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210A - 조직 접근 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접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210A
KR20170047210A KR1020177000810A KR20177000810A KR20170047210A KR 20170047210 A KR20170047210 A KR 20170047210A KR 1020177000810 A KR1020177000810 A KR 1020177000810A KR 20177000810 A KR20177000810 A KR 20177000810A KR 20170047210 A KR20170047210 A KR 20170047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ng
prongs
proximal
distal
acc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이 엔가이 친
게리 엠. 코뵐루스키
아담 에이. 사반
자파르 에스. 하산
Original Assignee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4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1Handles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23Toothed members, e.g. rack and pin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3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camm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8Independently actuatable jaw members, e.g. two actuat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9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61B2017/294Connection of actuating rod to jaw, e.g. relea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44Translation of jaw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접근 장치는 작용 말단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 조직을 맞물리고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작용 말단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프롱, 및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프롱에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프롱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어 말단에 배치된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 접근 장치{Tissue Approximator Device}
본 출원은 2014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원 일련번호 제62/015,068호을 토대로 하고 이로부터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개시내용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의료용 장치, 및 보다 특히 분리된 조직에 접근하고 조직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내용의 배경
의료용 장치는 수술 공정을 돕는 것 뿐만 아니라 수술의 침입성(invasiveness)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도 끊임없이 개선되고 있다. 다른 개발 중에서, 침입성 시술(invasive procedure)을 최소로 가능하게 하거나 촉진시키기 위한 의료용 도구, 장치, 시스템 및 시술에 대하여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외과적 시술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절개를 최소화함으로써, 최소로 침입성인 시술은 짧은 수술 시간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짧은 회복 시간을 위해서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적고 더 작은 절개를 해서 관심있는 수술 부위에 대한 접근을 실질적으로 제한하고 외과의가 주어진 작업을 효과적으로 완수하기가 더 힘들게 만든다.
탈장을 복구하기 위한 복강경 시술에서, 예를 들면, 얇고 신장된 장치 또는 도구를 내부로부터의 복벽(abdominal wall)에서 탈장 결함부에 접근하기 위한 복부에서 접근 구멍 또는 투관침(trocar)을 통해 비교적 작은 절개부 내로 삽입시킨다. 탈장 결함부의 치료와 관련된 작업 중에서, 외과의는 탈장과 관련된 복벽의 조직에서 분리물을 폐쇄하고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복강경 도구 및 장치가 존재하지만, 분리된 조직의 가장자리를 함께 접근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복벽의 내부로 단지 제한되게 접근하는 것으로는, 보다 더 효율적인 조직 고정을 성취하기에 충분하게 조직의 가장자리를 함께 근접시키는 것이 비교적 힘들다.
따라서, 복강경 시술과 관련해서 뿐만 아니라 신체 내의 다른 공동(cavity)과 관련된 어떠한 다른 개방 의학적 시술과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조직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직에 접근시키기 위한 최소로 침입성인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고 위에서 언급한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어떠한 특별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표현해서 나타낸 정도를 제외하고는 본 개시내용 또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의 영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당해 발명의 배경 단락에서 어떠한 문제점 또는 해결책을 포함시키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 또는 해결책이 달리 표현해서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공지된 선행기술을 나타내는 것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개시내용의 요지
본 개시내용의 한 가지 국면에 따라,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접근 장치는 작용 말단(working end) 및 제어 말단(control end)을 갖는 신장 부재(elongate member), 조직을 맞물리고 다른 것과 종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작용 말단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프롱(prong), 및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프롱을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프롱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커플링된 제어 말단에 배치된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국면에 따라, 또 다른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접근 장치는 작용 말단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 작용 말단 위에 중추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위 프롱(distal prong), 작용 말단 위에 중추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근위 프롱(proximal prong), 및 제어 말단에 배치되고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된(coupled)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 중의 하나 이상이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로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로 중추적으로 이동되도록 배열(configurating)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여전히 또 다른 국면에 따라,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접근 장치는 작용 말단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elongate member), 제어 말단에 배치된 전개 메카니즘(deployment mechanism), 및 제어 말단에 배치된 접근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 말단은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개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각각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키고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을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로 중추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근위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을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국면 및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지어 고려하는 경우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판독시에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구성된 한 가지 접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 위치에서 연장된 원위 및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접근 위치에서 연장된 원위 및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개방 위치에서 접혀진 원위 및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동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개방 위치에서 연장된 근위 프롱 및 접혀진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동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손가락 지지체(finger support) 및 전개 스크류을 갖는 푸시로드(pushrod) 제어 메카니즘을 갖는 접근 장치의 제어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손가락 지지체 및 전개 스위치를 지닌 푸시로드 제어 메카니즘을 갖는 접근 장치의 제어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부분 접근하는 위치에서 연장된 원위 프롱 및 부분 연장된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루프(loop) 형태의 손가락 지지체가 구비된 푸시로드 제어 메카니즘을 갖는 접근 장치의 제어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복벽 탈장의 횡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접근 장치에 의해 접근되는 복부 조직 가장자리(edge)의 횡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조직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접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조직 가장자리에 접근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14는 파스너(fastener)를 설치하는 동안 조직 가장자리를 함께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접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파스너로 고정되는 조직 가장자리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지는 신장 부재 및 작용 말단을 갖는 접근 장치에 의해 접근되는 복부 조직 가장자리의 횡단면 개략도이다.
