 지그(100)에 진공압을 가하는 진공펌프(102), 및 상기 지그(100) 측으로 불활성가스를 가하는 불활성 가스원(103)이 포함된다. 상기 레이저 소스(101)로는 2kW급의 멀티모드 화이버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고 헤드(104)를 통하여 박판 및 모재 측으로 레이저를 가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원(103)은 소정의 관로를 이용하여 노즐(105)를 통하여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에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3, the refrige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jig 100 on which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the plate members 10 and 20 and the side frames 70 are supported, A vacuum pump 102 for applying a vacuum to the jig 100 and an inert gas source 103 for applying an inert gas to the jig 100 are included. A multimode fiber laser of 2 kW class can be used as the laser source 101, and a laser can be applied to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through the head 104. The inert gas source 103 may introduce an inert gas into a portion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through the nozzle 105 using a predetermined channel.

실시예에서는 상기 불활성가스로는 아르곤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노즐(105)의 분사각도는 45도, 노즐(105)과 레이저 조사 지점 사이의 높이는 6mm, 노즐(105)의 직경은 8mm를 사용하였다. 상기 불활성가스는 이물질의 연소를 막고 산화현상을 억제하여 용접불량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the examples, argon was used as the inert gas. Further, the spraying angle of the nozzle 105 was 45 degrees, the height between the nozzle 105 and the laser irradiation point was 6 mm, and the diameter of the nozzle 105 was 8 mm. The inert gas prevents the burning of the foreign matter and suppresses the oxidation phenomenon, thereby preventing the weld defect.

상기 레이저 소스(101)과 상기 헤드(104)는 박판 및 모재를 융착시킬 수 있는 정도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레이저 제어 수단으로서 레이저의 출력, 레이저의 조사면적, 레이더의 이동속도 즉 헤드의 이동속도가 열원으로서 레이저의 조정인자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important that the laser source 101 and the head 104 are capable of irradiating a laser beam capable of fusing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As the laser control means capable of achieving this object, the output of the laser,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and the moving speed of the radar, that is, the moving speed of the head, may act as a regulating factor of the laser as a heat source.

도 4는 상기 지그의 분해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ji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100)에는 베이스(110)와 커버(113)(114)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11)와 커버(113)(114)의 사이에는 모재(111)와 박판(112)이 놓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모재(111) 및 상기 박판(112)이 서로 용접되어야 하는 적정위치에서 서로 자리 잡고, 그 위를 커버(113)(114)가 덮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jig 100 includes a base 110 and covers 113 and 114. Between the base 11 and the covers 113 and 114, a base material 111, (112) can be placed. In other words, the base 113 and the thin plate 112 can be positioned on each other at a proper position where the base 111 is to b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covers 113 and 114 can cover the base 111 and the thin plate 112, respectively.

상기 베이스(11)에는 홈(115)이 제공되고, 상기 홈(115)을 통하여 상기 진공펌프(102)로부터의 진공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홈(115)에는 박판(112)이 놓여서 박판(112)을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하측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박판(112)의 하측에 모재(111)가 제공되는데, 상기 모재(111)는 상기 박판(112)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용접되는 내측모재(111b)와 외측모재(111a)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측모재(111b)와 상기 외측모재(111a)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 간격을 덮는 구조로 상기 박판(112)이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판(112)에는 홈(1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음압이 가하여질 수 있다. 상기 내측모재(111b)로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가 예시되고, 상기 외측모내(111b)로는 제 2 플레이트 부재(10)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내측모재(111b)와 상기 박판(112)이 겹치는 부분을 눌러주는 커버로는, 내측 탄성체 커버(113b)와 내측 강체 커버(114b)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모재(111a)와 상기 박판(112)이 겹치는 부분을 눌러주는 커버로는, 외측 탄성체 커버(113a)와 외측 강체 커버(114a)가 제공된다.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면 외측과 내측에 각각 용접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두 개의 헤드(104)를 이용하여 한번에 용접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 groove 115 is provided in the base 11 and vacuum pressure from the vacuum pump 102 can be applied through the groove 115. The groove 115 is provided with a thin plate 112 to provide a downward pulling force when the thin plate 112 is viewed from the drawing. A base material 11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n plate 112. The base material 111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base material 111b and an outer base material 111a weld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hin plate 112 have. The inside base material 111b and the outside base material 111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hin plate 112 can be placed in a structure that covers the space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thin plate 112 can be subjected to negativ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groove 115. The inner plate 111b may be a first plate member 10 and the outer plate 111b may be a second plate member 10, for example. An inner elastic body cover 113b and an inner rigid cover 114b are provided as a cover for pressing a portion where the inner base material 111b and the thin plate 112 overlap. An outer elastic cover 113a and an outer rigid cover 114a are provided as a cover for pressing a portion where the outer base material 111a and the thin plate 112 overlap. 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welding is performed to the outside and inside, respectively, and the welding can be performed at one time using the two heads 104. In this case,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상기 홈(115)을 통하여 상기 박판(112)에 진공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박판(112)은 상기 모재(111)에 완벽하게 붙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홈(1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음압이 박판(112)을 당겨서 박판을 모재(1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판(112) 또는 모재(111)의 국소적인 변형이나 수치의 문제로 의해서 박판(112)과 모재(111)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격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음압에 의해서 발생하는 강한 유동에 의해서, 상기 박판(112)과 상기 모재(111) 사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이물질이 용접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thin plate 112 through the groove 115 so that the thin plate 112 can adhere perfectly to the base material 111. In other words,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groove 115 can pull the thin plate 112 to bring the thin plat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111. Therefore, a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can be prevented by the local deformation or the numerical problem of the thin plate 112 or the base material 111.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removed between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due to the strong flow generated by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foreign matter may not interfere with the welding.

