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710A -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710A
KR20170047710A KR1020150148138A KR20150148138A KR20170047710A KR 20170047710 A KR20170047710 A KR 20170047710A KR 1020150148138 A KR1020150148138 A KR 1020150148138A KR 20150148138 A KR20150148138 A KR 20150148138A KR 20170047710 A KR20170047710 A KR 20170047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ft
patient
exemplary embodiment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영
여동훈
김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14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710A/ko
Publication of KR2017004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PLATFORM STATION FOR PATI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 혹은 응전력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를 말한다.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노약자를 위한 아래에 기술되는 기능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침상환자 건강증진(하지혈류개선, 욕창방지, 침상에서의 운동) 을 위한 장기침상 플랫품 스테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침상환자를 케어하기 위한 환자리프트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장기간 침대생활자에게 투병환경에 위화감을 조성하지 않는 환경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장기침상자 및 간호인이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디자인, 여가시간 활용과 문화생활을 영위하도록 한다.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침대에 쉽게 도킹하며 환자리프팅 및 요동 운동으로 인한 힘의 동적변화에도 고정이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장기 침상 생활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생활, 요양, 의료용 플랫픔 스테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동작 가능한 하부리프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동작 가능한 상부리프팅부 및 상기 상부리프팅부 에서 작동 가능한 헤드부 포함하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체위에 따른 욕창 호발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침상 생활중 욕창방지를 위한 체위변경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4는 기존의 욕창방지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기존의 횡 체위 변환침대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기존의 종 체위 변환침대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환자가 침상에서 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환자가 기존의 환자 리프트에 매달린 상태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붙박이 리프트가 있는 기존 환자 리프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기존의 환자 리프트를 사용한 경우, 환자 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11은 기존의 환자 리프트를 사용한 경우, 환자 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지혈류개선(요동운동)을 위해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침상에서 실시한 경우를 개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지혈류개선(요동운동)을 위해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의자에서 실시한 경우를 개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요동장치와 신체좌우 벤딩을 할 수 있는 이임줄을 이용하여 시간에 맞추어 자세를 변환을 유도하는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요동장치와 신체좌우 벤딩을 할 수 있는 이임줄을 이용하여 시간에 맞추어 자세를 변환을 유도하는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허리 견인에 대해 개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을 이용한 환자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강증진과 문화생활이 가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의료 검사장비 거치기능이 가능한 리프트 테이블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하부 리프트가 침대와 도킹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6은 침대 옆면에 고정시에 디스플레이가 환자의 눈에 적합하게 틸팅되는것에 대한 개랙적인 도면이다.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플랫폼의 개략적인 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진 및 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스테이션 플랫폼의 전체적인 구조를 삼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리프트 기능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내부구조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상부 리프트의 내부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하부 리프트의 내부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후면 내부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후면 내부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헤드 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요동모듈이 90도 회전한 경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헤드 내부 요동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은 쌍둥이 요동기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요동기에 쌍둥이 구조를 채택한 이유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침대 뒷면에 스테이션을 도킹한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은 침대 왼쪽에 스테이션을 도킹한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침대 오른쪽에 스테이션을 도킹한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은 도킹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지혈류개선, 욕창방지, 침상에서의 운동 등 건강증진 기능을 하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하지혈류개선(하지요동)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침대위에 놓인 장비들은 장기침상환자가 장기간 편안하게 사용하기 힘들었으며, 침상위에 놓인 장치가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했다. 또한, 착용하는 장비도 장기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방법은 장기침상 환자가 오랫동안 편안하게 사용하기 힘들었다.
도 2는 체위에 따른 욕창 호발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앙와위 자세에서는 발꿈치, 천골, 팔꿈치, 견갑골 및 후두에 욕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측위 자세에서는 복사뼈, 무릎, 대전자, 장골, 어깨, 귀 및 머리측면에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좌위 자세에서는 발꿈치, 미골, 천골 및 척추 자세에서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침상 생활중 욕창방지를 위한 체위변경(간호하기 위한 일 예)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침상 생활중 욕창방지를 위한 체위변경은 일반매트리스를 사용하는 환자의 경우 적어도 2시간마다 시행해야 하며, 체위변경은 정해진 시간 15분 전후 범위 내에서 시행해야 한다. 또한, 체위변경을 계획하고 체위변경표를 환자의 침상 옆에 부착하여 체위변경시마다 시간을 기록하고 시행자는 서명을 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욕창방지를 위한 체위변경은 12시 측위 창 문쪽, 2시 측위 출입구 쪽, 4시 앙와위, 6시 측위 창문 쪽, 8시 측위 출입구 쪽 및 10시 앙와위의 순환 사이클을 갖고 있다.
