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286A -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286A
KR20170047286A KR1020177007520A KR20177007520A KR20170047286A KR 20170047286 A KR20170047286 A KR 20170047286A KR 1020177007520 A KR1020177007520 A KR 1020177007520A KR 20177007520 A KR20177007520 A KR 20177007520A KR 20170047286 A KR20170047286 A KR 2017004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pplicator
ophthalmic lens
ha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에스게라
마크 더글라스 켐프키
로쓰 츠카시마
Original Assignee
리비젼 옵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비젼 옵틱스, 인크. filed Critical 리비젼 옵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4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5Corneal inlays, onlays, or lenses for refractive cor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91Packages or dispensers for intraocular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들을 패키징, 저장 및/또는 위치설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CORNEAL IMPLANT STORAGE, PACKAGING, AND DELIVERY DEVICES}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하기 출원들, 즉, 2013년 4월 25일자로 출원된 WO2013/059813호 PCT 공보, 2011년 10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550,185호, 2012년 8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679,482호, 2012년 3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606,674호, 및 2011년 8월 8일자로 공개된 미국 출원 공보 2011/0218623에 관한 것이며, 이들 출원의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참조에 의한 포함
본원에 언급된 모든 공보 및 특허 출원들은 각각의 개별 공보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인용에 의해 포함되도록 지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어 있다.
각막 온레이들 및 각막 인레이들과 같은 각막 이식물들은, 저장 중 그리고/또는 각막 조직 상에 위치설정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들을 준비할 때 손상 및 손실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작고 섬세한 의료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각막 이식물의 손상 또는 손실을 방지할 것이며 사용을 위해 각막 이식물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저장 및/또는 위치설정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원의 개시는 이러한 고려사항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고려사항을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ophthalmic lens storage apparatus)이며, 이 장치는 조직 상에 안과용 렌즈를 위치설정하도록 적응된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및 렌즈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를 수용하고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며,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렌즈 지지 부재는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에 위치설정될 때, 안과용 렌즈가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육각형과 같은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의 단면 형상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부분 육각형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다.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단면 형상은 다각형일 수 있고,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단면 형상은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다각형 형상보다 적은 측면들(fewer sides)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인 다각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내의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의한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장치는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여, 이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클립은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축방향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클립과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 사이의 축 방향 이동이 안정적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저항을 받도록 클립이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샤프트 부분 및 샤프트 부분에 대해 직각이 아닌 각도로 연장하는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내로 전진될 때, 베이스의 렌즈 지지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된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지지 부재는 베이스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 지지 부재는 렌즈에 방사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펜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더 포함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핸들을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하기 위해 핸들 표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갖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샤프트 표면은 핸들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샤프트는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원형과 같이 곡선(curvilinear)일 수 있다. 샤프트 외부 표면은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일 수 있다. 단면 샤프트 표면 및 단면 핸들 표면 중 하나는 곡선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다각형일 수 있다. 단면 샤프트 표면 및 단면 핸들 표면 중 하나는 원형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육각형일 수 있다. 상이한 형상들은 억지끼워맞춤을 일으킬 수 있다. 샤프트 표면은 핸들 표면에 비해 약간 오버사이즈될 수 있다. 2 개의 형상들은 이들의 인터페이스 이전에 그리고 이들이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 인터페이싱된다면 샤프트에 대한 핸들의 임의의 회전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은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을 잠금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엘리먼트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샤프트를 핸들에 고정하기 위해 핸들 내부 표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샤프트 외부 표면은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원형과 같이 곡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 외부 표면 단면 형상은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면 샤프트 외부 표면 및 단면 핸들 내부 표면 중 하나는 원형과 같은 곡선이고 다른 하나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형상들은 샤프트를 핸들에 고정하기 위해 억지 끼워맞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 외부 표면은 핸들 내부 표면에 비해 약간 오버사이즈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 개의 형상들은 이들의 인터페이스 이전에 그리고 이들이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 인터페이싱된다면 샤프트에 대한 핸들의 임의의 회전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샤프트 및 핸들은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을 잠금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엘리먼트들을 각각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로서, 이 장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패키징 하우징; 및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고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과용 렌즈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렌즈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렌즈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정화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수용 공간은 내부에 저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수용 공간, 베이스 및 안정화 부재는 수용 공간이 안정화 부재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키징 하우징은 유리 병(glass vial)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 내에 저장 유체 및 하우징과 함께 유체 기밀 시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리드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 공간은 하우징 내에 있을 때 베이스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 공간은 하우징 내에 있을 때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용 공간은 하우징 내에 있을 때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또는 베이스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클립이 베이스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패키징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 이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고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과용 렌즈를 고정시키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렌즈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렌즈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안정화 부재를 포함 ―; 및 하우징이 안정화 부재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 사이에 안정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패키징 하우징 내에 저장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응집력들을 예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접착력들을 예시한다.
도 3은 루프 내에 부유된 액체를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예시적인 각막 이식물 어플리케이터(orneal implant applicator) 장치를 예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5는 예시적인 중간 본체(moderate body) 및 최소 본체(minimal body)를 예시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예시적인 각막 이식물 어플리케이터 장치를 예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2d는 예시적인 각막 이식물 어플리케이터 장치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예시적인 저장 장치의 분해도 및 조립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3c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고정되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3d는 예시적인 렌즈 지지체가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예시적인 베이스 하우징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예시적인 렌즈 지지 부재의 상이한 뷰들 및 섹션들을 예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어플리케이터 부분 및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예시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예시적인 클립(600)을 예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e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를 예시한다.
도 29a 내지 도 29e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저장 장치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된 이후의 각막 조직 상에 각막 이식물을 위치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예시적인 핸들을 예시한다.
도 30은 예시적인 핸들의 단부 부분 내에 배치되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를 예시한다.
도 31은 예시적인 패키징을 예시한다.
도 32는 조립된 상태의 그리고 저장 장치가 도 31의 패키징에서 보유 공간 내로 배치된 이후의 저장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개시는 각막 인레이들(corneal inlays)과 같은 각막 이식물들을 패키징하고, 저장하고, 위치설정하고, 전달하는 것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비한정적으로, 각막 온레이들(corneal onlays), 각막 인레이들, 각막 교체물들(corneal replacements) 및 콘택트 렌즈(contact lens)와 같은 임의의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의 이동 및 위치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각막 이식물의 위치설정 및/또는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체의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디바이스들 및 사용 방법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은 각막 이식물들의 저장, 패키징, 이동 또는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접근법들은 각막 이식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이드로겔(hydrogel)과 같은 친수성 재료(hydrophilic material)로 제조될 때 사용될 수 있다.
표면 장력은 액체의 바디(body of liquid)의 표면이 외력들에 저항하는 것을 허용하는 액체들의 특징이다. 이 표면 장력은 작은 핀(pin)들 및 특정 곤충들(insects)과 같은 물보다 더 조밀한 물체들이 액체의 표면 상에서 부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표면 장력은 액체의 분자들의 응집력들에 의해 유발된다. 응집력들은 2개의 유사한 분자들 사이의 인력들(attractive forces)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의 바디 내의 평균적인 분자는 모든 방향에서 그에 작용하는 이웃하는 분자들로부터 응집력들을 경험하기 때문에 그에 작용하는 전체 응집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표면 상의 분자는 단지 그를 내측방으로 잡아당기는 응집력들만을 경험한다. 매우 작은 액적들에 대해서, 모든 표면 분자들 상의 내측방 힘은 액적이 일반적으로 구형 형상이 되는 것을 유발한다.
