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441A -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441A
KR20170047441A KR1020150147244A KR20150147244A KR20170047441A KR 20170047441 A KR20170047441 A KR 20170047441A KR 1020150147244 A KR1020150147244 A KR 1020150147244A KR 20150147244 A KR20150147244 A KR 20150147244A KR 20170047441 A KR20170047441 A KR 20170047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s
data
boo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조한상
Original Assignee
(주)크래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래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크래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4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441A/ko
Publication of KR20170047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서버와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상기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300);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도서, 학습 컨텐츠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400); 및 상기 컨텐츠 서버(40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Book with electronic tags that personalized coaching through the curation rental systems, customized training content system using electronic tags, using the same statistical system solutions, educational content deliver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와 저출산으로 인하여 각 가정당 1~2명의 자녀만 양육함에 따라 자녀에 대한 보호와 교육의 관심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어린이, 특히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기의 어린들이 주로 사용하는 완구에는 단순한 유희적인 목적의 완구에서부터, 각종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나 언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용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목적이 다양한 완구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유아기의 어린이들이 언어 습득 능력을 비롯한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정에서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도 사물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언어 교육뿐만 아니라, 특히 조기 교육의 일환으로 외국어까지 포함하는 언어 학습 교육이 유행하고 있다.
종래의 교육용 완구로는 사람이나 동물, 사물 등의 특징이 묘사되어 있는 그림이나 글자 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교육시키는 경우, 통상적으로 부모나 선생님이 직접 어린이를 앉혀 두고, 그림 카드를 들어 어린이에게 보여준 다음, 카드에 묘사된 그림에 대한 명칭을 말하고 그 기능이나 의미 등을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 시키는 경우, 부모는 어린이와 함께 교육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별도로 조성하여야 하며, 어린이는 부모가 선택한 그림 카드에 나타난 그림에 대해서만 수동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어린이에 대한 학습교육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유아기 어린이의 특성상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의 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전술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있어서는 부모가 어린이에 대하여 교육을 강요하게 되어, 이러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의해 어린이는 쉽게 싫증을 내게 되어 학습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게 되고, 교육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용 완구를 통해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자 완구에서 가정 내의 일반적인 사물인 냉장고나 텔레비젼 등의 대상체에 대한 명칭이나 의미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기의 어린이에 대하여 거부감 없이 효율적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언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 역시 한 번 완구를 구입하면 해당 완구 내에 구성된 기능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없이 미리 설정된 기능만 수행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영유아 교육용으로 제공하는 기술 등도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히 스마트폰만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중독 등의 문제가 발생되거나,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는데 영유아의 경우 특히 그 위험의 심각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영유아 사용자의 중독 위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영유아와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설문을 조사 결과(한계레신문, 2014년 1월 2일)인데, 가정 내에서 영유아들의 스마트폰 최초 이용시기가 만 2세 전후로 이루어지고, 일일 평균 이용시간이 약 30분에 이르며, 주로 자녀가 선호하기 때문에 부모가 이용해주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도로 발전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기기들로 인해 욕구를 조절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즉 도 2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함에 따라 ADHD, 팝콘브레인, 충동장애, 우뇌증후군, 시력 및 성장발달 저하 등 수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고 이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까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도 3에 나타낸 스마트폰 중독파 검사도(KBS 뉴스)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마트폰 중독률 현황(미래창조과학부)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영유아기에는 가급적 스마트기기를 멀리하고, 놀이와 독서와 같은 아날로그적인 교육방법을 