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523A -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523A
KR20170049523A KR1020177006556A KR20177006556A KR20170049523A KR 20170049523 A KR20170049523 A KR 20170049523A KR 1020177006556 A KR1020177006556 A KR 1020177006556A KR 20177006556 A KR20177006556 A KR 20177006556A KR 20170049523 A KR20170049523 A KR 2017004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pipes
bracket
pipes
narrow brid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이선 피츠패트릭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7004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원리들은 셋톱 박스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전방에 대한 조명 시스템이다. 디바이스는 전방 벽을 갖는 케이싱체; 전방 벽의 개구부들; 케이싱체 내의 전방 벽의 뒤에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광을 수신하는 광 파이프 구조체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 구조체는 복수의 광 파이프들로서, 광 파이프들은 하부 수직 바디부, 상부 수평 바디부, 및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의 중앙 바디부를 갖는, 복수의 광 파이프들; 및 광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브래킷으로서,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평면인, 브래킷을 포함한다. 브래킷은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에 연결하는 넓은 지지 영역들, 및 넓은 지지 영역들 사이에 좁은 브리징 영역을 가지며, 지지 영역들은 수직방향 치수에서 상기 좁은 브리징 영역보다 더 넓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MULTIPLE LIGHT PIP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상호 참조들
본 출원은 2014년 9월 1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62/04840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여기서는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기술 분야
본 원리들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로그들, 버튼 및/또는 표시자 신호들을 조명하기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제조업자들과 소비자들은, 개별적으로 제품들이 식별될 수 있고 제품들의 활성 버튼들이 식별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상태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도록 광 파이프 어셈블리들에 의해 조명되는 로고들, 버튼들 및 표시자 신호들을 전자 디바이스들이 갖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나, 로그들, 버튼들, 및 표시기 신호들의 조명은 디바이스들에 대한 비용들을 추가하고, 또한 조명을 지원하도록 전용되는 디바이스 내의 일부 추가적인 볼륨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개별적인 광 파이프 어셈블리들은 다중 광 파이프들을 갖는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들보다 개별적인 로그들, 버튼들 및 표시기 신호들을 덜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통합형 구조체들은 전자 디바이스 내의 부품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소형화를 촉진하며,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수의 개별적인 광 파이프들이 각각 다른 발광 소자에 전용되는 이러한 통합형 구조체가 채택될 때, 하나의 광 파이프에 대해 의도된 하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은 통합형 구조체를 통하여 의도하지 않은 광 파이프로 전파, 누출 또는 누설될 수 있다. 이 의도하지 않은 조명은 누출로 지칭될 것이다. 이들 통합형 구조체들은 이러한 누출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단일의 모델링된 부품이기 쉽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이 누출을 에너지 낭비로 인식하여 왔다.
추가적으로, 이 광 누출은 또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누출에 의해 조명되거나 또는 이 누출에 의해 추가적으로 조명되는 로그들, 버튼들 및 표시기 신호들이 뷰어에게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고, 누출광을 수신하는 광 파이프의 끝에서의 뷰잉 표면이 불균일하게 조명되는 것을 종종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균일성은 심미적으로 불쾌하고 뷰어로 하여금 디바이스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다고 믿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직 하나의 발광 소자가 활성화되면, 광 중 일부가 인접하는 광 파이프들로 방출되어, 실제로는 이들 표시자들이 활성화되지 않은 때에도 이들 표시자들이 활성화되었다는 인상을 제공한다. 