또한, 박판(112)과 모재(111)는 상기 탄성체 커버(113)가 고르게 눌러주는 힘에 의해서 더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Further,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can be more tightly contacted by the even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cover 113.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커버(113)(114)에는, 전체적으로 누르는 힘을 인가하는 강체커버(114)와, 상기 강체커버(114)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강체커버(114)의 힘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모재(111) 및 박판(112)으로 가하는 탄성체커버(113)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체커버(113)는 PDMS 또는 고무를 재질로 할 수 있고, 도면에 제시되는 사각형의 형상이 아니라 오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커버(113)는 모재(111) 및 박판의 전체 형상을 따라서 적절히 변형되며 상기 박판(112)을 고르게 누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형상이라는 것은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하방향 즉 눌러지는 방향으로의 높이 차이를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박판(112)과 모재(111)의 밀착도가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상기 탄성체커버(113)는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없이는 변형되지 않는 상기 모재(111)의 전체 형상을 따라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박판(112)을 상기 모재(111) 측으로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The cover 113 and 114 are provided with a rigid cover 114 for applying a generally pressing force to the cover 113 and a cover 114 for holding the rigid cover 114 under the force of the rigid cover 114, (112). The elastic cover 113 may be made of PDMS or rubber, and may be provided as an O-ring instead of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elastic cover 113 is appropriately deformed along the entire shape of the base material 111 and the thin plate, and the thin plate 112 can evenly be pressed. Here, the overall shape is to focus on observing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up-down direction, that is, the pushing direction as a who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refore,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can be further improved. The elastic cover 113 is deformed along the entire shape of the base material 111 which is not deformed without a certain level of force so that the thin plate 112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material 111 .

상기 탄성체커버(113)에 의해서 강체커버(114)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얻을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강체커버(114)의 작은 스크래치도 박판과 모재의 밀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강체커버(114)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탄성체커버(113)는 부드러워서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고, 스크래치가 있더라도 자체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모재와 박판 상호 간이 접촉에 문제를 끼치지 않는다. An advantage that the rigid cover 114 is not replaced by the elastic cover 113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since the small scratches of the rigid cover 114 can also affec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the rigid cover 114 can cause scratches on the surface due to repeated use, There is a need. However, since the elastic cover 113 is soft and does not generate scratches and is deformed by itself even in the presence of scratches, there is no problem in contact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thin plate.

상기 탄성체커버(113)는 용접부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박판(112)의 외부를 전체로 에워싸는 폐곡선의 구성으로 지지하여 용접부(61)의 작은 개소에 대한 용접불량도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밀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폐곡선은 선이 두꺼운 폐곡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용접부의 어느 일 방향에서 단부를 향하여 박판(112)의 전체 영역이 탄성체커버(113)에 의해서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lastic cover 113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entirely surrounds the welded por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welding failure to a small portion of the welded portion 61 by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thin plate 112 with the constitution of a closed curve which surrounds the whole. The closed curv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ick curved surface so as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For example, the entire area of the thin plate 112 can be pressed by the elastic body cover 113 from one direction to the other end of the welded portion.

상기 탄성체커버(113)에 의해서 상기 박판(112)와 상기 모재(111)가 기계적으로 밀착되는 것과 함께, 박판(112)이 홈(1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진공압에 의해서 더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박판(112)과 상기 모재(111)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있더라도, 그 간격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강한 유속의 정압에 의해서 박판(112)은 더욱 모재(111)측으로 접근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박판(112)과 모재(111) 사이의 간격은 용접에 방해가 될 수 있을 정도에 이르지 ?榜쨈?. The thin plate 112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base material 111 by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groove 115 as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are mechan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cover 113. [ have. At this time, even if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the thin plate 112 is further brought closer to the base material 111 side by the static pressure of the strong flow velocity of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interval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weld.

도 5는 상기 홈의 주변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로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조장치의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groove, and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저항쉬트(60)(63)로 작용하는 상기 박판(112)은 열전도 경로를 길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곡면부가 홈(115)에 놓인 상태로, 모재(111)의 간격에 놓여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61)는 박판(112)의 양측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61)는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제공될 수 있는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5, the thin plate 112 serving as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s 60 and 63 is placed in the gap 115 of the base material 111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provided to elongate the heat conduction path, So that the welding can be performed. The welding portions 6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n plate 112, respectively. It can be easily guessed that the welding portion 61 can be provid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상기 홈(115)에는 상기 진공펌프(102)로부터의 진공압이 가하여지므로, 상기 박판(112)의 표면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한다. 화살표는 박판(112)이 받는 힘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박판(112)에 가하여지는 힘은, 박판(112)의 양 끝단을 가운데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발생시킨다. 화살표 방향은 박판의 양단부에 가하여지는 힘을 표시한다. 이 힘은 용접이 수행되는 중에 용접불량을 일으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도면을 바꾸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A vacuum force is applied from the vacuum pump 102 to the groove 115, so that a downward forc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thin plate 112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arrow indicates the force received by the lamella 112. The force applied to the thin plate 112 causes a force to pull both ends of the thin plate 112 toward the center.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s the forc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thin plate. This force acts as a factor causing weld failure during welding. The draw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changing the drawing.

도 6은 용접공정이 수행되는 중에 용접부를 관찰하는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for observing the welded portion while the welding process is being performed.