이러한 체위변경 스케줄에 따라 규칙적으로 행하는 간호는 전담 기기가 필요하다.
도 4 내지 6은 기존의 욕창방지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욕창방지 장치 중, 에어쿠션 류(방석 및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쿠션은 신체의 피부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압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응전력이 발생할 확률을 배제하기 힘들고, 작은 거리에 횡적압력의 차가 발생하면 응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5는 기존의 욕창방지 장치 중, 자동 체위변형 침대로, 횡 방향으로 체위를 변형하는 횡 체위 변환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욕창방지 장치 중, 자동 체위변형 침대로, 종 방향으로 체위를 변형하는 종 체위 변환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서 언급한 도 4 내지 6의 기존의 욕창방지 매트 및 침대는 문제점이 있다. 도 4의 쿠션형은 응전력 발생소지가 있다. 도 5의 체위변환 침대의 경우, 횡 체위 변환 침대는 바닥이 같이 변형되므로 압력경감이 많지 않고, 종 체위 변환 침대는 환자의 체형과 침대 내에서 위치에 따른 최적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공통적인 문제로는 이불이 뭉쳐지거나, 바닥변형에 저항으로 작용한다.
도 7은 환자가 침상에서의 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은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 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으로, 환자 리프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반적으로 환자가 매달린 상태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목욕탕 같은 곳에서는 붙박이 리프트가 있는 것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11은 상기 환자리프트를 사용한 경우의 환자 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침대, 휠체어, 화장실 순서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매우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건강증진과 문화생활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기기의 필요성이 있다.
침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는 따로 개별적인 설치이거나 혹은 관리적인 측면의 의료정보 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멀티미디어가 문화와 엔터테인먼트를 통하여 건강증진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또한, 리무블이 편리하면서도, 침대의 상태에 상관없이 도킹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있어서, 하지혈류개선(요동운동)을 위해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침상에서 사용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있어서, 하지혈류개선(요동운동)을 위해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을 의자에서 사용할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5는 욕창방지를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요동장치와 신체좌우 벤딩을 할 수 있는 이음줄을 이용하여 시간에 맞추어 자세변환을 유도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환자의 재활 및 운동에 관한 것으로, 허리 견인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오랜 침상 생활은 허리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허리 재활을 위해 견인이 필요하다.
도 17 내지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 한 이송 및 부가적인 보조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환자 리프트에 대해 나타나 있으며,
도 18을 참조하면, 환자 리프트를 기반으로 한 이송의 경우, 리프트(하부 리프트기) 기능이 있는 의자에 안치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리프트된 환자를 하부 리프트(의자)를 위로 상승시키고, 간호인이 환자를 의자에 안착유도한다. 의자에 엉덩이가 안착된 환자는 손으로 안전손잡이를 사용하고, 벨트로 허리위를 감싸고 스테이션에 고정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부리프트와 하부리프트를 이용하여 침대에서 화장실로 직행할 경우, 매달린 상태가 아닌 의자에 앉는 형태로 이동 하여, 하부 리프트를 변기의 높이와 침대높이로 맞출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보조기능으로는 안전 손잡이, 견인 손잡이, 수동 바닥고정 장치, 하부리프트 업다운 풋 버튼, 콘트롤 판넬(상부 리프트 업다운 버턴, 요동장치 버턴, 파워 온 버턴) 및 비상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내지 24는 건강증진과 문화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능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모니터를 통해, 오락 동영상 시청(여가 활용), 스테이션 전용 운동 컨텐츠 혹은 의료관련 컨텐츠 시청이 가능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조명등을 포함하여 모니터 이용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조명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리프트 테이블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의료 검사장비 거치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내지 2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뒷면 고정시에 하부리프트 상승으로 침대 밑면과 고정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옆면 고정시에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는 환자의 눈에 적합하게 틸팅 가능 하다.