다른 한편으로, 접착력들은 다른 분자들 사이에서 경험된 힘들이다. 일부 재료 조합들에서, 이들 힘들은 액체의 분자들의 응집력들보다 클 수 있다. 이들 강한 접착력들은, 용기(container)의 에지 주위의 액체가 액체와 용기 사이의 접착력들에 의해 표면의 나머지보다 높게 잡아당겨지는 액체의 표면에서, 메니스커스(meniscus)(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라 불리는 상방 '굴곡(bowing)'의 원인이다. 접착력들은 물의 표면을 위로 잡아당기고, 액체의 바디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들과 평형 상태에 있다.
루프(loop) 내에 부유되어 있는 액체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루프로부터의 접착력들은 액체의 최상부(top) 표면 및 저부(bottom) 표면의 양자 모두에 작용하고, 응집력들은 상부(upper) 표면 및 하부(lower) 표면 양자 모두를 가로질러 작용한다. 이들 힘들은 액체의 용적이 너무 커서 중력들이 응집력 및 접착력을 극복할 때까지 루프 내의 액체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솔리드(solid), 메쉬(mesh) 또는 다른 이러한 표면의 경우에, 접착력 및 응집력은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재료의 유형, 유체의 유형 및 표면 기하학 형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이 접착력 및 응집력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저장되고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각막 이식물은 그 개시들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2006년 10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7/0203577호, 2007년 4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08/0262610호, 및 2010년 9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 2011/0218623호에 설명되어 있는 각막 인레이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직경"(즉, 약 1 mm 내지 약 3 mm) 각막 인레이는 주로 유체일 수도 있는 하이드로겔(hydrogel)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것, 뿐만 아니라 인레이의 작은 크기는 인레이를 유체와 다소 동일한 방식으로 거동하도록 유발한다. 이하의 개시는 각막 이식물의 이들 특성들 및 유체와 다양한 표면 기하학 형상들 사이의 접착력들을 사용한다. 본원 개시는 각막 인레이들에 초점을 맞추지만,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임의의 각막 이식물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일부가 친수성 특징들(hydrophilic properties)을 갖는 각막 온레이들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디바이스들는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특징들을 갖는 물체(예컨대, 친수성 각막 이식물)에 대한 본체(body)의 "친화도(affinity)"에 의존한다. 본원에 사용될 때,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에 대한 본체의 "친화도"는 본체와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 사이의 합 접착력들(net adhesive forces)의 강도와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 내의 합 응집력들(net cohesive forces)의 강도 사이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예컨대, 친수성 각막 인레이)가 존재하는 본원의 실시예들에서,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에 대한 2개의 본체들의 상대 친화도들은 본체들과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 사이의 합 접착력들의 상대 강도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유체와 유사한 물체가 친수성 각막 이식물인 실시예에서, 제 1 본체는 제 1 본체와 이식물 사이의 합 접착력들이 제 2 본체와 이식물 사이의 합 접착력들보다 클 때 제 2 본체보다 이식물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가질 수 있다.
각막 이식물은 최고 합력(접착력과 응집력의 합(sum))을 갖고 본체에 접착 유지될 것이다.
본원에서 "중간 본체(moderate body)"로 지칭되는 제 1 본체는 본원에서 "최소 본체(minimal body)"로 지칭되는 제 2 본체보다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원에 사용될 때, "본체"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것을 나타내기 위해 디바이스, 컴포넌트, 구조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눈(eye)은 중간 본체보다 유체 또는 유체와 유사한 물체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다. 상이한 상대 친화도들은, 사용자가 인레이를 손 또는 다른 도구(tool)와 접촉하게할 필요 없이 인레이가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다른 표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레이를 취급하고 인레이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재료의 유형, 유체의 유형 및 표면적(surface area)을 포함하는 표면 기하학 형상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될 때, 각막 인레이(예컨대, 유체와 유사한 물체)는 중간 본체에서보다 눈의 각막 베드(corneal bed)에 대한 더 큰 "친화도"를 갖고,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인레이는 최소 본체에서보다 중간 본체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다. 눈은 중간 본체와 최소 본체 양자 모두보다 인레이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중간 본체는 최소 본체보다 인레이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즉, 2개의 본체들 사이의 친화도는 어느 하나의 본체에 대해서 설명될 수 있다. 즉, 예컨대, 중간 본체는 최소 본체에서보다 인레이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고, 그리고 따라서 인레이는 최소 본체에 비해 중간 본체에 우선적으로 접착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 유체는 예컨대, 물 또는 염수(saline)이다. 물 분자들은 고도로 분극화되고(polarized), 이는 다른 재료들과의 인력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본체와 인레이 사이의 친화도의 상대적인 비교는 각막 조직(corneal tissue)>중간 본체>최소 본체로 표현될 수 있다.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는, 비한정적으로, 메쉬들, 멤브레인들 및/또는 상이한 표면 마무리들 또는 윤곽들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다수의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최소 본체와 중간 본체 사이의 친화도의 차이들에 기인하여, 인레이는 중간 본체에 우선적으로 접착 유지된다. 인레이는 더 강한 접착력에 노출될 때까지 중간 본체에 계속 접착한다. 최소 본체 및 중간 본체는 따라서 중간 본체와 인레이 사이의 접착력들이 최소 본체와 인레이 사이의 접착력들보다 더 크기만하다면,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중간 본체는 최소 본체에서보다 인레이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갖고, 재료들의 접착 특징들은 이들 친화도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도 4 내지 도 11d는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를 포함하는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여기서, 장치는 또한 각막 이식물 및 중간 본체로부터 최소 본체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장치는 각막 이식물을 저장하고, 전달을 위해 각막 이식물을 준비하고, 그리고/또는 각막 이식물을 눈 상에 또는 눈 내에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각각, 측면도 및 측단면도)는 말단 부분(distal portion)(114)에 고정되는 핸들(112)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0)를 예시한다. 액츄에이터(116)가 핸들(112) 및 말단 부분(114)의 양자 모두에 배치되고, 핸들 및 말단 부분의 양자 모두는 액츄에이터(116)가 이들을 통해 통과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스프링(126)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휴지(at-rest) 또는 비작동(non-actuated) 구성으로 액츄에이터(116)를 유지한다. 액츄에이터(116)는 말단 부분(114) 내의 더 작은 크기의 말단 채널 내에 배치된 감소된 크기를 갖는 말단 섹션(128)을 갖는다.
장치(100)의 말단 단부는 중간 본체(122)에 고정된 제 1 부분(118)을 포함한다. 제 2 부분(120)이 최소 본체(124)에 고정되고, 또한 핀(134) 주위에서 제 1 부분(118)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각막 이식물(명료화를 위해 도 4 및 도 5에는 도시생략)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에 의해 형성된 네스트(nest) 내에서 중간 본체와 최소 본체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부분(120)은 핀(134) 주위에서 제 1 부분(118)에 대해 회전하도록 적응된다. 도 6(측단면도)은 액츄에이터(116)가 아래로 가압된 후의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16)가 가압될 때, 스프링(126)은 압축되고, 말단 섹션(128)은 말단 부분(114) 내의 채널을 통해 전방으로(forward) 또는 말단으로(distally) 이동한다. 말단 섹션(128)의 말단 단부는 제 2 부분(120)과 접촉하게 되어, 핀(134)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제 2 부분을 강제로 하향시킨다. 각막 이식물은 최소 본체(124)보다 중간 본체(122)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기 때문에, 각막 이식물은 제 2 부분(120) 및 최소 본체(124)가 제 1 부분(118) 및 중간 본체(122)로부터 회전 이격됨에 따라 중간 본체(122)에 접착 유지될 것이다. 일단 제 2 부분(120)의 만곡부는 핀(134)을 제거하면, 제 2 부분(120)이 제 1 부분(118)으로부터 그리고 따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탈착되어, 전달을 위해 각막 이식물을 준비한다(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막 이식물은 개별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달됨).