도 6을 참조하면, 레이저 등의 열원이 박판 및 모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며 용접이 수행되는 중에는, 열원에 의해서 박판(112) 및 모재(111)가 녹아 용융액이 되는 구간과, 용융액이 고화하여 박판(112)과 모재(111)의 접촉부가 서로 고착되는 부분이 있다. 도면에서 열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융착되는 용융액이 있는 용융부(611)와, 상기 용융부(611)가 고화하여 제공되는 고화부(612)가 표시된다. 상기 용융부(611)는 용융액이 액체상태로 제공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길이(l)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용융부(611)는 용융부(611)의 좌우측에서 당기는 힘을 지탱하지 못하고, 다른 부분, 즉 아직 용융되지 않은 부분과 고화부(612)가 이를 지탱하여야 한다. 6, when a heat source such as a laser is moved relative to a thin plate and a base material and welding is performed, a section where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melt by the heat source to become a melt,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a molten portion 611 having a melt to be fused and a solidifying portion 612 provided to solidify the molten portion 611 are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eat source. The molten portion 611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l as a portion where the molten liquid is supplied in a liquid state. However, the fused portion 611 can not support the pulling for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sed portion 611, and the other portions, that is, the portions that have not yet melted, and the fused portion 612 must support the fused portion 611.

다시 말하면, 상기 용융부(611)의 간격(l)에서는 용융부(611)를 벌어지게 하는 힘이 홈(115)의 진공압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 힘에 의해서 용융부(611)가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좌우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면 용융액의 불균일 유동을 만들게 됨으로써 국소적으로 융착되지 못한 부분 또는 비어 있는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은 누설을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화부(612) 및 용접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상기 용융부(611)가 벌어지지 않고 지지될 수도 있으나, 이는 용융부(611)의 전체 길이에 의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부(611)의 길이(l)가 미소하게 작은 경우에는 미소하게 벌어져서 용접성능에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상기 용융부(611)의 길이(l)가 상당하게 긴 경우에는 그 벌어지는 길이를 무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n the interval 1 between the molten portions 611, a force for causing the molten portion 611 to spread is generat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groove 115. When the molten solder 611 sprea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molten solder 611 generates a non-uniform flow of the molten liquid, thereby causing a locally unfused portion or an empty gap, Can act as a factor. Of course, the fused portion 611 may be supported indirectly by the solidified portion 612 and the non-welded portion without being flared, but this depends on the entire length of the fused portion 611. For example, if the length (1) of the molten solder 611 is very small, the solder may be slightly worn and not affect the welding performance. However, if the length 1 of the molten solder 611 is considerably long It will not be able to ignore the length of its spread.

도 7은 도 6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화부(612)는 박판(112) 및 모재(111)의 재질과는 다른 별도의 재질로서 다른 물성을 가지게 되고, 박판 및 모재의 강도에 비하여는 낮은 강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박판(112)의 두께(t1)과 고화부의 두께(t2)의 관계이 있어서, 고화부(612)의 두께는 가급적 얇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고화부(612)의 두께를 얇게 제공하기 위하여 약한 출력의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소적으로 융착이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레이저의 제어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화부(612)는 용접부(61)와 실질적으로 같은 용어로서, 상기 고화부(612)는 상기 요융부(611)가 고화된 다음의 용접부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olidified portion 612 has a different physical property from that of the thin plate 112 and the base material 111, and has a lower strength than that of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olidified portion 612 is as thin as possible,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t1 of the thin plate 112 and the thickness t2 of the solidified portion. However, when a weak output laser is used to provide the thickness of the solidified portion 612 thinner,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a portion that is not fused locally may occur. The control of the laser capable of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olidified portion 612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elded portion 61 and the solidified portion 612 is a welded portion after the solidified portion 611 is solidified.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용융부(61)에서 용접부(61)가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힘과 그 힘에 저항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박판(112)에는 진공압에 의해서 상기 용접부(61)에서 중심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발생한다. 상기 당기는 힘은 진공압을 받는 박판(112)의 곡면부의 길이(L)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힘에 대응하는 힘으로서 용접부(61)에서 상기 모재(111)의 선단부에 이르는 간격에서 발생하는 정지 마찰력이 발생한다. 상기 정지 마찰력이 진공압에 의한 당기는 힘에 비하여 크다면, 용융부(611)에 의한 용접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Referring again to FIG. 5, a force for causing the welding portion 61 to sprea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molten portion 61 and a structure provided to resist the for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orce of pulling toward the center in the welded portion 61 is generated in the thin plate 112 by the vacuum pressure. It can be seen that the pulling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L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thin plate 112 which receives the vacuum pressure. As a force corresponding to this force, a static fric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interval from the welded portion 61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111 is generated. If the static friction force is larger than the pulling force by the vacuum pressure, welding failure by the fused portion 611 does not occur.

상기 마찰력은 상기 박판(112)이 모재(111)를 누르는 압력과 용접부(61)와 모재(111)의 선단부까지의 거리(D)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박판과 상기 모재 사이의 압력은 두 부재 사이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간격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의 정압에 비례할 수 있거나, 상기 탄성체커버(113)에 의해서 박판(112)의 양단부가 완전히 밀폐되는 경우에는, 유체의 유동이 없이 홈(115)의 진공압이 상기 박판과 상기 모재의 사이 간격부에 가하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접부(61)와 상기 모재(111)의 선단부까지의 거리(D)는 길게 할수록 상기 마찰력을 크게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진공단열체가 냉장고가 제공되었을 때, 모재(111)와 박판(112) 간의 열전달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frictional force may be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t which the thin plate 112 presses the base material 111 and the distance D from the weld 61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material 111. [ The pressure between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may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between the two members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when the both ends of the thin plate 112 are completely closed by the elastic body cover 113, the fluid pressure can be increas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groove 115 without fluid flow, Can be applied to an interval portion between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Therefore, the frictional force can be increase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welded portion 61 and the tip of the base material 111 becomes longer. However, when the vacuum insulato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it acts as a factor for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amount between the base material 111 and the thin plate 112, which is not preferable.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발명자는 다양한 경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 있어서, 누설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기밀도 테스트는 10-11torr대의 진공에 대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실험을 두 차례 시행하여 두 번 모두 누설이 없는 경우에만 누설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Under the circumstance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s performed various experiments. In the above-mentioned experiment, the airtightness test for judging whether leakage occurred was judged as leakage to a vacuum of 10 -11 torr and whether there was leakage only when there was no leakage at both times Respectively.