도 17은 가요성 스프링형 튜브가 제공되는 신장 부재 및 작용 말단을 갖는 접근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구성된 또 다른 접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개방 위치에서 프롱의 접혀진 원위 및 근위 세트가 구비된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접근하는 위치에서 프롱의 접혀진 원위 및 근위 세트가 구비된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개방 위치에서 프롱의 연장된 원위 및 근위 세트가 구비된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2는 근접하는 위치에서 프롱의 연장된 원위 및 근위 세트가 구비된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은 라체팅(ratcheting) 및 레버형 전개 제어 메카니즘을 갖는 접근 장치의 제어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장력 바아(tension bar) 및 전개 축에 결합된 프롱의 원위 및 근위 세트를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구성된 또 다른 접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환형 장력 바아 및 전개 축에 결합된 프롱의 원위 및 근위 세트를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7은 라체팅 및 로티큘레이팅(roticulating) 전개 메카니즘을 갖는 접근 장치의 제어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구성된 여전히 또 다른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9는 개방 위치에서 접혀진 원위 프롱 및 접혀진 및 캠화된(cammed) 원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0은 개방 위치에서 접혀진 원위 프롱 및 부분 연장된 및 캠화된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1은 개방 위치에서 접혀진 원위 프롱 및 연장되고 캠화된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2는 부분적으로 접근하는 위치에서 연장된 원위 프롱 및 연장되고 캠화된 근위 프롱을 갖는 접근 장치의 작용 말단의 부분 측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은 각종 변형 및 대안적 구성이 가능하지만, 이의 특정한 예증적 구현예는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하기에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지만, 반대로 모든 변형, 대안적 구성 및 등가물은 본 개시내용의 취지 및 영역 내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구성된 조직 접근 장치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나타내어지고 기재된다. 본원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재될 바와 같이, 접근 장치는 조직의 분리된 가장자리를 함께 당기고/당기거나 유지하는 것과 같은, 접근하기 위한 편리하고 여전히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구현예는 또한 복강경 시술 등과 같은 최소로 침입성인 외과적 시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탈장의 복강경 치료에 사용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개시된 구현예를 사용하여 복벽 내의 조직의 단면 아래에 도달하고, 조직 내의 인열되거나 분리된 가장자리에 접근시키면서 파스너를 내부로부터의 복벽 내의 분리부에 근접하게 설치한다.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복강경 적용에 적용되는 바와 같이 조직 고정을 입증하지만, 이는 본 개시내용이 흉곽, 골반, 또는 복부 이외의 신체 공동 내에서의 용도, 및 자궁, 비뇨생식기 시스템, 위장관, 근골격 시스템 등의 조직과 같은 복벽 이외의 조직에 접근시키기 위한 용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비-복강경 또는 개방 의료용 시술에 동등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장치(20)의 한 가지 예시적인 구현예는 이의 근위 말단에 배치된 제어 말단(24)과 이의 원위 말단에 배치된 작용 말단(26) 사이로 연장되는 신장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용 말단(26)은, 신장 부재(2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조직의 가장자리에 근접시키거나 이와 함께 당겨지고/당겨지거나 유지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조정된, 원위 프롱(28) 및 근위 프롱(30)과 같은 적어도 2개의 프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롱(28,30)은, 분리된 조직의 2개 이상의 가장자리를 접수하기 위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조직의 가장자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근 위치 사이의 신장 부재(22)의 종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타낸 특별한 구현예에서, 원위 프롱(28)은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지만 근위 프롱(30)은 이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 구현예에서, 근위 프롱(30)은 정지상태로 남을 수 있지만 원위 프롱(28)은 이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다른 변형에서, 프롱(28,30) 둘 다는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작용 말단(26)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종방향 운동 외에도, 접근 장치(20)의 프롱(28,30)은 또한, 예를 들면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또는 연장된 위치, 및 도 4에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접혀진 위치 사이에 중추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롱(28,30)은, 프롱(28,30)이 완전히 접혀지는 경우, 작용 말단(26)의 최대 외부 직경이 신장 부재(22)의 최대 외부 직경 보다 적거나 기껏해야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서 접근 구멍 등 내로의 작용 말단(26)의 도입 또는 삽입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로부터의 제거도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조절되고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프롱(28,30)은, 완전히 접혀지는 경우, 프롱(28,30) 및 작용 말단(26)이 신장 부재(22)의 원위 말단 또는 이의 슬리브(sleev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가능하도록 크기 조절되고 배열될 수 있다. 관련된 변형에서, 하나 이상의 프롱(28,30)은 또한 스프링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연장된 위치에서 편향되어, 신장 부재(22), 접근 구멍 등의 내부로 후퇴되는 경우 프롱(28,30)이 접혀지고 일단 작용 말단(26)이 관심있는 영역 내로 진행되면 자동적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전히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프롱(28,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신장 부재(22)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주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특히, 프롱(28,30)은, 연장된 위치에 있는 경우, 원위 프롱(28)이 근위적으로 접할 수 있고 근위 프롱(30)이 조직 가장자리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방식으로 원위로 접할 수 있도록 반대편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롱(28,30)은 신장 부재(22)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프롱(28,30)의 회전 운동은 또한 종방향 운동에 대하여 의존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롱(28,30)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접혀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다. 