도 7은 디바이스(100)의 말단 영역의 사시도를 예시하고 있다. 제 1 부분(11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폐쇄 구성으로 편향되어 있는(biased) 클립(132)으로 제 2 부분(120)에 고정된다. 액츄에이터(116)로부터의 작동력의 인가시에, 클립(132)은 개방 구성으로 강제되어, 제 2 부분(120) 및 최소 본체(124)가 제 1 부분(118)으로부터 회전 이격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8은 디바이스의 말단 부분의 측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액츄에이터(116)가 작동되어 있고 제 2 부분(120)이 제 1 부분(118)으로부터 회전 이격한 후에 도 8로부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막 이식물(140)은 중간 본체의 더 높은 친화도에 기인하여 중간 본체(122)에 접착 유지된다. 도 10은 제 2 부분(120)이 제 1 부분(118)으로부터 완전히 맞물림 해제된 후의 측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16)는 그 다음에, 말단 섹션(128)이 말단 부분(114) 내로 재차 후퇴하게 하도록 해제된다. 각막 이식물(140)은, 이제, 전달 준비가 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막 이식물은 기질 각막 조직(stromal corneal tissue)에 대해서 위치설정되고, 그리고 인레이가 중간 본체에 대해서보다 각막 조직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기 때문에, 인레이는 중간 본체로부터 관련해제되어 각막 조직에 접착할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4 내지 도 10으로부터 조립체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최소 본체 및 중간 본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최소 본체(224)는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가 서로를 향해 이동될 때, 이들 본체들이 인레이가 보유되어 있는 네스트를 형성하도록 그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225)를 포함한다(도 11d 참조). 리세스는 일반적으로 원형 구성(최소 본체(224)의 일반적인 구성과 유사함)을 갖지만, 다른 구성들이 적합할 수 있다. 리세스(225)는 리세스 내에 각막 이식물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리세스(225)는 또한 수송 또는 저장되는 동안에 인레이(140)(도 11b 내지 도 11d 참조)가 최소 본체와 중간 본체 사이에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도 11d 참조). 따라서, 각막 이식물은 실질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은 또는 변형되지 않는 구성으로 유지된다. 인레이가 규정된 곡률(curvature)을 갖기 때문에, 수송 및/또는 저장 중에 인레이가 왜곡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고, 그리고 리세스(및 따라서 네스트)는 인레이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인레이들의 유체 성질 때문에, 리세스의 존재 없이 2 개의 평행한 표면들 사이에 인레이를 측방향으로 구속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최소 본체 내에 형성된 리세스는 인레이에 과잉의 힘을 적용하지 않고 용이한 봉쇄(containment)를 허용한다.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에 의해 형성된 네스트는 저장 격실(storage compartment)로서 작용하는 동안 인레이에 대한 손상 및/또는 압축을 방지한다.
도 11b 내지 도 1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 크기는 인레이 크기보다 크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리세스의 직경("dr")은 인레이의 직경("di")보다 크다. 추가로, 중간 본체의 직경("dM")은 최소 본체 내에 형성된 리세스의 직경("dr")보다 크다(도 11d 참조). 최소 본체의 직경("dm")은 중간 본체의 직경("dM")보다 크다.
리세스의 깊이는 인레이의 재료 두께보다 크지만, 바람직하게는 응력을 받지 않는 구성에서 각막 이식물의 높이보다 약간 작다. 이는, 각막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의 양자 모두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각막 이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 본체와 접촉하지 않는다면, 각막 이식물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가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이동될 때 중간 본체보다는 오히려 최소 본체에 접착 유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막 이식물의 재료 두께는 약 38.1 미크론이고, 응력을 받지 않는 구성에서 이식물의 전체 높이는 약 152.4 미크론이고, 리세스의 깊이는 약 63.5 미크론 내지 약 114.3 미크론이다.
도 4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중간 본체(222)는 제 1 부분(218)에 고정되고, 반면에 최소 본체(224)는 제 2 부분(220)에 고정된다. 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본원에 도시된 시스템들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예컨대, 도 4 내지 도 11d의 실시예들), 중간 본체는 스테인리스 강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본체는 약 0.1 mm 두께일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본체 내의 복수 개의 개구들은 일반적인 육각형 구성들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육각형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적어도 상당한 수의 육각형 형상들의 제 1 측면에 평행한 제 2 측면까지의 치수(즉, 육각형의 변심거리(apothem)의 2배)는 약 0.35 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치수는 약 0.02 mm 내지 약 0.12 mm일 수 있다. 육각형들 사이의 거리(즉, 제 1 육각형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제 2 육각형의 제 1 측면까지의 거리, 여기서 측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육각형들은 서로 바로 인접함)는 약 0.05 mm이지만, 이 거리는 약 0.01 mm 내지 약 0.25 mm일 수 있다. 중간 본체의 직경은 약 3 mm일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약 0.25 mm 내지 약 13 mm이다. 상기 수치적 제한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도시된 시스템들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예컨대, 도 4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실시예들), 최소 본체는 스테인리스 강이고, 리세스 섹션을 제외하고는 약 0.2 mm 두께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소 본체 내의 개구는 각각 일반적인 육각형 구성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육각형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적어도 상당한 수의 육각형 형상들의 제 1 측면에 평행한 제 2 측면까지의 치수(즉, 육각형의 변심거리의 2배)는 약 1 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치수는 약 0.1 mm 내지 약 3 mm일 수 있다. 육각형들 사이의 거리(즉, 제 1 육각형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제 2 육각형의 제 1 측면까지의 거리, 여기서 측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육각형들은 서로 바로 인접함)는 약 0.2 mm이지만, 이 거리는 약 0.02 mm 내지 약 0.12 mm일 수 있다. 최소 본체의 직경은 약 6.5 mm일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약 3 mm 내지 약 13 mm이다. 상기 수치적 제한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소 본체의 직경은 중간 본체의 직경의 적어도 약 2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소 본체의 직경은 중간 본체의 직경의 적어도 약 1.5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소 본체 내의 복수 개의 육각형들의 크기는 중간 본체 내의 복수 개의 육각형의 크기의 적어도 약 2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적어도 약 3배 또는 적어도 약 4배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메쉬 본체들과 각막 인레이의 상대적인 크기들 및 치수들을 예시하고 있는 추가 도면들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레이는 약 2 mm의 직경을 갖는다. 도 12는 최소 메쉬 본체(224), 최소 메쉬 본체 내에 형성된 리세스(225), 인레이(140)의 둘레 및 인레이가 리세스(225) 내에 위치설정될 때 인레이와 중첩하는 최소 본체(224)의 표면적(240)(빗금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인레이와 중첩하는 최소 본체(224)의 표면적(240)은 약 0.9 ㎟이다. 최소 본체에 중첩하는 인레이의 둘레는 약 9 mm이다. 도 13은 최소 메쉬 본체(224) 및 인레이(140)의 둘레와, 인레이가 리세스 내에 있을 때 인레이에 중첩하는 개구들(244)(단지 3개의 개구(244)만이 도면 부호 표기되어 있음)의 표면적(242)(빗금선들로 도시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표면적(242)은 약 2 ㎟이다.