표 1은 그 실험결과는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L(mm)L (mm) D(mm)D (mm) L/DL / D 품질quality 22 88 0.250.25 누설Leakage 22 66 0.330.33 누설Leakage 33 88 0.380.38 누설Leakage 33 66 0.50.5 누설Leakage 44 88 0.50.5 누설Leakage 4.54.5 88 0.560.56 누설Leakage 55 88 0.630.63 양품Good 44 66 0.670.67 양품Good 4.54.5 66 0.750.75 양품Good 55 66 0.830.83 양품Good 5.55.5 66 0.920.92 양품Good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D)/진공압이 가하여지는 부분의 길이(L)이 일정한 수준 이상, 즉, 0.6 이상이 되면 용융액에 의한 용융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용접부(61)로부터 상기 모재(111)의 단부까지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진공압이 가하여지는 부분이 길이는 진공공간부에 노출되어 진공압을 받는 박판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D)를 길게 하면, 진공단열체를 적용하는 냉장고가 제작된 다음에 열전도량이 증가하여 열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D)/진공압이 가하여지는 부분의 길이(L)는 최대 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에 따르면 더 바람직하게, D/L은 0.63이상 0.92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length (D) of the portion where the frictional force acts / the length L of the portion to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at is, 0.6 or more, I could confirm. The length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rictional force acts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from the welded portion 61 to the end of the base material 111. The length of the portion to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is exposed to the vacuum spac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thin plate that is received.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f the length D of the portion where the frictional force is applied is made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conductivity increases and the heat loss increases after the refrigerator adopting the vacuum insulator is manufactured. The length (D) of the portion / the length (L) of the portion to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applied is preferably limited to a maximum of 1. According to the experiment, more preferably, D / L can be provided in the range of 0.63 to 0.92.

한편, 상기 용접부(61)를 제공할 때, 용접모드는 열전도모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이저 용접시의 용접 모드에는 열전도모드와 키홀모드가 있다. 먼저, 상기 열전도모드(conduction mode welding)는 용융되는 재료의 깊이가 비교적 얕고 깊이보다는 융융되는 부분의 폭이 넓고, 이 경우에는 파워밀도가 비교적 낮다. 상기 키홀모드(keyhole mode welding or beam hole)는 레이저의 파워 밀도가 어느 한계치 이상으로서 재료의 증발이 격렬해지고 그때 금속 증기압에 의한 반동력으로 용융재료에 함몰(키홀)이 생기며 용접이 이루어지는 모드로서 함몰을 통하여 재료 내부가 직접 가열되므로 깊은 용융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roviding the welded portion 61,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ing mode is provided in the heat conduction mode. In detail, the welding mode for laser welding includes a thermal conduction mode and a keyhole mode. First, in the conduction mode welding, the depth of the material to be melted is relatively shallow and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melted portion is wider than the depth, and in this case, the power density is relatively low. The keyhole mode welding or beam hole is a mode in which the power density of the laser is higher than a certain limit so that evaporation of the material becomes vigorous and a keyhole is formed in the molten material due to the reaction force caused by the metal vapor pressure, The inside of the material is heated directly, so that deep melting can be obtained.

상기되는 경우에 있어서, 가급적 용융부(611)의 길이를 짧게 하여 용융부(611)의 벌어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접부(61)는 열전도모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melted portion 611 and reduce the spread of the molten portion 611,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ed portion 61 is provided in a heat conduction mode.

상기 열전도모드를 달성하면서, 안정적이고 견도한 용접부(61)를 구성할 수 있는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레이저 제어 조건으로서 레이저의 출력, 레이저의 조사면적, 레이더의 이동속도, 즉 상기 헤드의 이동속도가 열원으로서 레이저의 조정인자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laser control condition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heat conduction mode and constituting the stable welded portion 61, the laser output,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the moving speed of the radar, The speed can act as a modulator of the laser as a heat source.

상기 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경우에 실험을 행하였다. 이하에서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설명한다.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various cases by varying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head. Hereinafter, results of experiments will be described.

도 8은 용접을 수행한 후에 얻어진 시편에 대한 누설실험과 파단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테이블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8(a)는 파단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도 8(b)는 누설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8 (a) and 8 (b) show the results of performing leakage tests and breaking tests on the specimens obtained after welding, respectively. FIG. 8 (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는 누설 또는 파단이 발생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누설은 진공상태에서 용접부를 통하여 기체가 세는 것을 말하고, 상기 파단은 인장강도의 시험 중에 용접부(61)가 포함되는 시편에서 용접부가 파단된 것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 인장강도는 대략 1000MPa에서 용접부가 파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는 누설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용접이 올바르게 된 것을 지시한다. Referring to FIG. 8, X denotes leakage or breakage, wherein the leakage refers to the mass of gas passing through the welded portion in a vacuum state, and the fracture occurs in the specimen including the welded portion 61 during the test of tensile strength Indicating that the weld has broken.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ded portion was broken at the tensile strength of about 1000 MPa. ○ indicates that welding or welding has failed because no leakage or breakage has occurred.