도 1 은 이러한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들을 채택하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도 3 은 종래의 광 파이프 구조체들과 연관된 문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은 로그, 버튼, 또는 표시자 신호 어셈블리 (20) 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1), 및 이것이 셋톱박스일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1) 에서 포지셔닝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어셈블리 (20) 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및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 (23) 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 구조체 (23) 의 전방면 (24) 은 디바이스 (1) 의 전방 벽 (9) 의 개구부 (21) 에 포지셔닝된다. 개구부들은 "기록" 기능을 위한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는 숫자 기능들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 은 어셈블리 (20) 가 인쇄 회로 기판 (pcb)(5) 상에 또는 근방에 포지셔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은 pcb (5) 상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광 파이프 구조체 (23) 뒤에 또는 아래에 그리고 전방 벽 (9) 뒤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 는 개구부 (21) 의 형상을 정의하는 주연부 또는 평면 주연부를 가질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부를 통하여 광 파이프 구조체 (23) 의 전방면 (24) 이 뷰잉된다. 어셈블리 (20) 는 손가락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광 파이프 구조체의 후방부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도시 생략) 상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버튼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 는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의 여러 도면들을 나타내며, 도 3 은 오직 하나의 표시자만이 활성화될 때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를 이용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도 2(b), 및 도 2(d) 는 광 파이프 구조체 (23) 가 3 개의 광 파이프들 (25) 을 포함하는 뷰들을 보여주며, 도 2(c) 및 도 2(d) 는 개별적인 발광 소자들 (12) 의 상단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이 광 파이프들 (25) 을 진입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개별적인 발광 소자들 (12) 이 광 파이프들 (25) 의 진입면 또는 하면 (27) 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방식을 추가로 보여주는 광 파이프 구조체 (23) 의 측면 뷰 및 전방 평면도를 각각 보여준다. 광 파이프 브래킷 (26) 은 도 2 의 뷰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 구조체 (23) 의 컴포넌트이다. 브래킷 (26) 은 일반적으로, 광 파이프들 (25) 의 전방면 (24) 에 평행하고 광 파이프들 (25) 로부터 뒤에 설정된 평면상 수직 배향 구조체이다. 브래킷 (26) 은 광 파이프들을 지지하며, 서로로부터 멀리 광 파이프들을 유지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브래킷 (26) 은 광 파이프들 (25) 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 구조체 (23) 가 상이한 전용 발광 소자들 (12) 로부터의 광을 수신하는 다중 광 파이프들 (25) 을 채택하는 단일의 몰딩된 부품일 때, 하나의 광 파이프에 대하여 의도된 하나의 발광 소자 (12) 로부터의 광은 통합형 구조체를 통하여 의도하지 않은 광 파이프로 전파, 누설 또는 누출될 수 있다. 이 누출의 많은 부분이 브래킷 (26) 으로 역반사 또는 역산란하는 의도된 광 파이프 (25) 에서 전파하는 광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광이 브래킷 내에 있으면, 광은 다른 원하지 않는 광 파이프들 (25) 로 전파할 수 있고 잘못되거나 또는 불분명한 표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3 에서의 셋톱 박스 (1) 의 전방부 (9) 의 뷰들에 나타난다. 도 3(a) 는 좌측 광 파이프 (25) 에 대한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 (12) 이 on 이고, 중간 또는 우측 광 파이프 (25) 에 대한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 (12) 이 off 인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예는 좌측 광 파이프 (25) 가 광 파이프 (25) 의 전방면 (24) 을 적절하게 조명하는 것을 솔리드 화이트 컬러로 나타내지만, 이 뷰는 인접하는 중간 광 파이프 (25) 가 광을 누출하여 중간 광 파이프 (25) 의 전방면 (24) 을 부분적이고 그리고 불균일하게 조명하게 되어, 중간 광 파이프와 연관된 기능에 대한 잘못되거나 또는 혼란스러운 신호 표시를 제공함을 추가로 보여준다. 도 3(b) 는 발광 소자들 (12) 이 활성화되지 않을 때 광 파이프들 (25) 의 전방면들 (24) 을 보여준다.