도 14는 중간 메쉬 본체(222) 및 그 위에 배치된 인레이(140)의 둘레를 예시하고 있다. 중간 본체(222)의 표면적(250)은 인레이가 네스트 내에 위치설정될 때 적어도 일부가 인레이와 접촉하는 인레이에 중첩하는 중간 본체의 표면적이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표면적은 약 0.75 ㎟이다. 인레이의 둘레는 약 26 mm이다. 도 15는 중간 본체(222), 인레이(140)의 둘레 및 인레이에 중첩하는 개구들(252)(단지 3개의 개구들(252)만이 도면 부호 표기되어 있음)의 표면적(254)(빗금선들로 도시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표면적(254)은 약 2.3 ㎟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는 본체들을 통해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구들(openings) 또는 구멍들(apertures)을 각각 갖는다. 중간 구멍 둘레(또는 하나 초과의 구멍이 있으면 구멍 둘레들의 합) 대 중간 구멍 면적(또는 하나 초과의 구멍이 있으면 구멍들의 면적들의 합)의 비는 최소 구멍 둘레(또는 하나 초과의 구멍이 있으면 구멍 둘레들의 합) 대 최소 구멍 면적(또는 하나 초과의 구멍이 있으면 구멍 면적들의 합)의 비보다 크다. 반드시 특정 이론에 의해 구속되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더 큰 비는 더 큰 힘들이 최소 본체보다 중간 본체로부터 각막 이식물에 인가되게 하고, 그리고 따라서 최소 본체보다 각막 이식물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중간 본체에 제공한다.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가 서로에 대해 이격하여 이동될 때, 이식물에 인가된 더 큰 힘들은 이식물이 최소 본체보다 오히려 중간 본체에 접착 유지되게할 것이다.
단지 예시로서,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서, 이식물에 중첩하는 중간 본체 내의 구멍들의 둘레들의 합은 약 1.03 in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반면에 이식물에 중첩하는 구멍 면적들의 합은 약 0.0012 in2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특정의 중간 본체에 대한 둘레 대 면적의 비는 약 858 in- 1이었다. 이식물에 중첩하는 최소 본체 내의 구멍들의 둘레들의 합은 약 0.365 in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반면에 이식물에 중첩하는 구멍 면적들의 합은 약 0.0014 in2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특정 중간 본체에 대한 둘레 대 면적의 비는 약 260 in-1이었다. 따라서, 비는 최소 본체에 대해서보다 중간 본체에 대해 더 크다.
도 16은 예시적인 각막 이식물 저장 및 위치설정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위치설정 디바이스(310)는 일반적으로 중간 본체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312), 최소 본체를 포함하는 지지 조립체(314) 및 핸들 조립체(312)에 대해 지지 조립체(314)를 작동하거나 이동시키도록 적응된 액츄에이터 조립체(316)를 포함한다. 중간 본체에 대한 인레이의 더 높은 친화도에 기인하여, 인레이는 지지 조립체(314)가 작동될 때 중간 본체에 접착할 것이다.
액츄에이터 조립체(316)는 버튼(321)에 커플링되는 푸시 로드(push rod)(320) 및 스프링(322)을 포함한다. 핸들 조립체(312)는 중간 본체를 포함하는 말단 부분(326)에 커플링되는 핸들(324)을 포함한다. 스프링(322)의 말단 단부는 핸들(312) 내의 내부 채널 내에 고정되고, 스프링(322)의 선단 단부(proximal end)는 버튼(321)의 말단 단부에 고정된다. 푸시 로드(320)는 스프링(322)의 내부 루멘(lumen)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시 로드(320)의 말단 단부는 보어(328)를 포함하고, 보어(328)는 그를 통해 그 내부에 다월(dowel)(318)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푸시 로드(320)가 핸들 조립체(312) 내에서 말단측으로 전진되어 있고 핸들 조립체(312)의 말단 단부 바로 외부로 연장할 때, 도 1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월(318)은 보어(328)를 통해 전진된다. 다월(318) 양자 모두는 푸시 로드(320)가 핸들 조립체(312) 내에서 선단측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 1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312)에 대해 지지 조립체(314)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맞물림하기 위한 표면을 베이스 조립체(314)에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로드(330)를 또한 포함하고, 이 로드는 핸들 조립체(312)(도 17c 참조)에 대해 적소에 지지 조립체(314)를 고정하는 것을 돕지만, 액츄에이터가 작동될 때 지지 조립체(314)가 로드(330)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월(318)은 또한 지지 조립체의 작동에 수반된다. 버튼(321)의 작동은 푸시 로드(320) 그리고 따라서 다월(318)이 핸들 조립체(312) 내에서 말단측으로 전진하는 것을 유발한다. 이는 다월(318)이 일반적으로 말단측으로 지향된 힘을 지지 조립체(314)에 인가하게 하는데, 이는 다월(318)이 지지 조립체(314) 상에 하향 압박되게 한다. 이 힘의 인가시에, 지지 조립체(314)는 로드(330) 주위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최소 메쉬 본체(338)가 중간 메쉬 본체(334)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하는 것을 유발할 것이다. 지지 조립체(314)의 추가의 회전은 지지 조립체(314)를 로드(330)로부터 자유롭게 하여, 지지 조립체(314)가 핸들 조립체(312)로부터 완전히 맞물림해제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일단 맞물림해제되면, 각막 이식물은 중간 본체(334)에 접착 유지될 것이고, 각막 조직 내로 또는 각막 조직 상으로의 전달과 같이, 사용 준비된다. 일단 최소 메쉬 본체가 이동되면, 사용자는 버튼(321)을 해제할 수 있고, 스프링(322)은 액츄에이터(316)를 핸들 조립체(312)에 대한 휴지 또는 비작동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유발한다.
