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712A -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712A
KR20170047712A KR1020150148141A KR20150148141A KR20170047712A KR 20170047712 A KR20170047712 A KR 20170047712A KR 1020150148141 A KR1020150148141 A KR 1020150148141A KR 20150148141 A KR20150148141 A KR 20150148141A KR 20170047712 A KR20170047712 A KR 2017004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sampling pipe
sampling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840B1 (ko
Inventor
류덕희
최희락
신유나
이재윤
노성유
송미애
이재안
박주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5014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40B1/ko
Priority to PCT/KR2016/010640 priority patent/WO2017069414A1/ko
Publication of KR2017004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부가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교란되지 않게 하면서 유실 없이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을 위해 실험수조 내에 용이하게 안치시킬 수 있게 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는 수중의 퇴적물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단 둘레면에는 단턱이 연장 형성되고, 하단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고리를 갖는 체결링이 설치된 채취관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채취관의 단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덮개와, 채취관의 체결링에 형성된 고리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갖는 하부덮개 및 채취관의 단턱 또는 상부덮개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Sediment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부가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교란되지 않게 하면서 유실 없이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을 위해 실험수조 내에 용이하게 안치시킬 수 있게 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댐이나 하천 및 해안에는 모래, 실트 및 폐사된 어패류 등이 퇴적되어 있어 환경오염이 날로 증가되어 가고 있다. 상수원으로서의 원수의 상태나 오염된 퇴적물의 성분 및 퇴적물의 분포, 두께 등을 파악하여 환경오염 방지와 연안개발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해당 지역의 수중 퇴적물 토양 시료들을 간편한 방법으로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중 토양 퇴적물의 퇴적된 상태 그대로를 시료로 채취하여야만 과거의 일정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환경오염 물질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중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할 때는 조사 대상으로 삼는 깊이의 토양층까지 누실됨이 없이 온전하게 취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상이나 댐, 호수에서 수중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잠수부)이 물밑으로 시료 채취관을 직접 가지고 내려가서 시료 채취관에다가 토양 퇴적물을 담아 나오는 방법과, 바지선이나 해상 시추선 같은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수중의 토양 퇴적물을 채취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바지선이나 해상 시추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시추기와 시추장비로 수중의 땅을 팜으로써 시료를 채취하게 되나, 이러한 시추선 등을 이용한 시료채취 방법은 예인선 및 시추선의 준비와 앵커 설치 작업, 자재 및 기술자 운반 등의 작업에 상당히 많은 시간과 경비가 발생하므로, 사람이 도저히 접근하기 힘든 심해 지역이 아니라면 효과적인 조사수단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에서 환경오염 조사를 주로 수행하게 되는 대상 지역들은 수심 50m 이하의 하천이나 호수, 그리고 연안 해안 지역이 대부분이므로 바지선이나 시추선 같은 특수중장비를 이용하는 것 보다는 잠수부가 직접 들어가서 시료를 채취하는 편이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잠수부가 수중에서 시료채취기 안에다가 퇴적물 토양 시료를 담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수중의 시료를 온전하게 채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수중 퇴적물 토양의 시료 채취를 위해서는 보통 파이프 형상으로 된 시료 채취관을 사용하는데, 이 시료 채취관을 수중 퇴적물 토양 속에 박은 다음에는, 그 파이프 주변의 땅을 삽이나 손으로 파서 시료 채취관의 하단부를 노출시킨 다음 그 시료 채취관의 하단부에 조심스레 마개를 채워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주변 땅을 파내는 작업은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었으며, 또한 시료 채취관의 하단부에 마개를 채우려고 하다보면 시료 채취관 속에 들어갔던 퇴적물 토양 시료들이 다시 밖으로 빠져버려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온전한 상태의 퇴적물 토양 시료를 채취하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596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모양을 가지고 길게 연장된 관체로서, 관체의 내부에 토양시료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단부(2a)와 하단부(2b)가 모두 개방된 시료 채취관(2)과, 시료 채취관(2)의 상단부(2a)에 결합되는 상부마개(3)와, 시료 채취관(2)의 하단부(2b)에 결합되는 하부마개(4)와, 상부마개(3)에 형성된 니플 삽입공(30)과, 니플 삽입공(30)에 결합되는 니플(5) 및 니플(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너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는 상부마개(3)와 하부마개(4)가 시료채취관(2)의 상단부(2a)와 하단부(2b)에 단순히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부마개(3)와 하부마개(4)가 시료채취관(2)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시료를 조사하기 위해 토양시료가 저장된 시료채취관(2)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키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잠수부가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교란되지 않게 하면서 유실 없이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을 위해 실험수조 내에 용이하게 안치시킬 수 있게 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는 수중의 퇴적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한 후 물이 채워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키는 시료 채취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퇴적물 시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단 둘레면에는 단턱이 연장 형성되고, 하단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고리를 갖는 체결링이 설치된 채취관과,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될 때에는 상측을 폐쇄시키고,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때에는 상측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단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덮개와,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될 때에는 하측을 개방시키고,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가 상기 