도 4 는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의 브래킷 (26) 에서 하나의 광 파이프에 한번 배정된 좌측 발광 소자 (12) 로부터의 광 (32) 이 다른 발광 소자들 (12) 및 다른 광 파이프들과 연관되거나 또는 다른 발광 소자들 (12) 및 다른 광 파이프들에 있는 브래킷 (26) 내의 영역들로 x-z 평면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전파할 수 있는 방식의 일 예를 제공하는 간략화된 평면사시도이다. 그 후, 측방향으로 전파하는 이 광은 다른 의도하지 않은 광 파이프들로 진입하여 잘못되거나 또는 혼란스러운 신호 표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광 (32) 은 광 파이프 (25) 로부터 브래킷 (26) 으로 누출되는 광이다.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 (23) 과 연관된 광 누출 문제의 관점에서, 광 누출에 대한 특성을 갖지 않는 다중 광 파이프들을 갖는 단일의 몰딩된 부품 통합형 광 파이프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원리들은 복수의 광 파이프들 (525) 및 브래킷 (526) 을 갖는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를 포함한다. 각각의 광 파이프는 하부 수직 바디부 (540), 상부 수평 바디부 (541), 및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의 중앙 바디부 (542) 를 가질 수 있다. 광 파이프 구조체의 광 파이프들 및 브래킷은 통합형 구조체일 수 있고, 구조체는 하나의 균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은 광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지지한다.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평면 형상일 수 있으며,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 (531) 에 연결하는 지지 영역 (530) 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은 또한 넓은 지지 영역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을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지지 영역들은 수직방향 치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광 파이프들의 측방향 포지션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지지 영역들을 접촉하는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의 어느 부분보다 수직방향 치수에서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하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또한 넓은 지지 영역들에 인접하여 근위 영역들 (533) 로부터 중앙부 (534) 로 좁아지는 수직 폭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면을 가질 수 있고, 상면 및/또는 하면은 근위 영역들로부터 중앙부로 내향 대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는 하부 수직 바디부의 부품일 수 있고, 중앙 바디부는 하부 수직 바디부로 수직방향으로 디렉팅되는 광이 상부 수평 바디부로 수평방향으로 디렉팅되도록 소정 각도에서 만곡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광 파이프들은 광의 진입을 위하여 하부 수직 바디부에 하면 (527) 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광이 출사하도록 상부 수평 바디부에 전방면 (524)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원리들은 전방 벽 (9) 을 갖는 케이싱체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501) 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전방 벽에서의 개구부들 (521); 상기 케이싱체 내의 전방 벽의 후방에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11); 광 파이프 구조체가 복수의 광 파이프들 (525) 및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을 갖는 브래킷 (526) 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의 광 (32) 을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들은 하부 수직 바디부 (540), 상부 수평 바디부 (541), 및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의 중앙 바디부 (542) 를 가질 수 있다. 광 파이프들은 상부 수평 바디부들에 전방면들 (524) 을 가질 수 있고, 여기에서 전방면들은 개구부에 또는 개구부 내에 포지셔닝된다. 브래킷 (526) 은 광 파이프들을 연결 및 지지하고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넓은 지지 영역들이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 (531) 에 연결되는 평면일 수 있다.
본 원리들은 다음의 예시적인 도면들에 따라 보다 잘 이해될 수도 있다.
도 1 은 공지된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를 채택하는 분해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공지된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여러 뷰들을 나타낸다.
도 3 은 상이한 신호 상태들을 나타내는 공지된 전자 디바이스의 전방 평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4 는 공지된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광 파이프 브래킷 내에서의 광 전파의 뷰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를 채택하는 분해된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여러 뷰들을 나타낸다.
도 7 은 전방 뷰에서의 본 원리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7 에서의 절단선 A-A 을 따라 절단한,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광 파이프 브래킷 내에서의 광 전파의 뷰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의 광 파이프 브래킷 내에서의 광 전파의 다른 뷰를 나타낸다.
도 11 은 상이한 신호 상태들을 나타내는 본 원리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방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아래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본 원리들의 실시형태들이 첨부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도 5 는 로그, 버튼, 또는 표시자 신호 어셈블리 (520) 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501), 및 이것이 셋톱박스일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501) 에서 포지셔닝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어셈블리 (520) 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11) 및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를 포함한다.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전방면 (524) 은 디바이스 (501) 의 전방 벽 (9) 의 개구부 (521) 에 포지셔닝된다. 개구부들은 "기록"을 위한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들과 연관될 수 있다. 도 5 는 어셈블리 (520) 가 인쇄 회로 기판 (pcb)(5) 상에 또는 근방에 포지셔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백라이트 (11) 은 pcb (5) 상에 포지셔닝될 수 있고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뒤에 또는 아래에 그리고 전방 벽 (9) 뒤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501) 는 개구부 (521) 의 형상을 정의하는 주연부 또는 평면 주연부를 가질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부를 통하여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전방면 (524) 이 뷰잉된다. 