로드(330)를 포함함으로써, 지지 조립체(314)는 단지 일방향으로만 핸들 조립체(312)에 대해 회전하는데, 이는 토크 인가(torqueing)를 방지한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핸들 조립체(312)의 부분 분해도이다(액츄에이터 및 베이스 조립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조립체(312)는 핸들(324), 말단 팁부(342), 다월(318), 어플리케이터 베이스(336) 및 어플리케이터(334)를 포함한다. 핸들(324)은 말단 팁부(342)에 고정되고, 말단 팁부(342)의 말단 단부는 어플리케이터 베이스(336)의 보어 내에 배치된다. 어플리케이터(334)는 어플리케이터 베이스(336)에 고정된다. 도 19는 도 18로부터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전술된 메쉬 치수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터(334)에 대한 예시적인 치수들을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최소 본체에 비해 중간 본체에 접착하는 이식물 선호도에 기여하는 메쉬의 치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평면도이다. 도 20b는 측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로부터의 섹션 A의 상세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이식물 지지체(338)에 고정되는 지지 베이스(340)를 포함하는, 도 17로부터의 지지 조립체(314)를 예시하고 있다. 지지 베이스(340) 및 이식물 지지체(338)는 전술된 어플리케이터 베이스 및 어플리케이터에 유사하게 서로 고정된다. 도 21a는 분해도이고, 반면에 도 21b는 조립도이다. 도 21c는 평면도이다. 도 21d는 리세스 측벽들(356) 및 리세스 베이스 표면(358)에 의해 규정된 리세스(360)를 도시하고 있는 어플리케이터(334)의 도 21a로부터의 상세도이다. 이식물은 최소 본체의 제거에 앞서 최소 메쉬와 중간 메쉬 사이에 위치설정되도록 리세스 내에 배치되게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지지체(338)의 도면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22b는 도 22a에 도시되어 있는 섹션 A-A를 예시하고 있다. 도 22c는 도 22b로부터의 상세 B를 도시하고 있고, 도 22d는 도 22a로부터의 상세 C를 도시하고 있다. 리세스(360)는 지지체(338)의 상부 부분 내에 형성된다. 메쉬 구멍들(364)이 도 22b 및 도 22c에 예시되어 있는 본체(362)에 의해 규정된다. 도시되어 있는 치수들은 예시적이고,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최소 본체의 메쉬 구멍들은 중간 본체의 메쉬 구멍들보다 큰데, 이는 본 특정 실시예에서, 이식물이 중간 본체에 우선적으로 접착하는 이유에 대한 기여 인자들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최소 메쉬 본체 내의 리세스는, 사용에 앞서 중간 본체와 최소 본체 사이의 네스트 내에 위치설정되어 있는 동안 힘 또는 상당한 양의 힘들이 각막 이식물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메쉬 구멍들 및 리세스는 화학적 에칭, 레이저 절단, 마이크로 워터젯 절단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 화학적 에칭은 더 깨끗한 절단을 제공하고, 본체의 많은 제조후(post-manufacture) 프로세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메쉬 구멍들은 단지 일 측면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멍의 두께의 절반은 일 측면으로부터 생성되고, 반면에 구멍의 다른 절반은 다른 측면으로부터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세스는 일 측면으로부터 에칭되고, 반면에, 메쉬 구멍들은 다른 측면으로부터 생성된다. 이들 기술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세스는 플런지 전기 방전 가공(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EDM")에 의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각막 이식물 상에 작용하는 합력은 최소 메쉬 본체로부터보다 중간 메쉬 본체로부터 더 크다. 물의 극성은, 이들 경우에 이식물이 물과 같은 특성을 갖고 이와 같이 물과 같이 거동하기 때문에, 각막 이식물이 친수성 재료로 형성될 때 중요한 인자이다. 메쉬의 치수, 메쉬의 구성, 메쉬 본체 및 다른 인자는 상대 친화도를 변경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최소 메쉬 본체 직경은 중간 메쉬 본체 직경보다 크다(양자 모두는 일반적으로 원형 구성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음). 최소 본체 직경은, 그 큰 크기에 기인하여, 범퍼와 같이 작용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앞서 저장 및 사용 중에 장치의 전체 말단 영역을 보호한다. 상기에 도시된 특정예에서, 최소 본체 두께는 중간 본체의 두께의 약 2배이다.
중간 본체 직경은 리세스보다 크고, 반면에 최소 본체 직경은 중간 본체 직경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막 이식물이 각막 내에 위치설정되어 있을 때, 동공(pupil)을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의사에게 도움이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1 내지 3 mm 직경 각막 인레이와 같이, 인레이가 동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인레이를 각막 내에 이식할 때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들 적용들에서, 중간 메쉬 본체는 동공의 시각화와 간섭하지 않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메쉬 본체부는 각막 조직 상의 이식물의 전달 중에 의사가 동공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 제약조건으로 시작하여, 다른 컴포넌트들의 크기가 이어서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직경"의 사용은 메쉬 본체 외부 표면은 완벽하게 원형이거나 어쨌든 원형인 것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메쉬부들은 최소 메쉬부의 폭 및 길이가 중간 메쉬부의 폭 및 길이보다 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중간 본체에 대한 이식물의 친화도는 최소 본체에 대한 중간 메쉬 본체의 크기 및 구성에 대체로 기인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주어진 본체에 대한 이식물의 친화도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다수의 방식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최소 본체와는 상이한 중간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무리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의 표면들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다. 마무리는 우선적인 접착을 제어하기 위해 중간 및 최소 본체 상에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본체는 최소 본체보다 더 양호한 마감부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소 본체는 그 상에 무광택 마무리를 갖는다.
본원에 설명된 디바이스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티타늄일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터 베이스(336) 및 어플리케이터(334)는 모두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고, 하나는 티타늄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고, 또는 양자 모두 티타늄일 수 있다.
일단 각막 이식물이 중간 본체와 최소 본체 사이에서 장치 내에 로딩되면, 이식물은 바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적합한 시간 기간 동안 패키징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각막 이식물이 하이드로겔 재료로 제조될 때, 저장 중에 이식물을 적당하게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의 개시 내용은 각막 이식물을 저장 중에 적당하게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적용된 패키징 도구 및 조립체를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의 모두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 또는 그 사용 방법은 최소 본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최소 본체 없이, 각막 이식물은 중간 본체 및 최소 본체에 의해 규정된 각막 네스트 내에 위치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식물은 중간 본체와 함께 패키징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이식물은 개별 패키징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중간 본체는 그 패키징으로부터 각막 이식물을 회수하거나 취출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은 이식물을 위한 그 우선적인 접착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어떻게 각막 이식물이 패키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한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이식물은 유리병 내에 저장되어, 저장 매체 내에서 자유 부유할 수 있다. 이식물이 각막 조직 상에 위치설정될 준비가될 때, 핸들에 결합될 수 있는 중간 본체는 예컨대 그 내부의 구멍에 인접한 위치로 각막 이식물을 퍼올림으로써(scooping up) 그 저장 매체 내에서 이식물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다. 그 우선적인 접착 적응성에 기인하여, 각막 이식물은 중간 본체에 우선적으로 접착할 것이다. 일단 중간 본체에 접착되면, 이식물은 중간 본체의 적응성에 의존함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각막 상에 침착될 준비가 되어 이식물이 중간 본체 보다 오히려 각막 조직에 우선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3a 내지 도 28e는 각막 이식물(예컨대, 각막 인레이)과 같은 안과용 렌즈를 저장(예컨대, 패키징을 위해)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되는 예시적인 저장 장치를 예시하며, 그 일부는 또한 렌즈를 눈(예컨대, 각막 베드)에 삽입시키거나 위치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23a 내지 도 28e의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중간 본체(파인 메쉬(fine mesh)인 일례) 및 최소 본체(코스 메쉬(course mesh)인 일례)를 포함하지만, 저장 및 삽입 디바이스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차이들을 포함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각각 저장 장치(400)의 분해도 및 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23b에 도시된 조립된 저장 장치(400)는 임의의 시간 길이 동안(예컨대, 패키징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400)는 베이스 하우징(500), 렌즈 어플리케이터(900) 및 클립(600)을 포함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이 예에서는 중간 본체의 일례인 파인 메쉬임)를 포함한다. 베이스 하우징(500)은 렌즈 지지 부재(700)(이 예에서는 최소 본체의 일례인 코스 메쉬임)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트리지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각막 인레이들과 같은 안과용 렌즈가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고정된다. "베이스 하우징"은 본원에서 단순히 "베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지만, 이는 "베이스 하우징"으로 간주되도록 의도된다.
도 23c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에 고정된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의 저부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는 추가되는 안정성을 위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900)의 베이스에서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각각 적응되는 복수 개의 구멍들(2 개가 도시 됨)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는 후술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풋(foot)(904)에 열 고정된다(heat staked).