통해 스마트기기 중독 위험을 제거해야 하고, 책과 음악, 놀이 등을 통한 아날로그적인 교육은 아이들의 이해력을 높이고, 창의력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6487호(2007년01월11일 공고) - RFID 태그 인식 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완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현재 대한민국의 유, 아동들은 부모 또는 선생님들과 같은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틀 안에서 교육과 학습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은 미리 예측하거나 파악하기 어렵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찾고, 만들고, 놀면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와 같은 교육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유아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예측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아이들의 가능성을 키워주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은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 상기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300);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PC(900);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하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 상기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서버(700); 및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여기서 상기 빅데이터 정보는 다수의 영유아 도서와 다수의 음악 컨텐츠 및 다수의 도서, 음악 체험 학습 장소에서 1차로 학습 컨텐츠의 속성을 분석하고, 2차로 학습 컨텐츠의 성향적 분석을 통해 속성분석 프로그램단계, 성향분석 프로그램 단계 및 외부체험 요소 도출 및 성향을 분석하는 것에 의해 학습 데이터가 분석되며, 해당 분석은 도서수, 음악 컨텐츠 및 체험 학습 장소가 늘어날수록 계속해서 데이터화여 빅데이터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사용자 설정(영유아) 후 해당 사용자의 학습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컨텐츠 이용환경(가정, 체험 학습관)과, 컨텐츠 학습 횟수 및 컨텐츠 학습을 분석하여 사용자(영유아)의 학습 성향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향을 분석하여 메트릭스 제1변수를 설정하고, 사용자 성향 분석 후에는 학습 속성을 분석하고 학습 속성 분석에 따라 메트릭스 제2변수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온라인 데이터로 수집 및 분석하는 것에 따라 메트릭스 제3변수를 설정하고, 학습 컨텐츠 데이터와 제1 내지 제3변수 데이터 메트릭스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에서 분석한 학습 결과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사용자 학부모의 상기 스마트 기기(300)나 사용자 PC(900)로 제공되되, 영유아에게 놀이개념의 편의기능요소와, 흥미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메뉴카드나 플래시 카드, 음악카드 등을 직관적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통해 흥미요소를 제공하고, 영유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인터페이스인 가구, 인형을 포함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장착을 통해 학습 컨텐츠에 대한 성향, 속성 데이터를 수집 후 이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한 후 영유아에게 필요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은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상기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300);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도서, 학습 컨텐츠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400); 및 상기 컨텐츠 서버(40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유아인 사용자가 전자태그가 부착된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를 선택하면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의 전자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스마트기기(300)로 상기 전자태그 선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로 상기 사용자의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에 대한 전자태그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400)는 컨텐츠 메트릭스 데이터베이스(800)로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식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별 학습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400)는 상기 분석된 학습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 상기 분석된 학습 데이터의 컨텐츠를 업데이트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를 구비하고,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를 대여 및 렌탈하거나, 상기 유아 사용자가 회원에 가입되었다면 직접 앉아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공간을 제공하고, 해당 대여 및 렌탈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도서관에 포함된 사용자 PC(900); 및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하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와, 상기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와,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서버(700) 및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와, 상기 도서와 학습 컨텐츠를 대출 및 렌탈해주는 가맹점의 가맹점 P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학습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도서관에서는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상기 도서나 학습 컨텐츠의 큐레이션 서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이들이 스스로 찾고, 만들고 놀면서 교육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성격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아이들의 교육에 대하여 부모의 스마트 기기로 아이들의 교육 진도가 제공됨으로써 아이와 부모의 유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아이들의 교육진도가 제공됨에 따라 부모들은 아이들의 교육에 안심하면서 일상생활에 집중할 수 있다.
