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166B1 - 수중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수중시료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166B1
KR102608166B1 KR1020220121139A KR20220121139A KR102608166B1 KR 102608166 B1 KR102608166 B1 KR 102608166B1 KR 1020220121139 A KR1020220121139 A KR 1020220121139A KR 20220121139 A KR20220121139 A KR 20220121139A KR 102608166 B1 KR102608166 B1 KR 10260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wire
hol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이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수 filed Critical 이은수
Priority to KR102022012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에 시료가 담기는 복수 이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수중에서 상기 덮개에 의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무게 추와, 상기 무게 추 및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무게 추에 의해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복수 이상의 상기 본체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시료채취기{Underwater sample collector}
본 발명은 수중시료채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채취를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는 수중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분야, 특히 수질분야는 국민에게 깨끗한 식수공급 관련 또는 상하수원의 수질환경조사 등을 위하여 상하수원의 여러 지점에서 주기적으로 수질조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수질검사는 물의 물리학적 성질이나 물에 포함된 화학적 성분, 미생물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수도 수원을 선정할 때, 수원의 오염이나 정화 작업을 점검 감시할 때, 수질기준에 대한 수돗물의 합격 여부를 검사할 때, 바다나 호수, 강 또는 하천의 환경오염도를 측정할 때, 보건소 등에서 우물물의 음료 적부를 판정할 때, 또는 공업용 수도나 하수도의 오염도를 검사할 때 등 다양한 목적에서 실시된다.
그러나 기존 수질측정용 장치는 장치가 복잡하고 취급이 복잡하므로 간단하게 수질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수질측정용 시료채취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2429호(2020.07.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채취를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는 수중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에 시료가 담기는 복수 이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수중에서 상기 덮개에 의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무게 추와, 상기 무게 추 및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무게 추에 의해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복수 이상의 상기 본체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는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맞대어지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1기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상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제2회전축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맞대어지는 제2걸림턱과,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관통홀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2기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과 맞대어질 시 상기 덮개가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이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일단에 상기 무게 추가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상단와이어와,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하단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에 구비되는 복수 이상의 고정고리와, 상기 상단와이어 및 상기 하단와이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고리에 체결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상단와이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제1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1투명창과, 상기 제1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1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하단와이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제2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2투명창과, 상기 제2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2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는 사각 틀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어 물이 통과하는 통과홀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본체의 하단이 끼워지는 상단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하단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상단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상단홈 및 상기 하단홈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수중시료채취기에 의하면, 한 번의 채취를 통해 서로 다른 층의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가 수중에서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가 시료 채취 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에 복수의 커넥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가 수중에서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가 시료 채취 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10)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에 시료가 담기는 복수 이상의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덮개(200)와 연결되어 수중에서 덮개(200)에 의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무게 추(300)와, 무게 추(300) 및 덮개(200)와 연결되어 덮개(200)가 무게 추(300)에 의해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는 와이어(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복수 이상의 본체(10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부본체(110)와, 상부본체(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중시료채취기(10)는 본체(100)를 수중에 넣어 무게 추(300)에 의해 덮개(200)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하부본체(120)를 통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내부공간으로 시료가 유입되도록 하고, 시료 채취 후에는 덮개(200)를 닫아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내부공간에 각각 시료가 담긴채 수중시료채취기(10)를 물 밖으로 용이하게 옮기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수나 폐수 등의 시료는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층이 생길 수 있고,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층은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내부공간으로 각각 유입되어 서로 다른 성분의 시료를 한 번에 채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본체(110)는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1케이스(111)와, 제1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덮개(200)와 연결되어 덮개(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회전축(112)과, 제1회전축(112)과 결합하여 덮개(200)가 제1회전축(112)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탄성체(113)와, 제1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덮개(200)와 맞대어지는 제1걸림턱(114)과, 제1케이스(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115)과, 제1관통홀(115)에 구비되어 제1관통홀(115)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1기밀부재(116)를 구비하고, 하부본체(120)는 상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2케이스(121)와, 제2케이스(121)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덮개(200)와 연결되어 덮개(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회전축(122)과, 제2회전축(122)과 결합하여 덮개(200)가 제2회전축(122)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탄성체(123)와, 제2케이스(121)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덮개(200)와 맞대어지는 제2걸림턱(124)과, 제2케이스(1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125)과, 제2관통홀(125)에 구비되어 제2관통홀(125)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2기밀부재(1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25)은 와이어(400)만 관통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제1기밀부재(116)와 제2기밀부재(126)는 와이어(400)와 맞닿도록 구비되어 제1관통홀(115)과 제2관통홀(125)을 통해 물이 유입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의 일단에는 제1걸림턱(114) 또는 제2걸림턱(124)과 맞대어질 시 덮개(200)가 제1걸림턱(114) 또는 제2걸림턱(124)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도록 제1걸림턱(114) 또는 제2걸림턱(124)이 안착하는 안착홈(210)이 형성되고, 안착홈(210)에는 안착홈(210)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패드(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걸림턱(114)과 제2걸림턱(124)에 덮개(200)의 안착홈(210)이 안착함으로써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22)에 의해 덮개(200)가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21)의 외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400)는 일단에 무게 추(300)가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메인와이어(410)와, 제1관통홀(115)을 통해 삽입되어 제1케이스(111)에 구비된 덮개(200)에 연결되는 상단와이어(420)와, 제2관통홀(125)을 통해 삽입되어 제2케이스(121)에 구비된 덮개(200)에 연결되는 하단와이어(430)와, 메인와이어(410)에 구비되는 복수 이상의 고정고리(440)와, 상단와이어(420) 및 하단와이어(43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고리(440)에 체결되는 체결고리(45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고리(440)는 메인와이어(410)에 고정되고, 체결고리(450)는 고정고리(440)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 시료 채취 후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메인와이어(410)로부터 각각 분리할 수 있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자유롭게 취급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료 채취과정을 살펴보면, 시료 채취 전에는 덮개(200)의 안착홈(210)이 각각 제1걸림턱(114)과 제2걸림턱(124)에 안착한 형태로 구비되고, 시료 채취 시에는 무게 추(300)에 의해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가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21)의 외부로 각각 당겨짐과 동시에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에 각각 연결된 덮개(200)가 열리게 되어 하부본체(120)의 하부를 통해 시료가 유입될 수 있다.