도 23d는 렌즈 지지체(700)가 베이스(500)에 고정되도록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예시한다. 컴포넌트들을 고정하기 위해, 렌즈 지지 부재(700)는 먼저, 베이스(500)의 수용 영역에 위치설정되고, 그 다음에, 렌즈 지지체를 베이스(500)에 "잠금"하도록 회전된다. 렌즈 지지 부재(700')는 베이스(500)의 고정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렌즈 지지 부재(700)는 베이스 수용 영역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들(701)을 포함하고, 그리고 렌즈 지지체가 회전될 때 베이스(500) 상의 잠금 엘리먼트들과 맞물림하도록 적응된다. 연장부들(701)은 베이스(500)에 대한 렌즈 지지 부재(700)의 특정 배향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들 및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400)는 베이스(500)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와 안정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와 베이스(500) 사이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립(600)을 포함한다(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됨).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렌즈 지지 부재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이들 사이에 각막 이식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하나의 차이점은, 2 개의 부재들을 분리하기 위한 전용 액츄에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렌즈 지지 부재(700)는 베이스(500)에 고정되어, 각막 이식물이 이식될 때,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베이스(500)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인레이는 전술한 우선적 접착(preferential adhesion)으로 인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에 접착된 채로 유지된다.
베이스(500) 및 클립(600)의 이점들 중 하나는 이들이 함께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저장 기간들 동안 적소에 이를 고정시킨다는 것이다.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의 구성들은,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클립이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스하여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베이스에 대해 축 방향으로(즉,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회전 및 축 방향 양자 모두로 안정화된다. 이는 저장 조립체 내의 렌즈를 안정화시키고 렌즈가 렌즈 지지 부재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사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안정적인”, “안정화시키고” 그리고 “고정하는”은 임의의 상대 운동을 배제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단순히, 임의의 운동은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최소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베이스(500)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24a는 베이스(500)의 사시도이고, 렌즈 지지 부재(700)를 수용하고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렌즈 지지 부재 수용 영역(502)을 도시한다. 베이스(500)는 또한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504)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504)는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베이스(500) 내로 전진되고 그리고 베이스(5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안정화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된 복수 개의 표면들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504)는 렌즈 어플리케이터(900)(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의 육각형으로 구성된 외부 표면들을 내부에 수용하고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5 개의 표면들을 포함한다. 도 24b는 가이드(504) 및 렌즈 지지 부재 수용 영역(5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베이스(5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c는 베이스(5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4d는 도 24c에 도시된 섹션 A-A를 예시한다. 렌즈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영역 평면은 길이 방향 축(즉, 도 24c의 위아래) 가이드(504)에 대해 직각이 아닌 각도(non-orthogonal angle)에 있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예시적인 렌즈 지지 부재(700)의 다른 도면들 및 섹션들을 예시한다. 도 25a는 연장부들(701), 인레이 리세스(702) 및 인레이 펜스(703)를 도시하는 렌즈 지지 부재(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인레이 펜스(703)는 형상이 원형이고 리 세스(702)를 규정한다. 펜스(703)는 도 11a에 도시된 렌즈 지지 부재 리세스의 부분 펜스와 대조적이다. 도 25b는 펜스(703)에 의해 규정된 리세스(702)를 도시하는 렌즈 지지 부재(7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5c는 도 25b의 섹션 A-A를 도시한다. 도 25d는 리세스(702), 펜스(703), 및 렌즈 지지 부재의 구멍들을 하이라이팅하는 도 25b의 상세 B를 도시한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어플리케이터 부분(803) 및 지지 부분(804)을 포함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를 예시하며, 여기서, 지지체는 복수 개의 구멍들(801 및 802)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부분(803)은 일반적으로 전술된 복수 개의 일반적으로 육각형 형상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육각형 형상의 구멍들의 예시적인 치수들, 구성들 및 상대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분(804)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에 고정되고, 추가된 안정성을 위해 렌즈 어플리케이터(900) 상에 연장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들(801 및 802)을 포함한다. 도 26a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b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6c는 측면도이고, 도 26d는 도 26b의 상세 A이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지지 부재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들이 저장된 위치들에 있을 때 서로에 대해 약간 상이한 각도들로 있는 평면들을 규정한다. 이는 렌즈를 함께 유지할 수 있고 2 개의 부재들 사이에 렌즈를 고정할 수 있다. 부재들이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고 허용공차들(tolerances)로 인해 2 개의 부재들 사이에 작은 간격이 존재하면 렌즈가 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2 개의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예컨대, 파인 메쉬 또는 중간 본체) 및 렌즈 지지 부재(예컨대, 코스 메쉬 또는 최소 본체)의 상대적인 친화도들이 이 실시예에도 또한 적용된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베이스(500)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interface) 구성된 예시적인 클립(600)을 예시한다. 본 개시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2 개의 컴포넌트들에 대해 언급할 때, 2 개의 컴포넌트들은 정합하는 또는 끼워맞춤되는 구조적 특징들을 가지므로, 컴포넌트들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동작이 정합하는 또는 끼워맞춤되는 특징들로 인해 방해 받는 것으로 언급된다. 2 개의 평탄한 표면들은 정합하는 피쳐들로 간주되지 않는다.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정합 구조들은 2 개의 컴포넌트들을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2 개의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될 때, 상대적인 동작이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가 베이스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을 설명할 때, 일반적으로 클립 및 베이스는 정합하는 또는 끼워맞춤되는 구조적 피쳐들을 가지며, 정합될 때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클립들의 이동을 방해하지만, 다른 방향으로의 클립들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예컨대,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베이스 가이드는 서로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클립은 클립(600)이 베이스(500) 내의 가이드들(506)로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날개들(602)을 포함하는 점에서 베이스(500)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도 24a 참조). 날개들(602)이 가이드들(506)로 전진될 때, 가이드들(506)에 대한 날개들(602)의 상방 이동은(가이드들에 의해) 저항을 받지만, 클립(600)은 가이드들(506)로부터 날개들(602)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전히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 27a는 클립(600)의 사시도이고, 도 27b는 클립(600)의 평면도이고, 도 27c는 클립(600)의 정면도이고, 도 27d는 도 27b의 섹션 A-A를 도시한다. 클립(600)은 또한 축 방향 안정성(즉, 위아래)을 제공하기 위해 렌즈 어플리케이터(900) 내의 가이드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적응된 연장부(604)를 포함하는데, 이는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 28a 내지 도 28e는 명료성을 위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가 없는 예시적인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를 예시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800)의 베이스 부분이 고정되는 풋 부분(904) 및 베이스(500)의 가이드(504) 내로 전진되고 가이드(504)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샤프트 부분(902)을 포함한다. 또한,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추가된 안정성을 위해 클립(600)(도 27a 및 27b 참조) 상에 연장부(605)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912)를 포함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또한 잠금 엘리먼트(910)를 포함하고, 이 잠금 엘리먼트(910)는 아래에서 설명되지만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핸들 상의 대응하는 잠금 엘리먼트와 맞물림하고 고정하도록 적응된다. 도 28a는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의 사시도이고, 도 28b는 정면도이며, 도 28c는 평면도이고, 도 28d는 도 28b의 섹션 A-A이며, 도 28e는 도 28d에 도시된 도면 B-B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샤프트 부분(902)은 베이스의 가이드(504) 내로 전진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서 회전 안정화되도록 더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샤프트 부분(902)은 육각형 구성을 가지며, 그 6 개의 표면들 중 5 개가 가이드(504)의 5 개의 표면들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클립(600)상의 연장부(604)는 렌즈 어플리케이터의 가이드(912) 내로 전진되며, 이는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축 방향(즉, 위아래) 안정성을 제공하는 한편, 샤프트 부분(902) 및 가이드(504)의 구성들은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회전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29a 내지 도 29g는 예시적인 핸들(1000)을 예시하며, 이 핸들(1000)은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저장 장치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된 후에 각막 이식물을 각막 조직 상에 위치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29a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9b는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9c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d는 도 29c에 도시된 섹션 A-A를 도시한다. 도 29e는 도 29d의 상세도 C를 도시한다.