채취관에 저장되면 하측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갖는 하부덮개 및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되거나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경우, 별도의 이동장비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관이 수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채취관의 단턱 또는 상기 상부덮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턱과 상기 상부덮개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및 상기 고정걸이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링은 일부가 상기 채취관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채취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수도꼭지가 상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단턱에 맞닿는 부분이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는 내측 바닥면이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취관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킬 경우, 상기 채취관 내에 저장된 퇴적물 시료가 교란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채취관의 상측에 고정 안착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착판은 상기 채취관이 실험수조의 바닥에 안치되면 제거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제거로프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채취관의 상측과 하측이 간편한 동작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잠수부가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때 퇴적물 시료가 교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퇴적물 시료의 유실 없이 채취관의 하측을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실험수조 내에서 채취관에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수중에서 사용될 때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실험수조에서 사용될 때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해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퇴적물 시료를 저장된 상태로 실험수조 내에 안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수중에서 사용될 때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실험수조에서 사용될 때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이용해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발명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가 퇴적물 시료를 저장된 상태로 실험수조 내에 안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가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료 채취장치(1)는 하천 및 해양의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왜곡됨 없이 원상태 그대로 채취한 후 퇴적물 시료를 조사 및 실험하기 위해, 물이 채워진 실험수조 내에 안치되게 하는 것으로 크게 채취관(10), 상부덮개(20), 하부덮개(30), 고정걸이(40) 및 안착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채취관(1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덮개(20)와 하부덮개(30)의 결합에 의해 수중의 바닥에 위치한 토양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 및 저장한다. 이때 채취관(10)이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 또는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키는 과정에서 퇴적물 시료가 교란되지 않고, 원상태 그대로인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채취관(10)은 내부공간에 저장된 퇴적물 시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취관(10)은 상측에서 볼트(B)와 너트(N)의 체결에 의해 상부덮개(20) 및 고정걸이(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11)이 상단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때 단턱(11)에는 볼트(B), 너트(N)의 체결에 의해 상부덮개(20) 및 고정걸이(40)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1a)이 일정한 간격을 갖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취관(10)은 하측에서 하부덮개(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체결링(12)이 하단 둘레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체결링(11)의 외측에는 잠수부가 수중에서 하부덮개(30)의 체결부재(31)와 간편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U자 형상의 고리(12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링(12)이 채취관(10)의 하단부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거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면, 잠수부가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채취관(10)을 수중의 바닥에 박히도록 채취관(10)을 가압했을 때 바닥으로 원활하게 들어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채취관(10)이 수중의 바닥에 원활하게 박혀서 퇴적물 시료의 채취가 용이하도록 체결링(11)의 일부가 채취관(10)의 하측으로 돌출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채취관(10)의 상측, 바람직하게 단턱(11)에는 상부덮개(20)가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상부덮개(20)는 채취관(10)이 수중에 입수될 때 퇴적물 시료가 채취관(10)에 밀폐 저장될 수 있도록 채취관(10)의 상측을 미리 폐쇄시키고, 채취관(10)이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때 채취관(10)에 저장된 퇴적물 시료를 조사 및 실험할 수 있도록 채취관(10)의 상측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덮개(20)는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채취관(10)의 단턱(11)과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11)에 형성된 관통홀(11a)과 동일한 개수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관통홀(21)이 형성된다. 그러면 볼트(B)는 단턱(11)과 상부덮개(20)에 형성된 관통홀(11a, 21)을 관통하여 너트(N)와 체결된다.
이때 상부덮개(20) 하측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채취관(10)의 단턱(11)에 맞닿는 부분이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되어 채취관(10)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부덮개(20)가 채취관(10)의 단턱에 안착되어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밀착하게 결합되어도 재질 특성상 미세한 틈이 발생해 완벽하게 밀폐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덮개(20)에는 채취관(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수도꼭지(22)가 상측에 설치되는데, 이 수도꼭지(22)는 채취관(10)을 수중에 입수시킬 경우 수중의 바닥으로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채취관(10) 내부공간으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한 후 수중의 바닥에 박힌 채취관(10)을 들어 올렸을 때 채취관(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퇴적물의 시료가 교란되지 않으면서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한다.