실험은 다음과 같은 경우로 수행을 하였다. 먼저, 빔 사이즈는 200㎛, 375㎛, 625㎛, 및 1125㎛로 수행을 하였다. 출력은 100W에서 2000W까지의 범위에서 다양한 경우를 실험하였다. 레이저의 이동속도는 3m/min에서 17m/min까지의 범위에서 다양한 경우를 실험하였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cases. First, the beam sizes were 200 μm, 375 μm, 625 μm, and 1125 μm. The output was varied from 100W to 2000W. The traveling speed of laser was varied from 3m / min to 17m / min.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파단실험을 통과하더라도 누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용접부(61)가 충분한 강도는 가질 수 있지만, 용접부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특정 부분에는 누설이 생길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S. 8 (a) and 8 (b), it can be seen that leakage may occur even if the break test is passed.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welded portion 61 may have sufficient strength, leakage may occur in a specific portion due to instability of the welded portion.

상기되는 실험에 의하면, 빔 사이즈는 200~375㎛가 바람직하고, 레이저 이동속도는 7~15mmin이 바람직하고, 출력은 200~800W가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용접 제어 조건은 상기 세 가지 조건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이다. 상기 수치를 통하여, 올바른 박판용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용접이 열전도 모드로 수행이 되는 것과 상기 레이저 제어 조건이 수행되는 경우인 것을 알아내었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 described above, the beam size is preferably 200 to 375 占 퐉, the laser moving speed is preferably 7 to 15 min, and the output is preferably 200 to 800 W. The most preferred welding control conditions are those in which the above three conditions are performed together. Through the above numerical values, it has been found that, in order to perform the correct thin plate welding, the welding is performed in the heat conduction mode and the laser control condition is performed.

바람직하게 예시되는 상기 레이저 제어 조건은 더 다양한 인자가 있을 수 있지만, 발명자가 추정하는 원인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Although the laser control conditions that are preferably exemplified may have a variety of factors, the cause presumed by the inven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레이저의 출력과 레이저의 이동속도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분의 단위면적당에너지에 영항을 미치고, 상기 레이저의 조사면적은 빔 사이즈(beam Size)로서 용접부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The output of the laser and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affect the energy per unit area of the portion irradiated with the laser, and the irradiated area of the laser affects the size of the welded portion as the beam size.

상기 단위면적당에너지가 동일하다고 할 때, 상기 레이저의 출력과 상기 레이저의 이동속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먼저, 상기 레이저의 이동속도를 높이면 동일한 단위면적당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레이저의 이동속도를 빨리 하는 것에 의해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레이저의 출력이 지나치게 높아서 키홀모드로 동작될 가능성이 높고, 박판이 산화할 우려가 높고, 모재까지는 녹지 않을 우려가 크다. 따라서 용접불량 및 파단의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상기 레이저의 이동속도를 낮추면 동일한 단위면적당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낮주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그와 반대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이동속도가 낮아서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크고, 용융부의 장기적인 유동에 의해서 고화부가 적절한 형태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레이저의 빔 사이즈를 크게 하면 지나치게 많은 전달 에너지가 주어지기 때문에 키홀모드로 동작할 우려가 크고 용접부의 폭이 지나치게 넓어져서 상기 용융부(611)의 길이(l)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서 용접부(611)의 폭이 길어져서 용접부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레이저의 빔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전달 에너지가 작아서 박판 및 모재가 충분히 용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of the laser and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will be further described, assuming that the energy per unit area is the same. First, if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is increased, the laser output must be increased to obtain the same energy per unit area. However, in this case, although the work speed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output of the laser is too high to operate in the keyhole mode, the thin plate is likely to oxidize, There is great concern.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welding failure and breakage. Conversely, if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is lowered, the laser output should be lowered to obtain the same energy per unit area. In this case, the opposite effect may occur, for example, there is a fear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the low moving speed, and the solidified portion may not be provided in a proper shape due to the long-term flow of the molten portion. When the beam size of the laser is increased, too much transmission energy is given,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operating in the keyhole mode and the width of the welded portion is widened so that the length l of the molten portion 611 becomes long, The width of the welded portion is increas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elded portion is defective. If the beam size of the laser is too small, the transfer energy is small and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are not sufficiently melted.

발명자는 배경하에서 상기되는 다양한 실험을 행하면서, 레이저에 의해서 박판 또는 모재가 용융된 다음에, 유동이 가능한 상기 용융부가 액체상태에서 어떠한 유동을 보인 다음에 고화하는지가 용접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았다. 여기서 용접부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용접부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소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그 두번째로 고려된다.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thin plate or the base material is melted by the laser and then the flowable melt portion solidifies after showing any flow in the liquid state, okay. Here, w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welded portion is that leakage does not occur in the welded portion, and secondly i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먼저, 발명자가 파악한 상기 용융부(611)의 성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박판(112) 상기 박판(112)의 하측에 놓이는 모재(111)의 일부 두께가 녹은 용융액은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보이고, 고상에서 액상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약간량 부피팽창이 발생한다. 팽창된 용융액은 레이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방과 양측방향으로 유동을 보이면서 고화된다. 이때 상기 용융부(611)의 폭과 깊이가 길면 길수록 내부가 천천히 고화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늦게 고화되고 전체적으로 용융액의 유동량이 커서 필요없는 곳을 용융액이 흘러서 국소적으로 용융부(611)가 모재와 박판을 연결하지 않는 부분이 제공되어 리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비드의 형상이 규칙적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화부(612)의 폭과 두께가 커서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용융부(611)의 길이가 길어져서 공압에 의한 누설의 발생도 우려된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로 용융부(611)의 폭과 깊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신속히 고화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유동량이 작아서 용융액이 박판과 모재를 채울 수 있는 정도로 용융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용융부(611)의 폭과 깊이는, 상기 레이저의 단위면적당에너지가 클수록 상기 레이저의 빔 사이즈가 클수록 크게 될 수 있다. First, the properties of the melting portion 611 determined by the inventor will be described. The thin plate 112 has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111 placed below the thin plate 112 and is melted. As a result, a slight amount of volume expansion occurs as the liquid melts. The expanded melt is solidified while showing the flow toward the back and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At this time, the longer the width and the depth of the melted portion 611, the more slowly the wall is solidified, so that the molten portion 611 solidifies later and the flow rate of the molten liquid as a whole is large. As a result, the molten liquid flows locally, There is a risk that leakage may occur.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bead was not regular. In addition, the strength and the strength of the solidified portion 612 may be large due to the wid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solidified portion 612, and the length of the molten portion 611 may become long, which may cause leakage due to pneumatic pressure. In contrast, if the width and depth of the molten solder 611 are short, the molten solder 611 is solidified rapidly, and the amount of the molten solder 611 as a whole is small, so that the melt may not melt to such an extent that the molten solder 611 can fill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As will be appreciated, the width and depth of the fused portion 611 can be increased as the energy per unit area of the laser is greater and the beam size of the laser is greater.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적절한 용융액의 유동량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는 용융부(611)에 의해서 형성되는 고화부(612)의 형상이 다음과 같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solidified portion 612 formed by the molten portion 611 having a proper flow amount of the molten liquid under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is provided as follows.