핸들의 샤프트 부분(1002)은 임의의 수의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말단 단부 부분(1004)은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의 샤프트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말단 단부 부분(1004)은 말단 단부 부분(1004) 내에서 선단으로 연장하는 그의 말단 단부에서 개구(1006)를 갖는다(도 29f 참조). 개구부(1006)는 단부 부분(1004)이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위로 전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도 30은 핸들의 단부 부분(1006) 내에 배치된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902)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핸들을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부착하려고 시도한 후에, 핸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분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핸들로부터 분리된다면, 렌즈 어플리케이터(렌즈가 부착됨)가 바닥에 떨어질 수 있고, 렌즈가 손실되는 것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를 부착할 때, 핸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함께 유지하고 분리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개구(1006)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902)의 구성을 동일하게 하는 것에 대한 하나의 문제점은 각각의 크기들에 대한 허용공차들이 매우 작아 제조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2 개의 컴포넌트들이 동일한 외부 표면 구성(예컨대, 2 개의 원형 횡단면 형상들)을 갖는다면, 2 개의 컴포넌트들이 분리되기 쉽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902)는 개구(1006)의 구성과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자세하게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902)는 육각형 구성을 갖는 반면, 개구(1006)는 원형이다(도 29C 참조). 핸들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밀어 넣어질 때,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의 6 개의 포인트들이 2 개의 컴포넌트들을 함께 고정시켜 개구의 둥근 구멍에 억지 끼워 맞춤된다(interference-fit). 렌즈 어플리케이터의 샤프트는 핸들의 둥근 개구의 크기에 대해 약간 오버사이즈되어(oversized) 보다 확실한 끼워 맞춤을 제공하고 2 개의 컴포넌트들의 서로에 대한 회전 방지를 제공한다. 6 개의 포인트들은 오버사이즈된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로 인해 약간 변형되며 렌즈 어플리케이터를 적소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을 생성한다. 따라서, 상대적 구성들은 사용 중에 핸들이 렌즈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맞물림해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이 설계의 하나의 추가의 이점은 홀 및 샤프트가 서로에 대해 어느 정도 배향될 수 있으며 여전히 설계된 대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2 개를 함께 고정하기 이전에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특정 방식으로 핸들이 배향되는 것을 확실히할 필요는 없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이는 본원에서 "핀"으로 지칭될 수 있음)는 핸들 개구의 내부측 상의 원주방향 범프(circumferential bump)(1008)(도 29f 참조)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언더컷(undercut)(910)(도 28b 참조)을 포함한다 범프(1008) 및 언더컷(910)의 상대적인 구성들은 사용자가 핸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조립된 것을 알 수 있게하는 가청(audible) 및 촉각(tactile) "클릭(click)"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잠금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의 설계는 서로에 대해 2 개의 샤프트들의 회전 방지를 제공하고, 컴포넌트들이 완전히 조립된 것을 알기 위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는 육각형 형상이지만, 다른 형상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이를테면 삼각형, 정사각형, 팔각형 등의 회전 방지 이점들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유형의 언더컷들이 경사진 프로파일(sloping profile) 대신에 둥근 프로파일(rounded profile)과 같은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핸들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되면, 각막 이식물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향하여 움직이거나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돕기 위해 선택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클립이 제거되고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의 상부가 노출된 후에, 흡수 재료(absorbent material)가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구멍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체 및 각막 이식물을 흡수 재료를 향해 그리고 따라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구멍들을 향해 잡아당긴다. 이는, 핸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가 렌즈 지지 부재 및 베이스로부터 멀리 들어올려질 때, 각막 이식물이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적어도 2 개의 저장 조립체 컴포넌트들이 패키징 내에 수용되는 동안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확실한 관계로 적어도 2 개의 저장 조립체 컴포넌트들이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되는 것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패키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컴포넌트들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될 수 있지만, 여전히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도 31은 하우징(1102) 및 리드(lid)(도시생략)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패키징(1100)을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1102)은 유리병(glass vial)이다. 패키징은 또한 하우징(1102)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리드와 하우징 사이에 유밀 밀봉을 제공한다. 하우징(1102)은 보유 공간(1106)을 규정하는 내부 챔버(1104)를 갖는다. 저장 조립체는 패키징을 위해 보유 공간(1106)에 배치되고 보유 공간은 렌즈가 수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유체로 채워진다.
도 32는 조립된 상태 그리고 저장 장치가 도 31에 도시된 하우징(1102)의 보유 공간(1106)에 배치된 이후의 저장 장치(베이스,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클립)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인레이(inlay)와 같은 렌즈가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위치설정되고 고정되며, 이에 따라,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저장 중에 베이스로부터 축 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렌즈가 손실될 수 있다. 클립은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축 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한다. 그러나, 저장 장치가 패키징 내에 있을 때, 클립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분리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된 채 유지되어야 한다. 클립 날개들 및 연장부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상의 대응하는 정합 부품들로부터 나왔다면,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베이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아마도 렌즈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2)(및 특히 내부 챔버(1104)), 클립(600), 베이스(500),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900)는, 저장 장치가 조립되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2) 내에 위치설정될 때, 클립(600)이 베이스(500)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900) 양자 모두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스싱 유지되도록 구성 및 크기가 정해진다. 따라서, 패키징은 저장 장치의 패키징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클립과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 사이의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여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베이스가 저장 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 클립,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되지 않았다면, 클립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베이스에서 나올 수 있으며 렌즈가 저장 용액에서 손실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또한 내부 챔버(1104)에 대해 눈에 띄는 정도로 주위를 돌아 다니지 않도록 내부 챔버(1104) 내에 끼워지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된다. 이는, 베이스 그리고 이에 따라 렌즈가 내부 챔버에 있을 때 흔들리거나( jostling) 덜컹거리는(rattling)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우며, 이는 손상을 방지하고 렌즈가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서 빠져 나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챔버는 단면이 원형일 수 있고, 사실 조립체가 내부 챔버 내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클립이 그 상황에서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여전히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의 패키징 및 조립체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의 일례로서, 이 장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패키징 하우징; 및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고 베이스와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과용 렌즈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렌즈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렌즈 베이스에 대해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안정화 부재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은 내부의 저장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수용 공간, 베이스 및 안정화 부재는 수용 공간이 안정화 부재와 베이스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진다. 도 31 및 도 32의 실시예들은 또한 렌즈 저장 조립체를 패키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8e는 패키징과 같은 임의의 시간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는 조립체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각막 이식물이 이식될 때, 패키징(예컨대, 병(vial))이 개방되어 저장 장치에 접근한다. 핸들(1000)(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은 렌즈 어플리케이터(900)의 샤프트 부분(902) 상으로 밀려들어가고 핸들(1000)은 패키징으로부터 저장 장치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클립(600)은 그 다음에 베이스(500)로부터 제거된다. 핸들(1000)은 그 다음에 베이스(500)에 대해(축 방향으로) 파지되고 이동되며, 각막 이식물은 상기 언급된 우선적인 부착들의 이유 때문에 렌즈 지지 부재보다는 오히려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된다.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에 부착된 각막 이식물은 그 다음에 조직(예컨대, 각막 베드) 상에 위치설정될 준비가 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막 이식물은 각막 플랩(corneal flap)을 들어 올리거나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각막 베드 상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저장 장치 및 패키징은 각막 이식물이 운반할 준비가 되게 매우 쉬운 절차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단순히 패키징 하우징으로부터 저장 장치를 제거하고, 클립을 제거하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핸들를 부착하고, 렌즈 어플리케이터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며, 그리고 렌즈가 눈에 이식될 준비가 된다.