도 27 내지 2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의 외부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스테이션 플랫폼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정면에는 스테이션 상부 리프팅, 하부 리프팅, 안전손잡이, 멀티미디어-LCD, 조명 및 재활 운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에는 하부리프트 조작패달, 상부리프트 조작버튼, 비상버튼, 안전손잡이,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재활 운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사진 및 헤드에 관한 것으로, 회전방지 고정장치, 조명장치, 요동로프 구멍, 리프트 아이볼트 및 외부원통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90도 회전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의 전체적인 구조를 삼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리프트 기능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리프트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의 순서로, 상부 리프트 다운, 하부 리프트 업 및 상부, 하부 리프트 동시 작동 경우를 차례로 나타냈다.
도 3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내부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리프트 구조 내부에는 상부 리프트 연결부(The upper Lift connecting neck), 상부 엘엠 블록(The upper LM block), 웜기어(Worm gear), 선형 슬라이드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Linear Slide Actuator), 엘엠 레일(LM rail) 모터(motor), 실린더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Cylinder Actuator), 하부 엘엠 블록(The lower LM block), 하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lower Lift connection plate), 하부 리프트(The lower Lift) 및 메뉴얼 마개(Manual stoppe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리프트는 지지부(Support Unit), 엘엠 레일(LM Rail), 리드 스크루(Lead Screw), 상부 리프트 연결부(The upper Lift connecting neck), 상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Upper Lift connection plate), 상부 엘엠 블록(The upper LM block), 선형 슬라이드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Linear Slide Actuator) 및 작동 테이블(Moving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한조의 엘엠 레일로 상하 리프트에 공용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상부 4개의 엘엠 블록(LM block)으로 상부 엘엠 가이드(LM GUIDE)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Upper Lift connection plate)는 내부의 선형 슬라이드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Linear Slide Actuator)의 작동 테이블(Moving Table)로 연결될 수 있다. 선형 슬라이드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Linear Slide Actuator)는 웜기어(Worm gear)로 연결된 직류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동작 중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3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 리프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리프트는 연결부(Connecting Unit), 하부 엘엠 블록(The lower LM block), 하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lower Lift connection plate), 하부 리프트(The lower Lift) 및 실린더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Cylinder 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리프트는 한조의 엘엠 레일로 상하 리프트에 공용으로 사용된다. 여기에 하부 4개의 엘엠 블록(LM block)으로 하부 엘엠 가이드(LM GUIDE)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리프트(The lower Lift)가 하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lower Lift connection plate)을 매개로 하부 4개의 엘엠 블록(LM blokc)와 연결되어 하부 리프트 메카니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lower Lift connection plate)는 내부의 실린더 전동 액추에이터(Electric Cylinder Actuator)의 실린더 끝단의 연결부(Connecting Unit)와 하부 리프트 연결 플레이트(The lower Lift connection plate)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프트 구조의 특징은 상·하부 리프트는 이동베이스에서 일정한 거리 떨어진 곳에서 부하를 받으므로 휨모멘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휨 모멘텀은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이동(리프트 될 경우)시 기계구조의 뒤틀림 등으로 원활한 동작이 곤란하다. 따라서 리프트를 수행하는 힘은 선형운동을 할 수 있는 모듈(선형 슬라이드 전동 액추에이터, 선형 실린더 전동 액추에이터)을 사용할 수 있다. 동시에 상하 좌우 휨모멘텀에 따른 힘의 분산은 좌우 넓은 간격으로 위치한 엘엠 레일(LM Rail)과 상하로 간격이 큰 엘엠 블록(LM block)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해결할 수 있다.
도 34 내지 3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면 내부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후면 내부에는 실린더형 스피커(Cylinder type Speaker), 미니 PC(mini PC), 휨 방지대(Avoid bending protector), 하부 리프트 조작패달(The lower Lift Foot S/W) 및 리프트 컨트롤러/파워(Lift Controller & 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부 리프트 조작버튼(The upper Lift Butten), 안전손잡이(Safety grip), 견인손잡이(Traction grip), 비상버튼(Emergency switch), 소프트웨어 전원(Power S/W) 및 요동 슬라이더 장치 버튼(Oscillating slider Device Butten)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리프트 제어는 풋 스위치를 사용하고, 상부 리프트는 후면 중단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를 기준으로 엘엠 가이드(LM Guide)에 가해지는 휨 모멘텀 방지를 위해 휨 방지대(Avoid bending protector)로 보강할 수 있다.