도 9는 용융부의 폭과 두께가 큰 경우에 고화부의 형상을 관찰한 것이고 도 10은 용융부의 폭과 두께가 작은 경우에 고화부의 형상을 관찰한 것이다. 두 고화부의 형상을 누설이 없고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을 판단된 고화부의 형상을 관찰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할 때 도 9의 고화부는 레이저 출력은 960W이고 레이저의 이동속도는 15m/min이고 레이저의 빔 사이즈는 375㎛인 상태에서 용융부가 제공되는 경우이고, 도 10의 고화부는 레이저 출력은 240W이고 레이저 이동속조는 7m/min이고 레이저의 빔 사이즈는 200㎛인 경우이다. Fig. 9 shows the shape of the solidified portion whe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used portion are large, and Fig. 10 shows the shape of the solidified portion whe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used portion are small. The shapes of the two solidified portions were observed to have no leak and the shape of the solidified portion judged to have appropriate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solidification portion of FIG. 9 has a laser output of 960 W, a laser movement speed of 15 m / min and a laser beam size of 375 μm, and the solidification portion of FIG. The laser output is 240W, the laser traveling speed is 7m / min, and the laser beam size is 200μm.

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때, 상기 고화부(612)에 나타나는 비드(620)(320)의 형상은, 용융부(612)의 중심에 포물선 형상으로 제공되는 변곡영역(621)(631)을 포함하고, 상기 변곡영역(621)(63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직선영역(622)(632)과 끝단에 제공되는 에지영역(623)(6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고화순간에 나타나는 요철을 말한다. 상기 비드의 개수는 상기 용융부(611)의 폭과 길이가 작을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9 and 10, the shape of the beads 620 320 shown in the solidification portion 612 is a shape of a bent region 621 631 provided in a parabolic shape at the center of the molten portion 612, And may include a linear region 622 632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bent region 621 631 and an edge region 623 633 provided at an end thereof. have. The bead refers to the unevenness appearing at the moment of solidification. The number of the beads increases a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used portion 611 become smaller.

상기 용융부(611)의 폭과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상기 변곡영역(621)(631)의 폭이 커지고, 상기 직선영역(622)(632)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기 직선영역이 진행방향과 이루는 각도(θ)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에지영역(623)(633)은 용융되지 않는 부분과의 노슬립조건(no-sleep condition)에 의해서 그 각도를 정의하기가 어렵고, 상기 변곡영역(621)(631)의 폭과 상기 직선영역(622)(632)의 길이는 레이저의 빔 사이즈에 의해서 모든 시편에서 크게 변화되어 그 특성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A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elted portion 611 are shorter, the widths of the bent regions 621 and 631 become larger, the lengths of the straight regions 622 and 632 become shorter, The angle &thetas;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angle of the edge regions 623 and 633 by a no-sleep condition with the portion which is not melted and the widths of the bent regions 621 and 631 and the linear region The lengths of the beams 622 and 632 vary greatly in all the specimens due to the beam size of the laser,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thereof.

발명자는 상기 직선영역(622)(632)이 이루는 각도 및 고화부의 단위 길이에 포함되는 비드의 개수를 정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inventor has confirmed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s 622 and 632 and the number of beads included in the unit length of the solidified portion can be defined.

도 9에서 상기 직선영역(622)(632)이 용접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9.462도이고, 비드의 개수는 1mm당 20개가 관찰되었다. 도 10에서 상기 직선영역(623)(633)이 용접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42.184도이고 비스의 개수는 1mm당 100여개가 관찰되었다. 상기 용접부(61)에서 누설이 없고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고화부의 형상은 직선영역이 용접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비드의 개수로 정의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수치로는, 상기 직선영역의 각도는 9도에서 43도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비드의 개수는 20개에서 100개로 제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안되는 용접부의 고화부의 형상은 모두 상기 수치의 범위 내로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In FIG. 9, the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s 622 and 632 with the welding direction is 9.462 degrees, and the number of beads is 20 per 1 mm. In FIG. 10, the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s 623 and 633 with the welding direction is 42.184 degrees, and the number of the screws is 100 per 1 mm. The shape of the solidified portion capable of performing stable welding without leakage in the welded portion 61 can be defined as the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 with the welding direction and the number of beads. As a concrete numerical value, the angle of the linear region may be defined as 9 degrees to 43 degrees, and the number of the beads may be 20 to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solidification portion of the proposed welded portion is all provided within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 range.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시 한번 상기 수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직선영역의 각도와 비드의 개수에 대한 하한치는, 용융액의 유동량이 커서 국소적으로 용융부가 모재와 박판을 연결하지 않는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십미터 길이의 용접부를 용접하면서 국소적으로 리크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직선영역의 각도와 비드의 개수에 대한 하한치는, 용융액의 유동량이 작아서 용융액이 박판과 모재를 채울 수 있는 정도로 용융되지 않은 것으로서, 수십미터 길이의 용접부를 용접하면서 용융액이 박판과 모재를 채우지 못하거나, 모재가 국소적으로 융융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lower limit of the angle of the linear region and the number of beads is that the amount of flow of the melt is large so that the molte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rtion that does not connect the base material to the thin plate , It may mean that a leak occurs locally while welding a welded part of several tens of meters in length. The lower limit of the angle of the linear region and the number of beads is that the melt is not mel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molten liquid can fill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aterial because the flow amount of the melt is small and the melt does not fill the thin plate and the base metal while welding the tensile- Or a portion where the base material is not locally melted may occur, which may lead to leakage as a whole.