본원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모든 치수들은 단지 예시적이다.

Claims (45)

  1.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에 있어서,
    조직 상에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를 위치설정하도록 적응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lens applicator member)를 포함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lens applicator); 및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guide) 및 렌즈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base housing)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를 수용하고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 및 렌즈 지지 부재는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가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에 위치설정될 때, 상기 안과용 렌즈가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부재와 상기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shaft)의 단면 형상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단면 형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단면 형상은 부분 육각형(partial hexagon)이며,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의 단면 형상은 육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며,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단면 형상은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 다각형 형상보다 적은 측면들(fewer sides)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회전 안정성(rotational stability)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는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내의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의한 축 방향 운동(axial movement)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stably interface) 구성되는 클립(clip)을 더 포함하여, 상기 클립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더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축방향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 사이의 축 방향 운동이 안정적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저항을 받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샤프트 부분 및 상기 샤프트 부분에 대해 직각이 아닌 각도(non-orthogonal angle)로 연장하는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가이드 내로 전진될 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렌즈 지지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된 어플리케이터 부재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 부재는 상기 렌즈에 방사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펜스(lens fence)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핸들(handle)을 더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핸들을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고정하기 위해 핸들 표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갖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표면은 상기 핸들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곡선(curvilinear)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원(circular)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은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은 육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샤프트 표면 및 상기 단면 핸들 표면 중 하나는 곡선이고 다른 하나는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샤프트 표면 및 상기 단면 핸들 표면 중 하나는 원이고 다른 하나는 육각형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형상들은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일으키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표면은 상기 핸들 표면에 대해 약간 오버사이즈되는(oversized),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형상들은 상기 2 개의 형상들의 인터페이스 이전에 그리고 상기 2 개의 형상들이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 인터페이싱된다면 상기 샤프트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임의의 회전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핸들은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핸들을 잠금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엘리먼트들(locking elements)을 각각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
  27.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에 있어서,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는 샤프트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해 핸들 내부 표면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은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곡선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의 단면 형상은 원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 단면 형상은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 단면 형상은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샤프트 외부 표면 및 상기 단면 핸들 내부 표면 중 하나는 곡선이고 다른 하나는 다각형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샤프트 외부 표면 및 상기 단면 핸들 내부 표면 중 하나는 원이고 다른 하나는 육각형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은 육각형이고, 상기 핸들 내부 표면은 원인,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형상들은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해 억지 끼워맞춤을 일으키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외부 표면은 상기 핸들 내부 표면에 대해 약간 오버사이즈되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형상들은 상기 2 개의 형상들의 인터페이스 이전에 그리고 상기 2 개의 형상들이 회전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단 인터페이싱된다면 상기 샤프트에 대한 상기 핸들의 임의의 회전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핸들은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핸들을 잠금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잠금 엘리먼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삽입 장치.
  39.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패키징 하우징(package housing); 및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과용 렌즈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안정화 부재(stabilizing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내부에 상기 저장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 베이스 하우징 및 안정화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이 상기 안정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상기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하우징은 유리 병(glass vial)인,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저장 유체 및 상기 하우징과 함께 유체 기밀 시일(fluid tight seal)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리드(lid)를 더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mating parts)이 정합해제되는(unmated)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클립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을 때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클립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을 때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클립 상의 각각의 정합 부품들이 정합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클립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충분히 이동할 수 없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
  45.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패키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사이에 안과용 렌즈를 고정시키는 렌즈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와 안정적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안정화 부재를 포함 ―;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안정화 부재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렌즈 어플리케이터 양자 모두 사이에 안정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패키징 하우징 내에 상기 저장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저장 장치를 패키징하는 방법.

KR1020177007520A 2014-08-19 2014-08-19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KR20170047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51693 WO2016028275A1 (en) 2014-08-19 2014-08-19 Corneal implant storage, packaging, and delivery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286A true KR20170047286A (ko) 2017-05-04

Family

ID=5535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520A KR20170047286A (ko) 2014-08-19 2014-08-19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82926A4 (ko)
JP (1) JP2017525463A (ko)
KR (1) KR20170047286A (ko)
CN (1) CN107249514A (ko)
AU (1) AU2014403874A1 (ko)
CA (1) CA2960871A1 (ko)
WO (1) WO20160282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622A (ja) * 1982-10-19 1984-04-25 Nobuyuki Tsuboi スライドベアリング
US5487377A (en) * 1993-11-05 1996-01-30 Clin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Uterine manipulator and manipulator tip assembly
US8668735B2 (en) * 2000-09-12 2014-03-11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storage and delivery devices
AU2001289038B2 (en) * 2000-09-12 2006-05-18 Revision Optics, Inc. System for packaging and handling an implant and method of use
US6543610B1 (en) * 2000-09-12 2003-04-08 Alok Nigam System for packaging and handling an implant and method of use
FR2848182B1 (fr) * 2002-12-04 2006-02-03 Eurocrystal Procede et dispositif d'emballage sterile d'une lentille intraoculaire hydrophile souple prete a l'emploi
US20060064112A1 (en) * 2004-09-08 2006-03-23 Edward Perez Ocular device applicator
US20060142780A1 (en) * 2004-12-29 2006-06-29 Joel Pynson Preloaded IOL injector and method
US9271828B2 (en) * 2007-03-28 2016-03-01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retain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090057167A1 (en) * 2007-08-30 2009-03-05 Rathert Brian D Intraocular Lens Packaging
US20120238806A1 (en) * 2009-08-24 2012-09-20 Quali-Med Gmbh Implantation system with handle and cathe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20231416A1 (en) * 2011-03-09 2012-09-13 Warsaw Orthopedic, Inc. Periodontal scaler and planer combined instrument
RU2619654C2 (ru) * 2011-10-21 2017-05-17 Ревижн Опт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имплантатов роговицы
WO2013075091A1 (en) * 2011-11-17 2013-05-23 Allosource Multi-piece machine graf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49514A (zh) 2017-10-13
JP2017525463A (ja) 2017-09-07
AU2014403874A1 (en) 2017-03-23
WO2016028275A1 (en) 2016-02-25
CA2960871A1 (en) 2016-02-25
EP3182926A4 (en) 2018-04-04
EP3182926A1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1359A1 (en) Corneal implant storage, packaging, and delivery devices
US9889000B2 (en) Corneal implant applicators
US850657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loading, and delivering an intraocular lens
EP1720490B1 (en) Devices for storing, loading, and delivering an intraocular lens
RU23800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грузки внутриглазной линзы в патрон введения
EP1628598B1 (en) Intraocular lens and cartridge packaging with lens-loading function
JP6859270B2 (ja) 椎間脊椎融合用固定デバイスの展開用デバイス及び方法
KR20130140795A (ko) 세정 도구
CA2604233A1 (en) Corneal implant injecto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FR3036031A1 (fr) Implant pour la fixation d'elements osseux
KR20170047286A (ko) 각막 이식물 저장, 패키징 및 전달 디바이스들
US20240074842A1 (en) Storage jar assembly for a prosthetic heart valve
AU201220232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loading, and delivering an intraocular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