넷째, 교육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유아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예측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아이들의 가능성을 키워주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영유아 사용자의 중독 위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학습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학습 데이터의 개발에서부터 검증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참조되는 교육과정, 능력지수 영역 및 다중지능지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메트릭스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자태그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실제로 적용한 형태의 스마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 중 회원가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 중 도서 대여 업무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 중 도서 반납 처리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나타내고 있는데, 방학중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자기주도학습 습관이 상위 0.1% 학생들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어릴적 습관형성이 중요하고, 유아교육의 투자 가치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현재 유아교육 시장의 중요한 트렌드는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교육인데,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자발적 교육, 즉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고, 놀이교육은 창의력 개발과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가장 효율적 교육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를 멀리하고,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만들기 위한 창의교육 솔루션 필요하고, 놀이와 같이 쉽고, 흥미롭고, 재미가 있는 제품 디자인 필요하며, 아이와 부모가 함께 직접 만들과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 필요하고, 감성적인 디자인, 도서, 음악 등을 통한 놀이교육을 전자태그(RFID)의 쉬운 인터페이스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맞춤형 교육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스마트 큐레이션 시스템(Smart Curation System)은 영유아 성향 및 학습 성과에 따른 맞춤형 교육 제안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성향과 학습방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교육 방안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나, 분석되어진 데이터가 이전까지는 전무한 상태로 새로운 방법으로 아이들의 교육 및 학습, 성향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기주도형 방식(Self-directed)으로 흥미로운 놀이교육(Motivated)을 통해 적성 및 수준에 맞는(Adaptive) 다양한 자료(Resource enriched)를 IT기술을 활용(Technology embeded)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시 말하면 아이들에 대한 맞춤형 교육 제안에 대해 학부모들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솔루션이 필요하고,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를 도출하고, 분석하며, 인문학적인 교육방안으로 아이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학습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학습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체험, 도서/학습카드 및 음악 등을 통해 분석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 체험은 동물원, 식물원, 박물관 등 사용자가 외부체험학습을 통해 사실적 묘사, 체험 등의 속성과 컨텐츠 키워드를 분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서/학습카드는 도서 및 플래시 카드 학습을 통해 인지능력, 이해력 등의 속성과 컨텐츠 키워드를 분석한다. 이때, 사용자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켄텐트 횟수, 컨텐츠 키워드 및 컨텐츠 재생을 분석하는 것에 따라 학습 컨텐츠의 속성과 학습 데이터 키워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전자태그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은 대략 약 6000여권의 영유아 도서와 1000여개의 음악 컨텐츠 및 600여개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에서 1차로 학습 컨텐츠의 속성을 분석하고, 2차로 학습 컨텐츠의 성향적 분석을 통해 속성분석 프로그램단계, 성향분석 프로그램 단계 및 외부체험 요소 도출 및 성향을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전자태그 학습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수집/분석은 도서수, 음악 컨텐츠 및 체험 학습 장소가 늘어날수록 계속해서 데이터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의기능요소와, 흥미 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편의기능 요소는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메뉴카드 등을 통해 편의 기능 요소를 도출하도록 한다.
흥미요소는 책이나 플래시 카드, 음악카드 등을 직관적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통해 흥미요소를 도출하도록 한다.
그 다음 인터페이스 요소로는 영유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인터페이스로 하기 위하여 가구, 인형 등에 눈에 보이지 않는 장착을 통해 인터페이스 요소를 도출하도록 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학습 데이터의 개발에서부터 검증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학습 데이터의 개발에서부터 검증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발 계획 수립 후, 조사분석, 속성을 분류하여 기본적인 메트릭스를 디자인한 후 전문가(교육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해 메트릭스를 개발한 후 컨텐츠를 분류하고, 프로세스를 검증한다. 이때, 단계별 결과 체크리스트를 검증하는 것에 따라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영유아) 후 해당 사용자의 학습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컨텐츠 이용환경(가정, 체험 학습관 등)과, 컨텐츠 학습 횟수 및 컨텐츠 학습을 분석하여 사용자(영유아)의 학습 성향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메트릭스 제1변수를 설정한다.
사용자 성향 분석 후에는 학습 속성을 분석하고 학습 속성 분석에 따라 메트릭스 제2변수가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의 데이터를 온라인 데이터로 수집 및 분석하는 것에 따라 메트릭스 제3변수를 설정하고, 학습 컨텐츠 데이터와 제1 내지 제3변수 데이터 메트릭스를 분석하여 학습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학부모)에게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영유아)에 대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영유아에게 놀이개념의 편의기능요소와, 흥미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메뉴카드나 플래시 카드, 음악카드 등을 직관적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통해 흥미요소를 제공하고, 영유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인터페이스인 가구, 인형 등에 눈에 보이지 않는 장착을 통해 학습컨텐츠에 대한 성향, 속성 데이터를 수집 후 이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한 후 영유아에게 필요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참조되는 교육과정, 능력지수 영역 및 다중지능지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참조되는 교육과정, 능력지수 영역 및 다중지능지수 영역은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우선 교육과정은 현재의 교육과정으로 일명 누리과정 5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누리과정 5개 영역은 도 11에서와 같이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신체운동건강이 있다.
그리고 능력지수항목은 다섯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능지수(IQ), 감성지수(EQ), 도덕지수(MQ), 사회성지수(SQ) 및 창의성지수(CQ)이다.