하부본체(12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시료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내부공간을 채우게 되고,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내부공간에 시료가 채워진 후에는 무게 추(300)를 들어올려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가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21)의 외부로 각각 당겨지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200)는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에 제1케이스(111) 및 제2케이스(121)의 외부로 당겨지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1탄성체(113)와 제2탄성체(123)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하여 안착홈(210)에 제1걸림턱(114) 및 제2걸림턱(124)에 걸릴 수 있다.
상기의 시료 채취과정을 통해 한 번의 채취로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한편, 상부본체(110)는 제1관통홀(115)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제1관통홀(115)에 삽입되는 상단와이어(420)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단와이어(420)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파이프(117)와, 제1케이스(111)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1투명창(118)과, 제1케이스(111)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본체(110)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1손잡이(119)를 구비하고, 하부본체(120)는 제2관통홀(125)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제2관통홀(125)에 삽입되는 하단와이어(430)가 내측에 위치하여 하단와이어(430)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파이프(127)와, 제2케이스(121)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2투명창(128)과, 제2케이스(121)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하부본체(120)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2손잡이(129)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이드 파이프(117)와 제2가이드 파이프(127)는 각각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가 무게 추(300)에 의해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21)의 내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시 가이드 역함을 함으로써 상단와이어(420)와 하단와이어(430) 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투명창(118)과 제2투명창(128)은 시료 채취 후 서로 다른 성분의 시료가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에 각각 잘 채취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손잡이(119)와 제2손잡이(129)는 시료 채취 전후 수중시료채취기(10)를 용이하게 옮기도록 하고, 시료 채취 중에는 제1손잡이(119)와 제2손잡이(129)를 잡아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 조류에 의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10)에 구비되는 커넥터(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중시료채취기에 복수의 커넥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10)는 상부본체(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본체(120)는 채취하고자 하는 시료가 높이에 따른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졌을 시 복수 이상으로 구비되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시료가 각각 채취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500)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 사이 또는 복수의 하부본체(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 또는 복수의 하부본체(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500)는 사각 틀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510)와, 베이스플레이트(510)의 내측에 형성되어 물이 통과하는 통과홀(520)과,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본체(110)의 하단 또는 복수의 하부본체(120) 중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본체(120)의 하단이 끼워지는 상단홈(530)과, 베이스플레이트(510)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부본체(120)의 상단 또는 복수의 하부본체(120)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본체(120)의 상단이 끼워지는 하단홈(5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111)의 하단에는 상단홈(530)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111a)가 구비되고, 제2케이스(121)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단홈(530) 및 하단홈(540)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12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 또는 복수의 하부본체(120) 사이에 커넥터(500)를 구비하여 수중시료채취기(10)의 내부공간을 늘림으로써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고, 상부본체(110), 하부본체(120) 및 커넥터(500)를 끼움 방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시료 채취 전후의 휴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시료채취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수중시료채취기 100: 본체
110: 상부본체 111: 제1케이스
111a: 제1끼움돌기 112: 제1회전축
113: 제1탄성체 114: 제1걸림턱
115: 제1관통홀 116: 제1기밀부재
117: 제1가이드 파이프 118: 제1투명창
119: 제1손잡이 120: 하부본체
121: 제2케이스 121a: 제2끼움돌기
122: 제2회전축 123: 제2탄성체
124: 제2걸림턱 125: 제2관통홀
126: 제2기밀부재 127: 제2가이드 파이프
128: 제2투명창 129: 제2손잡이
200: 덮개 210: 안착홈
220: 기밀패드 300: 무게 추
400: 와이어 410: 메인와이어
420: 상단와이어 430: 하단와이어
440: 고정고리 450: 체결고리
500: 커넥터 510: 베이스플레이트
520: 통과홀 530: 상단홈
540: 하단홈

Claims (5)

  1.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내부공간에 시료가 담기는 복수 이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수중에서 상기 덮개에 의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무게 추와,
    상기 무게 추 및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무게 추에 의해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복수 이상의 상기 본체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본체는 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맞대어지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1기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상하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일단에 구비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제2회전축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개방된 하면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와 맞대어지는 제2걸림턱과,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관통홀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2기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의 일단에는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과 맞대어질 시 상기 덮개가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과 동일선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상기 제2걸림턱이 안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기밀성을 높이는 기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시료채취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에 상기 무게 추가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상단와이어와,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하단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에 구비되는 복수 이상의 고정고리와,
    상기 상단와이어 및 상기 하단와이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고리에 체결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시료채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상단와이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제1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제1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1투명창과, 상기 제1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1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제2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하단와이어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와이어를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제2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제2투명창과, 상기 제2케이스의 또 다른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휴대성을 높이는 제2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시료채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사이에는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는 사각 틀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어 물이 통과하는 통과홀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본체의 하단이 끼워지는 상단홈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 또는 복수의 상기 하부본체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하단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스의 하단에는 상기 상단홈에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상단홈 및 상기 하단홈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시료채취기.