양옆에 안전손잡이(Safety grip)는 침상환자가 손을 잡고 일어서는데 사용할 수 있다. 견인손잡이(Traction grip)은 스테이션을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하부 리프트와 상부 리프트는 파워 라인 없이도 충전된 밧데리로 사용 가능하며, 요동 장치는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6 내지 4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및 요동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헤드 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헤드 뷰는 고정아이볼트, 요동장치 회전 멈춤 장치, 요동 로프 홀, 조명등, 헤드 및 회전 내부 아이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상부리프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헤드의 내부에 90도 회전이 가능한 원판에 요동장치 및 조명등 그리고 아이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원판이 90도 회전은 정면과 측면에서 사용하는데 변환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회전에 따라 조명장치 그리고 '회전 내부 아이볼트'와 요동로프 홀이 재배치 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요동모듈이 90도 회전 가능한 것을 알수 있다..
도 38은 헤드 내부 요동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헤드 내부 요동기는 요동기 파워&컨트롤러, 요동 로프 홀, 회전판, 요동 링크 시스템, 헤드, 회전 판 및 웜 기어드 직류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8의 하단 도면은 아랫면에 웜기어가 장착된 디시모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상단 도면은, 윗면에는 4 링크드 시스템으로 모터의 회전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한 것을 나타낸다.
도 39을 참조하면, 쌍둥이 요동기 구조를 알 수 있다.
한 회전축에 대해 동일한 칫수의 2개의 요동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39의 a는 모터회전축, b는 모터링크철, c는 요동링크절 및 d는 요동회전축 을 나타낸다. 베이스 원판이 존재시에는 모터회전축 a와 요동회전축 d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가 한 방향으로 원운동을 할 때 요동회전축 d는 좌,우로 왕복하는 요동운동을 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요동기에 쌍둥이 구조를 채택한 이유에 대해 알 수 있다. 쌍둥이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큰 동작 레인지를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훨씬 큰 원호를 그릴수 있다.
도 41 내지 44는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와 도킹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배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틸딩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1은 침대 뒷면에 배치된 구조이며, 도 42는 침대 왼쪽에 배치된 구조이며, 도 43은 침대 오른쪽에 배치된 구조이다.
도 44는 도킹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하부 리프트를 상승시켜 침대의 아래 프레임에 밀착하게 하여 스테이션을 침대와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동작 가능한 하부리프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동작 가능한 상부리프팅부; 및
    상기 상부리프팅부 에서 작동 가능한 헤드부;를
    포함하는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KR1020150148138A 2015-10-23 2015-10-23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KR20170047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38A KR20170047710A (ko) 2015-10-23 2015-10-23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38A KR20170047710A (ko) 2015-10-23 2015-10-23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10A true KR20170047710A (ko) 2017-05-08

Family

ID=6016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138A KR20170047710A (ko) 2015-10-23 2015-10-23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7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566A (en) Sickbed
US9649236B1 (en) Dynamic seating and walking wheelchair with an active seat with powerlift to stand
CN207024194U (zh) 一种骨科护理床
JP5572760B2 (ja) 使用者の体型に合わせて回転軸が可変な床ずれ防止用電動ベッド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その姿勢変更周期の制御方法
JP4849991B2 (ja) 床ずれ防止用ベッド
CN204709198U (zh) 骨科椅
JP2004506484A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ベッドの構成、およびこの構成を有するベッド
US11872171B2 (en) Device for supporting the ability of a person with restricted mobility to move
CN103750968A (zh) 二轴自动病床
KR102123610B1 (ko) 노약자용 기능성 전동 침대
KR200214428Y1 (ko) 병상
JP4637754B2 (ja) ベッド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JP2007037683A (ja) ベッド
CN209252905U (zh) 新型人体足部负重装置
CN201353255Y (zh) 一种医院用监控护理床
KR20170047710A (ko) 장기침상 플랫폼 스테이션
KR101015387B1 (ko) 욕창방지를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세변환주기가 제어되는 전동침대 플랫폼
CN101773436A (zh) 一种医院用监控护理床
CN212090028U (zh) 一种多功能护理床
CN210932286U (zh) 一种病人转移床
KR102263658B1 (ko)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KR102163785B1 (ko) 욕창 방지 운동 안전 벨트
KR20110062707A (ko) 치료용 침대 및 의자 겸용 장치
US20210282994A1 (en) Assistant for stabilizing, mobilizing and securing a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