한편 다중지능지수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대인지능 및 음악지능 등을로 나눌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메트릭스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메트릭스의 실시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누리과정 5개 영역과, 능력지수항목은 다섯가지 및 다중지능지수에 대하여 X, Y 및 Z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도 14와 같은 방식 또는 도 15와 같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기본 개념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태그 단말기(100)가 내장되는 휴대형 캐릭터(인형)(200)와, 전자태그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스마트 패드))(300)와, 도서 컨텐츠, 학습/음악 카드 컨텐츠와 도서 컨텐츠, 학습/음악 카드 컨텐츠를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400) 및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형 캐릭터(인형)(200)와, 시스템 가구(500), 도서 컨텐츠, 학습/음악 카드 컨텐츠에는 해당 캐릭터, 가구 및 컨텐츠에 대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는 전자식별 태그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300)는 데이터 수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자태그로부터 학습 데이터를 수집한다. 참고로 도서컨텐츠로는 동화책, 영어책 등이 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자태그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자태그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태그(600)를 인식하는 것에 따라 태그(Tag) 정보를 분석처리하는 해쉬 테이블 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학습 시나리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을 분석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무선통신(예로써 블루투스,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로그 정보를 외부로 업로드한다. 이때, 로그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따라 로그 시간정보, 해당 도서의 진도, 반복회수 및 컨텐츠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01), 충전회로(102), 배터리(103), 스위칭부(104), 제1 내지 제3레귤레이터(105)(106)(107), DC/DC변환부(108), 증폭부(109), MP3 코덱(110), 스피커(111), 영상 제어부(112), 디스플레이(113), 데이터베이스(114), 외장형 메모리 카드(115), 내장형 메모리 카드(116), 마이크 A/D 변환부(117), 마이크(118), 카메라 코덱(119), 카메라(120), 전자태그 칩셋(121), 안테나(122), USB 접속부(123), 키입력부(124), 블루투스 통신부(125), 와이파이 통신부(126),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27) 및 제어부(CPU)(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01)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회로(102)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102)에 충전시킨다.
배터리(103)는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충전회로(102)로부터의 전원을 충전한다.
스위칭부(104)는 배터리(103)에 충전된 전원을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제1 내지 제3레귤레이터(105)(106)(107)는 스위칭부(104)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전자태그 단말기(100)내의 구성품들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레귤레이팅한다.
DC/DC변환부(108)는 스위칭부(104)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변압한다.
증폭부(109)는 DC/DC 변환부(108)에서 변압된 전원을 증폭한다.
MP3 코덱(110)은 증폭부(109)에서 증폭된 음성을 스피커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한다.
스피커(111)는 증폭부(109)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제어부(112)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3)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디스플레이(113)는 영상 제어부(112)에서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베이스(114)는 전자태그(600)를 인식하는 것에 따라 태그(Tag) 정보를 분석처리하는 해쉬 테이블 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학습 시나리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외장형 메모리 카드(115)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에서 음성,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학습 컨텐츠가 저장된다.
내장형 메모리 카드(116)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에서 음성,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학습 컨텐츠가 저장된다.
마이크 A/D 변환부(117)는 마이크(118)에서 출력할 음성신호를 A/D변환한다.
마이크(118)는 마이크 A/D 변환부(117)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 코덱(119)은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자태그 단말기(100)에서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카메라(120)는 영상을 촬영한다.
전자태그 칩셋(121)은 안테나(122)를 통해 외부의 전자태그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안테나(122)는 전자태그와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USB 접속부(123)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124)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의 키패드로부터의 키 터치 등을 입력받는다.
블루투스 통신부(125)는 스마트기기(300) 등의 외부 기기와 전자태그 단말기(100)간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한다.