즉,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관(10)을 수중에 입수시킬 때 채취관(10)의 하측은 개방된 상태로 입수되므로, 수중의 바닥으로 내려갈때 수도꼭지(22)의 밸브를 개방하면 채취관(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수도꼭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채취관(10)이 수중의 바닥까지 원할하게 내려갈 수 있고, 채취관(10)의 내부공간으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채취관(10)을 수중의 바닥에 박았을 때 수도꼭지(22)의 밸브를 폐쇄하면 채취관(10)의 내부공간에 압력이 발생하므로 수중의 바닥에 박힌 채취관(10)을 잠수부가 들어올려도 퇴적물 시료는 채취관(10)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채취관(10)의 하측에는 하부덮개(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하부덮개(30)는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채취관(10)을 수중에 입수시킬 때 퇴적물 시료가 채취관(10) 내에 저장될 수 있도록 채취관(10)의 하측을 개방시키고, 채취관(10) 내에 퇴적물 시료가 저장되면 저장된 퇴적물 시료가 채취관(10)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채취관(10)의 하측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적물 시료가 채취관(10) 내에 저장되면 채취관(10)의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수중에서 잠수부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채취관(10)의 하측을 하부덮개(30)로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하부덮개(10)의 외측에는 스테인리스 찬합을 밀폐시킬 때 쓰이는 체결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체결링(12)에 형성된 고리(12a)와 간편하게 결속되는 체결부재(31)가 방사상으로 마련되되, 체결링(12)에 형성된 고리(12a)와 동일한 간격과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덮개(30)는 체결부재(31)에 의해 채취관(1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도 재질 특성상 미세한 틈이 발생할 수 있어 채취관(10)의 하측을 완벽하게 밀폐시키지 못할 우려가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덮개(30)의 내측 바닥면에는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하여 결합시 채취관(10)의 내부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채취관(10)의 단턱(11) 또는 상부덮개(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걸이(40)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걸이(40)는 채취관(10)이 수중에 입수되거나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경우, 채취관(10)이 수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크레인, 윈치 등과 같은 별도의 이동장비와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즉, 채취관(10)을 수중에 입수시킬 때에는 채취관(10)의 상측이 상부덮개(20)에 의해 밀페 처리되므로, 고정걸이(40)는 단턱(11)과 상부덮개의(20)에 형성된 관통홀(11a,21)에 삽입된 후 너트(N)에 의해 고정되고, 채취관(10)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킬 때에는 채취관(10)의 상측이 개방되므로, 고정걸이(40)는 단턱(11)에 형성된 관통홀(11a)에 삽입된 후 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걸이(4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별도의 이동장비에 의한 채취관(10)의 수직 이동시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너트(N)와 체결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걸이(4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이동장비와 쉽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취관(10)의 수직 이동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직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채취관(10)의 상측에는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단턱(11)에 안착되는 안착판(50)이 구비되는데, 이 안착판(50)은 채취관(10)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킬 경우, 채취관(10) 내에 저장된 퇴적물 시료가 실험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의해 교란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채취관(10)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킬 때 상측을 개방시켜야 하는데, 채취관(10)의 상측을 개방시킨 상태로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키면 실험수조 내에 저장된 물이 채취관(10)의 상측으로 유입되어 퇴적물 시료를 교란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6a 내지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50)으로 채취관(10)의 상측을 일시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 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관(10)이 실험수조 내에 안치된 경우에는 안착판(50)을 제거하여 채취관(10)의 상측을 개방시켜야만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거가 용이하도록 안착판(50)의 일측은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제거로프(51)가 설치된다.
