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039A -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 Google Patents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039A
KR20170049039A KR1020150149896A KR20150149896A KR20170049039A KR 20170049039 A KR20170049039 A KR 20170049039A KR 1020150149896 A KR1020150149896 A KR 1020150149896A KR 20150149896 A KR20150149896 A KR 20150149896A KR 20170049039 A KR20170049039 A KR 2017004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resident
unit
therapy table
color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322B1 (ko
Inventor
박종일
정용우
이은옥
Original Assignee
박종일
정용우
이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일, 정용우, 이은옥 filed Critical 박종일
Priority to KR102015014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3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H05B37/022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성 변화에 따라 테이블 인테리어 조명의 컬러를 가변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의 감성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그 감성상태를 특정 컬러로 표출하거나, 동작모드에 따라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스트레스 상태에 놓여 있는 내부 거주자의 감성을 파악하여 이들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집중력을 높여 주기 위한 특정의 컬러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COLOR THERAPY TABLE SYSTEM}
본 발명은 컬러 테라피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성 변화에 따라 테이블 인테리어 조명의 컬러를 가변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자신의 공간을 독특하고 개성 있게 꾸미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공식 대신 소비자의 취향과 트랜드 등을 적절히 고려하여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는 인테리어가 유행하고 있다.
또한 경쟁사회가 심화되면서 우울증에 의한 자살률과 정신질환 발생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 라이트 테라피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라이트 테라피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여러 기업과 국가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물 중 하나가 바로 라이트 테라피 기술을 인테리어에 접목하여 간접적으로 심리치료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라이트 테라피 기술을 인테리어에 접목한 기술의 하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2599호에 개시된 '생체신호 기반의 스마트 조명장치"일 것이다.
예시한 생체신호 기반의 스마트 조명장치는 심전도 혹은 맥박과 같은 생체신호와 주변 온도 및 습도 등을 감지하여 LED 조명부의 컬러와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몸과 주변 환경 상태에 따라 실내의 조명을 자동 조절해 주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예시한 생체신호 기반의 스마트 조명장치는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스마트 조명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어야 하므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감성을 반영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별도의 센서들과 접촉을 위한 행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예시한 생체신호 기반의 스마트 조명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의 컬러와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조명기기 본연의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동시에 사용자 감성이 반영된 컬러 표출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조명 목적의 조명기기 컬러를 제어하는 것보다는 기타 인테리어 소품을 이용하여 사용자 감성에 맞게 기타 조명의 컬러를 제어하는 것이 인테리어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라이트 테라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조명기기와는 별개로 라이트 테라피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을 창안하기에 이르렀으며, 사물 인터넷망과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는 효용성 있는 제품을 창안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25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트 테라피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외부에 위치하는 가족 구성원의 감성상태를 동작모드에 따라 내부 조명 컬러로 표출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동작모드에 따라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접근거리에 따라 컬러 및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댁내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부터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전달받아 거주자 정보와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나타내는 컬러를 함께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 컬러가 가변되는 조명부와;
시스템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판이 반투명 재질이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 프레임 내측에 상기 조명부를 수용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거주자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컬러 테라피 테이블의 통신부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감지기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제어부는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로 거주자의 감성을 분류한 후,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컬러 테라피 테이블로 접근하는 거주자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거주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컬러 및 밝기를 가변 제어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의 감성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그 감성상태를 나타내는 컬러를 표출하기 때문에, 내부 거주자는 표출되는 컬러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어 메시지 혹은 통화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를 위로하거나 격려할 수 있어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동작모드에 따라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스트레스 상태에 놓여 있는 내부 거주자의 감성을 파악하여 이들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집중력을 높여 주기 위한 컬러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어 별도의 인테리어 연출 없이도 아이들 집중력 및 주의력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실내 거주자의 접근거리에 따라 컬러 및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심야에 주방 접근시에도 별도의 조명을 켜지 않고서도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동작모드에 따라 단순히 라이트 테라피 효과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의 조명부 수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동작 설명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의 조명부 수납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망(IoT)에 접속 가능한 하나의 사물로서, 댁내에 위치하는 IoT 제어기(200)를 통해 원격지에서 제어될 수 있고, 댁내에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는 사물로서,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이 하나의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와 함께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는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과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150)는 구비된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거주자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로 전송하는 일종의 생체신호 감지기이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심전도 센서, PPG 센서, 체온감지 센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에 적용 가능한 모든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는 생체신호 감지기로 명명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생체신호 측정 및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어 실행되는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모듈은 컬러 테라피 테이블 제조업자에 의해 제작되어 배포 가능한 앱이다.