와이파이 통신부(126)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와 외부의 서버(예로써 빅데이터 서버)(70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127)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28)는 전원공급부(101), 충전회로(102), 배터리(103), 스위칭부(104), 제1 내지 제3레귤레이터(105)(106)(107), DC/DC변환부(108), 증폭부(109), MP3 코덱(110), 스피커(111), 영상 제어부(112), 디스플레이(113), 데이터베이스(114), 외장형 메모리 카드(115), 내장형 메모리 카드(116), 마이크 A/D 변환부(117), 마이크(118), 카메라 코덱(119), 카메라(120), 전자태그 칩셋(121), 안테나(122), USB 접속부(123), 키입력부(124), 블루투스 통신부(125), 와이파이 통신부(126)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27)을 포함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의 구성품들을 제어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와 융복합 교육 도구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 큐레이션 프로세스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유아인 사용자가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의 전자태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부모 또는 보호자, 교육자의 스마트기기(3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컨텐츠 서버(400)는 스마트기기(300)로부터로 사용자의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컨텐츠 메트릭스 데이터베이스(800)로 사용자별 학습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400)는 스마트기기(300)로 학습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컨텐츠 서버(400)에서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학습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학습 컨텐츠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학습 컨텐츠에 따라 영유아인 사용자에게 맞춤형 학습 컨텐츠가 제공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 등으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 스마트 기기(300), 사용자 PC(900),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 빅데이터 서버(700),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 빅데이터 솔루션 서버(1000) 및 통계서비스 솔루션 서버(1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 등으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는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전자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와이파이 방식으로 외부(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 전송한다.
스마트 기기(300)는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 도서 컨텐츠, 학습 컨텐츠 등이 전자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 전송한다.
사용자 PC(900)는 주로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도서대출, 학습 장소에서의 학습)되면 해당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 전송한다.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한다. 이때, 로그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따라 사용자의 로그 시간정보, 해당 도서의 진도, 반복회수 및 컨텐츠 정보가 수집된다.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는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다양한 추가 기능(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엔터테이먼트 기능 등)을 제공한다.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며, 이때 빅데이터 정보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또한 전자태그 기반 데이터 수집/분석은 대략 약 6000여권의 영유아 도서와 1000여개의 음악 컨텐츠 및 600여개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에서 1차로 학습 컨텐츠의 속성을 분석하고, 2차로 학습 컨텐츠의 성향적 분석을 통해 속성분석 프로그램단계, 성향분석 프로그램 단계 및 외부체험 요소 도출 및 성향을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전자태그 학습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수집/분석은 도서수, 음악 컨텐츠 및 체험 학습 장소가 늘어날수록 계속해서 데이터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빅데이터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 및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는 컨텐츠 서버(400)이다. 이때, 각각의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로 구성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빅데이터 서버(700)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 설정(영유아) 후 해당 사용자의 학습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컨텐츠 이용환경(가정, 체험 학습관 등)과, 컨텐츠 학습 횟수 및 컨텐츠 학습을 분석하여 사용자(영유아)의 학습 성향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향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메트릭스 제1변수를 설정한다.
사용자 성향 분석 후에는 학습 속성을 분석하고 학습 속성 분석에 따라 메트릭스 제2변수가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의 데이터를 온라인 데이터로 수집 및 분석하는 것에 따라 메트릭스 제3변수를 설정하고, 학습 컨텐츠 데이터와 제1 내지 제3변수 데이터 메트릭스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학습 결과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사용자의 학부모의 스마트 기기(300)나 사용자 PC(900)로 제공한다. 이때, 영유아에게 놀이개념의 편의기능요소와, 흥미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메뉴카드나 플래시 카드, 음악카드 등을 직관적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통해 흥미요소를 제공하고, 영유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인터페이스인 가구, 인형 등에 눈에 보이지 않는 장착을 통해 학습컨텐츠에 대한 성향, 속성 데이터를 수집 후 이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한 후 영유아에게 필요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빅데이터 솔루션 서버(1000)는 빅데이터에 의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빅데이터 서버(70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통계서비스 솔루션 서버(1100)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에서 분석된 학습 결과 데이터를 통계서비스 솔루션으로 제공하도록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 중 도서 대여 업무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나타낸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 중 도서 반납 처리 업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방법은 도 21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우선 도서의 대여 서비스를 위하여는 고객이 방문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문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여 대여 시스템을 위한 구조를 참조하면 도서 대여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본사와, 본사 아래에 각 지역(시, 도, 구, 군 등)별로 다수의 지사 또는 가맹점 또는 직영점들이 구성되고, 지사별로 가맹점들이 구성된다.