어셈블리 (520) 는 손가락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광 파이프 구조체의 후방부에 포지셔닝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도시 생략) 상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버튼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는 전자 디바이스 (501) 에 하우징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상단 커버 (7) 및 하단 프레임 (2) 을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501) 는 여러 히트싱크 (6, 6a) 및 안테나 (15) 와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들 (6, 6a) 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511) 를 포함하는 내부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전략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원리들에 따른 통합형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여러 뷰들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 도 6(b), 도 6(d) 는 광 파이프 구조체 (523) 가 3 개의 광 파이프들 (525) 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c) 및 도 6(d) 는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측면도와 전방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c) 및 도 6(d) 는 개별적인 발광 소자들 (512) 의 상단으로부터 출사한 광이 광 파이프들 (525) 을 진입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광 파이프들 (525) 의 진입면 또는 하면 (527) 에 개별적인 발광 소자들 (512) 이 포지셔닝될 수 있는 방식을 추가로 나타낸다. 광 파이프 브래킷 (526) 은 도 6 의 뷰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컴포넌트이다. 브래킷 (526) 은 일반적으로, 광 파이프들 (525) 의 전방면 (524) 에 평행하고 광 파이프들 (525) 로부터 뒤에 설정된 평면상 수직 배향 구조체일 수 있다. 브래킷 (526) 은 광 파이프들을 지지하며, 서로로부터 멀리 광 파이프들을 유지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브래킷 (526) 은 광 파이프들 (525) 의 후방부에 부착된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는 인쇄 회로 기판 (5) 상에 설치될 수 있고,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는 복수의 광 파이프들 (525) 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 파이프들 각각은 하면 (527) 일 수 있는 광 진입 단부를 갖고 있고, 광 진입 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 (5) 의 상면에서 개별적인 발광 소자 (512) 를 대면한다. 각각의 광 파이프 (525) 는 또한 전방면 (524) 일 수 있는 광 출사 단부를 가지며, 광 출사 단부는 전방 벽 (9) 에 평행할 수도 있고/있거나 전방 벽 (9) 에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전방 벽 (9) 에 대략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이하, 광 파이프 구조체 (523) 가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7 은 브래킷 (526) 의 사이드부의 부분들이 뷰잉될 수 있도록 중간 광 파이프 (525) 가 평면도 내에 있고 사이드 광 파이프들이 전방 사시도에 있는 왜곡된 정면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526) 은 추가로,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사이에 좁은 브리징 영역들 (532) 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은 넓은 지지 영역 (530) 에 연결되는 근위 영역들 (533), 및 2 개의 근위 영역들 (533) 사이의 중앙부 (534) 를 갖는다. 좁은 브리징 영역들 (532) 은 광 파이프들 (525) 의 상단 1/2 에서, 주변에서 또는 그 위에서 포지셔닝될 수 있고 수직방향 치수에서 넓은 지지 영역 (530) 보다 더 좁다. 중앙부들 (534) 은 근위 영역들 (533) 보다 더 협소할 수 있다.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는 개별적인 광 파이프 (525) 에 대한 개별적인 발광 소자 (512) 로부터의 광이 다른 광 파이프들 (525) 로 전파하지 못하게 한다.
도 8 은 절단선 A-A 을 따라 전달한 도 7 에서의 광 파이프 구조체 (523) 의 횡단면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526) 은 광 파이프들 (525) 을 연결하고 홀딩시키며, 여기에서 브래킷은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을 포함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은 하나의 광 파이프 (525) 의 후방부 (531) 에 연결되며, 여기에서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은 광 파이프 (525) 의 진입 단부 (527) 아래로부터 광 출사 단부 (524) 의 부분들 위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8 은 하부 수직 바디부 (540), 상부 수평 바디부 (541), 및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에서 광 출사 단부 또는 전방면 (524) 을 이끄는 중앙 바디부 (542) 를 가질 수 있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9 는 본 원리들에 따라 광 파이프 구조체의 백라이트 (526) 에서 하나의 광 파이프에 한번 배정된 좌측 발광 소자 (512) 의 대부분의 또는 많은 광이, 다른 발광 소자들 (512) 및 다른 광 파이프들과 연관되어 그리고 다른 발광 소자 및 다른 광 파이프들에 있는 브래킷 (526) 에서의 영역들로 측“‡향으로 전파하는 경향을 갖지 않는 방식의 일 예를 제공하는 간략화된 평면 사시도이다. 도 9 에 도시된 광 (32) 은 광 파이프 (525) 로부터 브래킷 (526) 으로 누출되는 광이다.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의 상면 및 하면은, 이들이 넓은 지지 영역들 (530) 에서 또는 근방에서 근위 영역들 (533) 로부터 중앙부 (534) 로 연장될 때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각각 서로 대면하는 오목 형상을 갖는다.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의 상면 및 하면에서의 오목 형상은 도 9 에 도시된 x-z 평면에 대하여 평면 사시도 내에서 소자 (512) 로부터 방출하는 입사 광선들에 수직이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며, 따라서, 상면 및 하면의 오목 형상 부분들 상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대부분은 브래킷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오목 형상들이 입사 광을 일반적으로 대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면 및 하면 상에 입사하는 일부 광이 수직 입사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도, 본 설계는 여전히 이점을 제공하고 이러한 벗어난 수직 광의 누출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에서의 인접하는 광 파이프로 전파하기 쉬운 광은 그 대신에, 오목 형상화된 부분들에서 상면 및 하면을 직접 관통하고 본 원리들에 따라 구조화된 브래킷 외부로 빠져나온다.