다른 변형에서, 작용 말단(26)은 2개의 이상의 프롱(28,30)과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여전히 추가의 변형에서, 프롱(28,30)은 접혀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고/있거나 나타낸 배열 이외의 방식으로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의 제어 말단(24)은 일반적으로 프롱(28,30)을 작동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수단 또는 메카니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예를 들면, 제어 메카니즘(32)은 도 2 내지 3에 나타낸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프롱(28,30)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장 부재(22)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밀어지거나 당겨질 수 있는 엄지 환(thumb ring; 36) 등을 갖는 푸시로드(34)를 이용할 수 있다. 신장 부재(22)는 이의 근위 말단에 배치된 손가락 지지체(4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손가락 지지체(48)는 신장 부재(22)에 대하여 푸시로드(34)의 종방향 제어 및 엄지 환(36)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장 부재(22)에 대한 푸시로드(34) 및 엄지 환(36)의 회전 위치에 무관하게 이러한 제어를 유지할 수도 있게 성형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내지 8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34)는 신장 부재(22) 내에 배치된 장력 바아(38)를 통해 근위 프롱(3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서 제어 말단(24)에서의 푸시로드(34)의 종방향 운동이 작용 말단(26)에서의 근위 프롱(30)의 상응하는 종방향 운동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어 메카니즘(32)은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프롱(28,30)을 진행시키거나 후퇴시키는 트레드화된(threaded) 또는 스크류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의 대안에서, 제어 말단(24)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 또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32)은 또한 도 6 내지 8에 도시된 전개 스크류(40)와 전개 스위치(4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개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접혀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 프롱(28,30)의 각이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의 전개 스크류(40)는, 예를 들면, 신장 부재(22) 내의 장력 바아(38)를 따라 배치되는 도 8의 제1 전개 링크(44)를 통해 근위 프롱(30)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개 스크류(40)는 또한 제1 전개 링크(44)를 장력 바아(38)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어, 작업 말단(26)에 대한 근위 프롱(30)의 각이진 위치에 대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개 스크류(40)는, 일단 느슨해지면, 제1 전개 링크(44)의 종방향 위치가 장력 바아(38)에 대하여 조정되어 근위 프롱(30)의 각이진 위치에서 상응하는 조정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전개 스크류(40)가 충분히 조여지는 경우, 제1 전개 링크(44)는 장력 바아(38)에 록킹(locking)되어 장력 바아(38)에서의 종방향 운동이 제1 전개 링크(44)에서의 동일한 운동과 상응하게 됨으로써 접근하는 경우 근위 프롱(30)의 각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전개 스위치(42)는 도 8에 도시된 제2 전개 링크(46)를 통해 원위 프롱(28)에 유사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신장 부재(22) 내의 장력 바아(38) 및 제1 전개 링크(44)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개 링크(44)와 유사하게, 제2 전개 링크(46)는 신장 부재(22)에 대하여 전개 스위치(42) 및 제2 전개 링크(46)의 종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원위 프롱(28)이 연장되거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원위 프롱(28)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원위 프롱(28)은 나타낸 구현예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전개 링크(46)는 장력 바아(38)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32)의 단지 하나의 특별한 정렬이 나타나 있지만, 다른 배치 및/또는 제어 메카니즘이 관련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변형에서, 예를 들면, 제1 전개 링크(44) 및 근위 프롱(30)은 전개 스위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있거나 제2 전개 링크(46) 및 원위 프롱(28)은 전개 스크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부재(22)의 제어 말단(24)에는 또한 엄지 환(36)과 함께 사용되고 조직 접근 동안에 푸시로드(34)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루프 등의 형태로 제공된 손가락 지지체(48)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10 내지 15로 돌아가면, 접근 장치의 한 가지 예시적인 적용이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0애 나타낸 바와 같이, 접근 장치(20)를 사용하여 복벽 탈장(50)을 복구하는 데 도움을 주고 당해 탈장(50)을 일으킨 복벽(54)의 조직 내의 분리부(52)에 근접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일단 돌출되는 탈당 내용물(50)이 복벽(54) 하부에서 개구(52)를 폐쇄하기 전에 다시 밀어지면, 접근 장치(20)의 작용 말단(26)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벽(54) 내의 접근 구멍(56)을 통해 삽입되어 개구(52)를 둘러싸는 조직 가장자리(58)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원위 및 근위 프롱(28,30)은 작업 말단(26)을 접근 구멍(56)을 통해 삽입하면서 접을 수 있고, 일단 분리된 조직 가장자리(58)에 근접하게 위치하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완전히 삽입되고 제위치에 있으면, 원위 및 근위 프롱(28,30)은 또한 도 12에 예증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종방향으로 제어되어 원위 프롱(28)이 하나의 조직 가장자리(58)에 근접하도록 하고 근위 프롱(30)은 반대편 조직 가장자리(58)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일단 원위 및 근위 프롱(28,30)이 상응하는 조직 가장자리(58)와 맞물리면, 접근 장치(20)는, 원위 및 근위 프롱(28,30)이 도 13에 예증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4에 예증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근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위 및 근위 프롱(28,30)은 각각의 조직 가장자리(58)를 함께 유지하지만, 스테이플, 봉합사 등과 같은 파스너(6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조직 가장자리(58)를 고정하기 위하여, 작용 말단(26)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와 같은, 개구(52)를 따르고 접근 장치(20)의 작용 말단(26)에 가장 근접한 위치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조직 가장자리(58)가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충분히 고정될 때까지 개구(52)의 길이를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5의 구현예는 한 가지 유형의 접근 장치(20)를 시용하지만, 이러한 접근 장치(20)의 다른 변형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변형 중에서, 예를 들면,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근 장치(20)에는, 복벽(54)의 내부 표면과 더 잘 일치시키기 위하여 스프링형 튜브(62) 