여기서 가맹점 중에는 도서 대여를 위주로 하는 대여 가맹점과, 도서 대여는 물론 회원 사용자(어린이)가 머물면서 도서를 자유스럽게 읽을 수 있는 도서관 가맹점이 있다.
이러한 가맹점에 회원이 가입하기 위하여 방문하고(S200), 회원가입을 위하여(S210), 회원가입신청서를 작성한다(S220). 가입된 회원가입신청서는 가맹점의 PC를 통해 스캔 데이터로 본사에 전송되고 엑셀로 회원가입이 입력된다(S230).
이때, 지불형태(S240)에 따라 신용카드라면 카드전표 스캔 및 발송(FAX 또는 스캔)(S250)하고, 웹사이트 조회 및 확인을 통해 지불이 확인되면 정상처리를 수행하고 제품을 발송한다(S280).
한편 지불형태(S240)가 현금이라면 CMS 등록(S290) 후 정상등록이 되면(S300), 제품을 발송한다(S280). 한편 회원가입 신청서 작성 시에는 보증금 또는 가입비(S310)를 수납하고, 입금 확인을 본사에 통지한다(S320).
그러면 가맹점에서도 도서 대역 서비스 진행이 가능하며(S330), 발송된 제품은 고객에게 배송된다(S340). 이러한 제품으로는 휴대형 캐릭터, 시스템 가구, RFID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CMS 등록후에는 월별 출금 내역 조회(S350)를 통해 출금여부(S360)에 따라 정상처리(S370)가 수행되거나, 출금이 안된 경우에는 자동이체 예를 들어 2회를 추가로 요청(CMS)하며(S380), 다시 출금 여부(S361)에 따라 정상처리(S371)되거나 안된 경우에는 고객과 통화 후 날짜를 지정하여 수기출금을 할 수도 있다(S390).
이와 같은 회원가입 후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서를 대여할 수 있는데, 도서 대여를 요청한 고객을 검색하고(S400), 고객이 검색되면 선택하여(S410), 대여를 요청한 도서 바코드를 입력(또는 스캔)하면(S420), 대여한 적이 있는지에 따라 없다면 해당도서를 회원에게 대여 하고, 해당 도서에 대한 도서 대여 처리를 수행한다(S440).
그러나, 해당 도서를 대여한 적이 있다면 재대여 안내창이 팝업으로 안내되고, 고객에게 재대여 여부를 물어서 재대여를 요청한다면 해당도서에 대한 도서 대여를 처리한다(S470).
그리고 도서 대여 후의 반납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괄도서 반납 및 부분 대여 반납이 있을 수 있는데, 일괄도서 반납은 반납을 하고자 하는 고객을 검색하고(S500), 고객을 선택하여(S510), 반납 버튼을 누르면(S520), 모든 도서 반납인지에 따라(S530) 모든 도서의 반납이면 모든 도서의 반납 처리를 수행하고(S540), 그렇지 않다면 반납하고자 하는 도서를 선택하여(S550), 선택된 도서들만 반납처리를 수행한다(S560).
한편 부분 도서 반납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납을 하고자 하는 고객을 검색하고(S600), 고객을 선택하여(S610), 대여중인 도서의 바코드를 스캔하어(S620), 반납여부를 확인하여(S630), 해당도서의 반납을 처리한다(S640).