도 10 은 브래킷 (526) 에서의 반사된 광의 x-z 평면에 대한 다른 간략화된 평면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 브래킷 (526) 은 도 10 에서의 상면에서 반사된 광이 도 9 에서의 상면을 관통하여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된 광보다 강도에 있어서 상당히 더 작게 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방출하는 발광 소자 (512) 및 의도된 광 파이프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이러한 광을 디렉팅하는 방식으로 그리고/또한 공지된 광 파이프 구조체에서의 광 누출량에 비해 인접하는 의도하지 않은 광 파이프로 전달되는 광 누출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형상들을 통합하는 브래킷 지오메트리에 의해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에서 전파하기 쉬운 브래킷에 포함된 미광 또는 반사광은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의 상면 및 하면에서 반사됨을 주지해야 한다.
오목 형상의 표면들이 효과적이지만,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을 갖는 것 그리고 광 파이프들 (525) 의 하부 수직부 (540) 보다 더 높은 좁은 브리징 영역 위치를 갖는 것이 누출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됨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광 파이프들 (525) 의 상부 수평부 (541) 와 동일한 수직 포지션 주변에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을 갖는 것은 누출을 감소시키는데 또한 도움이 된다.
도 11 은 도 5 에서의 셋톱 박스 (501) 의 전방부의 뷰들을 나타내며,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브래킷 지오메트리에 의해 야기되는 바람직한 내부 광 전파의 이점을 나타낸다. 도 11(a) 는 좌측 광 파이프 (525) 에 대한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 (512) 이 on 이고, 중간 또는 우측 광 파이프 (525) 에 대한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 (512) 이 off 인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예는 좌측 광 파이프 (525) 가 광 파이프 (525) 의 전방면 (524) 을 적절하게 조명하는 것, 그리고 인접하는 중간 광 파이프 (525) 가, 파이프로 누출되어 중간 광 파이프 (525) 의 전방면 (524) 의 부분적 및 불균일한 조명을 야기하게 되는 광을 전혀 또는 거의 갖지 않는 것을 솔리드 화이트 컬러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 9, 도 10 및 도 11 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르면, 중간 광 파이프와 연관된 기능에 대한 잘못되거나 또는 혼란스러운 신호 표시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1(b) 는 발광 소자들 (512) 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때의 광 파이프들 (525) 의 전방면들 (524) 을 보여주며, 모두 off 상태에 있는 도 11(b) 에서의 전방면들 (524) 은 컬러가 없다는 점에서 도 11(a) 에서의 중간 및 우측 전방면들 (524) 과 동일함을 보여준다.
예시된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본 원리들은 이들 정밀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러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원리들의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은 광 파이프들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내부 단면들을 갖는 것으로서 나타나 있지만, 광 파이프들은 본 원리들에 따라 원형 프로파일들, 또는 다른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면들은 3 개의 광 파이프들을 갖는 것으로서 구조체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2 개, 또는 3개 보다 많은 수의 광 파이프들을 갖는 구조체들이 본 원리들의 특징부들로서 고려된다. 또한, "수직", "수평", "전방", "후방",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및 "그 위에" 와 같은 표현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임의적인 좌표 시스템에 대하여 특정 엘리먼트들에 관한 설명 및 청구항에 이용됨을 주지해야 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수직 기준선 또는 수평 기준선들에 대하여 90 도, 180 도 또는 일부 다른 값으로 회전될 수도 있는 컴포넌트들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이용하도록 의도된다. 이는 "수평" 이 "수직"을 의미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며, "상단" 이 "하단" 을 의미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한 것 등을 함축한다.