등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굽혀지고/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작용 말단(26) 및/또는 신장 부재(2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18로 돌아가면, 조직의 분리된 가장자리에 접근하기 위해 복벽 내로 및 복벽 아래로 삽입될 수 있는 또 다른 조직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앞선 구현예와 유사하게, 접근 장치(64)는 이의 원위 말단에 배치된 작용 말단(68)과 이의 근위 말단에 배치된 제어 말단(70) 사이로 연장되는 신장 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작용 말단(68)은 제1 근위 프롱(76) 및 제2 근위 프롱(78)과 같은 프롱의 근위 세트와 연결되게 배열된, 제1 원위 프롱(72) 및 제2 원위 프롱(74)과 같은 프롱의 원위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원위 프롱(72,74)은 도 19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도 20에 예를 들어 나타낸 접근 위치 사이에 근위 프롱(76,78)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근위 프롱(76,78)은 정지상태일 수 있으며 원위 프롱(72,74)은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이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원위 프롱(72,74)과 근위 프롱(76,78)의 어떠한 조합도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에에 이동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롱(72,74)의 원위 세트 및 프롱(76,78)의 근위 세트 각각은 도 19 및 20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위치와 도 21 및 22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되거나 연장된 위치 사이로 중추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원위 프롱(72,74) 및 근위 프롱(76,78)은, 완전히 접혀진 위치에 있는 경우, 작용 말단(68)의 최대 외부 직경은 신장 부재(66)의 최대 외부 직경보다 적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해서 작용 말단(68)이 복벽 및 접근 구멍 내로 삽입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거되기도 용이하도록 한다. 다른 변형에서, 작용 말단(68)은 신장 부재(66)의 원위 말단 또는 이의 슬리브(sleev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하나 이상의 원위 프롱(72,74) 및 근위 프롱(76,78)은 편향(biased)되어, 일단 작업 말단(68)이 관심있는 영역 내로 진행되면 연장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전되지만, 기타의 경우에는, 신장 부재(66), 접근 구멍 등 내로 후퇴되는 동안과 같은, 접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9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원위 프롱(72,74)은 이들 사이에 조직의 가장자리를 접수하고 유지하도록 반대편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근위 프롱(76,78)은 이들 사이에 조직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접수하고 유지하도록 반대편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원위 프롱(72) 및 제1 근위 프롱(76)은 접혀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의 제1 전개 축(80)에 대하여 유사하게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제2 원위 프롱(74) 및 제2 근위 프롱(78)은 제2 전개 축(82)에 대하여 유사하게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제1 및 제2 전개 축(80,82)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할 수 있으며 신장 부재(66)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더욱이, 제1 및 제2 전개 축(80,82)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시에 반대편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개 축(80,82)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원위 프롱(72,74)은 근위 프롱(76,78)과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원위 프롱(72,74) 및 근위 프롱(76,78) 중의 하나 이상은 서로와 및/또는 신장 부재(66)의 종방향 축과 평행할 수 있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거나 중추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의 변형에서, 작용 말단(68)은 나타낸 것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프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접근 장치(64)의 제어 말단(70)은, 예를 들면, 프롱(72,74,76,78)을 배치하기 위한 레버계 전개 메카니즘(lever-based deployment mechanism)과 통합되는, 프롱(72,74,76,78)의 종방향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라체팅 메카니즘을 갖는 제어 메카니즘(8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및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메카니즘(84)은 일반적으로 핸들(86) 및 이에 경첩으로 결합된 트리거(trigger; 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88)은 신장 부재(66), 트리거(88) 및 핸들(86)의 각각을 통해 작용 말단(68) 위의 잠금쇠(brace; 92)로부터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장력 바아(90)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또안, 장력 바아(90)는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근위 프롱(76,78)에 대하여 원위 프롱(72,74)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미끄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장력 바아(90)의 운동은 트리거(88)에 대해 근위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라체팅 판(94), 및 트리거(88)에 대해 원위적으로 배치된 방출 판(96)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체팅 판(94)은 트리거(88)의 작용당 인장 바아(90)를 점차적으로 배열하고, 이에 의해 프롱(72,74,76,78)에 점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방출 판(96)은 핸들(86)에 결합되고 배열되어, 디폴트 상태(default state)에 있는 경우, 장력 바아(90)의 후퇴가 제한되도록 하며, 눌려진 상태에 있는 경우, 장력 바아(90)의 수동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 및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메카니즘(84)은 핸들(86)에 경첩으로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주요 슬리브(100)를 통해 제1 및 제2 전개 축(80,82)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전개 레버(9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주요 슬리브(100)는 신장 부재(66) 내에 종방향으로 및 중추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전개 축(80,82)의 주요 말단 부분(102)을 짝을 이루게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전개 레버(98)를 배열시켜서 핸들(86)에 대하여 전개 레버(98)를 중추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부착된 주요 슬리브(100)에서의 상응하는 회전을 유발하도록 하며, 이는 부착된 전개 축(80,82) 및 프롱(72,74,76,78)에서의 상응하는 회전을 추가로 유발한다. 예를 들면, 전개 레버(98)를 원위 방향으로 중추적으로 진행시키면 프롱(72,74,76,78)을 연장된 위치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전개 레버(98)를 중추적으로 후퇴시키면 프롱(72,74,76,78)을 동시에 접을 수 있다.