그리고 이와 같은 도서 대여 및 도서 반납시에는 가맹점이나 직영점내에 구비된 PC를 통해 회원의 대여정보 및 반납 정보가 지사의 PC와 본사의 PC로 전송되고, 해당 내용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에 수집된다. 이때, 대여 가맹점의 사용자 PC(900)의 경우에는 대출위주의 데이터가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에 수집되고, 도서관 가맹점의 경우에도 사용자 PC(900)가 학습장소가 되어 회원 어린이가 학습한 해당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 가맹점의 경우에는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를 구비하고,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를 대여 및 렌탈하거나, 상기 유아 사용자가 회원에 가입되었다면 직접 앉아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공간을 제공하고, 해당 대여 및 렌탈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도서관에 포함된 사용자 PC(900)와,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하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도서관에서의 학습은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와, 상기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와,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서버(700) 및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 및 도서와 학습 컨텐츠를 대출 및 렌탈해주는 가맹점의 가맹점 PC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학습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도서관에서는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상기 도서나 학습 컨텐츠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전자태그 단말기 101 : 전원공급부
102 : 충전회로 103 : 배터리
104 : 스위칭부 105, 106, 107 : 레귤레이터
108 : DC/DC변환부 109 : 증폭부
110 : MP3 코덱 111 : 스피커
112 : 영상 제어부 113 : 디스플레이
114 : 데이터베이스 115 : 외장형 메모리 카드
116 : 내장형 메모리 카드 117 : 마이크 A/D 변환부
118 : 마이크 119 : 카메라 코덱
120 : 카메라 121 : 전자태그 칩셋
122 : 안테나 123 : USB 접속부
124 : 키입력부 125 : 블루투스 통신부
126 : 와이파이 통신부 127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128 : 제어부(CPU) 200 : 휴대형 캐릭터
300 : 스마트기기 400 : 컨텐츠 서버
410 :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 420 : 북트리 클라우드 서버
430 :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
500 : 시스템 가구 600 : 전자태그(RFID Tag)
700 : 빅데이터 서버 800 :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
900 : 사용자 PC 1000 : 빅데이터 솔루션 서버
1100 : 통계서비스 솔루션 서버

Claims (9)

  1.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
    상기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300);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PC(900);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하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
    상기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서버(700); 및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정보는 다수의 영유아 도서와 다수의 음악 컨텐츠 및 다수의 도서, 음악 체험 학습 장소에서 1차로 학습 컨텐츠의 속성을 분석하고, 2차로 학습 컨텐츠의 성향적 분석을 통해 속성분석 프로그램단계, 성향분석 프로그램 단계 및 외부체험 요소 도출 및 성향을 분석하는 것에 의해 학습 데이터가 분석되며, 해당 분석은 도서수, 음악 컨텐츠 및 체험 학습 장소가 늘어날수록 계속해서 데이터화여 빅데이터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사용자 설정(영유아) 후 해당 사용자의 학습 컨텐츠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컨텐츠 이용환경(가정, 체험 학습관)과, 컨텐츠 학습 횟수 및 컨텐츠 학습을 분석하여 사용자(영유아)의 학습 성향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향을 분석하여 메트릭스 제1변수를 설정하고, 사용자 성향 분석 후에는 학습 속성을 분석하고 학습 속성 분석에 따라 메트릭스 제2변수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온라인 데이터로 수집 및 분석하는 것에 따라 메트릭스 제3변수를 설정하고, 학습 컨텐츠 데이터와 제1 내지 제3변수 데이터 메트릭스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에서 분석한 학습 결과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사용자 학부모의 상기 스마트 기기(300)나 사용자 PC(900)로 제공되되,
    영유아에게 놀이개념의 편의기능요소와, 흥미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메뉴카드나 플래시 카드, 음악카드 등을 직관적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통해 흥미요소를 제공하고, 영유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쉬운 인터페이스인 가구, 인형을 포함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장착을 통해 학습 컨텐츠에 대한 성향, 속성 데이터를 수집 후 이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한 후 영유아에게 필요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5.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상기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300);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도서, 학습 컨텐츠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3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며, 수집된 정보를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400); 및
    상기 컨텐츠 서버(40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6. 영유아인 사용자가 전자태그가 부착된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를 선택하면 전자태그 단말기(100)는 상기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의 전자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스마트기기(300)로 상기 전자태그 선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서버(400)는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로 상기 사용자의 도서컨텐츠나 학습컨텐츠에 대한 전자태그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400)는 컨텐츠 메트릭스 데이터베이스(800)로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식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별 학습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400)는 상기 분석된 학습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기기(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로 상기 분석된 학습 데이터의 컨텐츠를 업데이트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7. 영유아 사용자에게 휴대형 캐릭터, 가구 및 도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와이파이 방식으로 영유아 사용자에게 제공된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 단말기(100), 휴대형 캐릭터(200) 및 시스템 가구(500)로 구성되는 북트리(Booktree)를 구비하고, 영유아 부모나 전국 체험 학습 장소의 관리자 PC로서 영유아 사용자에게 도서, 학습 컨텐츠를 대여 및 렌탈하거나, 상기 유아 사용자가 회원에 가입되었다면 직접 앉아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공간을 제공하고, 해당 대여 및 렌탈 정보를 영유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도서관에 포함된 사용자 PC(900); 및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부터 영유아 사용자의 도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 수집하는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나 스마트 기기(300) 및 사용자 PC(9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와, 상기 북트리 로그 데이터 서버(41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북트리 클라우딩 서버(420)로 제공하는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와,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로 제공할 도서, 음악,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서버(700) 및 상기 북트리 스마트 큐레이션 서비스 서버(43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컨텐츠 메트릭스 서버(800)와, 상기 도서와 학습 컨텐츠를 대출 및 렌탈해주는 가맹점의 가맹점 P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은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학습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도서관에서는 상기 전자태그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유아 사용자에게 상기 도서나 학습 컨텐츠의 큐레이션 서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 대여 시스템.