KR1020220121139A 2022-09-23 2022-09-23 수중시료채취기 KR10260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139A KR102608166B1 (ko) 2022-09-23 2022-09-23 수중시료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139A KR102608166B1 (ko) 2022-09-23 2022-09-23 수중시료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166B1 true KR102608166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139A KR102608166B1 (ko) 2022-09-23 2022-09-23 수중시료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1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5880Y (zh) * 2004-08-31 2005-09-14 上海市向明中学 多点取样棒式水样采集器
KR101486285B1 (ko) * 2013-09-24 2015-02-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KR101515536B1 (ko) * 2013-11-13 2015-05-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시료채집기
KR20200082429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라스테크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US20210190644A1 (en) * 2018-04-12 2021-06-24 Pharma and Nutraceutical PD Pty Ltd Sampling Device
CN216449258U (zh) * 2021-11-12 2022-05-06 湖南城市学院 一种城市湖泊水不同深度下水样采集装置
CN217211699U (zh) * 2022-01-19 2022-08-16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便携式地下水位测定与同步分层水样采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5880Y (zh) * 2004-08-31 2005-09-14 上海市向明中学 多点取样棒式水样采集器
KR101486285B1 (ko) * 2013-09-24 2015-02-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KR101515536B1 (ko) * 2013-11-13 2015-05-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시료채집기
US20210190644A1 (en) * 2018-04-12 2021-06-24 Pharma and Nutraceutical PD Pty Ltd Sampling Device
KR20200082429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라스테크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CN216449258U (zh) * 2021-11-12 2022-05-06 湖南城市学院 一种城市湖泊水不同深度下水样采集装置
CN217211699U (zh) * 2022-01-19 2022-08-16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便携式地下水位测定与同步分层水样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40B1 (ko)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KR20090062470A (ko) 채수기
CN109506984A (zh) 微塑料采样柱、微塑料采集装置及原位消解方法
KR102608166B1 (ko) 수중시료채취기
KR20210028031A (ko) 수질샘플 채수를 위한 드론용 채수장치
CN110702855A (zh) 一种水环境原位生物暴露-被动采样联用装置与方法
WO1998002724A1 (en) Sampler
CN215218781U (zh) 一种在线水质监测装置
CN209102704U (zh) 一种用于水质检测仪器中的清洁机构
CN214096732U (zh) 一种饮用水抽样装置
Frithsen et al. A new, flow-through corer for the quantitative sampling of surface sediments
CN115824722B (zh) 一种水质水体环境与杂质含量检测系统
CN217542531U (zh) 一种用于水质检测的分层取样装置
CN111007224B (zh) 一种自动化海水检测系统
Hassellöv et al. Progress towards monitoring of microlitter in Scandinavian marine environments:: State of knowledge and challenges
KR20140073290A (ko) 표층수 채집 장치
CN214373587U (zh) 一种高原水化学监测装置
CN214277526U (zh) 一种水质在线检测超标留样装置
CN110967224A (zh) 一种水文勘测用取样结构
KR102533117B1 (ko) 자석을 이용한 채수기
Van Arkel et al. A device for quantitative sampling of benthic organisms in shallow water by means of a flushing technique
Scircle Microplastic Pollution in the Mississippi River and the Mississippi Sound Estuary: Concentrations, Sizes, Types, Loadings, and Method Development
CN220154426U (zh) 一种浊度水质在线分析监测装置
Dzitsky et al. The seawater pollution survey in the northern Black Sea
CN219104896U (zh) 一种水质在线分析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