도 11은 200㎛의 레이저 빔사이즈로 레이저 출력과 레이저의 이동속도를 변경하면서 실험한 결과 고화부의 형상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규칙적으로 비드가 제공됨과 함께 위에 설명한 양상의 패턴의 비드를 가지는 고화부가 누설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1 is a graph showing the shape of a solidified portion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while changing the laser output and the laser moving speed at a laser beam size of 200 mu m. 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beads are regularly provided and that the solidified portion having the beads of the above-described pattern has no leakage.

도 11을 참조할 때 고화부의 비드가 규칙적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것은 용융부의 유동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아서 적절한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만, 고화부가 규칙적으로 제공되면서도 소정의 길이에서 국소적으로 누설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예를 들어, 10m/min에서 240W의 레이저 출력을 인가하였을 때가 그 경우이다. 이때에는 짧은 시편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교적 긴 시편으로 시험을 하였을 때에는 국소적으로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경우에는 국소적으로 모재가 용융되지 않은 경우로서 고화부의 두께도 용접부(61)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재가 반드시 용융할 수 있는 고화부의 최소두께를 고려하여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assumed that the beads of the solidified portion are not regularly provided because the flow of the molten portion is too large or too small to ensure proper fluidity.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leakage occurs locally at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the solidified portion is regularly provided. For example, when a laser output of 240 W is applied at 10 m / min. At this time, no leakage occurred whe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 short specimen, but when the specimen was tested with a relatively long specimen, the leakage occurred locally. In this ca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olidified portion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welded portion 61 when the base material is not locally fused. It can be seen that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hardened portion, which the base material must melt, must be considered for this purpose.

도 12는 상기 단위면적당에너지와 용접부의 깊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 수평축은 단위면적당에너지의 강도(W/m2T)이고 수직축은 무차원수로서 박판의 두께에 대비되는 용접부의 용접깊이를 나타낸다.12 is a graph showing energy per unit area and depth of a welded portion. In FIG. 1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energy intensity per unit area (W / m 2 T)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weld depth of the welded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as a dimensionless number.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면적당에너지는, 레이저 출력과 레이저의 이동속에 비례하는 값으로서, 상기 두 수치를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의 단위면적당에너지 값이 커지면 용접에 있어서 키홀모드에 접근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용접에 가하여지는 에너지는 키홀모드에 이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12, 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per unit area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bove two values a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laser output and the movement of the laser. If the energy per unit area of the laser increases,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welding failure may occur due to approach to the keyhole mode in weld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ergy applied to the welding does not reach the keyhole mode.

도 13은 용접부의 깊이와 인장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 13 shows the results of testing the depth and tensile strength of welds.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험에서 용접부의 깊이가 200㎛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급격하게 인장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n various experiments, when the depth of the welded portion exceeds 200 탆, the tensile strength suddenly decreases.

상기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박판이 50㎛이라고 할 때 용접부의 깊이는 200㎛를 넘어서면서 용접부의 인장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융해하는 모재의 깊이는 박판의 세 배를 넘어서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한으로는 박판의 0.1배는 용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재의 최소한의 용융깊이는 국소적으로 용융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되는 수치를 만족하는 것은 위에서 제안한 상기 레이저 제어 조건으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when the thin plate is assumed to be 50 탆, the depth of the welded portion exceeds 200 탆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elded portion sharply drop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base material to be melted does not exceed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0.1 times of the thin plate is melt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inimum melting depth of the base material prevents locally non-melting portions from occurr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satisfying the above numerical values can be achieved as the laser control condition proposed above.

상기 실시예는 냉장고의 도어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본체, 또는 진공단열체를 관통하는 관로에 있어서도 진공압에 의한 힘 및 마찰력에 의한 그 힘에 대한 저항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내용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embodimen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door side vacuum insulator of the refrigerator. However, even in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or a duct penetrating a vacuum insulator, resistance against the force due to the vacuum pressure and the forc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re the same, so that the same contents can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를 제작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제공되는 용접부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체를 이용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기술에 한 차원 더 접근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uniformly provide a weld part which is essentially required for manufacturing a refrigerator to which a vacuum insulator is applied. Therefore, the effect of approaching the technology of providing a refrigerator using a vacuum insulator can be obtained.