또한, 본 원리들은 셋톱 박스, 컴퓨터, 게임 콘솔,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며, 여기에서 전자 디바이스에는 개선된 광 파이프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모든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기술된 본 원리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로서,
    복수의 광 파이프들 (525) 로서, 상기 광 파이프들은 하부 수직 바디부 (540), 상부 수평 바디부 (541), 및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의 중앙 바디부 (542) 를 갖는, 상기 복수의 광 파이프들; 및
    상기 광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브래킷 (526) 으로서, 상기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 (531) 에 연결하는 지지 영역 (530) 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은 넓은 지지 영역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bridging) 영역 (532) 을 포함하며, 상기 넓은 지지 영역들은 수직방향 치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보다 더 넓은, 상기 브래킷을 포함하는, 광 파이프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 및 상기 브래킷은 통합형 구조체인, 광 파이프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의 부분인, 광 파이프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디부는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로 수직방향으로 디렉팅된 광이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로 수평방향으로 디렉팅되도록 소정 각도에서 만곡되거나 또는 배치되는, 광 파이프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은 광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에 하면 (527) 을 더 포함하는, 광 파이프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은 광이 출사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에 전방면 (524) 을 더 포함하는, 광 파이프 구조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의 측방향 포지션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들을 접촉하는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상기 후방부의 임의의 부분보다 수직방향 치수에서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하면을 갖는, 광 파이프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기 넓은 지지 영역들에 인접하는 근위 영역들 (533) 로부터 중앙부 (534) 로 좁아지는 수직 폭을 갖는, 광 파이프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면을 갖고, 적어도 상기 상면 또는 상기 하면은 상기 근위 영역들로부터 상기 중앙부로 내향 대면 오목 형상을 갖는, 광 파이프 구조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면을 갖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은 상기 근위 영역들로부터 상기 중앙부로 내향 대면 오목 형상을 갖는, 광 파이프 구조체.
  11. 셋톱 박스 (501) 로서,
    전방 벽 (9) 을 갖는 케이싱체;
    상기 전방 벽에서의 개구부들 (521);
    상기 케이싱체 내의 상기 전방 벽의 뒤에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11);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광 (32) 을 수신하는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를 포함하며,
    상기 광 파이프 구조체 (523) 는:
    복수의 광 파이프들 (525) 로서, 상기 광 파이프들은 하부 수직 바디부 (540), 상부 수평 바디부 (541), 및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와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 사이의 중앙 바디부 (542) 를 갖고, 상기 광 파이프들은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들에 전방면들 (524) 을 갖고, 상기 전방면들은 상기 개구부들 내에서 또는 상기 개구부들에 포지셔닝되는, 상기 복수의 광 파이프들; 및
    상기 광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브래킷 (526) 으로서, 상기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후방부 (531) 에 연결하는 지지 영역들 (530) 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은 넓은 지지 영역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 (532)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영역들은 수직방향 치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보다 더 넓은, 상기 브래킷을 포함하는, 셋톱 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 및 상기 브래킷은 통합형 구조체인, 셋톱 박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의 부분인, 셋톱 박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디부는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로 수직방향으로 디렉팅된 광이 상기 상부 수평 바디부로 수평방향으로 디렉팅되도록 소정 각도에서 만곡되거나 또는 배치되는, 셋톱 박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회로 기판 (5) 을 포함하고, 상기 광 파이프들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의 광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하부 수직 바디부들에 하면들 (527)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면들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발광 소자들 (512) 과 대면하는, 셋톱 박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의 측방향 포지션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들을 접촉하는 상기 광 파이프들 각각의 상기 후방부의 임의의 부분보다 수직방향 치수에서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하면을 갖는, 셋톱 박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기 넓은 지지 영역들에 인접하는 근위 영역들 (533) 로부터 중앙부 (534) 로 좁아지는 수직 폭을 갖는, 셋톱 박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면을 갖고, 적어도 상기 상면 또는 상기 하면은 상기 근위 영역들로부터 상기 중앙부로 내향 대면 오목 형상을 갖는, 셋톱 박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좁은 브리징 영역은 상면을 갖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은 상기 근위 영역들로부터 상기 중앙부로 내향 대면 오목 형상을 갖는, 셋톱 박스.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들 및 상기 브래킷은 함께 균질한, 셋톱 박스.