나타내지 않은 다양한 다른 메카니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유사하거나 비교가능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타낸 구현예는 원위 프롱(72,74)을 근위 프롱(76,78)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도시하지만, 제어 말단(70)의 라체팅 메카니즘은 근위 프롱(76,78)의 종방향 조절을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라체팅 메카니즘 보다는, 제어 말단(70)이 또한 어느 하나 이상의 기어화된 메카니즘(geared mechanism), 트레드화된 메카니즘(threaded mechanism), 스프링형 메카니즘, 모터화된 메카니즘(motorized mechanis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롱(72,74,76,78)의 전개는 또한 다양한 상이한 메카니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개 레버(98)는 2개의 주요 슬리브(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주요한 슬리브(100)는 제1 및 제2 전개 축(80,82) 중의 상응하는 하나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전개 레버(98)는 전개 축(80,82) 중의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주요 슬리브(100)에 결합될 수 있지만, 나버지 전개 축(80,82)은 기어화된 메카니즘 등을 통해 동시에 및 반대편으로 회전된다. 여전히 추가의 대안에서, 다수의 주요 슬리브(100)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주요 슬리브(100)는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한 전개 레버(98) 등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도 25 내지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의 분리된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전히 또 다른 조직 접근 장치(104)가 제공된다. 앞선 구현예에서와 같이, 접근 장치(104)는 이의 원위 말단에 배치된 작용 말단(108)과 이의 근위 말단에 배치된 제어 말단(110) 사이로 연장되는 신장 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의 작용 말단(68)과 유사하게, 도 26에서의 작용 말단(108)은 제1 근위 프롱(116) 및 제2 근위 프롱(118)과 같은, 프롱의 근위 세트와 연결되는, 제1 원위 프롱(112) 및 제2 원위 프롱(114)과 같은 프롱의 원위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근위 프롱(116,118)은 작용 말단(68)에 대하여 정지상태로 잔류할 수 있지만, 원위 프롱(112,114)은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근위 프롱(116,118)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 구현예에서, 원위 프롱(112,114)은 정지상태로 잔류할 수 있지만 근위 프롱(116,118)은 원위 프롱(112,114)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의 대안에서, 프롱(112,114)의 원위 세트 및 프롱(116,118)의 근위 세트 둘 다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프롱(112,114)의 원위 세트 및 프롱(116,118)의 근위 세트 각각은 또한 완전히 접혀진 위치와 개방 또는 연장된 위치 사에에 중추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원위 프롱(112,114) 및 근위 프롱(116,118)은, 완전히 접혀진 위치에 있는 경우 작용 말단(108)의 최대 외부 직경은 신장 부재(106)의 최대 외부 직경 미만이거나 기껏해야 실질적으로 이와 동일하도록 배열되어 작용 말단(108)이 복벽 및 접근 구멍 내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변영에서, 작용 말단(108)은 신장 부재(106)의 원위 말단 또는 이의 슬리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퇴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원위 프롱(112,114) 및 근위 프롱(116,118) 중의 하나 이상은, 일단 작용 말단(108)이 관심있는 영역 내로 진행되면, 연장된 위치 내로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편향될 수 있지만, 기타의 경우에는 신장 부재(106), 접근 구멍 등의 내부로 후퇴되는 동안과 같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현예와 유사하게, 도 26에서 제1 및 제2 원위 프롱(112,114)은 이들 사이의 조직의 하나의 가장자리를 접수하고 유지하도록 반대편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근위 프롱(116,118)은 이들 사이에 조직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접수하고 유지하도록 반대편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원위 프롱(112) 및 제1 근위 프롱(116)은 제1 전개 축(120)에 대하여 동시에 회전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제2 원위 프롱(114) 및 제2 근위 프롱(118)은 제2 전개 축(122)에 대하여 동시에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전개 축(120,122)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전개 축(120,122)은 또한 서로 독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원위 프롱(112,114)은 근위 프롱(116,118)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원위 프롱(112,114) 및 근위 프롱(116,118) 중의 하나 이상은 서로와 또는 신장 부재(106)의 종축과 평행할 수 있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거나 중추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의 변형에서, 작용 말단(108)은 나타낸 것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프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의 접근 장치(104)의 제어 말단(110)은, 프롱(112,114,116,118)을 전개하기 위한 로티큘레이팅 전개 메카니즘을 갖는, 프롱(112,114,116,118)의 종방향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라체팅 메카니즘을 통합하는 제어 메카니즘(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현예에서와 같이, 제어 메카니즘(124)은 일반적으로 핸들(126) 및 이에 경첩으로 결합된 트리거(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124)은 신장 부재(106), 트리거(128) 및 핸들(126) 각각을 통해 작용 말단(108)의 잠금쇠(132)로부터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장력 바아(130)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장력 바아(130)는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근위 프롱(116,118)에 대하여 원위 프롱(112,114)을 이동시키도록 미끄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장력 바아(130)는 또한 로티큘레이션이 가능하도록 원형일 수 있다. 로티큘레이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어 말단(110)은 신장 부재(106) 및 작용 말단(108)에 대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지만, 프롱(112,114,116,118)의 완전한 제어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작용 말단(108)이 이에 대한 제어 말단(110)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핸들(126) 및 트리거(128)은 어떠한 바람직한 위치에서도 편안하게 파지되고 사용될 수 있다. 