61: 용접부
611: 용융부
612: 고화부
61:
611:
612:

Claims (12)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용접되어 용접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접부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규칙적인 비드가 제공되고,
상기 비드에는,
중앙부에 제공되는 포물선 형상의 변곡영역;
상기 변곡영역의 양측 바깥쪽에 제공되는 직선영역; 및
상기 직선영역의 바깥쪽에 제공되는 에지영역이 포함되는 냉장고.
A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the storage; And
And a door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space from an external spa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ody and the door includes a vacuum insulator,
I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ember,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for the interior space;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said outer space; And
A vacuum space part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pace and is a vacuum space and includes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apable of resisting therm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ember is weld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weld,
A plurality of regular beads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welded portion,
In the bead,
A parabolic curve region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A linear reg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nt region; And
And an edge region provided outside the linear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영역이 용접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9 ~ 43도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linear region with the welding direction is 9 to 43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개수는 용접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20~100개/1mm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beads is 20 to 100 pieces / 1 mm based on the weld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에 제공되도록 용융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두께는 박판의 0.1~3배인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melted to be provided in the welded portion is 0.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수행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lding is performed by laser weld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의 제어 조건은,
빔사이즈는 200~375㎛이고, 레이저 이동속도는 7~15m/min이고, 출력은 200~800W인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aser welding control conditions include,
The beam size is 200 to 375 占 퐉, the laser moving speed is 7 to 15 m / min, and the output is 200 to 800 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규칙적으로 제공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ds are regularly provided.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서로 용접되어 용접부를 제공하고,
상기 용접부는 열전도 모드의 레이저 용접으로 수행되고,
상기 용접부에서 용융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0.1~3배인 냉장고.
A body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the storage; And
And a door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space from an external spa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ody and the door includes a vacuum insulator,
In the vacuum heat insulating member,
A first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for the interior space;
A second plate member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a wall for said outer space; And
A vacuum space part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pace and is a vacuum space and includes a conductive resistance sheet capable of resisting thermal conduction between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and the plate member is weld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weld,
The weld is performed by laser welding in a thermal conduction mode,
Wherein a thickness of the plate member melted in the welded portion is 0.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이저 이동속도는 7~15m/min이고, 출력은 200~800W인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In order to provide the weld, the laser moving speed is 7 to 15 m / min and the output is 200 to 800 W.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의 표면에 제공되는 비드에는 적어도 직선영역이 포함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t least a linear region is included in a bead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elded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10~200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500~2000마이크로미터인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is 10 to 200 micrometers, and the plate member is 500 to 2000 micromete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전도저항쉬트에 비하여 10~100배의 두께로 제공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late member is provided at a thickness of 10 to 100 time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resistance sheet.
KR1020150151256A 2015-10-29 2015-10-29 Refrigerator KR102487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56A KR102487068B1 (en) 2015-10-29 2015-10-29 Refrigerator
US15/771,186 US10987757B2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2010818415.5A CN111895715B (en) 2015-10-29 2016-08-02 Vacuum heat insula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cuum heat insulator
PCT/KR2016/008525 WO2017073891A1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EP16860075.7A EP3368842B1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CN201680064926.4A CN108291765B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10818443.7A CN111947389B (en) 2015-10-29 2016-08-02 Vacuum heat insula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010817800.8A CN111964345B (en) 2015-10-29 2016-08-02 Vacuum heat insula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cuum heat insulator
EP22183568.9A EP4089352A3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frigerator
ES16860075T ES2784909T3 (en) 2015-10-29 2016-08-02 Fridge
EP20153039.1A EP3660430B1 (en) 2015-10-29 2016-08-02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US17/209,776 US11926000B2 (en) 2015-10-29 2021-03-23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0230001879A KR20230008265A (en) 2015-10-29 2023-01-05 Refrigerator
US18/409,466 US20240139868A1 (en) 2015-10-29 2024-01-10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56A KR102487068B1 (en) 2015-10-29 2015-10-29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79A Division KR20230008265A (en) 2015-10-29 2023-01-0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27A true KR20170050127A (en) 2017-05-11
KR102487068B1 KR102487068B1 (en) 2023-01-11

Family

ID=587412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256A KR102487068B1 (en) 2015-10-29 2015-10-29 Refrigerator
KR1020230001879A KR20230008265A (en) 2015-10-29 2023-01-05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879A KR20230008265A (en) 2015-10-29 2023-01-0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70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8509A (en)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freezer
KR20120139648A (en) * 2012-12-13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JP2015000411A (en) * 2013-06-14 201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anel joint method and joint panel manufactured by panel joint method
KR20150109624A (en) 2014-03-20 2015-10-02 (주) 큐알온텍 Character shap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8509A (en)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freezer
KR20120139648A (en) * 2012-12-13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JP2015000411A (en) * 2013-06-14 201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anel joint method and joint panel manufactured by panel joint method
KR20150109624A (en) 2014-03-20 2015-10-02 (주) 큐알온텍 Character shap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068B1 (en) 2023-01-11
KR20230008265A (en)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9868A1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6093846A (en) Method and device for butt welding thin metal sheets without filler materials by using clamping devices, at least one pressing element being suitable for applying two or more distinct pressure levels
TWI803667B (en) Welding method of stainless steel foil and welded structure
KR101842335B1 (en) Vacuum diffusion inos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9147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welding of strips guided to a butt state by laser beam
KR20170050110A (en) Refrigerator and fabrication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JP6143402B1 (en) Welding method between thin copper plates
KR20170050127A (en) Refrigerator
KR20210084289A (en) Method for sealing and welding a multi-cavity vapor chamber
TW201220423A (en) capable of preventing abnormal discharge and erosion on the lower electrode
KR1013957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metal pipe
JP7341937B2 (en) Electroslag welding method
KR101630943B1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of highly oxidative metar and weld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14205148A (en) Laser welding device and laser welding method
KR20090006976A (en) Brazing-welding system of nuclear fuel rod and method there of
KR102369165B1 (en) Welding tables and welding method
CA3237328A1 (en) Molding device
JP2000039274A (en) Sealing method for roll bond heat pipe
KR20230083693A (en) Vacuum adiabatic body,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fabrication apparatus for the same
KR20130099194A (en) Target and target production method
JPH06314600A (en) Ion accelerating electrode plate and manufacture thereof
WO2015122182A1 (en) Resistance welding device for metal pipe, metal pipe welded using resistance welding, refrigeration device using same, and cooling apparatus
HEY Electron beam welding
KR20140127613A (en)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