KR1020177006556A 2014-09-10 2015-08-28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 KR20170049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8408P 2014-09-10 2014-09-10
US62/048,408 2014-09-10
PCT/US2015/047333 WO2016040003A1 (en) 2014-09-10 2015-08-28 Multiple light pip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523A true KR20170049523A (ko) 2017-05-10

Family

ID=5545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556A KR20170049523A (ko) 2014-09-10 2015-08-28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20367B2 (ko)
EP (1) EP3191881B1 (ko)
JP (1) JP2017527967A (ko)
KR (1) KR20170049523A (ko)
CN (1) CN106687835A (ko)
BR (1) BR112017004508B1 (ko)
TW (1) TW201614170A (ko)
WO (1) WO2016040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3641A1 (en) * 2018-12-07 2020-06-10 Marelli Automotive Lighting Italy S.p.A. Vehicle lighting and/or signalling device
FR3110673B1 (fr) * 2020-05-25 2022-08-26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avec prévention des fuites de lumiè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769A (en) 1987-02-06 1988-09-20 Burr-Brown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ve backlighting of keys of a keyboard
US5268823A (en) * 1992-12-01 1993-12-07 Hewlett-Packard Company Light transmission apparatus for electro-optically coupling to a display panel for an electronic instrument
US5327328A (en) * 1993-05-28 1994-07-05 Dialight Corporation Lightpipe and lightpipe array for redirecting light from a surface mount led
US5481440A (en) * 1993-12-27 1996-01-02 At&T Corp. Circuit pack with light pipes
US5760754A (en) * 1995-12-04 1998-06-02 Motorola, Inc. Light pipe assembly and electrical device using same
US5938324A (en) 1996-10-07 1999-08-17 Cisco Technology, Inc. Light pipe
US7293904B2 (en) 2005-09-28 2007-11-13 Cisco Technology, Inc. Light pipe insulation techniques
US7538285B2 (en) 2007-03-30 2009-05-26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Electrical control device
US7653283B2 (en) * 2007-10-31 2010-01-26 Cisco Technology, Inc. Light pipe mounting interface
US8425079B2 (en) * 2009-12-16 2013-04-2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US8534892B2 (en) * 2010-07-30 2013-09-17 Alcatel Lucent Controlled flaring light transmission device
US9599775B2 (en) * 2011-06-14 2017-03-21 Thomson Licensing Set top box having light pipe bracket
BR112017011267B1 (pt) * 2014-12-04 2022-07-05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Dispositivo para transporte de luz e dispositivo eletrôn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4508A2 (pt) 2017-12-05
EP3191881A4 (en) 2018-05-30
BR112017004508B1 (pt) 2022-05-24
US20170285256A1 (en) 2017-10-05
TW201614170A (en) 2016-04-16
WO2016040003A1 (en) 2016-03-17
JP2017527967A (ja) 2017-09-21
EP3191881B1 (en) 2020-01-29
CN106687835A (zh) 2017-05-17
EP3191881A1 (en) 2017-07-19
US10620367B2 (en)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973B2 (en) Flame detector
JPH0318997Y2 (ko)
JP6247036B2 (ja) 発信機
US10783739B2 (en) Push-button for game machine
KR20170049523A (ko)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다중 광 파이프 구조체
US20180136386A1 (en) Display device
JP2008096745A (ja) 複数の導光レンズを連結したレンズ群
US8690058B2 (en) Card reader
JP7120092B2 (ja) 遊技機用押しボタン、照光装置
JP3942092B2 (ja) 遊技機用発光装置
TWM549875U (zh) 感測器及具有該感測器的感測裝置
JP2011040367A (ja) 導光板
JP5293545B2 (ja) 計器用指針
KR102205217B1 (ko) 테두리 발광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JP6897404B2 (ja) 電子機器の照明構造
WO2023228301A1 (ja) 報知機
JP7239317B2 (ja) 警報器
JP3179071U (ja) 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または該表示パネル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
JP2013097329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機器
JP4424311B2 (ja) 照明装置
JP6148464B2 (ja) 照光装置
JP2005152590A5 (ko)
JP2019087506A (ja) 発光装置
JP2015156971A (ja) 遊技機
JP2005152589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