이때 안착판(50)에 제거로프(51)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실험수조 내에서 퇴적물 시료의 조사 및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잠수부가 실험수조에 들어가 안착판(50)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실험수조 밖에서 안착판(50)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거로프(51)가 안착판(50)에 구비되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거로프(51)를 작업자가 실험수조 밖에서 잡아 당기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채취관(10)의 단턱(11)에 고정된 안착판(50)을 채취관(10)의 상측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시켜 실험수조 밖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0: 채취관
11: 단턱
11a: 관통홀
12: 체결링
12a: 고리
20: 상부덮개
21: 관통홀
22: 수도꼭지
30: 하부덮개
31: 체결부재
40: 고정걸이
50: 안착판
51: 제거로프
B: 볼트
N: 너트

Claims (8)

  1. 수중의 퇴적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한 후 물이 채워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키는 시료 채취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퇴적물 시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단 둘레면에는 단턱이 연장 형성되고, 하단 둘레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고리를 갖는 체결링이 설치된 채취관;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될 때에는 상측을 폐쇄시키고,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때에는 상측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단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덮개;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될 때에는 하측을 개방시키고, 수중에서 퇴적물 시료가 상기 채취관에 저장되면 하측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갖는 하부덮개; 및
    상기 채취관이 수중에 입수되거나 실험수조 내에 안치될 경우, 별도의 이동장비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관이 수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채취관의 단턱 또는 상기 상부덮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과 상기 상부덮개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및 상기 고정걸이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은 일부가 상기 채취관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채취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수도꼭지가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단턱에 맞닿는 부분이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내측 바닥면이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관을 실험수조 내에 안치시킬 경우, 상기 채취관 내에 저장된 퇴적물 시료가 교란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채취관의 상측에 고정 안착되는 안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상기 채취관이 실험수조의 바닥에 안치되면 제거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제거로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1020150148141A 2015-10-23 2015-10-23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10174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41A KR101747840B1 (ko) 2015-10-23 2015-10-23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PCT/KR2016/010640 WO2017069414A1 (ko) 2015-10-23 2016-09-23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41A KR101747840B1 (ko) 2015-10-23 2015-10-23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12A true KR20170047712A (ko) 2017-05-08
KR101747840B1 KR101747840B1 (ko) 2017-06-19

Family

ID=5855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141A KR101747840B1 (ko) 2015-10-23 2015-10-23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7840B1 (ko)
WO (1) WO20170694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4752A (zh) * 2018-05-04 2018-08-24 浙江工业大学 一种岸基远程水下沉积物采样装置及其采样方法
KR102159986B1 (ko) * 2019-10-01 2020-09-25 (주)셀파코퍼레이션 블록시료 채취장치 및 채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9638A (zh) * 2017-08-29 2017-12-08 天津大学 一种研究氧气影响下沉积物‑水界面营养盐通量的装置
CN108036962B (zh) * 2018-01-18 2024-01-26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柱状沉积物取样器
CN108020441B (zh) * 2018-01-18 2024-01-0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可封底的松散沉积物取样装置
CN113933102B (zh) * 2021-09-03 2023-07-25 江苏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不同水深浮游生物样品采集装置
CN115791250B (zh) * 2022-11-10 2023-09-12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采样器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5619A (ja) * 1994-09-07 1996-03-22 Sanyu Kk 泥採取装置
JPH10286543A (ja) * 1997-04-17 1998-10-27 Kamigotou Sekiyu Bichiku Kk スラッジ採取装置
KR200315445Y1 (ko) * 2003-03-13 2003-06-02 (주)한라엔지니어링 토양시료 채취기
KR20110115827A (ko) * 2010-04-16 2011-10-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시료 채취기
KR200476076Y1 (ko) * 2013-05-20 2015-01-26 김휘중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4752A (zh) * 2018-05-04 2018-08-24 浙江工业大学 一种岸基远程水下沉积物采样装置及其采样方法
CN108444752B (zh) * 2018-05-04 2023-09-29 浙江工业大学 一种岸基远程水下沉积物采样装置及其采样方法
KR102159986B1 (ko) * 2019-10-01 2020-09-25 (주)셀파코퍼레이션 블록시료 채취장치 및 채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414A1 (ko) 2017-04-27
KR101747840B1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40B1 (ko)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101480790B1 (ko) 반자동 개폐식 부니 채취기
KR102178099B1 (ko) 해수 내 미세플라스틱 정밀 샘플링 장치
CN110702855B (zh) 一种水环境原位生物暴露-被动采样联用装置与方法
KR101667477B1 (ko) 파지용 손잡이를 구비한 수중 토양시료 채취 장치
CN109540578B (zh) 一种深水水域深层原状底泥采样装置及应用
CN110631870A (zh) 一种适用海底游离气的取气装置及取气方法
KR200476076Y1 (ko)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
CN106840979B (zh) 海底床内部沉积物泵送再悬浮量的原位长期观测装置与方法
KR200328820Y1 (ko) 중력진공식 시료채취기
CN215525187U (zh) 一种柱状沉积物采样器
JP3227316U (ja) サンプル採取装置
KR101271474B1 (ko) 공극수 채취를 위한 스퀴저셀용 받침대
US6237430B1 (en) Process for sampling open water sheen
KR102048350B1 (ko) 부표를 설치한 채니기
CN110849654A (zh) 一种深水区新近沉积淤泥质软土取芯技术
CN209432477U (zh) 一种深水水域深层原状底泥采样装置
KR101246644B1 (ko) 압력유지 및 오염 방지형 푸쉬코어
KR20170037113A (ko) 양식장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침강물질 포집장치
Gale A floatable, benthic corer for use with scuba
KR20160091479A (ko) 침전물 채집 장치
Doyle et al. Device for sampling unconsolidated soft‐bottom sediments in moderately deep waters
KR100433190B1 (ko)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KR20130024657A (ko) 오탁방지장치
KR102608166B1 (ko) 수중시료채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