도 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는 와이파이 혹은 와이브로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1)에 접속 가능하며, 댁내에 위치하는 사물들(210,220,..)과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 및 IoT 제어기(200) 역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2)를 통해 공인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스마트 밴드(15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댁내에 위치하는 여러 사물들과도 연결 가능하다.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은 동작모드에 따라 스마트 밴드(150)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에 따라 출력 조명의 컬러가 다양하게 변화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은,
댁내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로부터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305)와,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통신부(305)로부터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전달받아 거주자 정보와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나타내는 컬러를 함께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310)와,
상기 제어부(310)에 의해 출력 컬러가 가변되는 조명부(315)와,
시스템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았음) 및 동작모드 설정과 거주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투명 재질의 상판(350)이 상판 지지 프레임(360) 상부에 위치하며, 상판 지지 프레임 내측에는 조명부(315)가 수용된다. 상판 지지 프레임(360)은 일반 테이블과 동일하게 지지수단인 다리(370)와 체결되어 하나의 테이블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부(315)가 단순히 상판 지지 프레임(360)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LED가 모듈화되어 각각의 프레임 측면에 매립되되, 빛이 상판 지지 프레임(360) 중앙부를 향하도록 매립될 수도 있다. 조명부(315)의 설치 위치는 테이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은 컬러 테라피 테이블로 접근하는 거주자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10)는 감지되는 거주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부(315)의 컬러 및 밝기를 가변 제어한다. 예를 들면, 거주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밝기를 더 밝게 제어하거나 컬러의 휘도를 높게 제어하며,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휘도를 점차 낮게 혹은 밝기를 순차적으로 낮쳐 준다.
상술한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 구성에서 통신부(305)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WLAN 통신 방식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물체 감지부(330)는 적외선, 초음파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동작모드에 따라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로 거주자의 감성을 분류한 후,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조명부(315)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모드는 감성상태 표시모드, 컬러 테라피 표시모드, 단일 컬러 표시모드, 거리별 컬러 표시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감성상태 표시모드는 생체신호 감지기에서 감지된 거주자의 감성상태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모드로 정의하고, 컬러 테라피 표시모드는 컬러 테라피 효과를 위해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를 표시하기 위한 모드로 정의하며, 단일 컬러 표시모드는 단순히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하나의 컬러를 표시하기 위한 모드로 정의한다. 거리별 컬러 표시모드는 감지되는 거주자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부(315)의 컬러 및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동작모드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실내 거주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이하 조명부(315)의 컬러 및 밝기가 동작모드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를 첨부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310)의 제어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테이블(300)의 동작모드를 판단(S10단계)한다. 설정된 동작모드가 감성상태 표시모드에서 통신부(305)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 혹은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가 수신(S15단계)되면, 수신된 거주자 정보, 예를 들면 "1번(부)", "2번(모)"과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한편,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수신된 감성상태정보에 맞는 컬러로 출력(S20단계)한다.
참고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 혹은 스마트 밴드(150)에서는 생체신호 감지부를 통해 디바이스(100) 소지자 혹은 밴드(150)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신호를 HP의 "The Meaning of Color"에 의해 정해진 20개의 컬러 감성 모델과 비교하여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디바이스의 환경설정에서 설정한 거주자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 혹은 댁내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하면, 도 1에 도시한 IoT 제어기(200)를 통해 혹은 직접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의 통신부(305)로 전송된다.
이에 제어부(310)는 S15단계 및 S20단계를 통해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에 대응하는 컬러(정상:그린, 우울:레드, 밝음:블루,..)로 출력함으로써, 댁내에 위치하는 거주자는 외부에 위치한 부(父,夫) 혹은 모(母) 혹은 자(子)의 감성상태를 인지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만약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의 동작모드가 감성상태 표시모드가 아닌 컬러 테라피 표시모드(S25단계)라면, 제어부(310)는 거주자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조명부(315)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거주자 감성상태정보가 "우울"이면 우울증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컬러, 즉 "레드"가 출력되도록 하고, 거주자 감성상태정보가 "고독"이면 고독감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컬러, 즉 핑크 컬러가 출력(S35단계)되도록 한다.