KR1020150147244A 2015-10-22 2015-10-22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70047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44A KR20170047441A (ko) 2015-10-22 2015-10-22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44A KR20170047441A (ko) 2015-10-22 2015-10-22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441A true KR20170047441A (ko) 2017-05-08

Family

ID=6016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44A KR20170047441A (ko) 2015-10-22 2015-10-22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4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3109A (zh) * 2019-04-19 2019-07-19 湖南科技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图书馆数据综合管理系统
KR20220031981A (ko) * 2020-09-06 2022-03-15 주식회사 참빛교육 영어 도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시스템
KR102430959B1 (ko) 2021-10-08 2022-08-11 이주연 인공지능 기반 식물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5105B1 (ko) 2023-06-02 2024-03-07 주식회사 아람북스 서적 기반의 아동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3109A (zh) * 2019-04-19 2019-07-19 湖南科技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图书馆数据综合管理系统
CN110033109B (zh) * 2019-04-19 2023-04-18 湖南科技学院 一种基于云计算的图书馆数据综合管理系统
KR20220031981A (ko) * 2020-09-06 2022-03-15 주식회사 참빛교육 영어 도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시스템
KR102430959B1 (ko) 2021-10-08 2022-08-11 이주연 인공지능 기반 식물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5105B1 (ko) 2023-06-02 2024-03-07 주식회사 아람북스 서적 기반의 아동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yon Designing user experience
McCarty et al. Implementing mobile language learning technologies in Japan
Cheng et al. Designing an authoring system of robots and IoT-based toys for EFL teaching and learning
Montgomery Children's media culture in a big data world
CN109275039B (zh) 一种远程视频互动系统以及方法
Widyasari et al. QR code-based learning development: Accessing math game for children learning enhancement
CN105390037A (zh) 一种智能英语多媒体互动教学系统
Kidd et al. Multi-touch interfaces in museum spaces: reporting preliminary findings on the nature of interaction
Hou Health literacy online: a guide to writing and designing easy-to-use health web sites
Leitner et al. The future home is wise, not smart
KR20170047441A (ko) 큐레이션을 통한 맞춤형 코칭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이용한 도서의 대여 서비스 시스템,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44458A (ko) 유아부모용 놀이학습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N103942317A (zh) 一种推荐方法及系统
Tabuenca et al. Supporting lifelong learners to build personal learning ecologies in daily physical spaces
KR10173090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계 솔루션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Templeton Museum visitor engagement through resonant, rich and interactive experiences
Amaro et al. IoT for Playful Intergenerational Learning about Cultural Heritage: The LOCUS Approach.
KR101910076B1 (ko) 유아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hamplin et al. A game co-design method to elicit knowledge for the contextualization of spatial models
Sabaratnam et al. Singapore libraries: From bricks and mortar to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Proctor From headphones to microphones: Mobile social media in the museum as distributed network
Cano et al. Designing interactive experiences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KR20150123013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KR20180010111A (ko) 문학을 통한 창의적 학습 시스템
Dawson et al. The story of the Markham car collection: a cross-platform panoramic tour of contested heri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