장력 바아(130)의 운동은 트리거(128), 및 이러한 트리거(88)에 대하여 원위적으로 배치된 방출 판(136)에 대하여 근위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라체팅 판(13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라체팅 판(134)은 트리거(128)의 작동에 대하여 장력 바아(130)를 점차적으로 후퇴시켜서 프롱(112,114,116,118)이 점차적으로 근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방출 판(136)은, 디폴트 상태에 있는 경우 장력 바아(130)의 진행이 제한되도록 하고, 낮아진 상태에 있는 경우 장력 바아(130)의 수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메카니즘(124)은 장력 바아(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어떠한 회전 배향에서 작동가능한 전개 메카니즘이 제공된 것과 같이 로티큘레이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개 제어 메카니즘(124)은 장력 바아(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및 미끄러지게 배치되고 링크(142)를 통해 슬라이더 캠(slider cam)에 경첩으로 결합되는 전개 작동장치(138)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 캠(140)을 말단캡(144)에 결합시켜서 슬라이더 캠(140)이 말단캡(144)에 의해 정의되고 장력 바아(130)에 대하여 법선인 평면 내와 같이, 장력 바아(13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고정되지만 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말단캡(144)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 캠(140)은 하나 이상의 주요 슬리브(146)를 통해 제1 및 제2 전개 축(120,122) 중의 하나 이상에 추가로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선행 구현예와 유사하게, 각각의 주요 슬리브(146)는 신장 부재(106) 내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응하는 전개 축(120,12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전개 제어 메카니즘(124)은, 프롱(112,114,116,118)이 핸들(126)에 대한 어떠한 회전 배향으로부터 연장되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메카니즘(124)은, 전개 작동장치(138)를 장력 바아(13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핸들(126)이 하나 이상의 주요 슬리브(146)를 회전하고 다시 대응하는 전개 축(120,122) 및 프롱(112,114,116,118)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슬라이더 캠(14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개 작동장치(138)를 근위 방향으로 당기면 슬라이더 캠(140)이 말단캡(144)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안쪽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주요 슬리브(146)의 근위 말단을 돌릴 수 있고 결합된 프롱(112,114,116,118)을 연장시키는 방식으로 전개 축(120,1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응하게, 전개 작동장치(138)를 원위 방향으로 진행시키면 슬라이더 캠(140)을 말단캡(144)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외부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데, 이는 결합된 프롱(112,114,116,118)을 접는 방식으로 주요 슬리브(146)의 근위 말단을 돌릴 수 있고 전개 축(120,1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로티큘레이팅 전개 제어 메카니즘(124)은 유사하거나 비교가능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 중의 어떠한 수로 대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라체팅 메카니즘 보다는, 예를 들면, 제어 말단(110)은 기어화된 메카니즘, 트레드화된 메카니즘, 스프링형 메카니즘, 모터화된 메카니즘 등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근위 프롱(116,118)에 대한 원위 프롱(112,114)의 종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구현예는 원위 프롱(112,114)이 근위 프롱(116,118)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변형은 근위 프롱(116,118)의 종방향 조절을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롱(112,114,116,118)의 전개는 또한 각종의 상이한 메카니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 캠(40)은 2개의 주요 슬리브(146)에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주요 슬리브(146)는 제1 및 제2 전개 축(120,12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슬라이더 캠(140)은 전개 축(120,122) 중의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주요 슬리브(146)에 결합될 수 있지만, 나머지 전개 축(120,122)은 기어화된 메카니즘 등을 통해 동시에 및 반대편으로 회전된다.
이제, 도 28 내지 32를 참조하면, 접근 장치의 여전히 또 다른 구현예가 제공된다. 도 28 내지 32에 도시된 접근 장치(148)는, 예를 들면, 푸시로드형 또는 비교가능한 제어 메카니즘을 통해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작동되는 신장 부재(156)의 작용 말단(154)에 배치된 근위 및 원위 프롱(150,152)를 갖는, 도 1 내지 8의 접근 장치(20)의 일반적인 형태의 요소를 따를 수 있다. 도 1 내지 8의 구현예와 대조적으로, 각각의 근위 및 원위 프롱(150,152)은 통(tong) 형상의 배열보다는 클라우(claw) 형상의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전개 스크류(40) 및 전개 링크(44)는 나타낸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캠 슬롯(158) 및 캠화 핀(cammed pin; 160,162)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위 프롱(150)은 푸시로드(164)에 장력 바아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핀(16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핀(160) 및 제2 핀(162) 각각은 캠 슬롯(158) 내에 회전가능하게 접수되도록 크기조정되고 배열되어서 캠 슬롯(158)을 따라 핀(160,162)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29 내지 32에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은, 근위 프롱(150)에서 캠화 운동(cammed motion)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근위 프롱(150)은, 푸시로드(164)를 당김에 의한 것과 같이, 도 29에 예를 들어 나타낸 개방 위치 내로 후퇴시키고 근위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캠 슬롯(158)의 가장자리는, 핀(160,162)이 근위 프롱(150)을 나타낸 접혀진 위치 내로 캠화되거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응하게, 근위 프롱(150)은, 푸시로드(164)를 밀어냄에 의한 것과 같이, 접근 위치를 향해 원위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캠 슬롯(158)의 가장자리는 핀을 도 30 및 31에 진행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위 프롱(150)을 연장된 위치로 캠화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핀(160,162)을 인도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프롱(152)은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전개 링크(166) 및 수단, 또는 어떠한 다른 비교가능한 전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접혀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8 내지 32의 접근 장치(148)는, 접근이 바람직한 경우 자동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접근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자동적으로 접을 수 있다. 다른 대안적 변형에서, 단일 캠 슬롯이 각각의 캠화 핀의 한쪽 말단과 상호작용하도록 제공되고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2개 이상의 캠 슬롯이 다수의 캠화된 핀과 상호작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의 대안에서, 단일 캠화 핀에는 캠화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기울어진 형태, 계란형, 타원형, 또는 캠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횡단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로부터, 본 개시내용은 최소로 침입성인 외과적 시술 동안에 조직에 효율적으로 및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조정된 의료용 접근 장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조직 분리물의 사용상의 개선된 용이성 및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단축을 통해서, 접근 장치는 조직 고정의 보다 신뢰할만하고 효율적인 성취를 용이하게 한다.