만약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의 동작모드가 단일 컬러 표시모드(S40단계)이면, 거주자에 의해 설정된 컬러가 출력(S45단계)되도록 조명부(315)를 제어한다. 거주자는 집중력과 주의력을 높이기 위해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동작모드를 단일 컬러 표시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원하는 컬러를 노란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노란색은 집중력과 주의력을 높이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데 유용한 컬러이다. 만약 명상과 자기 성찰을 돕는 컬러를 출력하고자 한다면 퍼플 컬러를 설정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테이블(300)의 동작모드가 거리별 컬러 표시모드(S50단계)이면, 제어부(310)는 물체 감지부(330)를 통해 감지 가능한 거주자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부(315)의 컬러 및 밝기를 가변 제어(S55단계)한다. 예를 들면, 거주자가 감지되면 최소 밝기의 조명이 켜지도록 한 후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면 그에 따라 조도를 순차적으로 높여 주거나,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컬러를 가변시켜 주는 방식으로 조명부(310)를 제어한다.
이에 거주자는 별도의 조명기구 조작 없이도 테이블(300) 조도만으로도 테이블(300)에 올려진 물건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테라피 테이블(300) 혹은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의 감성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그 감성상태를 지정된 컬러로 표출하기 때문에, 내부 거주자는 표출되는 컬러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어 메시지 혹은 통화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를 위로하거나 격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작모드에 따라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스트레스 상태에 놓여 있는 내부 거주자의 감성을 파악하여 이들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단일 컬러 표시모드를 통해 집중력, 명상효과를 높여 주기 위한 컬러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어 별도의 인테리어 연출 없이도 아이들의 집중력 및 주의력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거주자의 접근거리에 따라 컬러 및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심야에 주방 혹은 테이블 접근시에도 별도의 조명을 켜지 않고서도 정상적으로 테이블 위 혹은 테이블 주변에 놓인 물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댁내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기 위한 통신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부터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전달받아 거주자 식별정보와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나타내는 컬러조명을 함께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 컬러가 가변되는 조명부와;
    동작모드 설정 및 거주자 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시스템 각 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판이 반투명 재질이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 프레임 내측에 상기 조명부를 수용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체신호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를 거주자 식별정보와 함께 사물 인터넷망 혹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컬러 테라피 테이블의 통신부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감지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거주자별 감성상태정보로 거주자의 감성을 분류한 후, 거주자의 현재 감성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가 출력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기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이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생체신호 측정 및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컬러 테라피 테이블로 접근하는 거주자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거주자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컬러 및 밝기를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KR1020150149896A 2015-10-28 2015-10-28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KR10175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96A KR101754322B1 (ko) 2015-10-28 2015-10-28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96A KR101754322B1 (ko) 2015-10-28 2015-10-28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39A true KR20170049039A (ko) 2017-05-10
KR101754322B1 KR101754322B1 (ko) 2017-07-06

Family

ID=5874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96A KR101754322B1 (ko) 2015-10-28 2015-10-28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3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322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6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CN104285247B (zh) 用于交互式电子设备的照明应用
US10368420B2 (en)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evices
EP2645823A1 (en) Dynamic lighting based on activity type
KR101353195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N106413215B (zh) 照明装置以及照明系统
JP2008181874A (ja) 照明システム
CN104873381A (zh) 一种按摩指示仪和按摩指示方法
CN104540270A (zh) 一种智能照明系统及具有该智能照明系统的智能照明灯具
CN105430832A (zh) 照明装置
US10609787B2 (en) Recommendation engine for a lighting system
CN105320183A (zh) 智能调节照明气氛的灯具系统及实现调节气氛的方法
KR20140006458A (ko) 발광다이오드 감성 조명장치
KR20180110472A (ko)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874217B (zh) 基于各向对称吸顶灯的公共宿舍混合照明方法
KR101701385B1 (ko)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KR101332750B1 (ko) 패턴기반 감성조명 시스템
KR101754322B1 (ko) 컬러 테라피 테이블 시스템
CN106413214B (zh) 照明装置以及照明系统
KR20100045878A (ko) 감성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412B1 (ko) 스마트폰과 sns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4105B1 (ko) 스마트 수면 무드등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8681B1 (ko) 모듈형 조명장치
JP5999500B2 (ja) 照明システム
KR20170027910A (ko)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