Claims (22)

  1. 작용 말단(working end)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elongate member);
    조직을 맞물리고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작용 말단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프롱(prong); 및
    하나 이상의 프롱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프롱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제어 말단에 배치된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접근 장치(approximator device).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굽혀지는 접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flexible)인 접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롱 각각이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의 신장 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제어 메카니즘이 하나 이상의 프롱을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로 중추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접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롱이, 접혀진 위치에서, 작용 말단의 최대 외부 직경이 신장 부재의 외부 직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연장된 위치에서 조직의 효율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접근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롱이, 접혀진 위치에서, 프롱과 작용 말단이 신장 부재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접근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롱 각각이 신장 부재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접근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롱 각각이 신장 부재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접근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롱이 근위적으로 접하는 근위 프롱 및 원위적으로 접하는 원위 프롱을 포함하고, 근위 프롱 및 원위 프롱 중의 적어도 하나가 신장 부재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접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카니즘이 라체팅 메카니즘(ratcheting mechanism) 및 푸시로드 메카니즘(pushrod mechanism) 중의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프롱 중의 하나 이상을 상기 접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접근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카니즘이 상기 프롱의 하나 이상을 연장된 위치 및 접혀진 위치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화 메카니즘(camming mechanism), 레버 메카니즘, 스크류 메카니즘, 및 스위치 메카니즘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접근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롱 중의 하나 이상이 작용 말단에 대하여 중추적으로 편항되어 일단 전개되면 연장된 위치 및 접혀진 위치 중의 하나 이상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접근 장치.
  13. 작용 말단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
    작용 말단 위에 중추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원위 프롱;
    작용 말단 위에 중추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근위 프롱; 및
    제어 말단에 배치되고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어 메카니즘[여기서, 제어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 중의 하나 이상을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로 중추적으로 운동시키도록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접근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가 곡선과 일치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접근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원위 프롱이 서로 중추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제1 원위 프롱 및 제2 원위 프롱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프롱이 서로 중추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적어도 제1 근위 프롱 및 제2 근위 프롱을 포함하는 접근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가 상기 원위 프롱 및 상기 근위 프롱을 상기 제어 메카니즘에 내부에 작동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종방향으로 배치된 장력 바아, 제1 전개 축 및 제2 전개 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 메카니즘은 장력 바아를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 중의 하나 이상이 제1 원위 프롱 및 제1 근위 프롱 각각을 회전시키기키 위한 제1 전개 축을 맞물리는,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력 바아를 맞물리는 접근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원위 프롱 및 근위 프롱이, 접혀진 위치에서, 작용 말단의 최대 외부 직경이 신장 부재의 외부 직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접근 장치.
  18.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를 포함하는 작용 말단 및, 제어 말단을 갖는 신장 부재;
    제어 말단에 배치되고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각각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전개 메카니즘[여기서, 당해 전개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을 연장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에 중추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된다]; 및
    제어 말단에 배치되고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접근 메카니즘[여기서, 당해 접근 메카니즘은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을 개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을 포함하는 접근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원위 프롱 세트가 제2 원위 프롱에 대하여 중추적으로 반대편에 있고, 상기 근위 프롱 세트가 제2 근위 프롱에 대하여 중추적으로 반대편에 있는 제1 근위 프롱을 포함하며, 개개의 프롱 각각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접근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개 메카니즘이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개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메카니즘이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 중의 하나 이상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라체팅 메카니즘 및 푸시로드 메카니즘 중의 하나를 이용하는 접근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가 곡선에 일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전개 메카니즘 및 접근 메카니즘 중의 하나 이상이 신장 부재의 제어 말단에 배치된 핸들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접근 장치.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작용 말단을 상기 제어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로티큘레이팅 메카니즘(roticulating mechanism)을 추가로 포함하며, 당해 로티큘레이팅 메카니즘은 상기 원위 프롱 세트 및 근위 프롱 세트를 전개 메카니즘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는 접근 장치.

KR1020177000810A 2014-06-20 2015-06-15 조직 접근 장치 KR20170047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5068P 2014-06-20 2014-06-20
US62/015,068 2014-06-20
PCT/US2015/035860 WO2015195568A1 (en) 2014-06-20 2015-06-15 Tissue approximat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210A true KR20170047210A (ko) 2017-05-04

Family

ID=5493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810A KR20170047210A (ko) 2014-06-20 2015-06-15 조직 접근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861379B2 (ko)
EP (1) EP3157443B1 (ko)
JP (1) JP6723168B2 (ko)
KR (1) KR20170047210A (ko)
CN (1) CN106999175A (ko)
AU (2) AU2015277407A1 (ko)
BR (1) BR112016029862A2 (ko)
CA (1) CA2952799A1 (ko)
IL (1) IL249655B (ko)
WO (1) WO2015195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61036A1 (en) * 2015-03-04 2018-06-14 Endogear Llc Endoscopic clip
US10786248B2 (en) 2016-01-11 2020-09-29 Ethicon. Inc. Intra dermal tissue fixation device
CN105877810B (zh) * 2016-03-30 2019-02-19 杭州康基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腔镜荷包抓钳
CN105943106A (zh) * 2016-05-17 2016-09-21 耿金宏 新式止血钳
KR102427501B1 (ko) 2017-01-13 2022-07-29 타스 메디컬 복벽 결함을 폐쇄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WO2019071158A1 (en) * 2017-10-05 2019-04-11 University Hospitals Cleveland Medical Center ENDOSCOPIC CLOSURE DEVICE
WO2019109029A1 (en) * 2017-12-01 2019-06-06 Endogear Llc Rotatable endoscopic clip with folding prongs
US10932796B2 (en) 2017-12-01 2021-03-02 Zimmer, Inc. Disposable surgical tool
US11832818B2 (en) 2018-01-04 2023-12-05 Seger Surgical Solutions Ltd. Tissue alignment for surgical closure
CN114096201A (zh) * 2019-07-16 2022-02-2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处置器具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170A (en) * 1979-03-06 1984-04-03 Ethicon, Inc. Surgical clip applying instrument
US4651737A (en) * 1984-10-15 1987-03-24 American Cyanamid Company Nonmetallic surgical clip
US4834112A (en) * 1987-02-26 1989-05-30 Medrad, Inc. Device for producing incremental joint movement in a patient
US5486196A (en) * 1992-02-13 1996-01-23 Medchem Products, Inc. Apparatus for the closure of wide skin defects by stretching of skin
US5318040A (en) * 1992-08-27 1994-06-07 Kensey Nash Corpor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via small percutaneous incisions or punctures without using a trocar
US5578031A (en) * 1993-05-10 1996-11-26 Wilk; Peter J. Laparoscopic instrumen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5562690A (en) * 1993-11-12 1996-10-0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pressional anastomoses
KR970702013A (ko) * 1994-04-21 1997-05-13 진 에프. 밀러 피부 스트레칭 장치(Skin stretching device)
US6017358A (en) * 1997-05-01 2000-01-25 Inbae Yoon Surg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rotatably mounted offset end effectors
US6080180A (en) * 1997-05-01 2000-06-27 Yoon; Inbae Surgical instrument with rotatably mounted offset end effec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267761B1 (en) * 1997-09-09 2001-07-31 Sherwood Servic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nd cutting tissue
WO1999065398A1 (en) * 1998-06-17 1999-12-23 Inbae Yoon Suturing instrument with angled needle holder and method for use thereof
CA2261488A1 (en) * 1999-01-21 2000-07-21 Anthony Paolitto Transabdominal device for performing closed-chest cardiac surgery
US20070198038A1 (en) * 2001-12-03 2007-08-23 Cohen Adam L Microdevices for Tissue Approximation and Retention, Methods for Using, and Methods for Making
DE10209122B4 (de) * 2002-03-01 2006-04-13 Fleischmann, Wilhelm, Dr.med. Instrument zur Gewebedehnung der Haut
US8454652B1 (en) * 2002-10-29 2013-06-04 Adam L. Cohen Releasable tissue anchoring device, methods for using, and methods for making
DE102004032450B4 (de) * 2004-06-29 2008-01-17 Otten, Gert, Prof. Dr.med. Chirurgische Vorrichtung zum Abklemmen organischen Gewebes, insbesondere von Blutgefäßen
WO2006055166A2 (en) * 2004-10-20 2006-05-26 Atricure, Inc. Surgical clamp
US8500777B2 (en) * 2007-03-13 2013-08-06 Longevity Surgical, Inc. Methods for approximation and fastening of soft tissue
US20080228199A1 (en) * 2007-03-16 2008-09-18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tissue approximation method
US20090192529A1 (en) * 2008-01-22 2009-07-30 Michael Kaveney Soft tissue reattachment mechanism
ES2701781T3 (es) * 2010-12-23 2019-02-25 Surgimatix Inc Dispositivo de sutura cutánea que utiliza agujas rotativas
US8777965B2 (en) * 2011-04-15 2014-07-15 Usgi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laparoscopic hernia repair
RU2571511C2 (ru) * 2011-07-22 2015-12-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Кодирование карт глубин движения с изменением диапазона глубины
US20150238194A1 (en) * 2014-02-24 2015-08-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sis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mechanical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2086A (ja) 2017-08-10
WO2015195568A1 (en) 2015-12-23
IL249655A0 (en) 2017-02-28
JP6723168B2 (ja) 2020-07-15
BR112016029862A2 (pt) 2017-10-17
US20170215905A1 (en) 2017-08-03
US9861379B2 (en) 2018-01-09
CA2952799A1 (en) 2015-12-23
EP3157443B1 (en) 2020-08-12
EP3157443A4 (en) 2017-11-22
EP3157443A1 (en) 2017-04-26
AU2020201404A1 (en) 2020-03-12
AU2015277407A1 (en) 2017-01-12
CN106999175A (zh) 2017-08-01
US20160015405A1 (en) 2016-01-21
IL249655B (en)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7210A (ko) 조직 접근 장치
JP6902525B2 (ja) 解放機構を備えた腹腔鏡縫合装置
EP1509142B8 (en) Endoscopic organ retra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30030462A1 (en) Laparoscopic surgical device
US20130018395A1 (en) Surgical implant deployment device
JP2011161234A (ja) 拡張性胸部アクセスポート
US109125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hilles tendon repair
US109256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fts
KR101703002B1 (ko) 접이식 블레이드 타입의 최소 침습 수술용 견인장치
JP6937301B2 (ja) ストリッパプレートを備えた腹腔鏡縫合装置
US2013006634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fts
US20190142448A1 (en) Grasper with increased grasping surface area
ES2932653T3 (es) Dispositivo de sutura laparoscópica con despliegue por impulsos
AU202232587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orthopedic surgical techniques
US9968374B2 (en) Method and instruments for placement of flexible cannulae
AU2003248538B2 (en) Endoscopic organ retra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